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133B1 -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 Google Patents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133B1
KR100936133B1 KR1020070104192A KR20070104192A KR100936133B1 KR 100936133 B1 KR100936133 B1 KR 100936133B1 KR 1020070104192 A KR1020070104192 A KR 1020070104192A KR 20070104192 A KR20070104192 A KR 20070104192A KR 100936133 B1 KR100936133 B1 KR 10093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seq
copy number
cnv
number var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8737A (en
Inventor
전진태
김재환
임현태
서보영
이상호
이재봉
정은지
유채경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133B1/en
Publication of KR2009003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1/00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enzymatic activity
    • C12Q2521/50Other enzymatic activities
    • C12Q2521/537Prote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01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7/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 C12Q2537/1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the purpose or use of
    • C12Q2537/16Assays for determining copy number or wherein the copy number is of special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07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fluoresce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KIT 유전자 복제수 변이의 정량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 변이 분석방법,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 변이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고, KIT 유전자의 스플라이싱 변이는 종래의 파이로시퀀싱 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IT 유전자 복제수 변이의 정량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된 KIT 유전자 복제수 변이에 따라 유전자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KIT gene copy number variation using an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T using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 Splicing mutation in the replication variability analysis method,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KIT gene duplicated in gene duplication is said oligonucleotide as determined by nucleotide connection method, KIT gene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ment by the sequencing method of a conventional pie A method for quantifying gene copy number variation, and genotyping method for pig groping-related KIT ge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otyp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IT gene copy number variation meas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KIT 유전자 복제수 변이의 정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KIT 유전자 중복 상태의 탐지와 유전자형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Sinc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antify KIT gene copy number variation more accurately and precise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for detecting KIT gene duplication status and genotyping.

KIT 유전자, 복제수 변이, 유전자형 분석 KIT gene, copy number variation, genotyping

Description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케이아이티 유전자 복제수 변이의 정량 분석방법{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KIT 유전자 복제수 변이의 정량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KIT gene copy number variation using an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

돼지의 품종구별은 일반적으로 외형적 특징인 모색이나 체형 등의 표현형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표현형으로 구별되는 돼지 품종이라 할지라도 도축 후 육의 형태로 전환되면 돼지의 품종식별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육질개선 등을 위한 3원 교잡종 등의 F2를 생산하는 현 육종체계에서 교잡에 사용된 종돈의 신뢰성 등 종돈으로써 고유한 특성의 보존이 문제시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발생을 제거하기 위하여 돼지의 품종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DNA 마커의 선정과 활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현재 돼지에서 나타나는 품종 특이적인 DNA 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게놈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 (mtDNA)내에 존재하는 여러 유전 자들을 대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Differentiation of pigs is usually based on phenotypes such as groping and body shape, which are external features. However, even if the pig breed is distinguished by phenotype, it is almost impossible to identify the breed of the pig when it is converted to meat form after slaughter. In addition, in the current breeding system that produces F2, such as three-way hybrids for quality improvement, the preservation of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liability of the sows used for hybridization has been a problem. In order to eliminat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utilize DNA markers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pig breeds. Currently, in order to develop breed-specific DNA markers that appear in pigs, it is actively targeting various genes present in genomic DNA and mitochondrial DNA (mtDNA).

