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621B1 - 플랩 댐퍼 - Google Patents

플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621B1
KR100938621B1 KR1020070112819A KR20070112819A KR100938621B1 KR 100938621 B1 KR100938621 B1 KR 100938621B1 KR 1020070112819 A KR1020070112819 A KR 1020070112819A KR 20070112819 A KR20070112819 A KR 20070112819A KR 100938621 B1 KR100938621 B1 KR 10093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damper
back pressure
pressure compensa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588A (ko
Inventor
박재현
윤명오
제진주
진병래
Original Assignee
박재현
윤명오
제진주
진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윤명오, 제진주, 진병래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07011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6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통로(5)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12)을 갖는 댐퍼틀(10); 상기 댐퍼틀(10)의 관통공(12)에 밀착 형합되고 중앙부위의 회전축(22)을 기준으로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실내측을 향하는 하단내향면(20a)이 밀려 열리도록 축회전되는 플랩(20); 및 상기 플랩(20)의 하부측 소정부위에 장착되는 무게추(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플랩(20)의 하단내향면(20a)에 이 플랩(20)이 축 회전되어 개방됨에 따라 배기가압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보상하여 지속적으로 배기압을 받아 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압보상부재(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댐퍼의 열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실내의 과압 배출이 신속하게 되는 동시에 댐퍼의 개도량을 크게 할 수 있는 만큼 댐퍼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통로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되고 댐퍼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또한, 배출압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실내의 과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플랩 댐퍼, 배압보상부재, 무게추, 플랩개도조절부재, 스톱퍼

Description

플랩 댐퍼{Flap dampers}
본 발명은 플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에 배압보상부재를 마련하여 댐퍼 개방시 이 댐퍼의 개도(開度)에 상관없이 댐퍼로의 배출 풍압의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댐퍼개도조절부재를 마련하여 댐퍼의 개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랩 댐퍼는 실내(또는 덕트 내)의 압력이 일정압을 초과하는 과압 발생시 이 과압의 가압력에 의해 열리면서 초과 압력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플랩 댐퍼의 종래 기술에 대한 일례를 살펴보면,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통로 상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댐퍼틀과, 이 댐퍼틀의 관통공에 밀착 형합되고 중앙부위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실내측을 향하는 하단내향면이 밀려 열리도록 축 회전되는 사각판재 형상의 플랩 및 상기 플랩의 하부측 소정부위에 장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플랩 댐퍼는 실내에 과압이 발생되면 댐퍼의 하단내향면 이 과압에 밀려 열리면서 과압이 배출되고, 일정시간이 경과 후 과압 배출이 완료되어 실내가 다시 일정 압력을 유지하게 되면 플랩 자체의 하중에 의해 플랩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다시 통로를 차단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실내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게추를 통해 플랩의 하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압에 따른 플랩의 개도 조절은 물론 플랩이 플랩틀에 정확히 밀착되어 압력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플랩 댐퍼는 배출 가압에 의해 플랩이 개방됨에 따라 이 플랩의 가압면적이 점점 줄어들게 되고 이와 비례하여 플랩에 대한 가압량도 점차 감소되어, 그 결과 플랩의 개도가 더디게 진행되다가 일정각도에 이르게 되면 더 이 열리지 않게 되어서 플랩이 일정한 개도만을 유지한 상태로 과압을 배출하기 때문에, 그만큼 과압 배출이 더디게 진행되어 실내의 정압 회복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댐퍼의 크기를 크게 하면 작은 개도에서도 많은 양의 배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는 있으나, 이럴 경우 댐퍼의 크기에 비례하여 통로의 공간을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로 전반에 따른 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동시에 댐퍼의 제조비용도 상승하게 되는 등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플랩 댐퍼는 댐퍼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댐퍼개도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배출압의 유량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실내의 과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댐퍼에 배압보상부재를 마련하여 댐퍼 개방시 이 댐퍼의 개도(開度)에 상관없이 댐퍼로의 배출 풍압의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댐퍼의 열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실내(또는 덕트 내)의 과압 배출이 신속하게 되는 동시에 댐퍼의 개도량을 크게 할 수 있는 만큼 댐퍼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통로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되고 댐퍼 제조비용도 절감되며, 또한, 댐퍼개도조절부재를 마련하여 댐퍼의 개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압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실내의 과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랩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랩 댐퍼는 통로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댐퍼틀; 상기 댐퍼틀의 관통공에 밀착 형합되고 중앙부위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실내측을 