KR102006290B1 -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290B1
KR102006290B1 KR1020180061653A KR20180061653A KR102006290B1 KR 102006290 B1 KR102006290 B1 KR 102006290B1 KR 1020180061653 A KR1020180061653 A KR 1020180061653A KR 20180061653 A KR20180061653 A KR 20180061653A KR 102006290 B1 KR102006290 B1 KR 10200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unit
hous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종화
정지원
남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8006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can move a handle unit through linear movem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housing arranged at an internal side of a door panel; a handle unit arranged in the housing by penetrating the door panel, and having an external side surface placed at the same height of an external side surface of the door panel in a storage position in which the handle unit is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and a drive means linearly moving the handle unit between drawn-out pop-up positions to control the storage position and opening of a door. The handle unit is provided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panel to seal an internal side of the door panel at the pop-up positions. As stated above, the handle unit is formed to linearly move to prevent a clearance betwee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panel.

Description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0001]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 이동을 통하여 핸들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capable of moving a handle portion through a linear movement.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를 개폐하도록 도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핸들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핸들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경우 핸들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차량의 주행시 바람의 저항에 의해 연비가 저하되고,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하여 주행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the door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door panel to open and close the door. Whe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dle portion is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the fuel cost is lowered due to wind resistanc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wind noise is generated by wind, and driving noise is generated.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어 오픈시 이외에는 핸들부가 도어 패널에 매립되는 플러쉬(flush) 도어 핸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782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이러한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flush door handl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handle portion is embedded in a door panel except when the door is opened. Korean Patent No. 16378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such a retractable handle device for a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100)는 평소에는 핸들(140)이 도어 패널(1)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납 상태(a)를 유지하고,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에는 핸들(140)이 인출되어 팝업 상태(c)가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retractable handle device for a vehicle 100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normally keeps the housed state (a) in which the handle 140 is located inside the door panel 1, The handle 140 is pulled out to become the pop-up state (c).

이때, 상기 핸들(140)은 구동암(13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구동암(130)은 전동 액츄에이터(110)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110)가 동작하면 상기 핸들(140)은 회전하면서 수납 상태(a)에서 팝업 상태(c)로 이동하게 된다. The handle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arm 130 and the driving arm 130 is rotated by the electric actuator 110. When the electric actuator 110 is operated, The controller 140 moves from the stored state (a) to the pop-up state (c) while rotating.

즉, 상기 도어 패널(1)에서 상기 핸들(140)이 인출되는 관통홀은 상기 핸들(140)의 회전 반경을 고려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도 1의 (c) 팝업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40)과 관통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andle 140 is drawn out from the door panel 1 is formed to have a size consider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handle 140, and therefore, as shown in the pop-up state of FIG. 1 (c)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through hole 140 and the through hole.

이와 같이, 핸들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시에 핸들과 관통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유격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로 유입되어 장치의 고장 및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through hole at the time of pulling in or pulling out the handle, the foreign matter may flow into the retractable handle device through such clearance and cause a malfunction and malfunction of the devi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deteriorated in aesthetic sens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7820호(2016.07.0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637820 (Ju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핸들부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과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ich is configured to linearly move the handle portion, thereby preventing occurrence of a gap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panel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는, 도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외측면이 상기 도어 패널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팝업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을 밀폐하도록 마련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disposed inside a door panel; A handle portion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panel at a storage position where the out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the handle portion being disposed at the housing through the door panel; And a drive means for linearly moving the handle portion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pop-up position drawn out so as to enable the door to be opened,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panel, So as to seal the inside of the door panel.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동부; 및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ving part inserted in a guide formed in the housing and linearly moving together with the handle part;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housing to rotate the one side and to be rotated on the other side to rotate on the moving part; And a power generat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ry unit to move the moving unit.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회동부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회전된 상기 회동부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rotation unit elastic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unit and has one end supported by the rotation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housing to apply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he rotation unit, ; ≪ / RTI >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게 일측단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타측단의 양측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oving unit may have a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insert a guide protrusion formed in a guide of the housing and a protrusion formed at both sides of the other end to be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of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가 회전 동작시 상기 핸들부의 일측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핸들부의 후방 일측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1 이동부; 및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가 회전 동작시 상기 핸들부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의 후방 타측과 체결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Here, the mo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moving unit disposed in contact with a rear side of the handle unit so that the handle unit does not restrict one side of the handle unit when the handle unit is rotated to open the door; And a second moving part which is engag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art in a rear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art when the handle part is rotated for an open operation of the door.

그리고,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그립홈이 형성된 핸들 몸체; 일측단이 상기 핸들 몸체의 타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이동부에 체결 고정되는 핸들 링크; 및 상기 핸들 링크와 상기 핸들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몸체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핸들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handle body having a grip groove for the user to grip; A handle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ody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a handle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andle link and the handle body and adapt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handle body rotat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가 팝업위치에서 당겨져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 driving mean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rotating when the handle portion is pulled from the pop-up position and rotating correspondingly to generate power for opening the door It is possib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오픈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플랜지부로 구비된 구동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 케이블이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어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동력발생부; 및 일측단이 상기 핸들부의 후방 일측과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플랜지부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핸들부가 당겨지면 상기 구동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oor open driving means includes: a driving rotary portion including a rotary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to be rotated and a flange portion extended outward from the rotary portion; A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unit and coupled to a door side so that when the rotary unit rotates, the cable is pulled while being pulled to generate power for opening the door; And an open lever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so as to be rotated and another side portion of which is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so as to be rotated so that the drive portion is rotated when the handle portion is pulled.

그리고,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는, 상기 회전부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rotary member coupled to the rotary unit and rotated together therewith; And a cable fastening member extending outward from one side end of the rotary member and fastened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door side.