이 중에서 게놈 DNA 상에 위치하는 모색관련 유전자 중 KIT (mast/stem cell growth factor receptor)는 돼지의 우성백색과 유색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돼지의 품종을 구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DNA 마커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Dominant white/KIT 좌위는 SSC8 (Johansson-Moller et al., Mamm Genome, 7:822-8, 1996; Hirooka et al., J Hered, 93:1, 2002) 상에 위치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돼지의 백색 표현형은 두 개의 KIT 돌연변이(mutation)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자 중복은 불완전한 우성 표현형과 관련이 있으며, 스플라이싱 돌연변이는 완전한 우성 대립유전자 (allele)를 유도한다 (Johansson-Moller et al., Mamm Genome., 7:822-8, 1996; Marklund, S. et al., Genome Res., 8:826-833, 1998). KIT 좌위에서 유색 표현형 (Color phenotype)의 열성 i allele, 패치 표현형 (Patch phenotype)의 I P allele, 백색 표현형 (White phenotype)의 우성 I allele 그리고 벨트 표현형 (Belt phenotype)의 I Be allele가 주된 대립유전자(allele)로 알려져 있다 (Giuffra, E. et al., Mamm Genome., 10:1132-113, 1999; Johansson M et al., Genomics., 14:965-96, 1992). Pielberg 등 (Genome Res ., 13:2171-217, 2003) 은 I allele의 다양성과 I allele를 I 1 , I 2 , I 3 그리고 I L allele로 분류한 바 있다. 우성백색 유전자 I는 대립유전자 I P i에 대하여 완전 우성으로써 렌드레이스 (Landrace)와 라아지 화이트 (Large White)는 I를 하나 이상 소유하고 있고(I/I, I/I P , 혹은 I/i.) 백색모를 나타내게 된다(Marklund, S. et al., Genome Res., 8:826-833, 1998).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는 착색모 품종인 듀록 (Duroc)은 i/i이며, 이외에 버크셔 (Berkshire)와 햄프셔 (Hampshire)의 경우도 i/i로 추정되고 있다(Marklund, S. et al., Genome Res., 8:826-833, 1998).Among them, KIT (mast / stem cell growth factor receptor) among the color-related genes located on genomic DNA is a gene that regulates dominant white and color of pigs and is used as a very important DNA marker in distinguishing breeds of pigs. The Dominant white / KIT locus has been reported to be located on SSC8 (Johansson-Moller et al., Mamm Genome , 7: 822-8, 1996; Hirooka et al., J Hered , 93: 1, 2002). The white phenotype of pigs is determined by two KIT mutations: gene duplica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omplete dominant phenotype, and splicing mutations induce a complete dominant allele (Johansson-Moller et al. , Mamm Genome. , 7: 822-8, 1996; Marklund, S. et al., Genome Res ., 8: 826-833, 1998). In the KIT locus, the main alleles are the recessive i allele of the color phenotype, the I P allele of the patch phenotype, the dominant I allele of the white phenotype, and the I Be allele of the belt phenotype. (allele) (Giuffra, E. et al., Mamm Genome. , 10: 1132-113, 1999; Johansson M et al., Genomics. , 14: 965-96, 1992). Pielberg et al. ( Genome Res . 13: 2171-217, 2003) classified I allele diversity and I allele as I 1 , I 2 , I 3 and I L allele. Dominant white gene I is as completely dominant with respect to the alleles I P and i Rend race (Landrace) and la charge white (Large White) may possess one or more of the I (I / I, I / I P, or I / i .) white hair (Marklund, S. et al., Genome Res ., 8: 826-833, 1998). Duroc, the most frequently bred breed of domestic hair, is i / i . In addition, Berkshire and Hampshire are estimated to be i / i (Marklund, S. et al., Genome Res ., 8: 826-833, 1998).

현재 KIT 좌위의 분석 방법으로는 RFLP (Marklund, S. et al., Genome Res., 8:826-833, 1998), 미니-시퀀싱(mini-sequencing)과 실시간 PCR (real-time PCR) (Pielberg, G. et al., Genetics ., 160:305-3, 2002) 및 인베이더 (invader)와 파이로시퀀싱 분석법 (pyrosequencing assays) (Pielberg, G. et al., Genome Res ., 13:2171-217, 2003)이 활용된 바 있다. 이 중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의 경우 실시간 PCR 또는 인베이더 기술에 비해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어 KIT 중복의 정량에 대해 가장 강력한 분석력을 가진 방법으로 사료되고 있다. 그러나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은 단 하나의 복제에 의해서도 그 결과가 달라져 복제 수의 증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유전자형 (genotype)을 정확하게 분류하기가 어려워 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중복중지점이 점차 작아지는 징후가 증가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 (Pielberg, G. et al., Genome Res ., 13:2171-217, 2003). 따라서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이용한 대략적인 중복 비율의 탐지는 부모의 유전자형을 포함한 계통 정보를 모르는 샘플들에 대해서는 유전자형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Current analysis methods of KIT loci include RFLP (Marklund, S. et al., Genome Res ., 8: 826-833, 1998), mini-sequencing and real-time PCR (Pielberg). , G. et al., Genetics ., 160: 305-3, 2002) and invaders and pyrosequencing assays (Pielberg, G. et al., Genome Res . 13: 2171-217, 2003). Among these, the pyro sequencing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real-time PCR or invader technology, an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powerful method for quantifying KIT duplication. However, the pyro sequencing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sult is changed even by a single copy, and thus it becomes difficult to accurately classify the genotype as the number of copies increases. Thi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signs that the overlapping point becomes smaller (Pielberg, G. et al., Genome Res . , 13: 2171-217, 2003). Therefore, the detection of the approximate overlap ratio using the pyro sequencing analysi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genotype for samples that do not know the phylogene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parental genotype.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복제수 변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quantitative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을 이용하여 높은 복제 수의 KIT 중복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상기 방법이 종래의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에 비해 정확성 및 정밀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are studying a method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pig hunt-related KIT gene, and can detect a high copy number KIT duplication using quantitative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veloping a method and confirming that the method is very accurate and accura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yrosequencing assa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변이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py variation analysis method for duplication of pig-related KIT genes using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 변이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KIT 유전자의 스플라이싱 돌연변이의 복제수 변이는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IT 유전자의 복제수변이 정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KIT gene duplication using an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splicing mutation of the KIT gene is measured using a pyro sequencing assay To provide a quantitative method for mutating the replication of the KIT ge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정량된 KIT 유전자의 복제수변이에 의해 유전자형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enotyping method for a pig groping-related KIT ge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otype is separated by the copying variation of the KIT gene quantified by the above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변이 분석방법에 유용한 프라이머 서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mer sequenc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opying variation of pig groping-related KIT gene duplication using the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변이 분석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py variation analysis method of the pig groping-related KIT gene duplication using an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

