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584B1 - 회전 인출식 색연필 - Google Patents

회전 인출식 색연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584B1
KR100937584B1 KR1020090075051A KR20090075051A KR100937584B1 KR 100937584 B1 KR100937584 B1 KR 100937584B1 KR 1020090075051 A KR1020090075051 A KR 1020090075051A KR 20090075051 A KR20090075051 A KR 20090075051A KR 100937584 B1 KR100937584 B1 KR 10093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tube
spiral
assembly
pe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Priority to KR1020090075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584B1/ko
Priority to PCT/KR2009/005182 priority patent/WO2011019103A1/ko
Priority to CN2009801580340A priority patent/CN10234856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2Pencils with graphite; Coloured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인출식 색연필에 관한 것으로, 필관 내부의 나선홈에 나선돌조가 끼워지도록 설치한 필심 이동구를 필심회동구로 회동시켜 필심을 필관 하단으로 출몰되게 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관 상부에는 필심회동구의 손잡이축부에 구비된 원형 키가 끼워져 회동될 수 있게 조립되는 원형 키홈과 필심이동구에 구비된 나선돌조가 결합되는 나선홈 상단부 사이에 필관의 내경보다 내경이 큰 조립유도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색연필, 회전, 인출식

Description

회전 인출식 색연필{Colored pencil with core appearing and disappearing while rotating}
본 발명은 회전 인출식 색연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필관 내부에 필심을 상하이동시키는 필심 이동구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없이 부품의 파손 없이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회전 인출식 색연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회전 인출식 색연필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내경이 일정한 관체의 내주면에 나선홈(11)이 형성된 필관(10)과, 하부에 필심(40)이 삽지되고 일측 반구면에 병렬로 형성된 나선돌조(21)가 상기 필관(10)의 나선홈(11)에 결합되어 회동시 필심(40)을 상하 이동시키는 필심이동구(20)와, 필관(10)의 키홈(12)에 손잡이축 부분의 키(33)가 조립된 손잡이부(31)를 회동시 이에 연설된 필심이동구 안내바(32)와 필심이동구(20)를 함께 회동시켜 필심을 상하 이동시키는 필심 회동구(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색연필은 조립시 필심이동구 안내바(32)에 필심이동구(20)를 중첩한 것을 필관(10) 상단에 강제 진입시켜 필관의 키홈(12)에 회동 손잡이부 (31)의 키(33)가 결합하게 한 다음 필심회동구(30)의 손잡이부(31)를 강제 회동시키면 필심 이동구(20)가 하부로 회전 이동하고, 이때 상기 필심이동구(20)와 함께 이동한 나사 돌기(21)가 나선홈(11)에 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되게 되는데, 이때 필심이동구(20)는 일측 반구면에 병렬로 돌설된 나선돌조(21)에 의해 그 돌출 정도만큼 필관(10)의 내경보다 외경이 크기 때문에 외경이 큰 필심이동구(20)를 내경이 좁은 필관(10)에 강제로 끼워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관(10) 내면에 억지로 끼워지는 필심이동구(20)는 그 표면에 돌설된 나선돌조(21) 외면 전체가 필관의 내면에 강압적으로 밀접되어 마찰부하가 크게 걸려있는 상태로 강제 진입되는 것이므로 그 초기 진입작업이 어려웠고, 진입 후 나선돌조(21)를 나선홈(11)에 조립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부(31)를 정회전시키면 필심이동구(20)는 그 반구면에 돌설된 나선돌조(21) 외면 전체가 필관내면에 빡빡하게 밀접 협지되어있어 회동이 원활하지 않아 천천히 회동시키게 되므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회동이 잘 되지 않는 것을 강제회동시키면 손잡이부와 연설된 필심이동구 안내바(32)가 절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조립 마감시에 필관(10) 선단으로 필심을 5mm 정도 인출시켜 수요자가 처음 사용시 손잡이부(31)를 회동시켜 그 회동방향에 따라 필심의 인출을 확인하도록 하는 필심인출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필심이동구에 돌설되는 나선돌조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필관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나 필심이동구의 나선돌조가 낮으면 나선홈과의 조립이 분명하지 못하여 필심회동구로 필심이 동구를 회동시 나선돌조가 나선홈으로부터 탈선하여 필심의 인출동작이 원활하지못하며, 사용시 필심에 압이 가해지면 필심이 밀려들어가 사용에 지장을 주어 상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색연필의 필관은 금형제작과 사출성형 및 외관의 치장을 위하여 표면에 실크스크린인쇄 또는 전사작업 등을 고려하여 필관은 원형관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관이 원형관체인 색연필은 책상표면에 놓으면 굴러 떨어 저 필심이 절손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회전인출식 색연필(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76-1020)의 제조시 조립 상 문제점과 사용상 문제점은 장기간 해결되지못한 미해결 과제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회전 인출식 색연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관 상부에 필심 이동구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조립유도실을 