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027B1 -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027B1
KR100937027B1 KR1020090056750A KR20090056750A KR100937027B1 KR 100937027 B1 KR100937027 B1 KR 100937027B1 KR 1020090056750 A KR1020090056750 A KR 1020090056750A KR 20090056750 A KR20090056750 A KR 20090056750A KR 100937027 B1 KR100937027 B1 KR 10093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ightening
rod
thread
sp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09005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27B1/ko
Priority to PCT/KR2010/003822 priority patent/WO201015099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7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pivoting is blocked when the rod is cla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에게 삽입되어 척추를 고정하는 척추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에 고정된 나사부의 상부를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에 따라이너캡부가 완전히 감싸면서 고정시켜 움직임을 제어하고,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맞물림 구조가 강화되어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구형관절이 형성된 나사부와, 척추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로드수용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체결되어 척추로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캡부를 포함하는 척추고정장치에 있어서; 헤드부 하부에 관통된 끼움홀이 형성되고,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되는 맞물림에 따라 구형관절을 감싸 조일 수 있도록 구형관절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관절수용홀을 가지는 이너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이너캡부는, 척추로드가 안착되는 로드안착골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구형관절의 외면을 감싸는 조임측벽과, 조임측벽과 이웃하는 조임측벽 사이를 구분하는 조임간극과, 조임측벽의 하측 단부로 구형관절의 하부를 조여 움직임을 제어하는 누름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척추, 척추고정장치, 결합력, 체결력, 이완, 이너캡, 척추고정 나사못.

Description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Spinal Fixation Device reinforced binding effect}
본 발명은 환자에게 삽입되어 척추를 고정하는 척추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에 고정된 나사부의 상부를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에 따라이너캡부가 완전히 감싸면서 고정시켜 움직임을 제어하고,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맞물림 구조가 강화되어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있어 물리치료를 통한 간접적인 치료방법과 손상된 척추부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장착하여 척추를 교정 및 고정하는 직접적인 치료방식이 시행된다.
즉, 척추질환이 경미한 경우에는 물리치료를 시행하나,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경추, 흉추, 요추, 천골 및 추간원판 등에 질환이 심한 경우에는 별도의 척추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시술되는 척추고정장치(100a, 100b)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면, 손상된 척추부를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한 후 움직임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척추골의 척추경 또는 천골에 소정의 각도와 깊이로 삽입되는 나사부(110)와 척추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척추로드(200), 그리고 상기 척추로드(200)와 나사부(110)를 연계하여 체결하는 헤드부(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20)는 나사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척추로드(200)가 위치될 수 있게 로드수용홈(121)을 가지고, 고정캡부(130)가 체결되어 상기 척추로드(200)를 고정시킨다.
손상된 척추부의 치료를 위해 우선 척추고정장치(100a, 100b)의 나사부(110)를 추골의 척추경 또는 천골에 적절한 방향과 위치에 삽입 고정한 후, 척추로드(200)를 사용하여 척추부를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하고 고정캡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척추로드(200)와 헤드부(120)를 고정하여 치료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고정캡부(130)와 헤드부(120)는 서로 맞물리는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나사산의 맞물림에 의해 척추로드(200)가 상기 헤드부(120)에 위치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꽉끼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 이러한 직접적 치료방식으로서의 별도 척추고정장치를 이용한 척추 고정(spinal fixation) 기술은, 척추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통상적으로 척추로드(spine rod)로 지칭되는 정형외과용 로드를 이용하여 척추를 고정하는 기술을 일컬으며, 이는 척추를 후부로 노출시키고 적절한 추골의 척추경에 척추고정장치를 삽입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척추고정장치는, 일반적으로 추골마다 2개가 설치되어, 척추 로드에 대한 고정점으로서 작용하고, 나사부(110)와 헤드부(120)의 결합방식에 따라 크게 두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그 하나는 헤드부(120)와 나사부(110)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척추고정장치(100a)로 통상적으로 "단일축 척추고정장치(100a)"로 지칭되고, 또다른 하나는 시술시 필요에 따라 헤드부(12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척추고정장치(100b)로 통상적으로 "다중축 척추고정장치(100b)"로 지칭된다.
그 중 상기 "다중축 척추고정장치"는 통상적으로 구형관절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10)를 헤드부(120)의 하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되고 그 상부로부터 외부 결합된 고정캡부(130)을 통해 척추로드(200)를 가압 고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축형을 이룰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척추고정장치(100a, 100b)의 경우에는 외부 결합된 고정캡부(130)가 시술부에 가해지는 강한 외력이나 척추 고정 후 환자의 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장기간에 걸친 생활 외력 등의 작용에 의해 그 체결이 느슨해 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척추를 고정하는데 요구되는 충분한 결합력 및 저항을 가지지 못해 손상된 척추의 고정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척추고정장치의 시술 시 상기 나사부(110)를 삽입하고 고정캡부(130)의 렌치홈(131)에 삽입가능한 렌치부재를 이용해 상기 헤드부(120)와 고정캡부(130)를 조이게 되는데, 일반적인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헤드부(120)와 고정캡부(130)의 나사구조는 렌치부재를 이용해 하방으로 힘을 가하고 체결작업시 과도한 힘에 의해 헤드부(120)의 하부가 벌어질 우려가 있고 이에 의해 척추로드(200)의 고정이 풀릴 우려가 있다.
