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260B1 - 아마츄어 타입 유닛 이어폰 - Google Patents
아마츄어 타입 유닛 이어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6260B1 KR100936260B1 KR1020080011897A KR20080011897A KR100936260B1 KR 100936260 B1 KR100936260 B1 KR 100936260B1 KR 1020080011897 A KR1020080011897 A KR 1020080011897A KR 20080011897 A KR20080011897 A KR 20080011897A KR 100936260 B1 KR100936260 B1 KR 1009362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 unit
- insertion groove
- sound
- wire insertion
- earph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음압을 증대시켜 효율이 우수하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한 이어폰이 제공된다. 이어폰은 격벽을 구비한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와 결합되어 다면체를 이루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음향을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유닛과, 전면으로 돌출된 음향관을 구비하며 드라이브 유닛이 삽입되는 중공형의 하우징과, 드라이브 유닛의 일면에 배치되며 드라이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드라이브 유닛은 격벽 중 일부 영역이 개구된 제1 전선 삽입홈을 포함하고, 회로 기판은 제1 전선 삽입홈과 중첩되도록 개구된 제2 전선 삽입홈을 포함한다.
이어폰, 커널형, 아마츄어 타입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압을 증대시켜 효율이 우수하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ear-phone)은 각종 오디오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음향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어폰은 착용 방식에 따라 개방형 이어폰(opened air type ear-phone)과 밀폐형 이어폰(closed air type ear-phone)이 있다. 오픈형 이어폰은 사용자의 귓바퀴에 이어폰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과 외부의 음향을 모두 들을 수 있는 구조이고, 밀폐형 이어폰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이어폰의 이어피스(ear piece)를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어폰에 의하여 외이도가 밀폐되어 외부의 음향이 거의 전달되지 않고 이어폰의 음향만을 들을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이어폰은 귓속에 음압을 증가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개방형 이어폰의 경우 귀와의 밀착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귓속의 공기가 외부와 통하게 되어 있어, 귓속의 음압이 쉽게 내려가게 된다. 특히 저음역의 경우에는 귓속의 압력이 쉽게 내려가기 때문에 저음 특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밀폐형 이어폰의 경우에는 귓속이 밀폐되어 있어 외부의 소리가 유입되지 않아 외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음압의 유지가 가능하여 저음역에서의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최근 인기가 있다.
최근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간편한 밀폐형 이어폰으로는 커널형(kernel type ear-phone)이 인기가 있다. 이와 같은 커널형 이어폰은 이어피스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귓속과 외부를 차단하게 되며, 이어피스가 외이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커널형 이어폰은 귓속의 음압을 정밀하게 조절하게 된다. 이때 이어폰에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유닛과 고막과의 거리가 가깝게 되면 실질적인 음압의 증대 효과를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압을 증대시켜 효율이 우수하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한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격벽을 구비한 제1 수납부와 상기 제1 수납부와 결합되어 다면체를 이루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음향을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유닛과, 전면으로 돌출된 음향관을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유닛이 삽입되는 중공형의 하우징과,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드라이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격벽 중 일부 영역이 개구된 제1 전선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전선 삽입홈과 중첩되도록 개구된 제2 전선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귓속의 음압을 증대시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이어폰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은 이어피스(100)가 외이도에 삽입되어 귀속을 외부와 밀폐하고 고막에 직접 음압을 전달하는 밀폐형 이어폰 중 하나인 커널형 이어폰으로서, 이어피스(100), 하우징(200), 드라이브 유닛(300), 제1 케이스(410), 제2 케이스(420) 및 음향 신호선(510)을 포함한다.
이어피스(100)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외이도 내벽에 밀착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어피스(100)는 외이도의 내벽과 밀착되는 외벽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음향이 전달되는 음향관(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 개구부(11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이어피스(100)는 사용자의 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외부의 소음은 확실히 차단하면서, 장시간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귀에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피스(100)는 예를 들어 우레탄, 발포성 수 지,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드라이브 유닛(3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음향관(210)을 통해 사용자의 외이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우징(200)은 전면으로 돌출된 중공형의 음향관(210)을 포함하고 있다. 음향관(210)은 드라이브 유닛(3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외이도로 전달하며, 이어피스(100) 내측에 삽입된다. 하우징(200)에는 드라이브 유닛(300)이 삽입되며, 하우징(200)과 드라이브 유닛(300) 사이는 밀폐되어 음향이 새지 않도록 한다.