나아가, 상기 도어오픈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일측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 the door open driving means may include: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housing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unit;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support plate at one end and is coupled to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at the other en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is rotated.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는, 길이 방향의 일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호 형태로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돌기; 및 길이 방향의 타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호 형태로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 지지되는 제2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flang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ed outward at one en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inserted and supported by a first guide slit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ing inserted and supported in a second guide slit formed in a shape of an arc in the housing.

나아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안테나 또는 센서에서 팝업 명령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핸들부를 팝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handle to a pop-up position when a pop-up comma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antenna or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housing and the handle.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따르면, 핸들부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과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can be linearly moved to prevent an occurrence of a gap wit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pane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과의 유격이 개선되면서 외관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betwee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panel is improved, and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exterior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merchantability.

도 1은 종래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하우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와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흔들림 방지를 위한 구성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조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수납위치와 팝업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도어오픈 동력발생부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팝업위치와 당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의 구동부가 동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retractable handle device for a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panel,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using of a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ndle portion and a driving means of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driving means in an automotiv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ngement for preventing shaking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andle portion of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in the automotiv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ortion is fastened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ntenna and an illuminating unit provided in a handle portion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is drawn out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is positioned at a storage position and a pop-up position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ortion is pulled in a state in which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panel,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ortion is pulled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or open power generating portion of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handle portion in a pop-up position and a pulled-back state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cking lever is provided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lever is operated in the automotiv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lever is operated in the automotiv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of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generating portion of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iving unit of a power generating unit is operated i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mpon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배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panel. FIGS.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nd FIG.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그리고, 도 6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하우징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와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흔들림 방지를 위한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driving means of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driving means of the vehicle.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shaking in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FIG.

그리고, 도 10은 상기 핸들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핸들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핸들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13은 상기 핸들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조명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art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art is fastened,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and an illumination unit provided in the handle unit.

나아가, 도 14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와 팝업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ulled out from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ositioned at a storage position and a pop-up position.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100)는 도어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도어 패널(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외측면(321)이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10)의 외측면(1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핸들부(300), 그리고 상기 핸들부(300)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2 to 15, a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0 disposed inside a door panel 10, A handle portion 300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side surface 12 of the door panel 10 at a receiving position where the outer side surface 321 is drawn into the door panel 10, And a driving means for linearly moving the handle portion 300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pop-up position drawn out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핸들부(300)와 상기 구동수단이 수납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이 동작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300)가 인입 및 인출되게 핸들 이동홀(2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핸들 이동홀(220)이 상기 도어 패널(10)의 관통홀(11)과 연통되도록 상기 도어 패널(10)에 체결된다. The housing 200 is formed such that the handle 300 and the driving unit are accommodated. When the handle 300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he handle 300 is moved inwardly A moving hole 220 is formed. Here, the housing 200 is fastened to the door panel 10 such that the handle moving hole 220 is communicated with the through hole 11 of the door panel 10.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동부(400)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고, 회동부(500)는 회전되게 지지하며, 동력발생부(600)가 수납되게 공간을 제공하며,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의 구동 회전부(710)와 블로킹 레버(800)를 각각 회전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The housing 200 guides the moving par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a straight line, supports the rotating part 500 in a rotatable manner, provides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ower generating part 600, The driving rotation part 710 and the blocking lever 800 of the open driving means 700 are rotatably supported.

나아가, 상기 핸들 이동홀(220)의 둘레에 형성된 실링 체결부(230)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 패널(10)의 관통홀(11)과 상기 하우징(20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10)는 상기 핸들부(3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부(300)와 상기 하우징(2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210)는 상기 하우징(200)에 체결되어 상기 관통홀(11)과 상기 하우징(200) 사이 및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핸들부(300) 사이를 실링하여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측을 보다 확실히 밀폐할 수 있다. Further, a sealing portion 210, which is fastened to the sealing engagement portion 230 formed around the handle moving hole 220 and seals between the through hole 11 of the door panel 10 and the housing 200, . The sealing part 2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part 300 to seal between the handle part 300 and the housing 200. That is, the sealing part 210 is fastened to the housing 200 to seal between the through hole 11 and the housing 200 and between the housing 200 and the handle part 300, The inner side of the casing 10 can be more tightly closed.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개방된 후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핸들부(300) 및 상기 구동수단을 은폐하는 하우징 커버(29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커버(290)에는 한쌍의 관통홈(291)이 형성되어 있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볼트(451)와 제2 볼트(421)를 상기 하우징 커버(290)의 분리 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housing 200 further includes a handle cover 300 and a housing cover 290, which is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200 and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a housing cover 290 for covering the drive unit. The housing cover 290 is formed with a pair of through holes 291 so that the first bolt 451 and the second bolt 421 described below can be rotated without detaching the housing cover 290 .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핸들부(300)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 동작 없이 직선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핸들부(300)의 이동시 상기 하우징(200)의 핸들 이동홀(220)과 상기 핸들부(300)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iving means is provided to linearly move the handle portion 300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pop-up position drawn out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That is, the driving unit moves the handle unit 300 such that the handle unit 300 is drawn and drawn in a linear direction without rotat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learance between the handle moving hole 220 of the housing 200 and the handle 300 when the handle 300 is mov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300)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400)와, 일측은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4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동부(500), 그리고 상기 이동부(400)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부(50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60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moving part 400 inserted into a guide formed in the housing 200 and linearly moving together with the handle part 300, and a moving part 40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housing 200 to be rotated, And a power generating unit 600 that rotates the rotary unit 500 so that the moving unit 400 linearly moves.

여기서, 상기 이동부(400)는 사각 블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40)가 삽입되게 일측단에 홈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홈(250)에 삽입되게 타측단의 양측에 돌기부(4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0)는 타측단이 상기 회동부(500)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된다. The moving part 4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and has a groove 430 at one end thereof for inserting the guide protrusion 240 formed in the guide of the housing 200, Protrusions 44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50 formed in the guide.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art 4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part 500 so as to be rotated.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여 상기 이동부(40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40)와 가이드 홈(250)에 지지되어 직선 이동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ry part 500 rotates and presses the moving part 400, the moving part 400 moves to the guide protrusion 240 formed in the housing 200 and the guide groove 250 And is linearly moved.