한편, 근래의 척추고정장치(100a, 100b)는 소형화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헤드부(120)에서 척추로드(200)와 헤드부(120)를 결합하는 고정캡부(130)를 헤드부(120)의 안쪽에 나사골을 내어 내측에서 결합함으로써, 헤드부(120)의 직경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외력의 작용을 완벽히 방지할 수 없어 시술 후 장시간이 흐르거나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내측에 결합된 고정캡부(130)가 풀려나감으로써 척추 고정에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더욱이, "다중축 척추고정장치"의 경우 나사부(110)를 헤드부(120)에 결합함에 있어서 나사부 상부의 구형관절이 헤드부에 삽입되어 상방 가압력에 의한 헤드부 내면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고정력을 확보하게 되는 것으로, 고정캡부(130)의 체결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구형 관절과 헤드부 내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할 시 척추 고정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구형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재가 구비되더라도 상기 부재는 구형관절의 움직임을 완전히 제어하지 못하고 시술후 미세한 나사부(110)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쉽게 그 구형관절에 대한 구속력이 약화되어 이탈되거나 결속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척추고정장치의 경우, 일반적인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헤드부(120)와 고정캡부(130)의 나사구조는 헤드부(120)의 암나사산(122)과 고정캡부(130)의 수나사산(132)의 나사산 단면이 삼각단면을 가지고, 서로 접하는 산봉우리(crest), 골밑(root), 플랭크(flank)의 접촉에 의해 고정되는 바, 과도한 외부압력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고정력이 약화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체결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척추고정장치의 구조는 나사부의 구형관절을 완전히 제어하지 못해 시간의 경과 또는 시술자의 움직임에 따라 결속력이 약해질 수 있는 우려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척추고정장치를 이용한 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재결합 시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재결합 시술에 따른 금전적 시간적 손해는 물론, 환자 본인이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어야 하는 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척추고정장치의 구형관절을 상부에서 완전히 감싸도록 이너캡부를 형성하여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이너캡부가 구형관절을 조여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에 따라 척추로드와 구형관절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너캡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로드 누름단과 누름단을 형성하여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척추고정장치의 시술시 척추로드를 위치고정시키고자 헤드부에 체결되는 고정캡부에 강한 압력을 가해도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맞물리는 나사산 구조의 체결이 이탈되거나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물림골이 형성된 원형의 구형관절을 상부에 가지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부에 척추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로드수용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척추로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캡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척추고정장치 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하부에 관통된 끼움홀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맞물림에 따라 구형관절을 감싸 조일 수 있도록 구형관절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관절수용홀을 가지는 이너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너캡부는, 상면에 척추로드가 안착되는 로드안착골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구형관절의 외면을 감싸는 조임측벽과, 상기 조임측벽과 이웃하는 조임측벽 사이를 구성하는 조임간극(a)과, 상기 조임측벽의 하측 단부로 상기 구형관절의 하부를 조여 움직임을 제어하는 누름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캡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로드안착골에 안착된 척추로드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는 로드 누름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 누름단의 내측 상부에는 돌출된 조임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는 상부 내측에 사각형상의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부는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과 맞물리는 사각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체결되는 맞물림에 의해 상기 고정캡부가 헤드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척추로드를 가압하여 위치고정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암나사산은 암나사산 산봉우리의 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상인 헤드부 체결돌기와,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의 돌출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헤드부 돌기골을 포함하고; 상기 수나사산는 수나사산 산봉우리의 단부가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상인 고정캡부 체결돌기와, 상기 고정캡부 체결돌기의 돌출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캡부 돌기 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에 의하면, 첫째, 시술초기 이너캡부의 다단턱골과 구형관절의 물림골의 맞물림에 의해 최초 나사부의 정위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시술 시 고정캡부의 체결에 따라 이너캡부가 구형관절을 완전히 감싸면서 조여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시 이너캡부의 로드 누름단이 척추로드의 측방향을 가압하여 척추로드의 흔들림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시술이 이루어지게 하고, 장시간에 걸친 지속적인 활동에 의한 외력에도 체결된 헤드부와 고정캡부가 쉽게 풀리지 않아 척추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구형관절의 직경이 헤드부의 끼움홀 직경보다 큰 나사부의 사용에 있어서도 이너캡부의 직각절곡턱을 가지는 누름단과 헤드부의 누름단 결착턱 구조에 의해 상기 끼움홀을 관통한 구형관절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조임으로써 크기가 큰 나사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헤드부의 관통홀에 끼워지는 지지핀에 의해 이너캡부의 위치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정확한 결속력이 발휘될 수 있다.
