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507B1 - 2차 전지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2차 전지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507B1
KR100937507B1 KR1020070082454A KR20070082454A KR100937507B1 KR 100937507 B1 KR100937507 B1 KR 100937507B1 KR 1020070082454 A KR1020070082454 A KR 1020070082454A KR 20070082454 A KR20070082454 A KR 20070082454A KR 100937507 B1 KR100937507 B1 KR 10093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cell
secondary battery
battery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926A (ko
Inventor
김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to KR102007008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5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2차 전지의 단위전지 관리 시스템은, 2차 전지를 구성하는 단위전지와, 단위전지에 구비되며, 단위전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전지 RF-ID 태그와, 단위전지의 잔존용량상태를 측정하는 전지용량 측정부와, 잔존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잔존용량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하여 판단된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전지 RF-ID 태그로 전송하는 RF-ID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2차 전지를 효율적으로 재생산 또는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전지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단위인 단위전지에 대한 각 상태를 판단하여 유사한 상태를 가지는 단위전지끼리 팩키지하여 재생산 또는 재활용되는 2차 전지의 성능을 유지 또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차 전지, 단위전지, 재활용, 재사용, 잔존용량, SOC, 전지 건강상태, SOH

Description

2차 전지 관리방법 {Method for managing unit battery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2차 전지를 효율적으로 재사용 또는 재생산할 수 있는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차 전지를 구성하는 단위전지 마다의 개별적 상태를 판단하여 상태가 유사한 단위전지를 간단하게 패키지하여 2차 전지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 전지라 함은,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충방전에 의하여 내부 활성 물질이 산화, 환원되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간의 변환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동력원으로 사용된다. 실용화되고 있는 것은 자동차 등에 주로 사용되는 납축전지와 소형 전자 기기의 NiCd, NiMH 등 니켈 합금 전지, 휴대폰 등 정밀 기기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리튬 폴리머, 리튬 설퍼 등 리튬계 전지가 있다.
최근에는 환경문제의 대두 및 기존 화석연료의 매장량이 줄어듬에 따라 전기로 구동되는 자동차에 대한 기술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제조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납축전지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가 제시되고 있으나, 납축전지는 그 한계상 일충전 주행거리가 짧고 차량의 무게가 무거워 내연 기관 차량에 비하여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고비용의 리튬전지가 에너지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그 수명이 길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에 대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무게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충분한 일충전 주행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리튬전지와 같은 고성능의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량가격이 높아져 내연기관 차량에 비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기존 내연기관의 화석연료의 가격이 점차 올라가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 자동차의 확산은 시대적 추세가 되고 있다.
전기구동 자동차의 제조비용 중 고성능 전지가 차지하는 비용이 50% 이상이므로, 전지의 성능을 높이면서도 그 제조단가를 낮추는 것이 급선무이며, 이와 병행하여 전지를 재사용 또는 재활용할 수 있으면 상대적으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차 전지는 과방전 또는 과충전 등 비정상적인 사용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2차 전지로서의 기능을 영구적으로 상실하기도 하나,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에너지 저장 능력이 충방전 횟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2차 전지가 사용되는 용도에서 2차 전지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기 전에 교체되어 사용된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 2차 전지의 용량이 초기 용량의 80% 내지 50%로 줄게 되면 교체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사용된 2차 전지라하여도 그 에너지 저장능력이나 순간 최대 출력 등 2차 전지로서의 주요 성는면에서 납축전지의 새 것에 비하여 우수할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교체된 리튬 전지를 수거하여 효율적으로 재생산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고사양의 용도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전지의 사용 비용을 실질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즉, 전기 자동차에서 교체된(탈거한) 리튬전지를 새로운 수요처에 재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구동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지불된 리튬 전지 구입비용을 일부 회수할 수 있음에 따라 내연기관과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초기 구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성능 전기 자동차 구동용으로 수년 간 사용된 리튬전지를 골프카에서 수년간 사용한 후, 무정전 전원 장치용 2차 전지로 또 다시 수년간 사용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사양의 용도에서 사용된 리튬 전지와 같은 고가의 전지를 저사양의 용도로 사용하는데에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리튬전지는 그 사용수명 및 에너지 용량을 높이도록 복수의 단위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복수의 단위전지를 팩키지화하여 리튬전지팩 즉 리튬전지를 제조한다.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대용량, 고전압의 리튬전지팩은 수십 내지 수천 개의 단위전지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전지팩(battery pack)이 다수의 단위전지(unit battery)로 구성되며, 이러한 단위전지(unit battery)는 전지팩(battery pack)을 분해하거나 수리하는 과정에서 특수한 장비없이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양극판과 음극판을 하나 씩 또는 수개씩 캔(can) 또는 파우치(pouch)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것을 말한다.
