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433B1 -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433B1
KR100938433B1 KR1020090050974A KR20090050974A KR100938433B1 KR 100938433 B1 KR100938433 B1 KR 100938433B1 KR 1020090050974 A KR1020090050974 A KR 1020090050974A KR 20090050974 A KR20090050974 A KR 20090050974A KR 100938433 B1 KR100938433 B1 KR 10093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actuator
contents
rotary shaf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원
Original Assignee
벡스 인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스 인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벡스 인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7Actuators comprising a manually operated valve and being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e.g. downstream a valve fitted to the container; Actuators associated to container valves with valve seats located outside the aerosol conta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연결설치되고 버튼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배출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설치되어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가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토출관(4); 상기 토출관(4)의 종단에 형성된 토출구(6)에 연결설치되는 오링(10); 및 상기 토출구(6)를 중심으로 양쪽면에 구비된 회전축홈(28)과 상기 회전축홈(28)의 외경을 따라 상기 외경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30)이 구비된 체결부(8)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부(12)가 액추에이터(2)의 체결부(8)에 구비된 회전축홈(28)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회전축(24), 상기 회전축(24)과 이웃하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가이드 홈(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6), 상기 액추에이터(2)의 토출구(6)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8, 20)가 구비된 몸체(14); 및 상기 몸체(14)에 연결설치되어 몸체(14)로 유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트로우(16)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4)는 액추에이터(2)의 토출구(6)에 연결설치된 오링(10)과 접촉하여 밀폐됨으로써 토출구(6)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유입구(18, 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링(10)과 접촉되는 일측이 볼록한 형상(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 디스펜서, 액추에이터, 스트로우, 스프레이