나아가, 상기 이동부(40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핸들부(30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여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urther, the moving part 400 may be provided in a pair so as to support and pres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art 300, respectively.

즉,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이동부(410)와,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이동부(420)로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moving part 400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410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handle part 300 and a second moving part 420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handle part 300 .

여기서, 상기 제1 이동부(41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300)의 일측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과 구속 체결이 아닌 단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19, when the handle portion 300 is rotated to open the door, the first moving portion 410 may move the handle portion 300 in a direction And is disposed so as to be in simpl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0, rather than being constrained.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부(42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3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타측과 체결된다. 즉, 상기 제2 이동부(420)는 상기 핸들부(300)에 회전되게 구비된 핸들 링크(35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핸들 링크(3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19, when the handle portion 300 is rotated to open the door, the second moving portion 420 may move the handle portion 300 so a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0, (300). That is, the second moving part 42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handle link 350 which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handle part 300, and the handle part 300 is fix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link 350 .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상기 제2 이동부(420)가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부(300)를 팝업위치로 이동시키고, 팝업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핸들부(300)가 당겨지면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제2 이동부(420)에 의해 타측은 지지되고 상기 핸들부(300)의 일측은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이격되면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press the rear part of the handle part 300 so that the handle part 300 is popped up When the handle 300 is pulled by the user at the pop-up position, the handle 300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by the second moving part 420 and one side of the handle 300 is moved And is rotat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moving part 410.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부(410)에는 핸들 체결부(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체결부(450)는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이동부(410) 측으로 돌기(45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410)에 관통 형성된 홈(411)에 삽입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돌기(452)와 상기 홈(41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410)가 상기 핸들부(300)를 가압하여 이동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part 41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coupling part 450. The handle coupling part 450 is fastened and fixed to a rear side of the handle part 300 and a protrusion 45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410, (Not shown).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452 with the groove 411 can prevent the first moving part 410 from pressing against the handle part 300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handle part 300 during movement.

따라서, 상기 핸들 체결부(450)의 돌기(452)가 상기 제1 이동부(410)의 홈(41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부(410)가 상기 핸들부(300)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팝업위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되면 상기 핸들 체결부(450)는 상기 핸들부(300)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핸들 체결부(450)의 돌기(452)는 상기 제1 이동부(410)의 홈(411)에서 이탈하게 된다. The first moving part 410 presses the handle part 300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452 of the handle coupling part 45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11 of the first moving part 410, When the handle 300 is rotated to open the door at the pop-up position, the handle coupling part 450 is moved together with the handle 300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handle coupling part 450 452 are separated from the grooves 411 of the first moving part 410.

상기 회동부(500)는 일측에 회전되게 체결된 회전축(530)이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회동부 지지홈(27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마련된다. The rotary part 5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part support groove 270 formed in the housing 200 so as to rotate around the rotary shaft 530.

그리고, 상기 회동부(500)는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체결홀(51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510)에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가 회동부 힌지핀(520)을 통하여 회전되게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5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로 마련된다. 즉,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를 가압하면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에 체결된 회동부 힌지핀(520)이 장홀로 형성된 상기 체결홀(5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The rotary part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astening hole 510 is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510. 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510, And is coupled to be rotated through the hinge pin 520. Here, the fastening hole 510 is formed as a long hole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rotary part 500 rotates to press 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arts 410 and 420 The first hinge pin 520 slides along the fastening hole 510 formed in the long hole and 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are moved linearly.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상기 이동부(400)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부(500)를 회전시킨다.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 rotates the rotary unit 500 so that the moving unit 400 linearly move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610)와, 상기 구동부(610)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동부(5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부(620)로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 includes a driving unit 610 that generates rotational power, a pressing unit (not shown) tha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610 and rotates together to rotate the rotating unit 500 620).

상기 가압부(62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621)가 상기 회동부(500)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가압돌기(621)가 상기 회동부(500)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610)가 동작하여 상기 가압부(620)가 회전하면 상기 가압돌기(621)가 상기 회동부(500)를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50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The pressing portion 6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ressing protrusion 621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to press the rotary portion 500. [ That is,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621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part 500 and the pressing part 62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610, the pressing protrusion 621 is rotated by the rotation part 500, So as to rotate the rotary part 500.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축(530)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회동부(500)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회동부 탄성부재 지지홈(260)에 지지되어 회전된 상기 회동부(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부 탄성부재(540)를 더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rotary shaft 530 of the rotary part 500 so that one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rotary part 50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a rotary part elastic support groove 260 formed in the housing 200 And a rotary part elastic member 540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rotary part 500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즉, 상기 회동부(500)는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회동부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is stopped, the rotation unit 500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unit 300 is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And is rotat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ember 540. [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된 수납위치에서 외측면(321)이 상기 도어 패널(10)의 외측면(1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특정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이 동작하면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한 팝업위치로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300)의 형상이 상기 도어 패널(10)에 형성된 관통홀(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팝업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측이 보이지 않도록 밀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300)는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관통홀(11)과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수납위치와 팝업위치 간을 이동하는 동안에도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측이 보이지 않도록 밀폐하게 된다.The handle portion 300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side surface 12 of the door panel 10 at the receiving position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and the driving means When the door is opened, it is pulled out to a pop-up position where the door can be opened. The shape of the handle part 3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door panel 10 so as to seal the inside of the door panel 10 from the pop-up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300 is configured to move linearly, no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 11 and the door panel 10, so that the inside of the door panel 10 is sealed while being moved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pop- d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30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그립홈(340)이 형성된 핸들 몸체(310)와, 일측단이 체결핀(360)을 통하여 상기 핸들 몸체(310)의 타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이동부(420)에 체결 고정되는 핸들 링크(350), 그리고 상기 체결핀(360)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 링크(350)와 상기 핸들 몸체(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몸체(310)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핸들부 탄성부재(37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300 includes a handle body 310 having a grip groove 340 formed therein for the user to grip, a handle body 3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body 310 through a fastening pin 36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second moving part 420. The handle link 35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in 36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link 350 and the handle body 310 And a handle portion elastic member 370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handle body 310 rotates.

