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462B1 -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462B1
KR100936462B1 KR1020090079533A KR20090079533A KR100936462B1 KR 100936462 B1 KR100936462 B1 KR 100936462B1 KR 1020090079533 A KR1020090079533 A KR 1020090079533A KR 20090079533 A KR20090079533 A KR 20090079533A KR 100936462 B1 KR100936462 B1 KR 10093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water
odor
odor gas
ultra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연
이강윤
김종윤
Original Assignee
오성산업(주)
주식회사 제이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산업(주), 주식회사 제이씨엔텍 filed Critical 오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07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3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가스가 포함되는 저장조에서 초미세기포의 악취가스에 미생물이 반응수에 효과적으로 포집되어 정화되도록 하고 화학물질과 같은 2차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악취가스가 초미세기포상태로 반응수와 더욱 양호하게 포집되도록 하는 1차의 초미세버블포집단계와 함께, 상부에서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분무되도록 하는 2차의 분무포집단계 및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 필터링제거단계로 하여 3단계 포집단계를 거침으로써 더욱 향상된 악취가스 포집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악취가스제거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장치본체; 장치본체 저부의 배양저장조로 악취가스와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섞여 초미세기포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악취가스공급부; 악취가스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장치본체 상측에 구비된 공기배출부; 일측이 악취가스공급부와 연결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버블분배기; 악취가스공급부와 연결되고 다수의 분무노즐이 형성되어 장치본체 내측 상부에 설치된 분무파이프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악취가스, 포집, 배양, 필터, 정화

Description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OFFENSIVE ODOR TREATMENT SYSTEM USING MICRO BUBBLE}
본 발명은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가스가 포함되는 저장조에서 초미세기포(Micro Bubble)로 되는 악취가스에 미생물이 반응수에 효과적으로 포집되어 정화되도록 하고 화학물질과 같은 2차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악취가스가 초미세기포상태로 반응수와 더욱 양호하게 포집되도록 하는 초미세버블포집단계와 함께, 상부에서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분무되도록 하는 2차의 분무포집단계 및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 필터링제거단계로 하여 3단계 포집단계를 거침으로써 더욱 향상된 악취가스 포집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시설로는 거름과 같은 고형물을 정화시키는 방법, 액상 상태의 오염물을 정화시키는 방법, 그리고 기체 상태의 오염가스를 정화시키는 방법 등, 오염물질의 상태에 따라 정화시키는 방법이 다양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오염 가스를 정화시키는 방법으로는, 건식 필터를 이용하여 정화시키는 방법과,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분무시기는 과정에 의하여 악취가스가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악취제거방법에 의한 시설에 의하면, 화학약품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화학약품에 의하여 2차 오염물질이 발생되어 환경파괴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많은 양의 화학약품 및 이에 이용되는 물이 많은 양이 소모되어 점점 더 많은 크기의 정화시설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정화시설이 커지면 함께 마련되는 세정장치, 가습기 등의 부속장치도 함께 크게 되어 관리유지비용이 과하게 소요되며, 이에 반해 처리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악취가스가 포함되는 저장조에서 초미세기포(Micro Bubble)로 되는 악취가스에 미생물이 반응수에 효과적으로 포집되어 정화되도록 하고 화학물질과 같은 2차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배양저장조 내에 악취가스가 포함된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공급되도록 하는 버블분배기가 수평파이프 및 수직파이프에 의하여 배양저장조 내에 골고루 퍼지도록 분배기(Distribute Machine)가 구성되어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악취가스가 초미세기포상태로 반응수와 더욱 양호하게 포집되도록 하는 초미세버블포집단계와 함께, 상부에서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분무되도록 하는 2차의 분무포집단계 및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 필터링제거단계로 하여 3단계 포집단계를 거침으로써 더욱 향상된 악취가스 포집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는, 악취가스제거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장치본체(11); 상기 장치본체(11) 저부의 배양저장조(12)로 악취가스와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섞여 초미세기포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악취가스공급부(20); 악취가스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 로 방출되도록 상기 장치본체(11) 상측에 구비된 공기배출부(13); 일측이 악취가스공급부(20)와 연결되고 다수의 배출공(31)이 형성된 버블분배기(30); 상기 악취가스공급부(20)와 연결되고 다수의 분무노즐(41)이 형성되어 장치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된 분무파이프(40)가 포함되어 구비되어, 악취가스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악취가스가 배양저장조(12)의 반응수와 섞이도록 하여 악취가스가 반응수에 의해 탈취되도록 구비되고, 배양저장조(12) 상부의 분무공간(14)을 지나는 악취가스가 분무수에 의하여 포집되어 배양저장조(12)로 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악취가스공급부(20)는, 상기 배양저장조(12)의 저부의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공급되도록 