또한, 본 발명은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 변이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KIT 유전자의 스플라이싱 돌연변이의 복제수 변이는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IT 유전자의 복제수변이 정량방법을 제공한다.The invention also KIT gene,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oligonucleotide is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KIT gene duplicated using a nucleotide connection method, and the measurement by scanning copy number variation of splice mutations in the KIT gene using the sequencing method Pyro It provides a method for quantifying replication variation i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정량된 KIT 유전자의 복제수변이에 의해 유전자형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genotyping of a pig groping-related KIT ge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otype is separated by the copying variation of the KIT gene quantified by the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법을 이용한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변이 분석방법에 유용한 프라이머 서열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mer sequence useful in a method for analyzing the copy variation of pig groping-related KIT gene duplication using the oligonucleotide linkage assay.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정량적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방법 (quantitative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qOLA)을 이용하여 돼지 모색과 연관된 KIT 유전자의 중복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nalyzing duplication of KIT genes associated with swine groping using quantitative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qOL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연결 분석방법은 DNA 리가아제 (DNA Ligase)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로브 (Probe)를 결합시키는 원리로 이용하는 방법이다.Oligonucleotide linkage analysis is a method used to bind two adjacent oligonucleotide probes (Probe) by using DNA ligase (DNA Ligas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현재 보고된 돼지의 모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KIT 유전자의 중복중지점 (Duplication breakpoint)이 존재하는 L1MC1/L1ME1 지역의 변이를 이용하였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utation in the L1MC1 / L1ME1 region in which a duplication breakpoint of the KIT gen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urrently reported pig search, is us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변이 분석방법은 (a) 분석하고자 하는 DNA 시료를 L1MC1 / L1ME1 지역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증폭하는 단계;Preferably, the replication variation analysis method of the KIT gene du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CR amplification of the DNA sample to be analyzed using a primer specific to the L1MC1 / L1ME1 region;

(b) 상기 (a) 단계의 PCR 증폭산물을 단백질분해효소로 처리하는 단계; 및(b) treating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of step (a) with a protease; And

(c) 상기 (b) 단계에서 단백질분해효소로 처리한 산물을 형광물질을 결합시킨 프라이머로 증폭시키고 KIT 좌위와 연관된 중복중지점에서 발생하는 유전자 중복(C/G)의 복제수 변이 (copy number variation)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 Amplification of the product treated with the protease in step (b) with a primer conjugated with fluorescent material, and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gene duplication (C / G) occurring at the overlapping point associated with the KIT locus (copy number) measuring the variation).

상기 (a) 단계의 DNA 시료는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는 혈액 및 생물학적 기원의 기타 액상 샘플, 생검 표본, 모근, 조직 배양과 같은 고형 조직 샘플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 및 그 자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샘플들은 시약처리, 가용화된 샘플 또는 배양세포, 세포 상등액 및 세포 용해물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NA 시료는 돼지의 혈액 또는 모근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The DNA sample of step (a) can be separated from the biological sample. Such biological samples include solid tissue samples such as blood and other liquid samples of biological origin, biopsy samples, hair roots, tissue cultures or cells derived therefrom and their progeny. The samples also include reagent treatment, solubilized samples or cultured cells, cell supernatants and cell lysates. Preferably, the DNA sample may be isolated from pig blood or hair roots.