한편, 드라이브 유닛(300)은 일측에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구(310)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우징(2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음향구(310)는 전면을 향하여 배치되며, 음향관(210)과 직접 관통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음향구(310)를 음향관(210)과 직접 관통하여 연결하게 되면, 음압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드라이브 유닛(300)은 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배선(370)을 포함하며, 드라이브 유닛(300)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600)을 통하여 음향 신호선(510)에 연결된다. 회로 기판(600)은 연결 배선(도 3a의 370 참조)과 음향 신호선(510)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며, 연결 배선(370)과 음향 신호선(510)은 회로 기판(600)에 형성된 전극 패드(도 3a의 620 참조)에 접속된다.
하우징(200), 드라이브 유닛(300) 및 회로 기판(600)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하우징(200), 드라이브 유닛(300), 회로 기판(600) 및 음향 신호선(510)은 제1 케이스(410) 및 제2 케이스(420) 내부에 수납된다. 제1 케이스(410) 및 제2 케이스(420)는 두 부분으로 분할 형성되어, 각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수납 공간 내에 하우징(200), 드라이브 유닛(300), 회로 기판(600)이 수납되고, 제1 홀(430)을 통해 하우징(200)의 음향관(210)이 전면부로 돌출되며, 제2 홀(435)을 통해 음향 신호선(510)이 측부로 배출된다. 제2 홀(435)과 음향 신호선(510) 사이에는 제2 실링 부재(520)가 개재되어 있어, 음향 신호선(510)은 제2 홀(435)에 고정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포함되는 하우징, 드라이브 유닛 및 회로 기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이어폰에 포함되는 하우징 및 드라이브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이어폰에 포함되는 드라이브 유닛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이어폰에 포함되는 드라이브 유닛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b 드라이브 유닛을 IV-IV'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드라이브 유닛(300)은 하우징(200) 내부에 삽입되며, 음향구(310)는 음향관(210)에 직접 연결된다. 이때, 음향구(31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은 음향관(210)과 음향구(310) 사이에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직접 음향관(210)으로 전달된다. 즉, 음향관(210)과 음향구(310) 사이에 음향의 전달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음향관(210)과 음향구(310)를 직접 연결하여 음향구(310)와 고막과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음향의 도달 거리를 줄일 수 있어 실질적으로 음압의 상승 효과를 갖게 된다.
하우징(200)과 드라이브 유닛(300) 사이에는 제1 실링 부재(220)가 개재된다. 제1 실링 부재(220)는 드라이브 유닛(300)의 일면의 형상과 같도록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20)는 드라이브 유닛(300)의 전면부에만 배치시킴으로써, 하우징(200)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어폰(10)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링 부재(220)는 공기의 출입을 막을 수 있도록 밀폐하여, 음향의 전달 매체가 될 수 있는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음향관(210) 내부의 음압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실링 부재(220)의 형상을 노즐 형상으로 형성하여 음향의 제공 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제1 실링 부재(220)는 하우징(200)과 드라이브 유닛(300)에 비해 유연하고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브 유닛(300)은 음향 신호선(510)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인가받아 음향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제1 수납부(302) 및 제2 수납부(304) 내부에 한쌍의 영구자석(350), 코일(320), 진동판(340), 연결핀(335) 및 다이어프램(3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수납부(302) 및 제2 수납부(304)의 내부에는 한쌍의 영구자석(35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된다. 이러한 한쌍의 영구자석(350) 사이에는 진동판(340)이 배치된다. 진동판(340)은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서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한쌍의 영구자석(350) 사이에서 두 영구자석(350)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진동판(340)의 타단부의 외측에는 코일이 감겨져 있다. 