다섯째, 헤드부의 암나사산에 형성된 체결돌기 및 돌기골과 고정캡부의 수나산에 형성된 체결돌기 및 돌기골의 각각 대응되는 맞물림 구조에 의해 강한 외력과 외압에도 쉽게 이탈되거나 체결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척추로드, 헤드부 또는 고정캡부의 균열을 방지하고, 신속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체결돌기 및 돌기골 구조에 의해 체결되는 접촉면적과 접촉압력을 증대시켜 이탈 및 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1)는, 크게 척추골의 척추경 또는 천골에 삽입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0)와, 상기 나사부(10)의 상단에 일체 또는 구분되게 구비되며 척추로드(도1, 20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로드수용홈(21)이 일측에 형성된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의 상부에 체결되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척추로드(200)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캡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부(10)는 상부에 구형관절(11)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형관절(11)의 외주면에는 바람직하게 다수개의 물림골(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척추고정장치(1)는 상기 나사부(10)의 구형관절(11)을 감 싸 시술시 움직임을 제어하는 이너캡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는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의 맞물리는 구조에 따라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1)의 상기 나사부(10)는, 척추골의 척추경 또는 천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을 가지는데, 보다 상세하게 상기 나사부(10)의 하단부는 원추형을 이루어 척추경 또는 천골에 삽입이 용이토록 형성되고, 상단부는 몸통의 지름이 최대를 이루어 삽입시 최종 고정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나사부(10)는 일반적인 나사부(10)의 구조와 더불어 상기 척추경 또는 천골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척추고정장치(1)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나사부(10)는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물림골(11a)이 형성된 원형의 구형관절(11)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곡률을 이루는 컵형상을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척추로드(200)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로드수용홈(21)이 형성되는데, 상기 헤드부(20)의 하부에는 상기 로드수용홈(21)과 연통되게 양측을 관통한 관통홀(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5)은 본 발명의 척추고정장치(1)가 시술되어 환자에게 사용되었을 때 필요에 따라 상기 척추고정장치(1)를 움직여야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기 양측의 관통홀(25)에 별도의 조정용 기구를 끼워 고정시키고 이를 이용해 상기 척추고정장치(1)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거나 재차 조일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헤드부(20)는, 하부에 상기 나사부(10)의 구형관절(11)이 끼워져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의 관절수용홀(45)을 가지고, 상기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맞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캡부(30)가 척추로드(200)를 가압할 때, 상기 척추로드(200)의 하방 가압력에 밀려 상기 구형관절(11)을 감싸 조이는 이너캡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너캡부(40)는 상기 헤드부(20)의 하부에 관통된 끼움홀(28)에 끼워져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이너캡부(40)는 상기 구형관절(11)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단부가 상기 구형관절(11)의 단부까지 감싸도록 캡 형상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이너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이너캡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1)에 적용되는 이너캡부(4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너캡부(40)는, 상면에 헤드부(20)의 '∪'자 로드수용홈(21)의 '∪'자 형상면과 동일면상을 가져 척추로드(200)가 안착되는 로드안착골(44)이 형성된 본체(40a)와, 상기 본체(40a)의 하부에 구형관절(11)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조임측벽(41)과, 상기 조임측벽(41)의 단부로 상기 구형관절(11)의 하부를 조여 움직임을 제어하는 누름단(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측벽(41)은 다수개로 구분되게 형성되는데 이웃하는 조임측벽 사이를 구성하는 조임간극(a)에 의해 구분된다.
또한, 상기 조임측벽(41)은 상기 구형관절(11)의 외주면을 감싸는데, 내측면에 상기 구형관절(11)의 물림골(11a)과 동일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1 다단턱골(41a)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다단턱골(41a)은 척추로드(200)의 하방 가압시, 즉 상기 척추로드(200)가 상기 로드안착골(44)에 안착된 상태로 하방 가압할 때 상기 구형관절(11)의 물림골(11a)과 맞물려 조임측벽(41)이 헤드부(20)의 끼움홀(28) 내측면을 따라 밀리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구형관절(11)을 가압하여 움직임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측벽(41)은 이웃하는 조임측벽(41)과 조임간극(a)을 형성하는데, 상기 조임측벽이 헤드부(20)의 끼움홀(28) 내주면을 따라 구형관절(11)을 조일 때 상기 조임간극(a)에 의해 용이한 조임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누름단(42)의 내측면에는 상기 구형관절(11)의 관절홈(11a)과 동일 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2 다단턱골(42a)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조임측벽(41)의 제1 다단턱골(41a)과 함께 상기 제2 다단턱골(42a)은 상기 구형관절(11)의 하부측 물림골(11a)과 맞물려 조임측벽(41)이 헤드부(20)의 끼움홀(28) 내측면 을 따라 밀리면서 상기 조임측벽(41)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누름단(42) 또한 외측에서 내측으로 구형관절(11)을 가압하여 움직임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름단(42)은 상기 헤드부(20)의 끼움홀(28)의 미세틈으로 파고들어 상기 구형관절(11)을 보다 꽉 조이게 되고 구형관절(11)의 움직임이 없도록 완전히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캡부(40)는 로드안착골(44)에 안착된 척추로드(20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40a)의 양측 단부가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로드 누름단(4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드 누름단(46)은 본체(40a)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상기 본체(40a)의 외측면의 가상 연장선과 간격(b)을 가지며 로드 안착골(44) 측으로 기울어지게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 누름단(46)은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가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상기 고정캡부(30)의 하단측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 누름단(46)은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체결에 따라 가압력에 의해 척추로드(200)가 하부로 안착될 때 상기 척추로드(200)의 상부측을 측방향에서 가압하게 되고, 척추로드(200)의 흔들림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드 누름단(46)은 내측 상부에 돌출된 조임턱(46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조임턱(46a)은 척추로드(200)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조여들게 되고 상기 척추로드의 흔들림과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헤드부(20)는 그 형상에 따라 척추로드(200)가 내부에 안착 될 수 있도록 로드수용홈(21)을 형성하면서 구성되는 바, 상기 로드수용홈(21)에 척추로드(200)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가능한 꽉끼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지만 그 형태적 특성상 상기 척추로드(200)와 어느 정도 미세한 간극을 형성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미세간극에 의한 척추로드(2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착시와 안착된 후의 척추로드(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나사부(10)의 구형관절(11)을 감싸는 이너캡부(40)의 상단에 상기 척추로드(200)의 측면을 감싸면서 간극을 줄일 수 있는 로드 누름단(46)을 더 형성하고, 상기 로드 누름단(46)의 상부 내측에 돌출된 조임턱(46a)을 더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로드 누름단(46)은 일명 마이너스 공차로 척추로드(200)와 헤드부(20)의 간극을 완전히 없애고 고정캡부(30)가 헤드부(20)에 체결될 때 상기 척추로드(200)의 측방향을 가압하여 흔들림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너캡부(40)는 헤드부(20)의 관통홀(25)과 대응되는 위치로 외측면에 걸림턱(43)이 더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5)에 끼워지는 지지핀(50)에 의해 미세 움직임이 제어된다.