여기서, 상기 핸들 몸체(310)는,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몸체(320)와, 상기 외측 몸체(3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몸체(320)에 체결되고 상기 핸들 링크(350)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내측 몸체(330)로 마련된다. 즉, 상기 내측 몸체(330)에 상기 핸들 몸체(310)를 상기 체결핀(360)을 통하여 체결하고, 상기 외측 몸체(320)에 상기 내측 몸체(330)를 삽입 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handle body 310 includes an outer body 320 exposed to the outside, an inner body 320 disposed inside the outer body 320 and coupled to the outer body 320, And an inner body 330 which is coupled to rotate the outer body 350. That is, the handle body 310 is fastened to the inner body 330 through the fastening pin 360, and the inner body 3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body 320 and fastened using screws or the like .

이러한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핸들부(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된 구동수단과 분리될 수 있다. 즉, 제조상 또는 사용상 상기 핸들부(300)만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종래에는 도어핸들 조립체 전체를 교체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부(30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The handle portion 300 provided in this form can be separated from the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housing 200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case where only the handle unit 300 needs to be replaced in manufacturing or use, the entire door handle assembly has to be replaced in the related ar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handle unit 300 can be removed and replac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내측 몸체(330)의 후방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제1 체결부(331)에 제1 체결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몸체(330)의 후방 타측에 체결된 상기 핸들 링크(350)의 외측 단부에 제2 체결홈(351)이 형성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300 has a first fastening groove 332 formed in a first fastening portion 331 protruding from a rear side of the inner body 330, And a second engagement groove 351 is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handle link 350 fastened to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부(410)에 구비된 핸들 체결부(450)에 제1 볼트(45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이동부(420)에는 제2 볼트(421)가 구비되어 있다.A first bolt 451 is provided on the handle coupling part 450 of 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a second bolt 421 is provided on the second moving part 420 .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300)를 상기 하우징(200)의 핸들 이동홀(220)에 삽입하여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상기 제2 이동부(420)에 밀착시킨 후 상기 제1 볼트(451)와 상기 제2 볼트(421)를 회전시켜 상기 핸들부(300)를 체결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user inserts the handle 300 into the handle moving hole 220 of the housing 200 to bring the handle 3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The first bolt 451 and the second bolt 421 may be rotated to fasten the handle 300.

나아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링크(350)와 상기 제1 체결부(331)에는 각각 후크체결홈(352, 333)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체결부(450)와 상기 제2 이동부(420)에는 각각 후크 형태의 후크돌기(453, 4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핸들부(300)를 삽입하여 상기 후크체결홈(352, 333)에 후크돌기(453, 422)가 삽입되게 체결한 후 상기 제1 볼트(451)와 상기 제2 볼트(421)를 회전시켜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를 체결홈에 정확히 위치 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300)를 가압하지 않고도 나사 체결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12, the handle coupling 35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331 are provided with hook engagement grooves 352 and 333, respectively, and the handle coupling portion 450 and the second The hooking protrusions 453 and 422 are formed in the moving part 420 and hook protrusions 453 and 422 are inserted into the hooking recesses 352 and 333 by inserting the handle part 300. [ And then the first bolt 451 and the second bolt 421 can be rotated and fastened. In this case, the bolt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engaging groove, and the user can screw the handle part 300 without pressing the handle part 300,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또한, 상기 핸들 체결부(450) 및 상기 제2 이동부(420)에는 후크 지지부(454, 423)와 걸림 지지부(455, 4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볼트(451)와 상기 제2 볼트(421)가 상기 후크 지지부(454, 423)와 상기 걸림 지지부(455, 4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 체결부(450)와 상기 제2 이동부(420)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handle fastening part 45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are provided with hook supporting parts 454 and 423 and fastening supporting parts 455 and 424 so that the first bolt 451 and the second bolt 451, The hook 4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ok supporters 454 and 423 and the engaging supporters 455 and 424 so as to be received in the handle coupling part 45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

상기 핸들부(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몸체(320)와 내측 몸체(330) 사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91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NFC 안테나(910)와 무선통신하는 카드 또는 스마트 기기를 소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제어부(미도시)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13, the handle portion 300 inclu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910 between the outer body 320 and the inner body 330 so that the NFC antenna 910, A controller (not shown) may receive a pop-up command signal to control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handle unit 300 to a pop-up position.

또는, 상기 핸들부(300)의 외측면(321)에 터치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터치하면 제어부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차량의 스마트키를 소유한 사용자가 터치하면 동작하거나, 상기 터치 센서에는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어 있어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touch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321 of the handle unit 300 to receive a pop-up command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le unit 300 to move the handle unit 300 to the pop- And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means. Here, the touch sensor may be operated only when a user who possesses the smart key of the vehicle touches it, or may operate only when the fingerprint of the user is recognized in the touch sensor and the fingerprint of the user is recognized.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200)에는, 도 2를 참조하면, LF(low frequency) 안테나(930)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의 스마트키를 소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제어부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2, an LF (low frequency) antenna 930 is provided in the housing 200. When a user possessing a smart key of the vehicle approaches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receives a pop-up command signal, The control unit 300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to move to the pop-up position.