향하는 하단내향면이 밀려 열리도록 축 회전되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의 중앙 상부측 소정부위에 장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하단내향면에 이 플랩이 축 회전되어 개방됨에 따라 배기가압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보상하여 지속적으로 배기압을 받아 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압보상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부재는, 상기 플랩의 하단내향면의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지지판;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되 그 상단부가 풍압이 배출되는 실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배압보상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는 지지 판의 하단부에서 내측 상향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실내측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실외측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직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상단외향면에 상기 배압보상부재와 더불어 배기압의 가압량을 더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배압보상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부재는, 상기 플랩의 상단외향면의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보조지지판; 및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되 그 하단부가 풍압이 배출되는 실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보조배압보상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는 보조지지판의 상단부에서 외측 하향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직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댐퍼틀 상에 플랩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랩개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플랩개도조절부재는, 상기 실내측과 반대 방향인 실외측을 향하는 댐퍼틀 양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실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 상에 설치되어 그 선단부가 일정각도만큼 축 회전되어 열린 플랩의 외향면과 맞닿아 이 플랩의 축 회전을 저지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플랩 측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지지브래킷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유동은 지지브래킷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랩 댐퍼는 댐퍼에 배압보상부재를 마련하여 댐퍼 개방시 이 댐퍼의 개도(開度)에 상관없이 댐퍼로의 배출 풍압의 가압력이 지 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댐퍼의 열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실내의 과압 배출이 신속하게 되는 동시에 댐퍼의 개도량을 크게 할 수 있는 만큼 댐퍼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통로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되고 댐퍼 제조비용도 절감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댐퍼개도조절부재를 마련하여 댐퍼의 개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압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실내의 과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는 통로(5)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12)을 갖는 댐퍼틀(10)과, 이 댐퍼틀(10)의 관통공(12)에 밀착 형합되고 중앙부위의 회전축(22)을 기준으로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실내측을 향하는 하단내향면(20a)이 밀려 열리도록 축 회전되는 플랩(20)과, 상기 플랩(20)의 중앙 상부측 소정부위에 장착되는 무게추(30) 및 상기 플랩(20)의 하단내향면(20a)에 이 플랩(20)이 축 회전되어 개방됨에 따라 배기가압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보상하여 지속적으로 배기압을 받아 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압보상부재(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댐퍼틀(10)은 통로(5)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댐퍼(20)가 설치되도록 하는 관통공(12)을 갖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 관통공(12) 양단부에 플랩(20)의 회전축(22)을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수부(14)가 마련되고, 그 실외측 양 단면에 플랩(20)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하는 플랩개도조절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랩(20)은 댐퍼틀(10)의 관통공(12)에 밀착 형합되고 중앙부위의 회전축(22)을 기준으로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실내측을 향하는 하단내향면(20a)이 외측으로 밀려 열리도록 축 회전되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그 하단내향면(20a)에 배압보상부재(40)가 설치되고 그 상단외향면(20b)에 보조배압보상부재(50)가 설치되며 외향면 중앙부위에 소정의 무게추(3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랩(20)의 회전축(22)은 플랩(20)의 중앙 상부측에 위치되어 이 회전축(22)을 기준으로 그 아래쪽이 풍압에 의해 밀려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랩(20)의 회전축(22)과 댐퍼틀(10)의 회전축수부(14)의 구조는 베어링회전체의 외주면이 회전축수부(14)에 결합 고정되고 베어링회전체의 중앙 회전축(22)이 플랩(20)과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공지 기술의 베어링 회전구조체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30) 역시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압보상부재(40)는 플랩(20)의 하단내향면(20a)에 설치되며 이 플랩(20)이 축 회전되어 개방됨에 따라 배기가압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보상하여 지속적으로 배기압을 받아 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배압보상부재(40)는 플랩(20)의 하단내향면(20a)의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4분원판 형상의 지지판(42) 및 이 한 쌍의 지지판(42) 사이에 배치되되 그 상 단부가 풍압이 배출되는 