한편, 상기 관통홀(25)은, 바람직하게 헤드부(20)를 관통하여 외측에 형성된 집게홀(25a)과, 상기 집게홀(25a)의 내측에 단턱을 형성하면서 그 크기가 더 줄어들고 상기 지지핀(50)이 삽입되는 이너캡 지지핀홀(25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너캡부(40)에 의해 나사부(10)는 시술시 그 위치가 정해지면, 상기 이너캡부(40)의 가압에 의해 그 위치에서 고정되고, 척추로드(200) 또 한 고정캡부(30)의 체결과 이너캡부(40)의 로드 누름단(46)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어서, 재차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구조와 이의 작동관계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헤드부(20)의 암나사산(22)에는 나사산의 단부, 상세하게는 나사산을 구성하는 산봉우리의 단부에서 돌출된 헤드부 체결돌기(26)와 헤드부 돌기골(27)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부(30)의 수나사산(32)에는 나사산의 단부, 상세하게는 나사산을 구성하는 산봉우리의 단부에서 돌출된 고정캡부 체결돌기(33)와 고정캡부 돌기골(34)이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는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헤드부 돌기골(27)과 고정캡부 체결돌기(33) 그리고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26)와 고정캡부 돌기골(34)이 서로 맞물리면서 체결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돌기와 돌기골에 의한 맞물림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척추고정장치(1)는 시술 시 또는 시술 후에 가해지는 외력에도 쉽게 상기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다시 말해, 통상적으로 나사산은 형성되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의 형성을 가지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의 체결시 상기 헤드부 돌기골(27)과 고정캡부 체결돌기(33) 그리고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26)와 고정캡부 돌기골(34)이 서로 맞물려 이들의 맞물린 지점에서는 상·하·좌·우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서로 이탈되지 않게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나선형의 나사산 형성에 따라 상기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이 끝나는 지점까지 연장되고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접촉면적 및 접촉압력을 높여 이들의 이탈 및 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헤드부(20)는 상부에 고정캡부(30)가 나사산 구조의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내측에 나사산, 즉 사각형상의 암나사산(22)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암나사산(22)은 암나사산 산봉우리의 단부가 암나사산 형성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헤드부 체결돌기(26)와,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26)의 돌출에 의해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26)와 이웃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헤드부 돌기골(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암나사산(22)이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측벽(23)과 제2 측벽(24)으로 상부가 분할되면서, 내부에 상기 척추로드(2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기 로드수용홈(21)이 형성된 '∪'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벽(23)과 제2 측벽(24)의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로드수용홈(21)과 연통된 관통홀(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는 이웃하는 척추고정장치(1)의 다른 헤드부(20)과 상기 척추로드(200)를 공유하면서 로드수용홈(21)에 위치된 상기 척추로드(200)에 의해 시술환자의 척추경 또는 천골을 따라 위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캡부(30)는 상기 헤드부(2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2 측벽(23, 24)의 암나사산(22)을 따라 체결되어, 상기 헤드부(20)의 로드수용홈(21)에 위치된 척추로드(2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움직이지 않게 위치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캡부(30)는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22)과 맞물리는 사각형상의 수나사산(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이 체결되는 맞물림에 의해 상기 고정캡부(30)가 헤드부(20), 즉 제1, 2 측벽(23, 2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척추로드(200)를 가압하여 위치고정시킨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캡부(30)는 상기 헤드부(20)의 헤드부 체결돌기(26)와 헤드부 돌기골(27)에 대응되는 위치, 즉 체결시 서로 맞물리는 위치로 수나사산 산봉우리의 단부가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26)와 대응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캡부 체결돌기(33)와, 상기 고정캡부 체결돌기의 돌출에 의해 상기 고정캡부 체결돌기(33)와 이웃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캡부 돌기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20)의 헤드부 체결돌기(26)와 상기 고정캡부(30)의 고정캡부 돌기골(34)이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나사산 체결과정에서 맞물리고, 상기 헤드부의 헤드부 돌기골(27)과 상기 고정캡부(30)의 고정캡부 체결돌기(33)가 나사산 체결과정에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체결구조에 의해 상기 헤드 부(20)와 고정캡부(30)는 그 접촉면적이 커지게 된다.