Description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A Dispenser with Dual Spray Pattern for Aerosol Spray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레이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광범위하게 분사하거나 별도의 스트로우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의 디스펜서, 특정적으로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장치, 특정적으로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는 금속 캔 등의 내압성 용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분사하는 것으로서, 내용물에 따라 산업용은 물론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스프레이 장치는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디스펜서(dispenser)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노즐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광범위하게 분사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스트로우를 통해 틈새, 모서리, 창틀, 문틈, 자동차 문 등의 국소적인 공간에 내용물을 간접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의 분사는 분사하고자 하는 위치 및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적인 분사방식 또는 간접적인 분사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스프레이 장치에 두 개의 분사방식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분사방식 모두를 하나의 스프레이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듀얼 스프레이 방식이라 지칭한다.
한편, 전술한 듀얼 스프레이 방식을 채택한 스프레이 장치, 특정적으로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3)에 연결설치되고 버튼(34)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3)로부터 배출하는 액추에이터(2), 및 상기 액추에이터(2)에 연결설치되어 액추에이터(2)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2)와 스프레이부(12)는 서로 힌지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2)를 기준으로 스프레이부(12)가 상/하로 회전하며 듀얼 스프레이 방식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2)에 구비된 내용물의 이동경로인 토출관(4)의 종단에는 오링(10)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2)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스프레이부(12)가 오링(10)과 밀착되도록 접촉되어 토출관(4)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용물이 오직 스프레이부(12)의 스트로 우(16) 종단 또는 분사구(22)만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스프레이부(12)에 구비된 내용물의 배출구로서 스트로우(16) 종단 및/또는 분사구(22)는 스프레이부(12)가 액추에이터(2)에 대하여 스트로우(16)가 수평이 되거나 수직이 될 경우에만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는바, 그 외의 스트로우(16) 위치에서는 액추에이터(2)의 버튼(34)을 작동시켜도 용기(3)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이 오링(10)에 의해 누출되지 않고 토출관(4)에 머물러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액추에이터(2)에 구비된 오링(10)과 밀착되도록 접촉된 스프레이부(12)의 일측은 그 단면이 평면 형상이므로 오링(10)과 스프레이부(12)의 접촉면에서의 밀착력이 낮고, 분사방식에 따라 상기 스프레이부(12)를 회전시키게 되면, 오링(10)이 쉽게 마모되어 밀폐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빈번한 것은 아니지만 오링(10)이 스프레이부(12)의 회전에 따라 말리게되어 오링(10) 본래의 형태를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프레이 장치의 디스펜서, 특정적으로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와 스프레이부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스프레이 장치의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스프레이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가 그 회전정도에 따라 내용물을 분사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레이부의 회전시 절도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연결설치되고 버튼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배출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설치되어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종단에 형성된 토출구에 연결설치되는 오링; 및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양쪽면에 구비된 회전축홈과 상기 회전축홈의 외경을 따라 상기 외경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부가 액추에이터의 체결부에 구비된 회전축홈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이웃하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액추에이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설치되어 몸체로 유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트로우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액추에이터의 토출구에 연결설치된 오링과 접촉하여 밀폐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링과 접촉되는 일측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 해결 수단이 있다.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와 스프레이부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스프레이 장치의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프레이부의 회전정도에 따라 내용물을 분사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레이부의 회전시 절도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연결설치되고 버튼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배출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설치되어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종단에 형성된 토출구에 연결설치되는 오링; 및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양쪽면에 구비된 회전축홈과 상기 회전축홈의 외경을 따라 상기 외경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부가 액추에이터의 체결부에 구비된 회전축홈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이웃하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액추에이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설치되어 몸체로 유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트로우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액추에이터의 토출구에 연결설치된 오링과 접촉하여 밀폐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링과 접촉되는 일측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 특정적으로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는 용기, 특정적으로 금속 캔 등의 내압성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버튼 조작을 통해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프레이 방식은 스프레이 장치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서, 버튼 작동에 따라 노즐 또는 토출관으로부터 내용물이 외부로 직접 분사되는 분사방식 및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별도의 관, 특정적으로 스트로우를 통하여 틈새, 모서리, 창틀, 문틈, 자동차 문, 좁은 공간 등의 국소적인 공간에 간접 분사되는 분사방식 모두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스프레이 장치, 특정적으로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의 용기에 연결설치되어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분사, 바람직하게는 직/간접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분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와 스프레이부의 결합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부의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의 디스펜서, 특정적으로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dispenser)는 용기에 연결설치되어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분사, 바람직하게는 직/간접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통상적인 디스펜서(1)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는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미도시)에 연결설치되고 버튼(34)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배출하는 액추에이터(2), 및 상기 액추에이터(2)에 연결설치되어 액추에이터(2)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부(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2)는 스프레이 장치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별도의 작동, 예를 들면 버튼(34) 작동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액추에이터(2)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토출관(4); 상기 토출관(4)의 종단에 형성된 토출구(6)에 연결설치되는 오링(10); 및 상기 토출구(6)를 중심으로 양쪽면에 구비된 회전축홈(28)과 상기 회전축홈(28)의 외경을 따라 상기 외경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30)이 구비된 체결부(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토출관(4)은 그 종단 일측이 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용기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토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6)에는 오링(10)이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6)의 내부 일측에는 오링(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형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오링(10)의 내경이 돌출부의 외경과 서로 접촉하도록 안착됨으로써 오링(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8)는 토출관(4)의 일측 종단에 형성되어 스프레이부(12)와 서로 연결설치되며, 회전축홈(28) 및 가이드 홈(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홈(28)은 스프레이부(12)의 일측, 특정적으로 스프레이부(12)의 몸체(14)에 구비된 회전축(24)이 삽입되어 연결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레이부(12)가 회전축홈(28)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홈(28)은 상기 토출관(4)의 토출구(6)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형성된 벽(면), 특정적으로 체결부(8)의 벽(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홈(30)은 상기 회전축홈(28)과 이웃하게 형성, 바람직하게는 회전축홈(28)의 외경을 따라 그 외경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이웃하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 스프레이부(12)의 일측, 특정적으로 스프레이부(12)의 몸체(14)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26)가 삽입되어 스프레이부(12)의 회전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30)의 내측에 가이드 홈(30)의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32)가 구비되어 스프레이부(12)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홈(30)에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26)에 절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32)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스프레이부(12)가 내용물을 분사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인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32)의 위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30)의 양쪽 종단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부(12)는 액추에이터(2), 특정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2)의 체결부(8)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체결부(8)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직/간접적으로 분사, 즉 듀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스프레이부(12)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2)의 체결부(8)에 구비된 회전축홈(28)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회전축(24), 상기 회전축(24)과 이웃하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가이드 홈(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6), 상기 액추에이터(2)의 토출구(6)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8, 20)가 구비된 몸체(14); 및 상기 몸체(14)에 연결설치되어 몸체(14)로 유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트로우(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4)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의 외주면 양측, 특정적으로 체결부(8)의 회전축홈(28)에 대응되는 위치(양측)에 회전축(24)이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4)과 이웃하도록 체결부(8)의 가이드 홈(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6)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4)는 스프레이부(12)의 회전에 따라 토출관(4)과 서로 수평 또는 수직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14)가 토출관(4)과 수평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토출관(4)과 접촉하는 몸체(14)의 일측에 토출관(4)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제 1 유입구(18)가 오링(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유입구(18)로 유입된 내용물이 몸체(14)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스트로우(1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몸체(14)가 토출관(4)과 수직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토출관(4)과 접촉하는 몸체(14)의 일측에 토출관(4)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제 2 유입구(20)가 오링(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유입구(20)로 유입된 내용물이 분사구(22)를 거쳐 외부로 분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몸체(14)는 액추에이터(2)의 토출구(6)에 연결설치된 오링(10)과 접촉하여 밀폐됨으로써 토출구(6)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유입구(18, 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링(10)과 접촉되는 일측이 볼록한 형상(3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록한 형상(36)은 그 단면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오링(10) 접촉면 보다 밀폐력을 향상시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의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와 스프레이부의 결합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와 스프레이부의 결합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부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펜서 2 : 액추에이터
3 : 용기 4 : 토출부
6 : 토출구 8 : 체결부
10 : 오링 12 : 스프레이부
14 : 몸체 16 : 스트로우
18 : 제 1 유입구 20 : 제 2 유입구
22 : 분사구 24 : 회전축
26 : 가이드 돌기 28 : 회전축홈
30 : 가이드 홈 32 : 스토퍼
34 : 버튼 36 : 볼록한 형상