실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장방형 판재 형상의 배압보상날개(4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압보상날개(44)는 지지판(42)의 하단부에서 내측 상향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실내측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압보상날개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배압보상날개(45)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실외측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할 수도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배압보상날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압보상날개(46)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직판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플랩(20)의 상단외향면(20b)에 상기 배압보상부재(40)와 더불어 배기압의 가압량을 더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배압보상부재(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배압보상부재(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랩(20)의 상단외향면(20b)의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보조지지판(52) 및 이 한 쌍의 보조지지판(52) 사이에 배치되되 그 하단부가 풍압이 배출되는 실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보조배압보상날개(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54,55,56)는 보조지지판(52)의 상단부에서 외측 하향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55)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할 수도 있고,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56)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직판 구조로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댐퍼틀(10) 상에는 플랩(20)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랩개도조절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플랩개도조절부재(60)는 실외측을 향하는 댐퍼틀(10) 양단부에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그 타단부가 실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디귿자 형상의 지지브래킷(62) 및 이 지지브래킷(62) 상에 설치되어 그 선단부가 일정각도만큼 축 회전되어 열린 플랩(20)의 외향면과 맞닿아 이 플랩(20)의 축 회전을 저지하는 스톱퍼(6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64)는 플랩(20) 측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지지브래킷(62)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톱퍼(64)가 지지브래킷(62)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 체결 방식 이외에 스톱퍼가 지지브래킷 상에서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플랩 댐퍼는 댐퍼틀(10)의 관통공(12)에 플 랩(20)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이 플랩(20)의 하단내향면과 상단외향면에 각각 배압보상부재(40)와 보조배압보상부재(50)를 설치하며, 플랩(20)의 외향면 중앙부에 무게추(30)를 장착하고, 또한, 댐퍼틀(10)의 외향면 양단부에 플랩개도조절부재(60)를 설치하여 본 발명의 플랩 댐퍼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플랩 댐퍼를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해당 통로에 설치하여 실내에 과압이 발생시 적절하게 개폐되면서 실내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플랩 댐퍼에 장착된 배압보상부재(40)와 보조배압보상부재(5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플랩(20)이 가압되어 밀려나기 시작하면서 이 풍압에 대한 플랩(20) 자체의 가압면적은 줄어드는 대신 배압보상부재(40)가 풍압에 가압되면서 배압이 보상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플랩(20)의 가압면을 회전축(22) 이하의 면적이라고 가정을 하면, 도 3에서와 같이, 플랩(20)으로의 최초 가압이 이루어질 경우에 플랩(20)으로의 가압면은 배압보상날개(44)를 제외한 플랩(20)의 전체면적과 같은 면적이 되므로 결과적으로 배압보상날개(44)가 없는 상태에서 플랩(20)의 전체면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어느 정도 가압이 이루어진 후의 플랩(20)의 가압면은 플랩(20)이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이므로 그만큼 플랩(20) 자체의 가압면적이 줄어드는 대신 배압보상날개(44)로의 가압면적을 늘어나게 되어, 즉, 배압보상날개(44)들로의 가압면적이 커지면서 결과적으로 플랩(20)의 가압면적이 줄어든 것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플랩(20)의 개도가 완료된 상태의 플랩(20)에 대한 가압면은 더욱 줄어드는 대신 배압보상날개(44)로의 가압 가속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그 결과 플랩(20)의 가압면적이 줄어든 것을 보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랩 댐퍼는 이른바 시로코팬(sirocco fan) 구조를 갖는 복수의 배압보상날개(44) 구조를 통해 플랩(20)의 개도량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가압력을 플랩(20)에 전달하여 이 플랩(20)이 신속하고 크게 개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그리고, 위와 같은 배압보상날개(44)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댐퍼(20)의 상단외향면(20b)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배압보상부재(50)도 상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여 배압보상부재(20)의 보상력에 더해 플랩(20)으로의 더 많은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랩(20)이 보다 더 신속하게 많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일례로, 이러한 보조배압보상부재(5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플랩(20) 하단이 가압되어 밀려나는 동시에 플랩(20)의 상단부는 회전축(22)을 기준으로 해서 반대측인 전방으로 회전되어 시로코팬 배열로 되어 있는 보조배압보상부재(50)가 순차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고, 이때,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풍압은 개방된 플랩(20)의 상단 통로(5)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순차적으로 노출되는 상기 보조배압보상부재(50)를 가압하게 되면서 그 결과 플랩(20)의 상단 외측면이 하방으로 눌려지게 된다.