그러나, 고사양의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리튬전지 팩의 크기나 모양이 저사양의 골프카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골프카용으로 사용된 리튬전지팩의 크기나 모양이 무정전 전원 장치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튬전지팩을 구성하는 단위전지 중 어떤 단위전지는 폐기하여야 할 만큼 성능이 저하된 것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적합하지 않은 단위전지를 포함한 리튬전지팩을 재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아, 다른 재사용가능한 단위전지도 폐기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지팩을 체계적으로 수거, 선별하여 효율적이며 용이하게 재생산 또는 재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잔존용량 및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2차 전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의 관리 시스템은, 2차 전지를 구성하는 단위전지; 상기 단위전지에 구비되며, 단위전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전지 RF-ID 태그; 상기 단위전지의 잔존용량상태를 측정하는 잔존용량 측정부; 상기 잔존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잔존용량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판단된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상기 전지 RF-ID 태그로 전송하는 RF-ID 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지 RF-ID 태그로부터 전지의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독출하는 RF-ID 리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의 관리 시스템은, 2차 전지를 구성하는 단위전지; 상기 단위전지에 구비되며, 단위전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전지 RF-ID 태그; 상기 단위전지의 전지 건강상태(SOH : State of Health)를 측정하는 건강상태 측정부; 상기 건강상태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판단된 전지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전지 RF-ID 태그로 전송하는 RF-ID 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지 RF-ID 태그로부터 전지의 건강상태 정보를 독출하는 RF-ID 리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F-ID 리더부에서 독출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단위전지의 상태가 유사한 단위전지를 분류하여 2차 전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방법은, RF-ID 태그가 구비되는 단위전지의 잔존용량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단위전지의 잔존수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존수명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단위전지의 잔존수명이 유사한 단위전지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단위전지를 패키지하여 2차 전지로 재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방법은, RF-ID 태그가 구비되는 단위전지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단위전지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단위전지의 건강상태가 유사한 단위전지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단위전지를 패키지하여 2차 전지로 재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2차 전지를 효율적으로 재생산 또는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전지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단위인 단위전지에 대한 각 상태를 판단하여 유사한 상태를 가지는 단위전지끼리 팩키지하여 재생산 또는 재활용되는 2차 전지의 성능을 유지 또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써 고사양의 사용용도나 저사양의 사용용도에서도 단위전지를 팩키지하는 재활용 또는 재생산되는 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생산되는 2차 전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적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제1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2차 전지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지 관리 시스템(10)은 2차 전지팩(battery pack)을 구성하는 단위전지(11 : unit battery)와, 단위전지(11)에 구비되는 RF-ID 태그(13)와,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를 측정하는 잔존용량 측정부(15)와, 측정된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19) 및 RF-ID 태그(13)로 판단된 잔존용량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RF-ID 송신부(17)를 포함한다.