또한, 접촉면적의 커짐에 따라 접촉압력 또한 커져 상기 고정캡부(30)는 강한 외력과 시간의 경과에도 상기 헤드부(20)에서 쉽게 풀리지 않고 상기 헤드부(20)에 위치된 척추로드(200)를 가압해 이의 이탈 및 이완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고정캡부(30)는 렌치부재, 즉 각형렌치에 의해 상기 헤드부(20)의 제1, 2 측벽(23, 24) 사이에 형성된 암나사산(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형렌치에 대응되는 렌치홈(31)이 관통되게 형성된 나사, 다시 말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형상을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26)와 고정캡부 체결돌기(33)는 접촉면적을 넓히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그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고정캡부 돌기골(34)와 헤드부 돌기골(27) 또한 그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는 체결구조에 있어 접촉면적을 넓히고 체결돌기 및 돌기골의 형성이 용이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재차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은 상기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표면에 돌출된 균일한 단면의 산등성이로, 일반적인 나사산의 구조인 산봉우리(crest), 골밑(root), 플랭크(flank)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은 제일 높은 부분인 각각의 산봉 우리, 즉 암나사산 산봉우리(22a)와 수나사산 산봉우리(32a)의 단부가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 체결돌기(26, 33)와 돌기골(27, 34)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암나사산(22)은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면을 가지는 암나사산 골밑(22b)과, 상기 암나사산 골밑(22b)의 단부가 연장되어 돌출된 빗면을 가지는 암나사산 플랭크(22c)를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산 산봉우리(22a)는 상기 암나사산 플랭크(22c)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직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산(22)은, 상기 암나사산 골밑(22b), 암나사산 플랭크(22c), 암나사산 산봉우리(22a), 헤드부 체결돌기(26), 헤드부 돌기골(27) 순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암나사산(22)을 이룬다.
한편, 상기 수나사산(32)은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면을 가지는 수나사산 골밑(32b)과, 상기 수나사산 골밑(32b)과, 상기 수나사산 골밑(32b)의 단부가 연장되어 돌출된 빗면을 가지는 수나사산 플랭크(32c)를 포함하고, 상기 수나사산 산봉우리(32a)는 상기 암나사산 플랭크(32c)의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면을 가진다.
이때, 상기 암나사산(22)의 암나사산 골밑(22b), 암나사산 플랭크(22c), 암나사산 산봉우리(22a), 헤드부 체결돌기(26), 헤드부 돌기골(27)에 순차적으로 대응되도록, 상기 수나사산(32)은 상기 수나사산 산봉우리(32a), 수나사산 플랭크(32c), 수나사산 골밑(32b), 고정캡부 돌기골(34), 고정캡부 체결돌기(33) 순으 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수나사산(32)을 이룬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1)의 체결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7(a)에 따라, 상기 나사부(10)는 척추경 또는 천골에 삽입된 상태이며 고정캡부(30)는 헤드부(20)에 체결될 준비를 한다.
이때,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0)의 로드수용홈(21)에는 이웃한 척추고정장치(1)의 로드수용홈(21)에 삽입되어 연결된 척추로드(200)가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척추로드(200)를 상방에서 가압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캡부(30)를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의 나사결합구조에 따라 헤드부(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시킨다.
다시말해, 상기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이 체결되는 맞물림에 의해 상기 고정캡부(30)가 헤드부(20), 즉 제1, 2 측벽(도2, 23, 2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척추로드(200)를 가압하여 위치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헤드부 암나사산(22)의 헤드부 체결돌기(26)가 상기 고정캡부 고정캡부 돌기골(34)에 걸리고, 고정캡부 체결돌기(33)가 헤드부 돌기골(27)에 걸려 나사산결합구조에 따라 체결된다.
이어서 도 7(c)와 같이 상기 고정캡부(30)는 상기 로스수용홈(21)에 위치된 척추로드(200)를 상부에서 가압해 상기 척추로드(200)가 이탈되지 않게 하고, 상기 고정캡부(30)와 헤드부(20)는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돌기골의 구조에 따라 서로 이탈되거나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 실험 실시예 1>
* 실험방법
1. 준비된 제품에 척추로드를 올린 후 고정캡부를 체결한다.
2. 체결된 상태에서 헤드부의 상단부 치수를 측정한다.
3. 고정캡부를 조일 때, 토크 게이지를 사용하며, 조임 토크는 12Nm로 한다.
4. 토크 게이지로 조인 후에 헤드부의 상단부 치수를 측정한다.
5. 재차 토크 게이지를 이용하여 23Nm가지 조인다.
6.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파손 여부를 확인한다.
* 제품
A : 본 발명의 척추고정장치
B : 종래 구조의 척추고정장치 1
C : 종래 구조의 척추고정장치 2
< 표1 : 조임 전 헤드부의 치수 >
A : 12 mm
B : 13.5 mm
C : 12mm
< 표2 : 12Nm 조임 후 헤드부의 치수 >
제품 시험 개수 조임 후 헤드부 직경 변화 (mm)
A 1 0.04
2 0.06
3 0.04
4 0.07
5 0.05
평균 0.052
B 1 0.21
2 0.32
3 0.28
4 0.33
5 0.33
평균 0.294
C 1 0.81
2 0.98
3 0.89
4 0.88
5 0.89
평균 0.89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A의 경우 헤드부의 치수 변화가 거의 없으며, 변화가 없다는 것은 초기 설계값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이다.
< 그림 : 25Nm 조임 후 파손 여부 >
Figure 112009038478520-pat00001
< A >
Figure 112009038478520-pat00002
<B >
Figure 112009038478520-pat00003
< C >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경우 헤드부의 변형없이 원래의 규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B의 경우 헤드부가 벌어져 불안정하게 조여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C의 경우 조이는 중 헤드부가 파괴되어 원래의 나사산 체결구조에서 이탈된 모습을 보여준다.