Claims (2)

  1.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연결설치되고 버튼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배출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설치되어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종단에 형성된 토출구에 연결설치되는 오링; 및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양쪽면에 구비된 회전축홈과 상기 회전축홈의 외경을 따라 상기 외경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 및 가이드 홈의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부가 액추에이터의 체결부에 구비된 회전축홈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이웃하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액추에이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설치되어 몸체로 유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트로우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액추에이터의 토출구에 연결설치된 오링과 접촉하여 밀폐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링과 접촉되는 일측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2. 삭제
KR1020090050974A 2009-06-09 2009-06-09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KR100938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74A KR100938433B1 (ko) 2009-06-09 2009-06-09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74A KR100938433B1 (ko) 2009-06-09 2009-06-09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433B1 true KR100938433B1 (ko) 2010-01-25

Family

ID=4181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974A KR100938433B1 (ko) 2009-06-09 2009-06-09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754A1 (ko) * 2010-12-16 2012-06-21 Jeon Myungja 투명 에어로졸 스프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64U (ko) 1985-07-16 1987-02-02
JPH0364430A (ja) * 1989-07-31 1991-03-19 Kawasaki Steel Corp 軸受鋼
JPH0356538U (ko) * 1989-10-05 1991-05-30
KR200246374Y1 (ko) 2001-06-05 2001-10-18 승일제관주식회사 에어로졸 회전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64U (ko) 1985-07-16 1987-02-02
JPH0364430A (ja) * 1989-07-31 1991-03-19 Kawasaki Steel Corp 軸受鋼
JPH0356538U (ko) * 1989-10-05 1991-05-30
KR200246374Y1 (ko) 2001-06-05 2001-10-18 승일제관주식회사 에어로졸 회전 분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754A1 (ko) * 2010-12-16 2012-06-21 Jeon Myungja 투명 에어로졸 스프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8039C2 (ru) Дозатор
KR101930300B1 (ko) 잔량 저감 부재
US9528317B2 (en) Sliding window having cleaning unit
US20180065132A1 (en) Nozzle Assembly and Method for Fluid Dispensing
US8678241B2 (en) Foam spray head assembly
US7303150B2 (en) Foam and spray nozzles having a hinged door and a trigger dispenser incorporating same
KR101776629B1 (ko) 식기세척기
KR100938433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용 듀얼 스프레이 방식의 디스펜서
US20090188946A1 (en) Dispensing Pump to Dispense the Liquid Content Out of a Container
US20170296029A9 (en) Dishwasher comprising a sealing apparatus
JPH0380976A (ja) びんの内部に液体を噴射するためのノズル機構
CN106975624B (zh) 剩余热喷涂膜除去装置、防护板以及防护单元
KR101210107B1 (ko) 스프레이 건 홀더
US7159798B2 (en) Spray head for a squeeze bottle
KR102102602B1 (ko)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WO2005000488A1 (ja) ロータリー式リンサ
JP6687487B2 (ja) 吐出装置
WO2006113685A3 (en)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KR200447479Y1 (ko) 회전형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 용기
KR102200266B1 (ko) 분무기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기
CN204830693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冻干箱
KR101730625B1 (ko) 건식 분말 운반 용기
CN115367313B (zh) 高压喷罐及用于高压喷罐的阀门机构
JP7332350B2 (ja) エアゾールアクチュエータ及びエアゾール噴射装置
JP2019150747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