즉, 코일(320)에 음향 신호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판(340)을 진동시키게 되며, 진동판(340)에 연결된 연결핀(335)을 통해 진동은 다이어프램(330)으로 전달된다. 이때, 다이어프램(330)은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음향은 음향구(310)와 음향관(210)을 통하여 사용자의 고막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수납부(302)는 네 격벽을 구비하는 용기로 형성되며, 제2 수납부(304)는 제1 수납부(302)의 네 격벽에 대응하는 격벽이 구비된 용기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며 결합하여 다면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수납부(302)의 격벽 중 일부 영역은 개구되어 제1 전선 삽입홈(360)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전선 삽입홈(360)은 격벽의 일변에 형성된 'U'자형 홈 또는 'V'자형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로 기판(600)은 드라이브 유닛(3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전선 삽입홈(360)과 중첩되는 제2 전선 삽입홈(610)을 포함한다. 제2 전선 삽입홈(610)은 회로 기판(600)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서, 제1 전선 삽입홈(360)과 같이 'U'자형 홈 또는 'V'자형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유닛(300)으로부터 연장된 연결 배선(370)은 제1 전선 삽입홈(360)과 제2 전선 삽입홈(610)을 통과하여 전극 패드(620)에 본딩한다.
연결 배선(370)이 제1 전선 삽입홈(360)과 제2 전선 삽입홈(610)을 관통하기 위해서는 제1 수납부(302)에 한쌍의 영구자석(350), 진동판(340), 코일(320) 및 다이어프램(330) 등을 수납하고, 코일(320) 등에 연결된 연결 배선(370)을 연장하여 제1 전선 삽입홈(360)을 통해 밖으로 연장한다. 이때, 연결 배선(370)은 제1 수납부(302)의 격벽 상부를 통해 제1 전선 삽입홈(360)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연결 배선(370)의 중간 부분이 직접 제1 전선 삽입홈(360)으로 삽입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벽면에 형성된 폐쇄형 홀에 얇은 전선을 관통하는 방식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연결 배선(370)을 제1 전선 삽입홈(360)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배선(370)을 제1 전선 삽입홈(360)에 관통시킨 후 제2 수납부(304)를 결합하여 드라이브 유닛(300)을 완성한다.
또한, 회로 기판(600)을 제1 전선 삽입홈(360)이 형성된 면에 배치시키고 회로 기판(600)에 형성된 제2 전선 삽입홈(610)을 중첩시키면서 연결 배선(370)을 회로 기판(600)의 일측벽을 통하여 연결 배선(370)의 중간 부분을 직접 제2 전선 삽입홈(610)에 삽입시킨다.
상술한 드라이브 유닛(300) 및 회로 기판(600)은 사람의 귓속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부품으로 형성되며, 드라이브 유닛(300) 및 회로 기판(600)을 연결하는 연결 배선(370) 역시 매우 얇은 전선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전선 삽입홈(360)과 제2 전선 삽입홈(610)을 통하여 연결 배선(370)을 삽입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매우 용이해 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어폰에 포함되는 하우징 및 드라이브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이어폰에 포함되는 드라이브 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의 이어폰에 포함되는 드라이브 유닛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b의 드라이브 유닛을 IV-IV'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어폰 100: 이어피스
110: 개구부 200: 하우징
210: 음향관 220: 제1 실링 부재
300: 드라이브 유닛 302: 제1 수납부
304: 제2 수납부 310: 음향구
320: 코일 330: 다이어프램
335: 연결핀 340: 진동판
350: 영구자석 360: 제1 전선 삽입홈
370: 연결 배선 410: 제1 케이스
420: 제2 케이스 430: 제1 홀
435: 제2 홀 510: 음향 신호선
520: 제2 실링 부재 600: 회로 기판
610: 제2 전선 삽입홈
Claims (6)