하는 반응수흡입부(21); 상기 반응수흡입부(21)로부터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순환모터(22)에 의해 작동되는 순환펌프(23); 상기 순환펌프(23)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수에 악취가스가 섞이도록 하는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 순환펌프(23)를 지나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배출부(24)가 포함되어, 배양저장조(12) 저부의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순환펌프(23)에 의하여 흡입되어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를 거쳐 다시 배양저장조(12) 내부로 순환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는 펌프배출부(24)와 연결되어 반응수(미 생물 배양액)가 유입되는 반응수유입로(251); 흐르는 반응수에 악취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악취가스유입로(252); 반응수와 악취가스가 섞여 버블분배기(30) 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챔버배출로(253)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에는 회전나선부(254)(254')가 형성되어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회전되면서 흐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의 외부에는 자력형성부(255)(255')가 구비되고, 자력형성부(255)(255')가 위치된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의 내부에는 자성회전자(256)(256')가 구비되어, 자력형성부(255)(255')에서 발생되는 자력변화에 의하여 자성회전자(256)(256')가 회전되어 흐르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회전되면서 흐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장치본체(11)에는 분무파이프(40) 아래측으로 필터부(15)가 구비되어, 배양저장조(12)에서 공기배출구(13) 측으로 흐르는 악취가스가 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양저장조(12) 내부에는 미생물배양기(121)가 구비되고, 상기 미생물배양기(121) 일측에는 경석(輕石)위치부(122), 펄프재, 펠렛부(123)가 구비되며, 상기 배양저장조(12)에는 반응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부(124), 센서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악취가스가 포함되는 저장조에서 초미세기포(Micro Bubble)로 되는 악취가스에 미생물이 반응수에 효과적으로 포집되어 정화되도록 하고 화학물질과 같은 2차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양저장조 내에 악취가스가 포함된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공급되도록 하는 버블분배기가 수평파이프 및 수직파이프에 의하여 배양저장조 내에 골고루 퍼지도록 분배기(Distribute Machine)가 구성되어 고르게 분사되어 처리효율이 탁월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악취가스가 초미세기포상태로 반응수와 더욱 양호하게 포집되도록 하는 초미세버블포집단계와 함께, 상부에서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분무되도록 하는 2차의 분무포집단계 및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 필터링제거단계로 하여 3단계 포집단계를 거침으로써 더욱 향상된 악취가스 포집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악취가스공급부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배양저장조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초미세악취믹싱챔버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가스제거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장치본체(11)가 구비되어, 상기 장치본체(11) 저부의 배양저장조(12)로 악취가스와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섞여 초미세기포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악취가스공급부(20)로 악취가스가 공급되고, 악취가스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상기 장치본체(11) 상측에 구비된 공기배출부(13)로 악취가스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10)는 악취공급부(20)에서 반응수와 악취가스가 서로 섞이면서 악취가스의 크기가 초미세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결국 반응수 내에서 작은 크기의 가스방울(Micro Bubble)로 되는 것이어서, 반응수와 악취가스의 개별 입자간의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악취가스가 반응수와 많은 접촉면적을 통하여 악취가스가 반응수에 포집됨으로써 악취가 제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이 악취가스공급부(20)와 연결되고 다수의 배출공(31)이 형성된 버블분배기(30)가 구비되어, 악취가스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악취가스가 배양저장조(12)의 반응수와 섞이도록 하여 악취가스가 반응수에 의해 탈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악취가스공급부(20)와 연결되고 다수의 분무노즐(41)이 형 성되어 장치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된 분무파이프(40)가 포함되어 구비되어, 배양저장조(12) 상부의 분무공간(14)을 지나는 악취가스가 분무수에 의하여 포집되어 배양저장조(12)로 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10)는 일차로 악취가스공급부(20)에서 반응수와 악취가스가 서로 섞여진 상태에서 초미세버블(Micro Bubble)의 형태로 배양저장조(12)로 공급되어 반응수에 1차로 악취가스가 제거되는 초미세버블포집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악취가스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수는 장치본체(11) 상부의 분무파이프(40) 측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분무파이프(40)에서 분무되는 반응수에 의하여 악취가 포집되어 배양저장조(12)로 흐르도록 하는 분무포집단계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는 초미세버블포집단계에 의하더라도 미처 반응수에 포집되지 않고 상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악취가스에 대하여, 상부의 분무공간(14)에서 분무되는 반응수에 의하여 악취가스가 2차제거단계인 분무포집단계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장치본체(11)에는 분무파이프(40) 아래측의 분무공간(14)에 필터부(15)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배양저장조(12)에서 공기배출구(13) 측으로 흐르는 악취가스가 필터부(15)에서 제거되도록 하는 3차제거단계인 필터링제거단계가 구비되는 것이다.