상술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DNA의 분리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으로부터 게놈 DNA의 분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혈액 10ml (0.5M EDTA 첨가)과 buffer A (1ℓ에 0.32M Sucrose, 1mM Tris-HCl pH7.5, 5mM MgCl2, 1% Triton X-100 첨가)를 40ml 첨가한 후 여러 번 인버팅(inverting)하여 적혈구를 파괴시키고, 4℃에서 3,000rpm으로 10분간 스핀 다운(Spin down)시켜 백혈구를 침전시켰다. 상징액을 제거한 후 다시 buffer A를 15ml 첨가하여 인버팅(inverting) 후 4℃에서 3,000rpm으로 10분간 스핀 다운 (Spin down)시켜 백혈구를 침전시키고 상징액을 제거한 다음 buffer B (1ℓ에 400mM NaCl, 2mM EDTA pH8.0, 10mM Tris-HCl pH8.0 첨가) 4.5ml과 buffer C (5% SDS, 2mg/ml 프로테인아제 케이) 500ul를 첨가한 후 50℃의 수욕 (water bath)에서 오버나이트(overnight) 처리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6M NaCl 1.35ml을 첨가하여 강하게 인버팅(inverting) 한 후 3000rpm에서 15분간 스핀 다운(Spin down)시켜 상징액을 조심스럽게 새 튜브로 옮기고 2 부피(volume)의 100% 에탄올을 처리한 후 피펫-팁-훅 (pipette-tip-hook)를 이용하여 DNA를 건져냈다. 상온에서 알코올이 증발할 때까지 건조시킨 후 TE buffer (10mM Tris HCl, pH8.0; 2.5mM EDTA) 1ml에 녹여서 이용하였다. Isolation of DNA from the biological sample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isolation of genomic DNA from blood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Inverting several times after adding 10ml of blood (0.5M EDTA) and 40ml of buffer A (0.32M Sucrose, 1mM Tris-HCl pH7.5, 5mM MgCl 2 , 1% Triton X-100 in 1L) Red blood cells were destroyed, and white blood cells were precipitated by spin down at 4 ° C. at 3,000 rpm for 10 minutes. After removing the supernatant, 15 ml of buffer A was added again, and then inverted. After spin down at 3,000 rpm for 10 minutes at 4 ° C., white blood cells were precipitated, and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fter adding 4.5ml of pH8.0, 10mM Tris-HCl pH8.0 and 500ul of buffer C (5% SDS, 2mg / ml proteinase K), overnight treatment in 50 ℃ water bath It was. After strongly inverting by adding 1.35 ml of 6M NaCl to the culture solution, spin down for 15 minutes at 3000 rpm to carefully transfer the supernatant to a new tube, and then treated with 2 volumes of 100% ethanol. DNA was harvested using a pipette-tip-hook. After drying until the alcohol evaporated at room temperature, it was used by dissolving in 1 ml of TE buffer (10 mM Tris HCl, pH8.0; 2.5 mM EDTA).

모근으로부터의 게놈 DNA 추출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모근 부착상태가 좋은 5~10가닥 내외의 모근을 적당한 길이로 자른 다음 5% 킬렉스(chelex) 100ul와 1mg/ml 프로테인아제 케이 1ul를 첨가한 후 55℃의 수욕 (water bath)에서 오버나이트 (overnight) 시켰다. 상기 샘플을 끓는 물에서 15분간 끓인 다음 상온에서 완전히 식힌 후 3000rpm에서 5분간 스핀 다운 (Spin down)시켜 PCR 반응에 상징액을 이용하였다. Genomic DNA extraction from hair roots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Cut hair roots around 5 ~ 10 strands with good hair root attachment into proper length, add 100ul of 5% chelex and 1ul of 1mg / ml proteinase K, and then overnight in 55 ℃ water bath. overnight). The sample was boiled in boiling water for 15 minutes and then cooled completely at room temperature, followed by spin down at 3000 rpm for 5 minutes to use the supernatant for PCR reaction.

상기 (a) 단계에서 L1MC1/L1ME1 지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로는 L1MC1/L1ME1 지역에서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18 내지 25 bp의 연속된 각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Primers capable of specifically amplifying the L1MC1 / L1ME1 region in step (a) may include 18 to 25 bp of each polynucleotide consecutively appearing only in the L1MC1 / L1ME1 region.

바람직하게는 L1MC1 / L1ME1 지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로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세트 또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세트일 수 있다.Preferably, primers capable of specifically amplifying the L1MC1 / L1ME1 region include a primer set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and SEQ ID NO: 2 or a primer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and SEQ ID NO: 3 It can be a set.