즉, 배압에 의해 플랩(20)이 회전되면 누워있는 형상의 보조배압보상날개(44)는 배출되는 풍압에 정면으로 노출되면서 점차 직립 형상이 되고, 이때, 배압은 이 보조배압보상날개(44)에 부딪히면서 그 중 이 보조배압보상날개(44)를 따라 하방으로 흐르는 배압이 플랩(20)의 상단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플랩(20)의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해 보다 많은 배압을 받기 때문에 플랩(20)의 상단부는 배출되는 배압에 비해 그 회전력이 더 커지게 되어 플랩(2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회전력에 더해 플랩(20) 상단부의 개방된 통로(5)를 따라 배출되는 배압이 다시 상기와 같이 보조배압보상날개(44)를 통해 플랩(20)의 상단 외측면을 가압하여 플랩(20)이 보다 신속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도 이른바 시로코팬 구조를 갖는 복수의 보조배압보상날개(44) 구조를 통해 플랩(20)이 개방됨에 따라 풍압에 가압되는 보조배압보상날개(44)의 개수도 비례적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플랩(2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커지면서 플랩(20)이 보다 더 신속하고 크게 개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한편, 이러한 플랩(20)의 개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랩개도조절부재(60)의 스톱퍼(64)를 지지브래킷(62) 상에서 나사체결 방식으로 나선 이동시켜가면서 플랩(20)의 축 회전을 저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플랩(20)의 개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가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랩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통로 10 : 댐퍼틀
12 : 관통공 14 : 회전축수부
20 : 플랩 20a : 하단내향면
20b : 상단외향면 30 : 무게추
40 : 배압보상부재 42 : 지지판
44,45,46 : 배압보상날개 50 : 보조배압보상부재
52 : 보조지지판 54,55,56 : 보조배압보상날개
60 : 플랩개도조절부재 62 : 지지브래킷
64 : 스톱퍼

Claims (16)

  1. 통로(5)에 밀착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12)을 갖는 댐퍼틀(10);
    상기 댐퍼틀(10)의 관통공(12)에 밀착 형합되고 중앙부위의 회전축(22)을 기준으로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실내측을 향하는 하단내향면(20a)이 밀려 열리도록 축 회전되는 플랩(20); 및
    상기 플랩(20)의 중앙 상부측 소정부위에 장착되는 무게추(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랩 댐퍼에 있어서,
    상기 플랩(20)의 하단내향면(20a)에 이 플랩(20)이 축 회전되어 개방됨에 따라 배기가압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보상하여 지속적으로 배기압을 받아 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압보상부재(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부재(40)는,
    상기 플랩(20)의 하단내향면(20a)의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지지판(42);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판(42) 사이에 배치되되 그 상단부가 풍압이 배출되는 실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배압보상날개(44,45,46);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44,45,46)는 지지판(42)의 하단부에서 내측 상향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44)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실내측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45)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실외측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보상날개(46)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직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20)의 상단외향면(20b)에 상기 배압보상부재(40)와 더불어 배기압 의 가압량을 더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배압보상부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부재(50)는,
    상기 플랩(20)의 상단외향면(20b)의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보조지지판(52); 및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판(52) 사이에 배치되되 그 하단부가 풍압이 배출되는 실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보조배압보상날개(54,55,56);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54,55,56)는 보조지지판(52)의 상단부에서 외측 하향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54)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55)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 곡면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압보상날개(56)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전체가 직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틀(10) 상에 플랩(20)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랩개도조절부재(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개도조절부재(60)는,
    상기 실내측과 반대 방향인 실외측을 향하는 댐퍼틀(10) 양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실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지지브래킷(62); 및
    상기 지지브래킷(62) 상에 설치되어 그 선단부가 일정각도만큼 축 회전되어 열린 플랩(20)의 외향면과 맞닿아 이 플랩(20)의 축 회전을 저지하는 스톱퍼(64);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64)는 플랩(20) 측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지지브래킷(62)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64)의 유동은 지지브래킷(62)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댐퍼.