필터부(15)는 금속망, 다공질 섬유층, 다공의 플라스틱망, 부직포 등과 같이, 악취가스 또는 공기가 통과되면서 망사이로 포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러한 필터부(15)에는 은성분, 원적외선재, 기타 악취를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세균의 멸균을 위한 망부재가 함께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반응액과 악취가스가 미세기포상태로 담겨지는 배양저장조(12)에는 악취가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부재들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양저장조(12) 내부에는 미생물배양기(121)(Bio Reactor)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미생물배양기(121) 일측에는 경석(輕石)위치부(122), 펄프재, 펠렛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양저장조(12)에는 반응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부(124)(Heater), 센서부(125)가 구비되어, 배양저장조(12)의 악취제거상태가 양호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미생물배양기(121)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생물 배양액이 배양저장조(12)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석위치부(122)에 다공성의 경석(輕石)이 내재되도록 하고, 펠렛부(123)에도 다공성 펠렛부재들이 함께 포함되도록 하여, 유해성분이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배양저장조(12)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미생물배양기(121)에 의하여 공급되는 미생물에 의하여 반응수에 포함된 악취가스가 분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생물 반응이 양호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양저장조(12)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히터부(124)가 함께 마련되고, 배양저장조(12)의 산성정도 및 산소농도 등을 센서부(125)를 통하여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상태 에서 악취가스가 포집되고 미생물에 의한 작용으로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악취가스의 제거과정을 거치게 된 정화된 가스는 장치본체(11) 상부의 공기배출구(13)(Stack, Exhaust)로 배출되도록 하고, 반응수는 경석, 펠렛, 그리고 미생물배양기 등을 통과되고 드레인(Drain)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드레인을 통하여 배출되는 정도만큼 워터인렛(Water Inlet)을 통하여 보충되도록 하고,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양저장조(12) 일측에 오버플로어(Over Flow)를 함께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악취가스공급부(20)의 작동모터, 각종 장치의 작동제어, 드레인, 워터인렛 및 오버플로어의 작동제어, 그리고 히터부의 작동제어를 제어하고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도록 하는 제어반(미도시됨)이 함께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반의 제어작동으로 각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악취가스가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악취가스공급부(20)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순환흐름되도록 하는 과정 중에, 반응수 흐름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악취가스가 함께 흡입되고, 흡입된 악취가스와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서로 섞이는 과정 중에 악취가스가 초미세기포 형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악취가사와 반응수의 접촉면적이 상태적으로 증대되어 악취가스의 제거효과가 탁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에 새로운 물질이 투여되는 것이 아니라, 배양저장조(12)에 담겨져 있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순환공급되면서 악취가스가 포집될 수 있는 양호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많은 구성부재가 구성되지 않아도 악취제거의 효과가 탁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악취가스공급부(20)는, 상기 배양저장조(12)의 저부의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공급되도록 하는 반응수흡입부(21)가 구비되어 배양저장조(12)의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순환펌프(23)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응수흡입부(21)로부터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순환모터(22)에 의해 작동되는 순환펌프(23)가 구비되어, 배양저장조(12)의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순환흐름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순환펌프(23)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수에 악취가스가 섞이도록 하는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가 구비되고, 순환펌프(23)를 지나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배출부(24)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배양저장조(12) 저부의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순환펌프(23)에 의하여 흡입되어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를 거쳐 다시 배양저장조(12) 내부로 순환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에 의해서 순환흐름되는 반응수에 의하여 악취가스가 강제 흡입되고, 흡입된 후에는 초미세기포(Micro Bubble)로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펌프배출부(24)와 연결되어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유입되는 반응수유입로(251)가 형성되고, 흐르는 반응수에 악취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악취가스유입로(252)가 형 성되며, 반응수와 악취가스가 섞여 버블분배기(30) 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챔버배출로(25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에는 회전나선부(254)(254')가 형성되어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회전되면서 흐르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의 