단위전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단위전지(11)를 연결하여 2차 전지팩(battery pack)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위전지(11)는 개별적으로 독립된 잔존용량 및 수명을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서 설명한 2차 전지팩(battery pack)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2차 전지의 재생산 또는 재사용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지 고유의 구동력을 가질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인 단위전지(11)의 상태를 판단하여 유사한 상태를 가지는 단위전지(11)들을 사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RF-ID 태그(13)는 단위전지(11)의 제조일 및 제조장소를 포함하는 제조 관련 정보가 미리 저장되며, RF-ID 송신부(17)로부터 전송되는 잔존용량 상태정보, 재생산일, 재생산 장소와 같은 재생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후, 단위전지(11)의 상태가 유사한 단위전지(11)를 그룹화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리더부(18)로 잔존용량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현재의 전지용량 측정부(15)는 각 단위전지(11)의 배터리로서의 성능이 어느정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단위전지(11)의 현재 잔존용량을 측정하며, 잔존용량 측정부(15)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을 제어부(19)에서 산출한다.
전지의 잔존용량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 또는 공용된 기술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의 일례로서, 전지의 잔존용량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단위전지의 단자 전압을 측정하고 전류가 단위전지로 공급되는 동안 단위전지의 단자전압을 샘플링한 후, 미리 마련된 단위전지의 잔류용량 범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분할된 일군의 특정부분과 특정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전압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특정전압 영역을 비교하여 단위전지의 잔존용량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RF-ID 송신부(17)는 잔존용량 측정부(15)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제어부(19)에서 판단된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단위전지(11)에 마련되는 RF-ID 태그(13)로 전송한다.
이로써, RF-ID 태그(13)는 단위전지(11)의 현재의 전지용량 상태정보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추후 단위전지(11)를 유사한 현재의 전지용량 상태를 가지는 단위전지끼리 용이하게 그룹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단위전지간 그룹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RF-ID 태그(13)로부터 해당되는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리더부(18)가 더 포함된다.
이로써, 2차 전지팩(battery pack)으로부터 분리된 단위전지(11)를 다른 복잡한 절차없이도, 단위전지(11)에 부착된 RF-ID 태그(13)으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 상태를 판단하고 유사한 잔존용량 상태를 가지는 단위전지(11)끼리 그룹화하여 추후 2차 전지 재생산시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단위전지만으로 2차 전지를 용이하게 재생산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1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2차 전지팩(battery pack)으로부터 분리된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값이 잔존용량 측정부(15)에서 측정되고, 측정된 데이터값을 기초로 제어부(19)에서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를 판단한다(S11).
제어부(19)에서 판단된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 정보는 RF-ID 송신부(17)에 의하여 단위전지(11)에 구비되는 RF-ID 태그(13)로 전송되고(S12), 전송된 잔존용량상태 정보는 RF-ID 태그(13)에 저장된다. 여기서, 기존의 잔존용량상태 정보는 유지되고 새로운 잔존용량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해당 단위전지(11)의 사용내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리더부(18)는 해당 단위전지의 잔존용량상태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13)로부터 해당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 정보를 독출하고(S14), 복수의 단위전지 중 그 잔존용량상태가 유사한 단위전지를 그룹화하고(S15), 동일 그룹 내에 속하는 단위전지(11)만을 이용하여 패키지화하여 2차 전지팩(battery pack)으로 재생산한다(S17). 이로써, 단위전지(11)의 잔존용량상태가 유사한 것만을 용이하게 판별 및 분류하여 2차 전지팩(battery pack)을 재생산함으로써, 2차 전지팩(battery pack)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전지(11)의 성능이 현저하게 다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2차 전지팩(battery pack)의 전체적인 성능저하나 수명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a는 제2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2차 전지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지 관리 시스템(20)은 2차 전지팩(battery pack)을 구성하는 단위전지(21)와, 단위전지(21)에 구비되는 RF-ID 태그(23)와, 단위전지의 건강상태(SOH : State of Health)를 측정하는 건강상태 측정부(25)와, 측정된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29) 및 RF-ID 태그(23)로 판단된 건강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RF-ID 송신부(27)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위전지(21), RF-ID 태그(23), 제어부(29) 및 RF-ID 송신부(27)의 기본적 기능 및 원리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위전지(21), RF-ID 태그(23), 제어부(29) 및 RF-ID 송신부(27)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건강상태 측정부(25)는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SOH : State of Health) 즉 노화나 열화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단위전지(21)의 현재 건강상태를 측정하며, 건강상태 측정부(25)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를 제어부(29)에서 판단한다.