KR1020070112819A 2007-11-06 2007-11-06 플랩 댐퍼 KR10093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819A KR100938621B1 (ko) 2007-11-06 2007-11-06 플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819A KR100938621B1 (ko) 2007-11-06 2007-11-06 플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588A KR20090046588A (ko) 2009-05-11
KR100938621B1 true KR100938621B1 (ko) 2010-01-22

Family

ID=4085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819A KR100938621B1 (ko) 2007-11-06 2007-11-06 플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6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92B1 (ko) 2009-07-14 2011-08-05 이엔피연구소 주식회사 과압배출용 댐퍼
KR101336312B1 (ko) 2013-06-27 2013-12-02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가이드 베일을 가지는 댐퍼
KR101335542B1 (ko) * 2013-06-27 2013-12-05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보조벽체를 가지는 공조용 댐퍼
KR101374114B1 (ko) * 2012-03-20 2014-03-14 (주)신성이엔지 팬 필터 유닛의 역류 방지 댐퍼 및 그 조립 방법
KR101444338B1 (ko) 2012-07-05 2014-10-07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505B1 (ko) * 2021-12-02 2022-05-04 김슬기 릴리프 댐퍼용 블레이드 안정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753U (ko) 1987-05-18 1988-11-24
JPH10288393A (ja) 1997-04-10 1998-10-27 Sanko Kogyosho:Kk 逆流防止用対向翼ダンパー
JP2000179930A (ja) 1998-12-18 2000-06-30 Dai-Dan Co Ltd 逆流防止ダンパー
US6475078B1 (en) 2001-10-09 2002-11-05 Norb Borcherding Air ventil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753U (ko) 1987-05-18 1988-11-24
JPH10288393A (ja) 1997-04-10 1998-10-27 Sanko Kogyosho:Kk 逆流防止用対向翼ダンパー
JP2000179930A (ja) 1998-12-18 2000-06-30 Dai-Dan Co Ltd 逆流防止ダンパー
US6475078B1 (en) 2001-10-09 2002-11-05 Norb Borcherding Air ventilat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92B1 (ko) 2009-07-14 2011-08-05 이엔피연구소 주식회사 과압배출용 댐퍼
KR101374114B1 (ko) * 2012-03-20 2014-03-14 (주)신성이엔지 팬 필터 유닛의 역류 방지 댐퍼 및 그 조립 방법
KR101444338B1 (ko) 2012-07-05 2014-10-07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336312B1 (ko) 2013-06-27 2013-12-02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가이드 베일을 가지는 댐퍼
KR101335542B1 (ko) * 2013-06-27 2013-12-05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보조벽체를 가지는 공조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588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621B1 (ko) 플랩 댐퍼
US11533017B2 (en) Spring counter-balance assemblies and solar trackers incorporating spring counter-balance assemblies
US10836465B2 (en) Slat assembly
CN110094312B (zh) 后缘组件
CN101358611B (zh) 轴流风机轮毂轮廓连接系统及带有该连接系统的轴流风机
US20100090067A1 (en) Aerodynamic profile with a reversibly deformable contour for aircraft, in particular for rotary wing aircraft
US20080069698A1 (en) Reversible fan blade for a ceiling-suspended fan
SG182142A1 (en) Back draft damper
EP1632727A3 (en) Air conditioner
KR101788946B1 (ko) 탄성 자가-정렬 베어링
US20110028080A1 (en) Back draft damper
US20190219300A1 (en) Air duct damper
US20150098821A1 (en) Reverse flow load mitigation device for a wind turbine blade
GB2466125A (en) A Fan Blade with Holes
CN103282652A (zh) 风力涡轮机叶片的负荷减轻装置
US4966526A (en) Mechanically actuated slot for circulation control rotor
US8066559B2 (en) In-plane airflow circulation contingency and control system
US4626171A (en) Rotor blade construction for circulation control aircraft
GB2348537A (en) Split tube actuator device provides mechanical advantage
EP2731846B1 (en) Base plate structure for transit doors
CN206826359U (zh) 车辆及其空调面板总成
KR200414308Y1 (ko) 풍량 조절장치
WO2009056959A3 (en) Wind turbine
US4770607A (en) Rotor blade construction for circulation control aircraft
CN211343695U (zh) 紧凑型阻尼铰接件及设有该紧凑型阻尼铰接件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