외부에는 자력형성부(255)(255')가 구비되고, 자력형성부(255)(255')가 위치된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의 내부에는 자성회전자(256)(256')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자력형성부(255)(255')에서 발생되는 자력변화에 의하여 자성회전자(256)(256')가 회전되어 흐르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회전되면서 흐르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력형성부(255)(255')는 다수의 코일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하는 코일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터의 코일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자성회전자(256)(256')는 N극 - S극이 서로 번갈아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코어로 되는 회전체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코일그룹인 자력형성부(255)(255')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회전자(256)(256')가 회전되어, 자성회전자(256)(256')를 지나는 반응수도 함께 회전되면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성회전자의 내부측으로 회전블레이드(미도시됨)가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흐르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더 잘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회전되면서 흐르는 반응수에 악취가스가 포함되게 되면, 악취가스도 함께 회전되면서, 더욱 작은 크기의 공기방울인 초미세버블(Micro Bubble)로 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흐르는 반응수에 진동을 주기 위하여 진동부재가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에는 진동에 대한 주파수발신부가 마련될 수 있고, 타측에는 주파수에 진동되도록 하기 위한 진동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진동부재에 의하여 흐르는 반응수 또는 악취가스가 포함된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진동됨으로써 반응수에 포함되는 악취가스가 초미세기포로 되는 것이다.
아울러 반응수유입로(251), 챔버배출로(253) 등에 함께 마련될 수 있는 회전나선부(254)(254'), 자성회전자(256)(256') 등에 의해서 반응수 및 악취가스 등이 회전되면서 서로 교반과정으로 더욱 작은 크기의 초미세기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반응수 내에 포함된 악취가스가 초미세기포로 되면, 악취가스에서 반응수와 접촉되지 않는 악취가스의 입자가 점점 작아지게 되어, 결국 대부분의 악취가스 입자는 반응수 내에 포집되는 것이다.
특히 반응수 내에는 미생물제가 함께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악취가스는 미생물제에 의하여 분해되어 결국 양호한 상태의 정화된 기체만 상부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본체(11)와 배양저장조(12)의 측면에는 투시창(Sight Hole)이 형성될 수 있어,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10)에 의하면, 악취가스공 급부(20) 및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 등에 의하여, 악취가스가 반응수에 포집 및 흡입되어 정화되도록 하며, 배양저장조(12)의 반응수에 포집된 미생물의 배양액에 혼합되어 악취가 제거되도록 하고, 작은 크기인 초미세기포인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로 되어 악취가스가 반응수와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함으로써 포집 및 정화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에서 분무되는 반응수에 의하여 미처 포집되지 않은 악취가스가 포집됨으로써 공기배출구(13)(Stack)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악취가스공급부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배양저장조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초미세악취믹싱챔버에 대한 개략전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악취제거장치 11 : 장치본체
12 : 배양저장조 13 : 공기배출구
20 : 악취가스공급부 23 : 순환공급펌프
25 : 초미세악취믹싱챔버 30 : 버블분배기
40 : 분무파이프

Claims (6)

  1. 악취가스제거작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장치본체(11);
    상기 장치본체(11) 저부의 배양저장조(12)로 악취가스와 반응수가 섞여 초미세기포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악취가스공급부(20);
    악취가스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상기 장치본체(11) 상측에 구비된 공기배출부(13);
    일측이 악취가스공급부(20)와 연결되고 다수의 배출공(31)이 형성된 버블분배기(30);
    상기 악취가스공급부(20)와 연결되고 다수의 분무노즐(41)이 형성되어 장치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된 분무파이프(40)가 포함되어 구비되어,
    악취가스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악취가스가 배양저장조(12)의 반응수와 섞이도록 하여 악취가스가 반응수에 의해 탈취되도록 구비되고, 배양저장조(12) 상부의 분무공간(14)을 지나는 악취가스가 분무수에 의하여 포집되어 배양저장조(12)로 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스공급부(20)는,
    상기 배양저장조(12)의 저부의 반응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반응수흡입부(21);
    상기 반응수흡입부(21)로부터 반응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순환모터(22)에 의해 작동되는 순환펌프(23);
    상기 순환펌프(23)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수에 악취가스가 섞이도록 하는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
    순환펌프(23)를 지나는 반응수가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배출부(24)가 포함되어,
    배양저장조(12) 저부의 반응수가 순환펌프(23)에 의하여 흡입되어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를 거쳐 다시 배양저장조(12) 내부로 순환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악취믹싱챔버(25)는
    펌프배출부(24)와 연결되어 반응수가 유입되는 반응수유입로(251);
    흐르는 반응수에 악취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악취가스유입로(252);