나아가, 상기 핸들부(300)의 내측 몸체(330)에는 조명부(92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면 제어부가 상기 조명부(9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점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핸들부(300)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920 is provided on the inner body 330 of the handle unit 300 so that when the handle unit 300 moves to the pop-up position,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illumination unit 920, . This makes it possible to clearly grasp the position of the handle 300 in a dark environment.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이동부(410)는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한 경우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체결부(45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오픈 레버(7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오픈 레버(73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의 구성으로, 일측단은 상기 핸들 체결부(45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구동 회전부(710)에 회전되게 체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moving part 410 includes an open lever 730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450 so as to be rotated while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part 300 to minimize swinging when the handle part 300 moves to the pop- . Here, the open lever 730 has the structure of the door open drive means 700 described below. One end of the open lever 730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450 so as to be rotate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otated to the drive rotation portion 710 Respectively.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부(410)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부(300) 측으로 절곡된 가이드 돌기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오픈 레버(73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412)가 삽입되어 밀착되게 가이드 슬릿(731)이 형성되어 있다. 9, the first moving part 410 has a guide protrusion 412 protruded outward from a side surface thereof and bent toward the handle part 300, and the open lever 730 A guide slit 731 is formed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412 is inserted and closely contacted.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이동부(410)가 직선 이동하면, 상기 오픈 레버(730)는 상기 핸들부(300)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 이동부(410)의 가이드 돌기부(412)가 상기 오픈 레버(730)의 가이드 슬릿(731)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유동을 지지하게 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412)가 상기 가이드 슬릿(731)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핸들부(3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moving part 410 linearly moves so that the handle part 300 moves to the pop-up position, the open lever 73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handle part 300 The guide protrusion 412 of the first moving part 4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731 of the open lever 730 to support the upward and downward flow. That is, as shown in FIG. 14, since the guide protrusion 412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guide slit 731 at the pop-up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le 300 from swinging.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00)는 수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회동부(50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부(500)는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상기 제2 이동부(42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상기 제2 이동부(420)는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핸들부(300)를 팝업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14 and 15, when the controller 300 receives the pop-up command signal in a state where the handle 300 is positioned at the receiving position, the controller 300 operates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rotary unit 500 And the rotary part 500 presses 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so that the first moving part 4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420 are moved forward The handle portion 300 is moved to the pop-up position.

도 16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7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어오픈 동력발생부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9는 상기 핸들부가 팝업위치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pulled while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door panel,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pulled in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in a pop-up position and in a pulled state. 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portion.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100)는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에서 당겨져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을 더 포함한다. 16 to 19,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housing 200, and when the handle portion 300 is pulled from the pop-up position and rotated, And a door open drive means (700) for generating power for the doo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은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부(711)와 상기 회전부(711)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플랜지부(712)로 구비된 구동 회전부(710)와, 상기 회전부(711)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부(711)가 회전하면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 그리고 일측단이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에 체결된 핸들 체결부(45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플랜지부(712)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핸들부(300)가 당겨지면 상기 구동 회전부(710)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7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는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이 체결되고, 회전 시 상기 케이블이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어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More specifically, the door open driving means 700 includes a rotation unit 711 coupled to the housing 200 for rotation and a driving rotation unit 710 including a flange unit 712 extended outward from the rotation unit 711. A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720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unit 711 and generating power for opening the door when the rotation unit 711 rotates,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712 so as to be rotated so that when the handle portion 300 is pulled, the open lever 710, which rotates the drive rotation portion 710, (730).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720 is coupled to a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door side,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able is pulled while being rotated to generate power for opening the door.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 회전부(710)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740)와,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에 구비되고 일측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740)에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750)를 더 포함한다. A support plate 740 fastened to the housing 200 and supporting the drive rotation part 710 to be rotatable is provided on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part 720 and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74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740 And the other end of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720 is coupled to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72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72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720 rotates.

여기서,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는 상기 회전부(711)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회전부재(721)와, 상기 회전부재(721)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부채꼴 형태로 마련되고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재(722)로 마련된다.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720 includes a cylindrical rotating member 721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711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member 721 and a fan member 721 exten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721, And a cable connection member 722 to which a cable connected to the door side is fastened.

그리고, 상기 케이블 체결부재(722)는 일측 모서리에 케이블의 단부가 체결되게 케이블 체결홈(723)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체결홈(723)과 연결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케이블 삽입홈(724)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부분적으로 감기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72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케이블 체결부재(722)에 케이블이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어 도어를 오픈하는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The cable connection member 722 is formed with a cable connection groove 723 at one end of the cable so that the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groove 723 and the cable insertion groove 724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groove 72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cable is partially wound. When the rotary member 721 rotates, the cable is pulled and pulled to the cable coupling member 722 to generate power to open the door.

나아가, 상기 플랜지부(71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돌기(713)와 제2 지지돌기(7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740)에는 상기 제1 지지돌기(713)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호 형태의 제1 가이드 슬릿(74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에도 상기 제2 지지돌기(714)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호 형태의 제2 가이드 슬릿(28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오픈 레버(730)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712)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지지돌기(713) 및 제2 지지돌기(714)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741) 및 제2 가이드 슬릿(280)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Further, the flange portion 712 is formed with a first support protrusion 713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714 protruding outward at both side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 740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slit 741 in the form of an arc so that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713 are inserted and guided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714 are formed in the housing 200, The second guide slit 280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and guided by the open lever 730. When the flange portion 712 is rotated by the open lever 73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713, The first guide slit 741 and the second guide slit 280 can be gui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slit 741 and the second guide slit 280,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된 팝업위치에서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당기면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오픈 레버(730)를 함께 회전시키고, 상기 오픈 레버(73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플랜지부(712)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 체결부재(722)에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당겨서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300 at the pop-up position where the handle 300 is drawn out, the handle 300 rotates to rotate the open lever 730 together and the open lever 730 The flange portion 712 rotates to rotate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portion 720 to pull the cable fastened to the cable fastening member 722 to generate power for opening the door .

도 20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1은 상기 블로킹 레버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22는 상기 블로킹 레버가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lever is provided in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lever is operated, FIG. 22 is a state As shown in Fig.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블로킹 레버(800)는 상기 도어 패널(10)에 외력(F)이 인가되어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와 함께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20 to 22, the blocking lever 8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otary part 500 by an inertial force generat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F to the door panel 10, (500) to prevent the handle portion (300) from being pulled out.