상기 서열번호 2와 3은 극소량이 들어가서 기초 생산물을 형성한 후 실제적인 증폭은 서열번호 1과 TailR 프라이머 (서열번호 11)로 진행된다. 즉 서로 다른 염기를 갖는 서열번호 2와 서열번호 3은 genomic sequence로 만든 프라이머의 5´ 말단에 공통적인 가상 sequence (TailR 포함)가 붙여져 있으며, 서열번호 1과 2 그리고 1과 3이 각각 반응하여 어느 정도 생산물을 증폭시킨 후 서열번호 1과 가상 프라이머인 TailR이 반응하여 소량으로 증폭된 각 생산물이 기하급수적으로 증폭되게 된다. The very small amounts of SEQ ID NOs 2 and 3 form the basic product, and the actual amplification proceeds to SEQ ID NO 1 and TailR primers (SEQ ID NO: 11). In other words, SEQ ID NO: 2 and SEQ ID NO: 3 having different bases are attached to a common virtual sequence (including TailR) at the 5 ′ end of a primer made of a genomic sequence. After amplifying the degree products, SEQ ID No. 1 and TailR, a fictitious primer, are reacted so that each product amplified in small amounts is exponentially amplified.

TailR primer : 5`-CGT TCG TAC GAG AAT CGC T-3` (서열번호 11)TailR primer: 5`-CGT TCG TAC GAG AAT CGC T-3` (SEQ ID NO: 11)

상기 (a) 단계에서 PCR 증폭은 바람직하게는 94℃에서 20초, 58℃에서 20초, 그리고 72℃에서 30초를 27회 (모근 유래 DNA의 경우) 또는 25회 (혈액 유래 DNA의 경우) 수행할 수 있다.PCR amplification in step (a) is preferably performed 27 times (for hair root-derived DNA) or 25 times (for blood-derived DNA) for 20 seconds at 94 ° C, 20 seconds at 58 ° C, and 30 seconds at 72 ° C. Can be done.

상기 (b) 단계에서 단백질분해효소는 Taq DNA 폴리머라제(Polymerase)의 활성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프로테인아제 케이(proteinase K), 프로테인아제 에이(proteinase A), 프로테인아제 비(proteinase B), 프로테인아제 씨(proteinase C) 등을 사용할 수 있다.Proteolytic enzyme in step (b) may be proces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the activity of Taq DNA polymerase (Polymerase). Examples of the proteas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roteinase K, proteinase A, proteinase B, proteinase C, and the like. have.

상기 (c) 단계에서 형광물질이 결합된 프라이머는 KIT 유전자의 중복중지점을 기초로 하여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통 프라이머(BPT_Com)로서 중복중지점으로부터 ―24th 뉴클레오타이드에서 ―1st 자리까지의 염기를 포함한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과 중복(BPT1)과 정상적인 복제(BPT2)를 위한 각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를 각각 설계하여 이를 사용하였다.Primer conjugated with the fluorescent material in step (c) can be designed based on the overlapping point of the KIT gen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primer (BPT_Com) has a bas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4 including a base from -24 th nucleotide to -1 st position from the overlapping point, and duplicates (BPT1) and normal replication ( Each reverse primer (SEQ ID NO: 5 and SEQ ID NO: 6) for BPT2) was designed and us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프라이머 중 BPT_Com의 5' 말단은 플루오레세인 (fluorescein)으 로 표지하고, BPT1과 BPT2의 5' 말단에는 포스페이트 그룹 (phosphate group)을 첨가하였다. 또한, 두 개의 qOLA 산물을 구별하고 크기 (size) 구별 단계에서 사용되지 않은 프라이머의 피크로부터 떨어져있게 하기위해 BPT1과 BPT2의 3' 말단에 (dA)10 와 (dA)15 를 첨가하였다.In addition, the 5 'end of the BPT_Com in the primer was labeled with fluorescein (fluorescein), phosphate group (phosphate group) was added to the 5' end of BPT1 and BPT2. In addition, (dA) 10 and (dA) 15 were added to the 3 'ends of BPT1 and BPT2 to distinguish the two qOLA products and to separate them from the peaks of the primers not used in the size differentiation step.

상기 (c) 단계에서 증폭은 94℃에서 30초와 50℃에서 1분 30초를 10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plification in the step (c) is preferably performed by repeating 30 seconds at 94 ℃ and 1 minute 30 seconds at 50 10 times.