구성하여 필관 내부에 필심 안내바와 함께 필심이동구의 진입과 진입 후 필심회동구를 정 회동시 필심안내바와 함께 필심이동구가 쉽게 회동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도중 나선돌조가 나선홈과 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에 필관의 외경보다 돌출되게 다각형 돌조를 구비하여 책상 표면에 놓았을 때 굴러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관 내부의 나선홈에 나선돌조가 끼워지도록 설치한 필심 이동구를 필심회동구로 회동시켜 필심을 필관 하단으로 출몰되게 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관 상부에는 필심회동구의 손잡이축부에 구비된 원형 키가 끼워져 회동될 수 있게 조립되는 원형 키홈과 필심이동구에 구비된 나선돌조가 결합되는 나선홈 상단 사이에 필관의 내경보다 내경이 큰 조립유도실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조립유도실은 그 내부에 조립을 위하여 초기진입 되는 필심이동구의 나선돌조가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나선돌조의 하단 일부분만이 필관 내면에 진입되도록 조립유도실을 구성하고, 상기 조립유도실 하단부부터 나선홈이 시작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구성으로는 손잡이부에 필관의 외경보다 돌출되게 다각형 돌조를 구비하여 책상 표면에 놓았을 때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필관 상측 내부에 구비한 조립유도실은 그 내경이 필관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이동구를 필관 상단에서 진입시킬 때 그 내경이 커진만큼 조립 유도실 내면과 나선돌조 외면과는 그 접촉상태가 완화되어 무리한 마찰이 없이 부드럽게 초기진입이 이루어지고, 이때 하측 나선돌조는 그 끝단 일부분만이 나선홈이 시작되는 동일 선상의 필관 내면에 끼워 걸려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 있는 필심회동구를 손잡이부로 회동시키면 필심이동구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회동되고, 이때 나선돌조부 끝단부는 나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나선홈과 신속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필심이동구를 필관에 조립작업시 초기진입과 회동작업을 무리 없이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어서 수동조립 또는 기계식조립을 임의로 선택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에 억지 끼움으로 인하여 필심이동구 안내바와 같은 부품 파손을 방지하여 상품의 수율을 높이고, 조립시간 단축으로 작업능률을 높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손잡이부에 필관의 외경보다 돌출되게 다각형 돌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책상 표면에 놓았을 때 굴러 떨어 지져 필심이 절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실시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색연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색연필의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조립실에 필심이동구를 진입시킨 상태 예시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조립실에 필심이동구를 진입 회동시켜 나선돌조를 나선홈에 결합시킨 상태 예시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필관(10) 내부의 나선홈(11)에 나선돌조(21)가 끼워지도록 설치한 필심이동구(20)를 필관 상단의 손잡이부(31)로 필심회동구(30)와 함께 회동시켜 필심(40)을 필관 하단으로 출몰되게 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관(10) 상부에 구비되어 필심회동구(30) 축부의 원형 키(33)와 회동될 수 있게 조립되는 원형 키홈(12)과, 상기 필심이동구(20)의 나선돌조(21)가 결합되는 나선홈(11) 상단 사 이에 필관의 내경보다 내경이 큰 조립유도실(10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인출식 색연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성으로는 필심회동구(30)의 손잡이부(31)에 필관(10)의 외경보다 돌출되게 다각형 돌조(200)를 돌설하여 책상 표면에 색연필을 놓았을 때 다각 면 때문에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에 있어서, 조립유도실(100)의 내경은 필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는데 그 내경은 필심이동구 안내바(32)에 중첩되는 필심이동구(20)의 나선돌조(21)가 함께 진입할 때 조립유도실(100) 내면에 나선돌조(21) 외면이 서로 접하지 않거나 약간 접하여 미끄럼을 탈 수 있을 정도로 부하가 적게 걸리는 정도로 실시한다. 그리고, 조립유도실(100) 하단은 필심이동구(20)를 진입시 그 외면에 돌설된 나선돌조(21)의 하단부분(21a) 보다 약간 못 미치는 위치까지 형성하여 상기 나선돌조의 하단부분(21a)은 조립을 위한 초기진입기 조립유도실(100) 하단을 지나 나선홈이 시작되는 필관의 내면에 진입되도록 하고, 나선홈(11)은 상기 조립유도실 (100) 하단부에서 시작되도록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6과 같이 조립유도실(100)의 내경을 필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필관(10)의 상단까지 개방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 인출식 색연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회전 인출식 색연필의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유도실에 필심이동구를 초기 진입시킨 상태 예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유도실에 진입된 필심이동구를 회동시켜 나선돌조를 나선홈에 결합시킨 상태 예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필관 11: 나선홈 12: 키홈
20: 필심이동구 21: 나선돌조 21a: 나선돌조 하단부분
30: 필심회동구 31: 손잡이부 32: 필심이동구 안내바 33: 원형 키
100: 조립 유도실 200: 다각형 돌조

Claims (4)