즉, 차량의 사고 등에 의해 상기 도어 패널(10)에 외부의 충격인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핸들부(300)는 관성력에 의해 팝업위치로 인출되도록 동작하게 되어 상기 핸들부(300)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door panel 10 due to a vehicle accident or the like, the handle portion 300 is operated to be drawn out to the pop-up position by an inertial force to cause breakage of the handle portion 300 .

나아가, 더 큰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인출된 후 회전하여 도어가 오픈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의 추가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Further, a larger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300 to be drawn out to the pop-up position, and then the door may be open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additional damage to the occupa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로킹 레버(800)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 패널(10)에 외력(F)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되거나 도어가 오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lever 800 is provided to prevent the rotary part 500 from rotating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door panel 10, so that the handle part 300 is drawn 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로킹 레버(800)는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레버 몸체(810)와, 상기 레버 몸체(810)에서 상기 핸들부(300)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무게추(820)와, 상기 레버 몸체(810)에서 상기 회동부(500) 측으로 돌출되고 관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 몸체(810)와 상기 회동부(500)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 상기 회동부(500)에 접촉하여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퍼(830),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레버 몸체(8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 몸체(810)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블로킹 레버 탄성부재(84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blocking lever 800 includes a lever body 810 that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body 810, and a weight 820 that protrudes from the lever body 810 toward the handle unit 300 The lever body 810 protrudes from the lever body 810 toward the rotary part 500 and contacts the rotary part 500 when the lever body 810 and the rotary part 500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an inertial force, A stopper 830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500 and a blocking part 830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200 and the lever body 810 and which applies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lever body 810 rotates, And a lever elastic member 840.

즉, 외력에 의해 관성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동부(500)는 상기 핸들부(300)의 무게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레버 몸체(810)는 상기 무게추(820)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 몸체(810)와 함께 회전한 스톱퍼(830)가 상기 회동부(50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an inertial force is generated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rotary part 500 is rotated by the weight of the handle part 300, and the lever body 810 is rotated by the weight 820, In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stopper 830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body 810 contacts the rotary part 500, thereby preventing the rotary part 500 from rotating.

그리고, 상기 회동부(500)에는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톱퍼(830)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톱퍼(830)가 관통하는 회피홈(550)이 형성되고, 도어 패널(10)에 외력이 인가되어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톱퍼(830)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지지면(560)이 형성된다. When the rotation unit 50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 the avoidance groove 550 through which the stopper 830 passes is formed so as not to contact the stopper 830, When the door panel 10 rotates due to an inertial force genera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the supporting surface 56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stopper 830.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동력발생부(600)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도어 오픈을 위한 동작인바 상기 레버 몸체(810)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상기 스톱퍼(830)는 상기 회동부(500)에 형성된 상기 회피홈(550)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게 된다.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ry unit 500 is rotated by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 the lever body 810 does not rotate, which is a general door opening operation, and the stopper 830 is rotated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500 is prevented by passing through the avoidance groove 550 formed in the rotary part 500.

그리고, 외력에 의해 관성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동부(500)와 상기 레버 몸체(810)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레버 몸체(810)와 함께 회전한 스톱퍼(830)가 상기 회동부(500)의 회피홈(550) 위치에서 이탈하여 상기 회동부(500)의 지지면(560)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When the inertial force is generated by the external force, the rotary part 500 and the lever body 810 rotate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stopper 830,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lever body 810, (50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560) of the rotary part (500), thereb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500).

이 후 관성력이 소멸하면 상기 블로킹 레버 탄성부재(840)에 의해 상기 레버 몸체(81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회동부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The lever body 8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blocking lever elastic member 840 and the rotary part 500 is also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otary part elastic member 540 .

도 23 및 도 24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25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동부가 동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서로 치합되는 구성에서 기어이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23 and 2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of the vehicle flush door handle assembly, and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portion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is operated. In the drawings, the gears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ry unit 500 by presett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tary unit 500 for the handle unit 300 to be placed at the storage position or the popup position .

보다 구체적으로,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회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그 만큼의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610)와, 상기 구동부(610)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동부(5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부(620)를 포함한다. 23 to 24,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mount of rotation for the handle unit 300 to be placed at the storage position or the pop-up position is predetermined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rotational power And a pressing unit 620 that receives rotation power of the driving unit 610 and rotates together to press the rotary unit 500 and rotate the rotary unit 500.

상기 구동부(610)는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는 구동부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배치되고 회전축에 구동기어(651)가 구비된 구동모터(650)와, 상기 구동기어(651)에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650)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가압부(620)를 회전시키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와 연결되고 회전량을 측정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상기 센싱부가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 하우징은 구동부 하우징 몸체(630)와 구동부 하우징 커버(640)로 마련된다. The driving unit 610 includes a driving unit housing disposed in the housing 200, a driving motor 650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housing and having a driving gear 651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A deceleration unit that decelerates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650 to rotate the pressing unit 620 and a control unit that measures the amount of rotation connected to the deceler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handle unit 300 is located at a storage position or a pop-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650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whether the handle unit 300 is positioned at a storage position or a pop-up position. Here, the driving unit housing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housing body 630 and a driving unit housing cover 640.