- 격벽을 구비한 제1 수납부와 상기 제1 수납부와 결합되어 다면체를 이루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음향을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유닛;전면으로 돌출된 음향관을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유닛이 삽입되는 중공형의 하우징;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드라이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격벽 중 일부 영역이 개구된 제1 전선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전선 삽입홈과 중첩되도록 개구된 제2 전선 삽입홈과, 상기 제2 전선 삽입홈을 둘러싸는 전극 패드를 포함하고,상기 드라이브 유닛과 상기 전극 패드를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전선 삽입홈 및 상기 제2 전선 삽입홈을 통하여 연결되는 이어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선 삽입홈 및 상기 제2 전선 삽입홈은 일측이 개구된 'U'자형 또는 'V'자형 홈인 이어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유닛은,상기 드라이브 유닛 내부에 수납된 진동판과,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판은 음향 신호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진동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을 발생시키는 이어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향구는 상기 음향관과 직접 관통되는 이어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과 상기 드라이브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향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상기 음향구가 형성된 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이어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1897A KR100936260B1 (ko) | 2008-02-05 | 2008-02-05 | 아마츄어 타입 유닛 이어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1897A KR100936260B1 (ko) | 2008-02-05 | 2008-02-05 | 아마츄어 타입 유닛 이어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5949A KR20090085949A (ko) | 2009-08-10 |
KR100936260B1 true KR100936260B1 (ko) | 2010-01-12 |
Family
ID=4120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1897A KR100936260B1 (ko) | 2008-02-05 | 2008-02-05 | 아마츄어 타입 유닛 이어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626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1784A (ja) | 1999-05-31 | 2000-12-08 | Sony Corp | イヤホン |
KR200337682Y1 (ko) | 2003-10-20 | 2004-01-03 | 서기영 |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 |
KR100550972B1 (ko) * | 2005-08-11 | 2006-02-13 | 주식회사 이채 | 외이도 삽입형 이어폰 |
KR200422195Y1 (ko) * | 2006-04-21 | 2006-07-24 | 크레신 주식회사 | 이어폰 |
-
2008
- 2008-02-05 KR KR1020080011897A patent/KR1009362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1784A (ja) | 1999-05-31 | 2000-12-08 | Sony Corp | イヤホン |
KR200337682Y1 (ko) | 2003-10-20 | 2004-01-03 | 서기영 |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 |
KR100550972B1 (ko) * | 2005-08-11 | 2006-02-13 | 주식회사 이채 | 외이도 삽입형 이어폰 |
KR200422195Y1 (ko) * | 2006-04-21 | 2006-07-24 | 크레신 주식회사 | 이어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5949A (ko) | 2009-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19953B2 (en) | Earphone microphone | |
JP5695703B2 (ja) | 音響チューニングメカニズムを有するイヤホン | |
US8189846B2 (en) | Vented in-the-ear headphone | |
TWI568241B (zh) | 具有經控制之聲音洩漏埠之耳機 | |
CN109511028B (zh) | 多驱动器耳塞 | |
US7477756B2 (en) | Isolating deep canal fitting earphone | |
WO2010005039A1 (ja) | イヤホン | |
US20210099786A1 (en) | Earphone | |
JP5662254B2 (ja) | 音声出力装置 | |
CN210274477U (zh) | 具有定向传音功能的耳机 | |
KR101005926B1 (ko) | 아마츄어타입 유닛 이어폰 | |
US11503403B2 (en) | Sound output device | |
JP6442794B1 (ja) | 音響装置 | |
KR100936260B1 (ko) | 아마츄어 타입 유닛 이어폰 | |
WO2016181431A1 (ja) | 連通部付き密閉イヤホン | |
KR100936261B1 (ko) | 아마츄어타입 유닛 이어폰 | |
JP5079881B2 (ja) | イヤホン | |
KR100633050B1 (ko) | 이어폰 | |
CN108156547B (zh) | 一种tws耳机 | |
WO2018225354A1 (ja) | 音響装置 | |
JP3239620U (ja) | イヤホン | |
CN214544732U (zh) | 一种多传声模式耳机 | |
JP7347927B2 (ja) |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 |
CN221748574U (zh) | 一种整合型音腔及耳机装置 | |
JP2012085114A (ja) | イヤホ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