  1. 필관(10) 내부의 나선홈(11)에 나선돌조(21)가 끼워지도록 설치한 필심이동구(20)를 필관 상단의 손잡이부(31)로 필심회동구(30)와 함께 회동시켜 필심(40)을 필관 하단으로 출몰되게 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관(10) 상부에 필심회동구(30) 축부의 원형 키(33)와 결합되는 원형 키홈(12)과 필관의 내경보다 내경이 큰 조립유도실(100)을 설치하고, 상기 조립유도실 하단부터 나선홈(11)이 시작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조립유도실(100)은,
    원형 키홈(12)과 나선홈(11) 상단부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조립유도실에 조립을 위하여 삽입되는 필심이동구(20)의 나선돌조(21)는 그 하단부분(21a)이 필관 내면에 진입되도록 구성한 것과,
    필관 상단부터 나선홈(11) 상단부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조립유도실에 조립을 위하여 삽입되는 필심이동구(20)의 나선돌조(21)는 그 하단부분(21a)이 필관 내면에 진입되도록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인출식 색연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1)에 필관(10)의 외경보다 돌출되게 다각형 돌조(200)를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인출식 색연필.
  3. 삭제
  4. 삭제
KR1020090075051A 2009-08-14 2009-08-14 회전 인출식 색연필 KR10093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51A KR100937584B1 (ko) 2009-08-14 2009-08-14 회전 인출식 색연필
PCT/KR2009/005182 WO2011019103A1 (ko) 2009-08-14 2009-09-11 회전 인출식 색연필
CN2009801580340A CN102348561A (zh) 2009-08-14 2009-09-11 旋转伸出式彩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51A KR100937584B1 (ko) 2009-08-14 2009-08-14 회전 인출식 색연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584B1 true KR100937584B1 (ko) 2010-01-20

Family

ID=4180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051A KR100937584B1 (ko) 2009-08-14 2009-08-14 회전 인출식 색연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37584B1 (ko)
CN (1) CN102348561A (ko)
WO (1) WO20110191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69B1 (ko) * 2010-07-20 2012-11-29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색연필의 필심 결합구조
KR20200000368U (ko) * 2018-08-07 2020-02-17 송민교 색심 인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색연필
KR20230140874A (ko) 2022-03-30 2023-10-10 염선영 친환경 색연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78A (ja) * 1994-07-20 1996-01-30 Kotobuki:Kk 棒状物繰り出し具
KR970003360Y1 (ko) * 1994-08-08 1997-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조출구
KR19980059211U (ko) * 1996-11-27 1998-10-26 가게야마도시히코 회전식 봉상물 조출기구
US20070059088A1 (en) 2005-09-14 2007-03-15 Shya Hsin Plastic Works Co., Ltd. Lipsti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6980A (en) * 1977-04-12 1979-01-30 Tae Yoon Leem Mechanical penc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78A (ja) * 1994-07-20 1996-01-30 Kotobuki:Kk 棒状物繰り出し具
KR970003360Y1 (ko) * 1994-08-08 1997-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조출구
KR19980059211U (ko) * 1996-11-27 1998-10-26 가게야마도시히코 회전식 봉상물 조출기구
US20070059088A1 (en) 2005-09-14 2007-03-15 Shya Hsin Plastic Works Co., Ltd. Lipstick mechanis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69B1 (ko) * 2010-07-20 2012-11-29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색연필의 필심 결합구조
KR20200000368U (ko) * 2018-08-07 2020-02-17 송민교 색심 인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색연필
KR200491455Y1 (ko) * 2018-08-07 2020-04-09 송민교 색심 인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색연필
KR20230140874A (ko) 2022-03-30 2023-10-10 염선영 친환경 색연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9103A1 (ko) 2011-02-17
CN102348561A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584B1 (ko) 회전 인출식 색연필
CN102414030A (zh) 具有可同时伸缩端部的书写工具
JP3194274U (ja) 回転効果を有する装置
CN202388433U (zh) 一种螺丝批
CN108001056A (zh) 一种具有油墨均匀分布功能的办公用盖章设备
CN108771339A (zh) 一种智能餐具
CN108783926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智能餐具
KR200433607Y1 (ko) 자동개폐 립스틱용기
CN2928515Y (zh) 一种圆珠笔笔芯的伸缩机构
CN208463574U (zh) 一种升降式窗帘架
CN207334156U (zh) 可伸缩立柱锁紧固定机构
CN202764544U (zh) 橡皮擦
CN205743327U (zh) 一种电控锁芯及电控智能门锁
CN204393850U (zh) 无拉手抽屉
CN209058291U (zh) 一种多功用的软件测试平台
JP6528340B2 (ja) クリップが付いている筆記具
CN206374414U (zh) 一种自动铅笔
CN204567008U (zh) 无须改变握笔姿势即可控制切换颜色的多色自动笔
CN215423595U (zh) 一种环保橱柜装饰面板
CN2933881Y (zh) 拉动笔
CN107772752B (zh) 环保高利用率口红
CN204326708U (zh) 笔筒挂件柜门把手
CN217021839U (zh) 一种版画用滚筒装置
CN216311169U (zh) 一种可旋转式沙盘模型
CN203818818U (zh) 一种防止小孩开启的安全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