그리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구동기어(65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651)와 치합되는 제1 기어(661)와, 상기 제1 기어(66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661)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2 기어(662)와, 상기 구동기어(65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기어(662)와 치합되는 제3 기어(663), 그리고 상기 제3 기어(663)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 기어(663)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620)와 치합되는 제4 기어(664)를 포함한다. The deceleration unit includes a first gear 661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driving gear 651 and meshed with the driving gear 651 and a second gear 662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ear 661, A second gear 66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gear 661 and a third gear 663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riving gear 651 and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662, And a fourth gear 664 disposed coaxially with the third gear 663 and rotating together and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hird gear 663 and meshing with the pressing portion 620.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감속부에서 상기 제3 기어(663)의 일측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 슬릿(679)이 형성된 센싱 회전부(678)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675)가 상기 나선형 슬릿(679)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 하우징 커버(640)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642)에 삽입되어 상기 센싱 회전부(678)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재(674)와, 상기 이동부재(674)에 형성된 자석 수용부(676)에 삽입 고정되는 자석(677)과, 상기 구동부 하우징 몸체(630)에 체결된 기판(671)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677)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1 홀센서(672), 그리고 상기 기판(671)에서 상기 제1 홀센서(672)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자석(677)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2 홀센서(673)를 포함한다.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ing rotation unit 678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gear 663 in the deceleration unit and rotated together to form a spiral slit 679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spiral slit 679 and inserted into a movement guide 642 formed in the driving unit housing cover 640 and linearly mov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nsing rotation part 678, A magnet 677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676 formed on the movable member 674 and a magnet 677 disposed on the board 671 secured to the drive housing body 630 and the magnet 677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 first hall sensor 672 recognizing that the handle portion 300 is located at a storage position and a second hall sensor 672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hall sensor 672 on the substrate 671, The handle portion 300 is positioned at the pop-up position And a second Hall sensor 673 recognizing the second Hall sensor 673.

여기서, 상기 제1 홀센서(672)와 상기 제2 홀센서(673)의 간격은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서 팝업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3 기어(663)와 함께 회전하는 센싱 회전부(678)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674)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The gap between the first hall sensor 672 and the second hall sensor 673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ngle of the second gear 663 with the rotation of the third gear 663 in order to move the handle portion 300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pop- And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member 674 linearly moved by the rotating portion 678. [

나아가, 상기 가압부(620)는 일측단은 상기 구동부 하우징 커버(640)에 형성된 가압부 지지홈(641)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가압부 회전축(623)과,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50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621), 그리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4 기어(664)와 치합되는 기어부(622)를 포함한다. The pressing portion 6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support groove 641 formed in the driving portion housing cover 640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62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ressing portion rotation shaft A pressing projection 621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and pressing the rotating portion 500 and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62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engaged with the fourth gear 664 And a gear portion 622.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677)이 상기 제1 홀센서(67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 후 팝업 명령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650)를 동작시키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677)이 상기 제2 홀센서(673)의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동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핸들부(3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23, the magnet 677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all sensor 672,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rotation of the handle unit 30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storage unit 300 is located at the storage position. 25, when the magnet 677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all sensor 673,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ing motor 650. When the pop-up command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500 recognizes that the handle unit 300 is located at the pop-up position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650. [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30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200 : 하우징 210 : 실링부
220 : 핸들 이동홀 230 : 실링 체결부
240 : 가이드 돌기 250 : 가이드 홈
260 : 회동부 탄성부재 지지홈 270 : 회동부 지지홈
280 : 제2 가이드 슬릿 290 : 하우징 커버
300 : 핸들부 310 : 핸들 몸체
320 : 외측 몸체 330 : 내측 몸체
331 : 제1 체결부 332 : 제1 체결홈
333 : 후크체결홈 340 : 그립홈
350 : 핸들 링크 351 : 제2 체결홈
352 : 후크체결홈 360 : 체결핀
370 : 핸들부 탄성부재
400 : 이동부 410 : 제1 이동부
411 : 홈 412 : 가이드 돌기부
420 : 제2 이동부 422 : 후크돌기
430 : 홈부 440 : 돌기부
450 : 핸들 체결부 453 : 후크돌기
500 : 회동부 510 : 체결홀
520 : 회동부 힌지핀 530 : 회전축
540 : 회동부 탄성부재 550 : 회피홈
600 : 동력발생부 610 : 구동부
620 : 가압부 621 : 가압돌기
622 : 기어부 623 : 가압부 회전축
630 : 구동부 하우징 몸체 640 : 구동부 하우징 커버
650 : 구동모터 651 : 구동기어
661 : 제1 기어 662 : 제2 기어
663 : 제3 기어 664 : 제4 기어
672 : 제1 홀센서 673 : 제2 홀센서
674 : 이동부재 675 : 돌기부재
676 : 자석 수용부 677 : 자석
678 : 센싱 회전부 679 : 나선형 슬릿
700 : 도어오픈 구동수단 710 : 구동 회전부
720 : 도어오픈 동력발생부 730 : 오픈 레버
740 : 지지플레이트 750 : 탄성부재
800 : 블로킹 레버 810 : 레버 몸체
820 : 무게추 830 : 스톱퍼
840 : 블로킹 레버 탄성부재 850 : 힌지핀
910 : NFC 안테나 920 : 조명부
930 : LF 안테나
100: Automotive flush door handle assembly
200: housing 210: sealing part
220: handle moving hole 230: sealing engagement part
240: guide protrusion 250: guide groove
260: Rotary elastic member support groove 270: Rotary support groove
280: second guide slit 290: housing cover
300: handle portion 310: handle body
320: outer body 330: inner body
331: first fastening part 332: first fastening groove
333: hook fastening groove 340: grip groove
350: handle link 351: second fastening groove
352: hook fastening groove 360: fastening pin
370: Handle portion elastic member
400: moving part 410: first moving part
411: groove 412: guide protrusion
420: second moving part 422: hook projection
430: groove portion 440:
450: handle fastening portion 453: hook projection
500: turning part 510: fastening hole
520: turning hinge pin 530: rotating shaft
540: rotational elastic member 550: avoiding groove
600: power generating unit 610:
620: pressing portion 621: pressing projection
622: gear portion 623: pressing portion rotating shaft
630: drive housing body 640: drive housing cover
650: drive motor 651: drive gear
661: first gear 662: second gear
663: Third gear 664: Fourth gear
672: first hall sensor 673: second hall sensor
674: moving member 675: projection member
676: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677: magnet
678: sensing rotation part 679: helical slit
700: Door open driving means 710:
720: door open power generating part 730: open lever
740: support plate 750: elastic member
800: blocking lever 810: lever body
820: weight 830: stopper
840: blocking lever elastic member 850: hinge pin
910: NFC antenna 920:
930: LF antenna