재차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이너캡부(4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따라, 상기 나사부(10)는 척추경 또는 천골에 삽입된 상태이며 고정캡부(30)는 헤드부(20)에 체결될 준비를 하는데, 도면상에는 나사부(10)와 이너캡부(40)가 편의에 의해 별도로 구분되게 도시되었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 부(10)는 상부에 구형관절(11)이 형성된 별도의 부재로 상기 이너캡부(40)가 상기 구형관절(11)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헤드부(20)의 끼움홀(28)에 끼워져 위치된다.
그리고, 도 7(b)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0)의 로드수용홈(21)에는 이웃한 척추고정장치(1)의 로드수용홈(21)에 삽입되어 연결된 척추로드(200)가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고, 헤드부(20)과 고정캡부(30)의 맞물림에 의해 척추로드(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때, 상기 척추로드(200)는 이너캡부(40)의 로드안착골(도4, 44)에 안착된 바, 상기 이너캡부(4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이너캡부의 조임측벽(41)과 누름단(42)은 나사부(10)의 구형관절(11)을 조여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캡부(30)는 상기 로스수용홈(21)에 위치된 척추로드(200)를 상부에서 가압해 상기 척추로드(200)가 이탈되지 않게 하고, 상기 고정캡부(30)와 헤드부(20)는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돌기골의 구조에 따라 서로 이탈되거나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너캡부(40)의 로드 누름단(46)은 상기 척추로드(200)의 측방향을 감싸면서 위치되는데 상기 고정캡부(30)가 척추로드(200)를 가압하면서 헤드부(20)에 체결될 때 상기 척추로드(200)와 헤드부(20)의 미세간극을 없애면서 상기 척추로드(200)의 측방향을 가압해 상기 척추로드는 시술시 흔들림이 제거되고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한편, 도 8(a)(b)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이너캡부의 구분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a)(b)의 이너캡부가 적용되는 척추고정장치의 헤드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0(a)(b)는 도 8(a)(b)의 이너캡부가 적용되는 척추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1)에 적용되는 이너캡부(40)는 그 기능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에 기술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구분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너캡부(40)는, 로드안착골(44)이 형성된 본체(40a)와, 조임간극(a)에 따라 구분되는 다수개의 조임측벽(41)과, 상기 조임측벽(41)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누름단(42)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누름단(42)은 단부 외측면에 직각 절곡턱(42b)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측벽(41)은 본체(40a)와 구분되는 상부측에 홈턱(41c)을 형성하면서 상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탄성면(41b)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너캡부(40)가 구비되는 헤드부(20)는 도 9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하단부 내측벽에 시술 시 상기 누름단(42)의 직각 절곡턱(42b)이 안착되면서 끼움 결착되는 누름단 결착턱(28b)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누름단 결착턱(28b)의 상부로 상기 누름 단(42)을 안내하고 조임측벽(41)에 의한 구형관절(11)의 조임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울어진 경사면(28a)을 더 형성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경사면(28a)은 안정적인 이너캡부(40)의 고정과 상기 이너캡부(40)가 구형관절(11)의 상부를 조일 수 있도록 경사각이 서로 다른 경사1면(28a-1)과 경사2면(28a-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너캡부(40)는 나사부(10)의 구형관절(11)의 조임력을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척추고정장치(1)가 위치고정될 수 있게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이너캡부(40)는 필요에 따라 도 2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 누름단(46)과 조임턱(46a) 및 걸림턱(43)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 누름단(46)은 필요에 따라 로드 안착골(44) 측으로 기울어지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상기 이너캡부(40)의 작용과 적용되는 척추고정장치(1)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척추고정장치(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0)의 구형관절(11)의 크기가 헤드부(20)의 끼움홀(28)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데, 도 2와 같은 구조의 척추고정장치(1)는 상기 나사부(10)를 헤드부의 상부에서 끼움홀(28)에 관통시켜 하부의 나사산부가 헤드부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위치시킨 후, 이너캡부(40)를 상기 나사부의 구형관절(11)에 위치시킨 다음 척추로드(200)를 위치시키고 고정캡부(30)를 헤드부(20)에 체결 맞물림 시킴으로써 척추고정장치(1) 를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시술 시 필요에 따라 조임력을 발생하는 헤드부(20)의 크기는 작으나 나사부(10)의 크기가 큰 구조의 척추고정장치(1)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 도 2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구형관절(11) 부분이 비 정상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척추고정장치(1)가 제기능을 발휘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형관절(11)의 직경이 헤드부(20)의 끼움홀(28)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하고, 나사부(10)는 헤드부(20)의 하부에서 끼움홀(28)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10)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너캡부(40)와 도 9에 따른 헤드부(20) 구조를 제시한다.
재차, 도 10을 참조하면, 이너캡부(40)의 조임측벽(41) 하부에 구비된 누름단(42)은 고정캡부(30)가 척추로드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헤드부(20)의 경사면(28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나사부(10)의 구형관절(11)은 물림골(11a)이 상기 누름단(42)의 제2 다단턱골(42a)에 물리고 조임측벽(41)은 구형관절을 조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단(42)의 직각절곡턱(42b)은 상기 헤드부(20)의 경사면(28a)을 따라 헤드부(20)의 누름단 결착턱(28b)에 끼움 체결되듯이 위치된다.