상기 (c) 단계에서 KIT 좌위와 연관된 중복중지점에서 발생하는 유전자 중복(C/G)의 복제수 변이는 리가아제 (ligase)를 이용하여 플루오레세인 (fluorescein)으로 표지한 BPT_Com 프라이머의 3' 말단에 포스페이트 그룹 (phosphate group)을 첨가한 BPT1과 BPT2 프라이머가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 (phosphodiester bond)을 하도록 하여 결합된 부위를, 시퀀서 (sequencer, ABI3100)를 이용하여 중복된 유전자와 정상적인 유전자를 염기 길이 (base length)의 차이로 구별 후 중복된 유전자의 값을 전체 (중복+정상) 값으로 나누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In the step (c),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gene duplication (C / G) occurring at the overlapping point associated with the KIT locus is 3 ′ of the BPT_Com primer labeled with fluorescein using a ligase. BPT1 and BPT2 primers with a phosphate group added to their ends are used for phosphodiester bonds, and a sequence length of the overlapped gene and a normal gene using a sequencer (ABI3100) is used. It can be determin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of (base length)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overlapping gene by the total (duplicate + normal) value.

상기 본 발명에 따른 qOLA_CNV의 정밀성 및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존의 파이로시퀀싱 분석법과 비교한 결과 표준곡선의 경우 qOLA_CNV와 Pyro_CNV 모두 좋은 선형성을 보였으나, 전반적인 Pyro_CNV에서 bias의 RMS (5.05) 및 SD (1.04)가 qOLA_CNV의 2.09와 0.45에 비하여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이 종래의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에 비해 보다 더 정밀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yro sequencing method to verify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qOLA_CN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ard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in both qOLA_CNV and Pyro_CNV, but the RMS (5.05) and SD ( 1.04) was found to be more than twice as high as 2.09 and 0.45 of qOLA_CNV (see Example 5). Thu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cise than the conventional pyrosequencing analysis.

특히, 본 발명의 qOLA_CNV는 높은 복제 수 (> 4 per diploid genome) 의 KIT 중복을 탐지하기위해 더 정확한 분석력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qOLA_CNV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re accurate analysis ability to detect KIT duplication of high replication number (> 4 per diploid genome).

한편, 본 발명자들은 계통 정보가 없는 개체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위하여 선택적 스플라이싱 (splicing) 지역에서 발생하는 점 돌연변이 (point mutation)를 이용하였다. 즉, 중복중지점을 포함하고 있는 L1MC1/L1ME1 지역에서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 변이를 탐지하기 위해서 상술한 qOLA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KIT 유전자의 선택적 스플라이싱 (splicing) 지역에서 스플라이스 (splice) 형태의 복제수 변이를 탐지하기 위해서 기존에 보고 된 파이로시퀀싱 분석 방법 (Pielberg, G. et al., Genetics ., 160:305-3, 2002)을 이용하였다. On the other hand, we used a point mutation that occurs in the selective splicing region for high reliability for individuals without lineage information. That is, the above-described qOLA assay was used to detect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KIT gene duplication in the L1MC1 / L1ME1 region including the overlapping point, and the splice in the selective splicing region of the KIT gene. The previously reported pyro sequencing analysis method (Pielberg, G. et al., Genetics ., 160: 305-3, 2002) was used to detect the copy number vari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a) 분석하고자 하는 핵산 시료를 KIT 유전자의 스플라이싱 변이 지역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증폭하는 단계;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CR amplifying a nucleic acid sample to be analyzed using a primer specific for the splicing mutation region of the KIT gene;

(b) 상기 (a) 단계의 PCR 산물을 대상으로 파이로시퀀싱 분석을 수행하여 KIT 좌위의 스플라이싱 돌연변이의 복제수 변이(copy number variation)를 측정하는 단계; 및(b) measuring a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splicing mutation of the KIT locus by performing a pyro sequencing analysis on the PCR product of step (a); And

(c) 상기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KIT 좌위와 연관된 중복중지점에서 발생하는 유전자 중복(C/G)의 복제수 변이와 상기 (b) 단계에서 측정된 스플라이싱 돌연변이의 복제수 변이를 상호 비교하여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복제수 변이 정량방법을 제공한다.(c) copy number variation of gene duplication (C / G) occurring at the overlapping point associated with the KIT locu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laim 1 and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splicing mutation measured in step (b) It provides a method for quantifying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pig groping-related KIT gene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and comparing each other.