    반응수와 악취가스가 섞여 버블분배기(30) 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챔버배출로(25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에는 회전나선부(254)(254')가 형성되어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회전되면서 흐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의 외부에는 자력형성부(255)(255')가 구비되고, 자력형성부(255)(255')가 위치된 반응수유입로(251) 또는 챔버배출로(253)의 내부에는 자성회전자(256)(256')가 구비되어, 자력형성부(255)(255')에서 발생되는 자력변화에 의하여 자성회전자(256)(256')가 회전되어 흐르는 반응수(미생물 배양액)가 회전되면서 흐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1)에는 분무파이프(40) 아래측으로 필터부(15)가 구비되어,
    배양저장조(12)에서 공기배출구(13) 측으로 흐르는 악취가스가 제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저장조(12) 내부에는 미생물배양기(121)가 구비되고,
    상기 미생물배양기(121) 일측에는 경석(輕石)위치부(122), 펄프재, 펠렛 부(123)가 구비되며,
    상기 배양저장조(12)에는 반응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부(124), 센서부(1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20090079533A 2009-08-27 2009-08-27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93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33A KR100936462B1 (ko) 2009-08-27 2009-08-27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33A KR100936462B1 (ko) 2009-08-27 2009-08-27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462B1 true KR100936462B1 (ko) 2010-01-26

Family

ID=4180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33A KR100936462B1 (ko) 2009-08-27 2009-08-27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4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597B1 (ko) * 2015-12-17 2016-01-21 (주)이화에코시스템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20180081643A (ko) 2017-01-06 2018-07-17 오성산업(주) 버블캡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2094708B1 (ko) * 2019-07-25 2020-03-30 이승엽 복합악취 제거 다기능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221717B1 (ko) * 2020-08-12 2021-02-26 고영천 미생물을 이용한 복합형 악취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528B1 (ko) 1999-09-17 2001-12-22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 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JP2002210488A (ja) 2000-12-26 2002-07-30 Shinkyu Zen 清浄化処理装置
JP2003062425A (ja) 2001-08-27 2003-03-04 Takashi Yamamoto 悪臭性ガスの処理方法
KR100749726B1 (ko) 2006-03-24 2007-08-16 (주)세종이엔지 악취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528B1 (ko) 1999-09-17 2001-12-22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 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JP2002210488A (ja) 2000-12-26 2002-07-30 Shinkyu Zen 清浄化処理装置
JP2003062425A (ja) 2001-08-27 2003-03-04 Takashi Yamamoto 悪臭性ガスの処理方法
KR100749726B1 (ko) 2006-03-24 2007-08-16 (주)세종이엔지 악취 탈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597B1 (ko) * 2015-12-17 2016-01-21 (주)이화에코시스템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20180081643A (ko) 2017-01-06 2018-07-17 오성산업(주) 버블캡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2094708B1 (ko) * 2019-07-25 2020-03-30 이승엽 복합악취 제거 다기능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221717B1 (ko) * 2020-08-12 2021-02-26 고영천 미생물을 이용한 복합형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6982B2 (ja) 悪臭処理方法、悪臭処理システムおよび飼育システム
KR100972921B1 (ko)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1850956B1 (ko) 탈취장치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0966737B1 (ko) 약액 세정식 탈취탑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20150107346A (ko) 공기 정화장치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100936462B1 (ko)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20150116793A (ko) 가축 축사의 배기 정화를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1333068B1 (ko) 악취 제거장치
KR101494696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782735B1 (ko)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KR20190016426A (ko) 밀폐형 퇴비발효기의 탈취장치 세정수 정화시스템
KR102012940B1 (ko) 우수한 여과성능과 신속한 처리속도를 겸비하는 용액형 공기 정화장치
KR101675148B1 (ko)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
KR101557121B1 (ko) 고효율 약액 반응 탈취장치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JP2009154156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0686937B1 (ko) 회전식 고압분사수단을 부착한 생물학적 탈취장치
KR101963765B1 (ko) 촉매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세정장치를 구비한 약액세정탈취장치
KR101723863B1 (ko) 고효율 탈취 장치
KR101025327B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JP2005013789A (ja) 空気清浄機
KR102416308B1 (ko) 단일구조물 내장형 단계식약액탈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