이는 구형관절(11)과 끼움홀(28) 및 이너캡부(40)의 관절수용홀(45) 크기에 따른 것이며 상기와 같은 이동에 따라 조임측벽(41)과 누름단(42)은 구형관절(11) 을 완전히 감싸 가압함으로써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조임측벽(41)의 상부측 탄성면(41b)은 구형관절(11)이 완전히 이너캡부(40)에 감싸질 수 있도록 감싸지는 과정에서 각도가 벌어져 안정적인 조임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너캡부(40)와 헤드부(20)의 구조에 따라 구형관절(11)의 직경이 헤드부(20)의 끼움홀(28) 직경보다 큰 나사부(10)의 사용에 있어서도 이너캡부(40)의 직각절곡턱(42b)을 가지는 누름단(42)과 헤드부(20)의 누름단 결착턱(28b) 구조에 의해 상기 끼움홀(28)을 관통한 구형관절(11)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조임으로써 크기가 큰 나사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이너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이너캡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와 고정캡부의 체결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a)(b)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이너캡부의 구분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8(a)(b)의 이너캡부가 적용되는 척추고정장치의 헤드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b)는 도 8(a)(b)의 이너캡부가 적용되는 척추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200 : 척추로드 10 : 나사부
20 : 헤드부 21 : 로드수용홈
22 : 암나사산 23 : 제1 측벽
24 : 제2 측벽 25 : 관통홀
26 : 헤드부 체결돌기 27 : 헤드부 돌기골
30 : 고정캡부 31 : 렌치홈
32 : 수나사산 33 : 고정캡부 체결돌기
34 : 고정캡부 돌기골 40 : 이너캡부
41 : 조임측벽 42 : 누름단
43 : 걸림턱 46 : 로드 누름단
46a : 조임턱

Claims (12)

  1.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물림골(11a)이 형성된 원형의 구형관절(11)을 상부에 가지는 나사부(10)와, 상기 나사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부에 척추로드(20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로드수용홈(21)이 형성된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척추로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캡부(30)를 포함하는 통상의 척추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는, 하부에 끼움홀(28)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0)와 고정캡부(30)의 체결되는 맞물림에 따라 상기 구형관절(11)을 감싸 조일 수 있도록 상기 구형관절(11)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관절수용홀(45)을 가지는 이너캡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너캡부(40)는, 상면에 척추로드(200)가 안착되는 로드안착골(44)이 형성된 본체(40a)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형관절(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조임측벽(41)과, 상기 조임측벽(41)이 다수개로 구분되게 이웃하는 조임측벽 사이를 구성하는 조임간극(a)과, 상기 조임측벽(41)의 하측 단부로 상기 구형관절(11)의 하부를 조여 움직임을 제어하는 누름단(42) 및;
    상기 이너캡부(40)는, 로드안착골(44)에 안착된 척추로드(20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40a)의 양측 단부가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로드 누름단(4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누름단(46)의 상부 내측에는 돌출된 조임턱(46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누름단(46)은 상기 본체(40a)의 외측면 가상 연장선과 간격(b)를 가지며 로드 안착골(44) 측으로 기울어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42)은 외측면에 직각 절곡턱(42b)이 더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0)는 하단부 내측벽에 시술 시 상기 누름단(42)의 직각 절곡턱(42b)이 안착되면서 끼움 결착될 수 있도록 누름단 결착턱(28b)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누름단 결착턱(28b)의 상부로 상기 누름단(42)을 안내하고 조임측벽(41)에 의한 구형관절(11)의 조임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울어진 경사면(28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측벽(41)은 이너캡부의 본체(40a)와 구분되는 상부측에 홈턱(41c)을 형성하면서 상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탄성면(41b)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8. 제 1항, 제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측벽(41)의 내측면에는 상기 구형관절(11)의 물림골(11a)과 동일 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1 다단턱골(41a)이 더 형성되고,
    상기 누름단(42)의 내측면에는 상기 구형관절(11)의 물림골(11a)과 동일 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2 다단턱골(42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컵 형상으로 제1 측벽(23)과 제2 측벽(24)으로 분할되면서 내부에 상기 척추로드(2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기 로드수용홈(21)이 형성된 '∪'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하부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로드수용홈과 연통된 관통홀(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너캡부(40)는 상기 관통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43)이 더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5)에 끼워지는 지지핀(50)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되되,
    상기 관통홀(25)은, 외측에 형성된 집게홀(25a)과, 상기 집게홀의 내측에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핀(50)이 삽입되는 이너캡 지지핀홀(25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는 상부 내측에 사각형상의 암나사산(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부(30)는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22)과 맞물리는 사각형상의 수나사산(32)이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32)이 체결되는 맞물림에 의해 상기 고정캡부가 헤드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척추로드(200)를 가압하여 위치고정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암나사산(22)은 암나사산 산봉우리(22a)의 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상인 헤드부 체결돌기(26)와,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의 돌출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헤드부 돌기골(27)을 포함하고;