상기 (a) 단계에서 KIT 유전자의 스플라이싱 변이 지역은 상기 유전자의 엑손17과 인트론17 사이를 말한다(Marklund, S. et al., Genome Res., 8:826-833, 1998). 상기 지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splicing mutation region of the KIT gene in step (a) refers to between exon 17 and intron 17 of the gene (Marklund, S. et al., Genome Res ., 8: 826-833, 1998). Primers capable of specifically amplifying the region may b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hereto,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9 and SEQ ID NO: 10.

상기 (b) 단계에서 스플라이싱 돌연변이는 바람직하게는 KIT 유전자의 인트론 17의 첫번째 염기가 구아닌(G)에서 아데닌(A)으로 치환된 것을 말한다.The splicing mutation in step (b) preferably means that the first base of intron 17 of the KIT gene is replaced with adenine (A) in guanine (G).

상기 (b) 단계에서 스플라이싱 돌연변이의 복제수 변이는 프로브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파이로시퀀싱 후 아데닌(A)과 구아닌(G)의 전체 면적에서 아데닌의 면적비율을 구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splicing mutation in step (b)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area ratio of adenine in the total area of adenine (A) and guanine (G) after pyro sequencing using a probe primer.

상기 (c)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qOLA 분석법에 의해 측정된 KIT 유전자 중복의 복제수 변이와 상기 파이로시퀀싱에 의해 측정된 KIT 유전자의 선택적 스플라이스 (splice) 형태의 복제수 변이를 조합하여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복제수 변이를 정량한다.In the step (c), pig groping is performed by combining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KIT gene duplication measured by the qOLA ass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elective splice form variation of the KIT gene measured by the pyro sequencing. Quantify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relevant KIT gene.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정량된 KIT 유전자의 복제수 변이에 의해 유전자형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genotyping of a pig hunt-related KIT ge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otype is separated by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KIT gene quantified by the above method.

상기 유전자형 분리는 관측된 특징들의 그룹핑 (grouping)을 바탕으로 한 좌표 분석의 분류와 근접 중심 소팅(nearest centroid sorting)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genotyping may be performed by statistical analysis using a classification of coordinate analysis based on grouping of observed features and a method of nearest centroid sor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qOLA_CNV 및 스플라이싱 형태인 KIT 복제의 양적 분석을 위한 파이로시퀀싱 분석(Pyro_Splice) 방법을 조합하여 계통 정보가 있는 145두 F1의 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하였다(실시예 7 참조).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otyping of 145 two F 1 with lineage information was performed by combining qOLA_CNV and Pyro_Splice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splicing forms of KIT replication (Example 7) Reference).

그 결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KIT 유전자형 (genotype)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5참조). 이러한 결과는 qOLA_CNV와 Pyro_Splice의 조합을 바탕으로 한 유전자형 분리 방법을 높은 신뢰성과 계통 정보가 없는 임의의(random) 집단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KIT It was confirmed that genotypes can be accurately classified (see Table 2 and FIG. 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genotyping metho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can be applied to random populations without high reliability and systematic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qOLA_CNV 및 Pyro_Splice 방법을 조합하여 임의로 선택된 100두의 상업돈 및 159두의 라아지 화이트 돈(Large White pigs)의 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하였다(실시예 8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의 방법은 이론적인 유전자형과 완전히 일치하는 진단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모근으로부터 유래된 DNA에 대해서도 민감하여 어떤 DNA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6 및 표 3 참조).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genotyping of 100 commercial pigs and 159 large white pigs randomly selected by combining qOLA_CNV and Pyro_Splice methods (see Example 8). . As a resul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diagnostic result that wa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genotype. 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ensitive to the DNA derived from the hair roo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applied to any DNA (see Fig. 6 and Table 3).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임의로 선택된 100두의 상업돈(CP)과 159두의 라아지 화이트돈(LW)에 대해 qOLA_CNV 또는 Pyro_CNV를 수행하고, 상기 두 방법을 비교하였다(실시예 9 참조). 그 결과, Pyro_CNV의 변이계수 값이 qOLA_CNV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표 4 참조). 또한 159두의 LW의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qOLA_CNV는 유전자형 분석에 있어서 명확한 결과를 보인 반면에, Pyro_CNV의 데이터는 많은 변이 (CV 범위: 7.3 ― 15.3%)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qOLA_CNV가 Pyro_CNV보다 분석능이 더 우수하고 정확함을 알 수 있었다.Furthermore, the inventors performed qOLA_CNV or Pyro_CNV on 100 randomly selected commercial pigs (CP) and 159 lazi white pigs (LW) and compared the two methods (see Example 9). As a resul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Pyro_CNV was more than twice higher than qOLA_CNV (see Table 4). The genotyping of 159 LW genotypes showed that qOLA_CNV showed clear results in genotyping, whereas the data of Pyro_CNV had many variations (CV range: 7.3-15.3%). Therefore, qOLA_CNV is better and more accurate than Pyro_CNV.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KIT 유전자 복제수 변이의 정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KIT 유전자 중복 상태의 탐지와 유전자형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antify KIT gene copy number variation more accurately and precise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for detecting KIT gene duplication status and genotyping. .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실험동물 및 DNA 시료의 추출Extraction of Laboratory Animals and DNA Samples