Claims (12)

도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외측면이 상기 도어 패널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가 팝업위치에서 당겨져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오픈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플랜지부로 구비된 구동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 케이블이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어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동력발생부; 및
일측단이 상기 핸들부의 후방 일측과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플랜지부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핸들부가 당겨지면 상기 구동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팝업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을 밀폐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A housing disposed inside the door panel;
A handle portion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panel at a storage position where the out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the handle portion being disposed at the housing through the door panel;
A drive means for linearly moving the handle portion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pop-up position drawn out so as to enabl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And a door open driving means which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rotates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pulled from the pop-up position and generates power for opening the door,
The door open /
A driving rotation part including a rotation part coupled to the housing to be rotated and a flange part extending outward from the rotation part;
A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unit and coupled to a door side so that when the rotary unit rotates, the cable is pulled while being pulled to generate power for opening the door; And
And an open lever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so as to rotate at one end and is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at the other end to rotate the drive rotation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pulled,
Wherein,
Wherein the door panel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panel to seal the inside of the door panel from the pop-up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동부; 및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moving part inserted into a guide formed in the housing and linearly moving together with the handle part;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housing to rotate the one side and to be rotated on the other side to rotate on the moving part; And
A power generat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ry unit such that the moving unit moves;
Wherein the door handle assembly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회동부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회전된 상기 회동부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부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rotary part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a rotary shaft of the rotary part and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rotary part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housing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rotary part rotate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lush door handle assembli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게 일측단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타측단의 양측에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ing unit includes:
Wherein a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so as to insert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a guide of the housing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to be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of th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가 회전 동작시 상기 핸들부의 일측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핸들부의 후방 일측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1 이동부; 및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가 회전 동작시 상기 핸들부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의 후방 타측과 체결되는 제2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disposed in contact with a rear side of the handle part so as not to constrai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when the handle part rotates to open the door; And
A second moving part which is engaged with the other rear side of the handle part so a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art when the handle part rotates to open the door;
Wherein the door handle assembly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그립홈이 형성된 핸들 몸체;
일측단이 상기 핸들 몸체의 타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이동부에 체결 고정되는 핸들 링크; 및
상기 핸들 링크와 상기 핸들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몸체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핸들부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handle body having a grip groove for the user to grip;
A handle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ody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A handle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andle link and the handle body and adapt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handle body rotates;
Wherein the door handle assembly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는,
상기 회전부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and rotated together; And
A cable fastening member exten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rotary member and fastened to a cable connected to the door side;
Wherein the door handle assembly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오픈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일측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pen /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housing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unit;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support plate at one end and which is fastened to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at the other en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door open power generating unit is rotate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lush door handle assembli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길이 방향의 일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호 형태로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돌기; 및
길이 방향의 타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호 형태로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 지지되는 제2 지지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lange portion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ed outwar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and supported by a first guide slit formed in a arc shape on the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and supported in a second guide slit formed in a shape of an arc 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lush door handle assembl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안테나 또는 센서에서 팝업 명령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핸들부를 팝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handle unit to a pop-up position when a pop-up comma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antenna or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housing and the handle uni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lush door handle assemblies.
KR1020180061653A 2018-05-30 2018-05-30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2006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53A KR102006290B1 (en) 2018-05-30 2018-05-30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53A KR102006290B1 (en) 2018-05-30 2018-05-30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290B1 true KR102006290B1 (en) 2019-08-01

Family

ID=6761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53A KR102006290B1 (en) 2018-05-30 2018-05-30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9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710A (en) * 2019-12-26 2021-06-29 株式会社有信 Door handle device
WO2022250508A1 (en) * 2021-05-28 2022-12-01 (주) 셈코 Integrated vehicle door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vehicle door handle
KR20240073521A (en) 2022-11-18 2024-05-27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047A1 (en) * 2011-09-26 2013-03-28 David Wheeler Door handle apparatus for vehicles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JP2016211231A (en) * 2015-05-08 2016-12-1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
KR20180022371A (en)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047A1 (en) * 2011-09-26 2013-03-28 David Wheeler Door handle apparatus for vehicles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JP2016211231A (en) * 2015-05-08 2016-12-1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
KR20180022371A (en)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710A (en) * 2019-12-26 2021-06-29 株式会社有信 Door handle device
CN113047710B (en) * 2019-12-26 2024-05-14 株式会社有信 Door handle device
WO2022250508A1 (en) * 2021-05-28 2022-12-01 (주) 셈코 Integrated vehicle door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vehicle door handle
KR20240073521A (en) 2022-11-18 2024-05-27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290B1 (en)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US10072447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JP5852337B2 (en) Tailgate outside handle assembly
US8608212B2 (en) Door closer apparatus
EP2653356B1 (en) Vehicular electric lock device
US20140175809A1 (en) Closure mechanism for vehicle door
KR20130129073A (en) Actuating drive for a motor vehicle
KR102006297B1 (en)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for preventing shaking of handle
KR20200038007A (en) E-Latch for Vehicle Door with Safety Device
US20020070564A1 (en) Door closer
JP5205679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O2019016969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5050275B2 (en) Door latch actuator
KR102007239B1 (en)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having handle movement position
KR20150073790A (en) Device for protrude of tailgate handle
JP2008019567A (en) Vehicular door locking device
KR102006306B1 (en)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with replaceable handle
JP4662818B2 (en) Open / close control mechanism of sliding door and fuel lid
JP4965418B2 (en) Door lock mechanism
KR102006307B1 (en)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including a blocking lever
WO2016035225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and door system equipped with door latch device
JP3314681B2 (en)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flip-up type vehicle door
JP6361050B2 (en) Back door lock device
JP7411352B2 (en) door device
KR20180086571A (en) Push and pull type sliding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