    상기 수나사산(32)는 수나사산 산봉우리(32a)의 단부가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상인 고정캡부 체결돌기(33)와, 상기 고정캡부 체결돌기의 돌출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캡부 돌기골(34)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 체결돌기(26)와 고정캡부 돌기골(34), 그리고 상기 고정캡부 체결돌기(33)와 헤드부 돌기골(27)의 맞물리는 구조에 의해 접촉면이 커지고, 상기 고정캡부(30)는 강한 외력과 시간의 경과에도 풀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산(22)은, 수직면을 가지는 암나사산 골밑(22b)과, 상기 암나사산 골밑의 단부가 연장되어 돌출된 빗면을 가지는 암나사산 플랭크(22c)를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산 산봉우리(22a)는 상기 암나사산 플랭크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암나사산 골밑, 암나사산 플랭크, 암나사산 산봉우리, 헤드부 체결돌기, 헤드부 돌기골 순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산(32)은, 수직면을 가지는 수나사산 골밑(32b)과, 상기 수나사산 골밑의 단부가 연장되어 돌출된 빗면을 가지는 수나사산 플랭크(32c)를 포함하고, 상기 수나사산 산봉우리(32a)는 상기 수나사산 플랭크의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암나사산 골밑, 암나사산 플랭크, 암나사산 산봉우리, 헤드부 체결돌 기, 헤드부 돌기골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나사산 산봉우리, 수나사산 플랭크, 수나사산 골밑, 고정캡부 돌기골, 고정캡부 체결돌기 순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KR1020090056750A 2009-06-25 2009-06-25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KR10093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50A KR100937027B1 (ko) 2009-06-25 2009-06-25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PCT/KR2010/003822 WO2010150999A2 (ko) 2009-06-25 2010-06-15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50A KR100937027B1 (ko) 2009-06-25 2009-06-25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027B1 true KR100937027B1 (ko) 2010-01-15

Family

ID=4180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750A KR100937027B1 (ko) 2009-06-25 2009-06-25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7027B1 (ko)
WO (1) WO2010150999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89B1 (ko) 2011-03-24 2012-09-10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페디클 스크류의 구조
WO2014035081A1 (ko) * 2012-08-27 2014-03-06 (주)시지바이오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WO2015068970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시지바이오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20210012512A (ko) * 2019-07-25 2021-02-03 (주)메디쎄이 다축 척추경 스크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3524A (zh) * 2017-08-02 2017-10-20 上海未来伙伴机器人有限公司 一种用于机器人的关节模块及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6835A2 (en) 1996-10-18 1998-04-22 Spinal Innovations Spinal implant fixation
KR100346308B1 (ko) 1999-11-02 2002-07-27 김성곤 척추경 나사못
KR20070025887A (ko) * 2005-08-30 2007-03-0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다중축 척추 고정 나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0261A1 (de) * 1993-03-30 1994-10-06 Bosch Gmbh Robert Schutzsystem für eine mit Aufladung betriebene Brennkraftmaschine
KR100890034B1 (ko) * 2008-10-09 2009-03-25 (주)코리아 본 뱅크 척추고정나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6835A2 (en) 1996-10-18 1998-04-22 Spinal Innovations Spinal implant fixation
KR100346308B1 (ko) 1999-11-02 2002-07-27 김성곤 척추경 나사못
KR20070025887A (ko) * 2005-08-30 2007-03-0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다중축 척추 고정 나사
KR100741293B1 (ko) 2005-08-30 2007-07-2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다중축 척추 고정 나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89B1 (ko) 2011-03-24 2012-09-10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페디클 스크류의 구조
WO2014035081A1 (ko) * 2012-08-27 2014-03-06 (주)시지바이오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101389407B1 (ko) 2012-08-27 2014-05-2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WO2015068970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시지바이오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101524941B1 (ko) * 2013-11-08 2015-06-01 (주)시지바이오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20210012512A (ko) * 2019-07-25 2021-02-03 (주)메디쎄이 다축 척추경 스크류 장치
KR102271512B1 (ko) 2019-07-25 2021-07-01 (주)메디쎄이 다축 척추경 스크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50999A2 (ko) 2010-12-29
WO2010150999A3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1482B2 (ja) 前方脊柱器具
US8012186B2 (en) Uniplanar screw
JP6062950B2 (ja) 脊髄異常の治療のための減捻装置
KR100741293B1 (ko) 다중축 척추 고정 나사
US8382809B2 (en) Poly-axial pedicle screw implements and lock screw therefor
KR101559861B1 (ko) 뼈 고정장치
CA2689655C (en) Transverse spinal linking device and system
KR101053428B1 (ko) 척주 지지를 위한 전방 판을 포함하는 장치
US7344537B1 (en) Bone fixation rod system
US8740941B2 (en) Pedicle based spinal stabilization with adjacent vertebral body support
KR100704150B1 (ko) 척추 고정 나사
US8114134B2 (en) Spinal prosthesis having a three bar linkage for motion preservation and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spine
US8048115B2 (en) Surgical tool and method for implantation of a dynamic bone anchor
US20060247631A1 (en) Spinal pedicle screw assembly
US2008018321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pinous Process Fusion
US8333792B2 (en) Load-sharing bone anchor having a deflectable post and method for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spine
US20120123478A1 (en) Low profile spinal prosthesis incorporating a bone anchor having a deflectable post and a compound spinal rod
US20100087867A1 (en) Fastener assembly that fastens to pedicle screw
US8083772B2 (en) Dynamic spinal rod assembly and method for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spine
KR100937027B1 (ko) 결속력이 강화된 척추고정장치
JP2012521802A (ja) 可変高の多軸骨ネジアセンブリ
US11096723B2 (en) Uniplanar screw
US8092501B2 (en) Dynamic spinal rod and method for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spine
US8337536B2 (en) Load-sharing bone anchor having a deflectable post with a compliant ring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the spine
AU2005265015A1 (en) Multi-axial bone attachme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