이러한 단위전지의 건강상태(SOH)를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 또는 공용된 기술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의 일례로서, 전지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교류 정전류를 생성하고 교류 정전류가 생성될 때 임피던스 전압 및 교류 정전류 파형을 획득하고, 단위전지의 단자전압, 전류, 온도와 같은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여 교류 정전류와 임피던스 전압을 이용하여 피측정 단위전지의 내부 임피던스를 산출하여 단위전지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RF-ID 송신부(27)는 건강상태 측정부(25)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제어부(29)에서 판단된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 정보를, 단위전지(21)에 마련되는 RF-ID 태그(23)로 전송한다.
이로써, RF-ID 태그(23)는 단위전지(21)의 현재 건강상태정보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추후 단위전지(21)를 유사한 건강상태를 가지는 단위전지끼리 용이하게 그룹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단위전지간 그룹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RF-ID 태그(23)로부터 해당되는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리더부(28)가 더 포함된다.
이로써, 2차 전지팩(battery pack)으로부터 분리된 단위전지(21)를 다른 복잡한 절차없이도, 단위전지(21)에 부착된 RF-ID 태그(23)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함 으로써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유사한 건강상태를 가지는 단위전지(21)끼리 그룹화하여 추후 2차 전지 재생산시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단위전지만으로 2차 전지를 용이하게 재생산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 관리 시스템(2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2차 전지팩(battery pack)으로부터 분리된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SOH)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값이 건강상태 측정부(25)에서 측정되고, 측정된 데이터값을 기초로 제어부(29)에서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SOH)를 판단한다(S21).
제어부(29)에서 판단된 단위전지(21)의 건강상태 정보는 RF-ID 송신부(27)에 의하여 단위전지(21)에 구비되는 RF-ID 태그(23)로 전송되고(S22), 전송된 건강상태 정보는 RF-ID 태그(23)에 저장된다. 여기서, 기존의 건강상태 정보는 유지되고 새로운 건강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해당 단위전지(21)의 사용내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리더부(28)는 해당 단위전지의 건강상태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23)로부터 해당 단위전지의 건강상태 정보를 독출하고(S24), 복수의 단위전지중 그 건강상태가 유사한 단위전지를 그룹화하고(S25), 동일 그룹내에 속하는 단위전지(21)만을 이용하여 패키지하여 2차 전지팩(battery pack)으로 재생산한다(S27). 이로써, 단위전지(21)의 상태가 유사한 것만을 용이하게 판별 및 분류하여 2차 전지팩(battery pack)을 재생산함으로써, 2차 전지팩(battery pack)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전지(21)의 성능이 현저하게 다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2차 전지팩(battery pack)의 전체적인 성능저하나 수명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의 단위전지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2차전지의 단위전지 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의 단위전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2차전지의 단위전지 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2차 전지 관리 시스템 11, 21 : 단위 전지(unit battery)
13, 23 : RF-ID 태그 15 : 잔존용량 측정부
17, 27 : RF-ID 송수신부 18, 28 : 리더부
19, 29 : 제어부 25 : 건강상태 측정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RF-ID 태그가 구비되는 단위전지의 잔존용량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잔존용량 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잔존용량 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잔존용량 상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단위전지의 잔존수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존수명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단위전지의 잔존수명이 유사한 단위전지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단위전지를 패키지화하여 2차 전지로 재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 전지 관리 방법.
  8. 삭제
  9. RF-ID 태그가 구비되는 단위전지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단위전지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단위전지의 건강상태가 유사한 단위전지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단위전지를 패키지화하여 2차 전지로 재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 전지 관리 방법.
KR1020070082454A 2007-08-16 2007-08-16 2차 전지 관리방법 KR10093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54A KR100937507B1 (ko) 2007-08-16 2007-08-16 2차 전지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54A KR100937507B1 (ko) 2007-08-16 2007-08-16 2차 전지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926A KR20090017926A (ko) 2009-02-19
KR100937507B1 true KR100937507B1 (ko) 2010-01-19

Family

ID=4068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454A KR100937507B1 (ko) 2007-08-16 2007-08-16 2차 전지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9317B1 (fr) * 2010-04-22 2012-11-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detection de caracteristique(s) d'une batterie, par lecture de donnees d'information presentes sur ladite batterie
KR101486469B1 (ko) * 2010-05-27 2015-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제어장치 및 방법
JP5741619B2 (ja) * 2013-03-21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管理システム,二次電池管理装置,および二次電池管理方法
KR101903495B1 (ko) * 2016-07-28 2018-10-02 주식회사 엔쓰컴퍼니 Rfid 배터리 센서 태그 및 rfid 배터리 센서 태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102249607B1 (ko) * 2018-12-10 2021-05-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Disposable IoT 디바이스 시스템
KR102259852B1 (ko) * 2019-05-14 2021-06-03 한국자동차연구원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의 모듈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40461B1 (ko) * 2022-03-08 2022-09-05 김향옥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적절한 생산과 소비와 재활용을 위해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사용히스토리를 트랙킹하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이력관리 시스템
CN117810570B (zh) * 2024-02-29 2024-05-17 佛山隆深机器人有限公司 一种废旧锂电池的回收放电控制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155A (ja) 2004-02-20 2005-09-02 Macnica Inc 複数電圧仕様対応のバッテリー充電器、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ユニット
JP2006172884A (ja) 2004-12-15 2006-06-29 Olympus Corp 充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JP2006228490A (ja) * 2005-02-16 2006-08-31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池パック充放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155A (ja) 2004-02-20 2005-09-02 Macnica Inc 複数電圧仕様対応のバッテリー充電器、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ユニット
JP2006172884A (ja) 2004-12-15 2006-06-29 Olympus Corp 充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JP2006228490A (ja) * 2005-02-16 2006-08-31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池パック充放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926A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507B1 (ko) 2차 전지 관리방법
JP4001708B2 (ja) 二次電池の交換方法
EP2555311B1 (en) Method for screening use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built battery pack
CN101163980B (zh) 锂硫可再充电电池电量测量系统和方法
CN110869784B (zh) 用于估计soc-ocv曲线的方法和设备
KR101405240B1 (ko) 2차 전지 모듈, 2차 전지 시스템, 전지 정보관리장치, 전지 정보관리시스템, 2차 전지 재이용 시스템, 2차 전지 회수·판매시스템, 2차 전지 재이용방법 및 2차 전지 회수·판매방법
JP5462689B2 (ja) 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US9453887B2 (en) Method of selecting use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JP7398190B2 (ja) 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18775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SOH
JP2011216329A (ja) 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JP7293599B2 (ja) 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US10921382B2 (en) Batter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attery manufacturing support apparatus, battery assembly, batter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assembly
JP5369200B2 (ja) 二次電池システム
Sanghai et al. Refurbished and repower: second life of batteries from electric vehicles for stationary application
US89182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a battery pack total energy metric
JP7192323B2 (ja) 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管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i et al. Review of batteries reliability in electric vehicle and E-mobility applications
KR20150050684A (ko) 배터리의 성능 평가 기준 및 성능 평가 방법
KR102367195B1 (ko) 사용 후 배터리 모듈 잔존 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50028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배터리 모니터링 방법
Aderemi et al. Hybrid battery technologies with battery management system in power and energy sectors
KR101544935B1 (ko)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Ciminieri Improved testing strategies from standards for new growing battery applications in the industrial and e-mobility sectors
Carreras Navarro Battery Testing for Emerging Battery Applications in Industrial and E-mobility S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