재래돈 (Korean native pig)과 렌드레이스 돈 (Landrace)을 상호교배 한 145두 F1KIT 대립인자 (allele)를 분리 분석하여 qOLA_CNV의 신뢰도 증명에 이용하였다. 또한, 듀록 (Duroc), 렌드레이스 (Landrace) 및 라아지 화이트 (Large White; LW) 종을 이용하여 3원교잡한 100두의 상업돈 (CP)을 무작위로 선발한 것과 159두의 LW를 대상으로 KIT CNV 실험을 하였으며 KIT 좌위에 대한 유전자형 (genotype) 분석을 하였다. The KIT alleles of 145 two F 1 , which crossed Korean native pigs and Rendezvous crosses, were isolated and used to prove the reliability of qOLA_CNV. In addition, we randomly selected 100 commercial pigs (CP) with ternary crosses and 159 LWs using Duroc, Landrace and Large White (LW) species. KIT CNV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genotyp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KIT locus.

F1과 CP의 혈액으로부터 레드 셀 라이시스-프로테인아제 케이 방법 (red cell lysis-proteinase K, Miller, SA. et al., Nucleic Acids Res, 16:12, 1988)으로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LW의 경우 LW 모근 DNA를 5% Chelex (Walsh, PS. et al., Biotechniques , 10:506-5, 1991)를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혈액에서 회수한 DNA는 TE 버퍼 (pH 8.0)에 용해하여 이용하였고, 모근 DNA는 그대로 PCR 주형가닥으로 이용하였다.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blood of F 1 and CP by the red cell lysis-proteinase K method (red cell lysis-proteinase K, Miller, SA. Et al., Nucleic Acids Res, 16:12, 1988). For LW, LW hair root DNA was prepared using 5% Chelex (Walsh, PS. Et al., Biotechniques , 10: 506-5, 1991). DNA recovered from the blood was dissolved in TE buffer (pH 8.0) and the hair root DNA was used as a PCR template strand.

<실시예 2><Example 2>

KITKIT 중복의 분석에 이용한 프라이머의 특이성 확인 Confirmation of specificity of primers used for analysis of duplication

본 발명에서는 KIT CNV의 분석을 위해 이전에 보고 된 PCR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Pielberg, G. et al., Genome Res ., 13:2171-217, 2003). 프라이머 서열은 반복되는 L1MC1L1ME1에 위치하는 KIT 중복중지점에서 선택되었다 (도 2의 a 참조). 정방향 프라이머 (KITBPF)(서열번호 1)는 L1MC1 서열과 80%의 서열 동일성을 보였으며, 정상적인 CNV를 위한 KIT1BPR (서열번호 2)과 중복된 CNV를 위한 KIT2BPR (서열번호 3) 역방향 프라이머는 L1MC1L1ME1에서 63.2%와 94.7%의 서열 동일성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결론적으로 PCR 증폭 산물이 부분적으로 다른 게놈 지역의 비 특이적인 것들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라는 의문을 일으키게 한다. PCR 프라이머의 특이성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양적 분석을 하기 전에 벡터들로부터 형성된 패널에서 27개의 하이브리드 클론들을 체세포 하이브리드 패널 맵핑(Somatic cell hybrid panel mapping)법으로 분석하였다(Yerle, M. et al., Cytogenet Cell Genet, 73:194-2, 1996).In the present invention, previously reported PCR primers were used for analysis of KIT CNV (Pielberg, G. et al., Genome Res . , 13: 2171-217, 2003). The primer sequence was selected at the KIT overlap point located at the repeating L1MC1 and L1ME1 (see a in FIG. 2). Forward primer (KITBPF) (SEQ ID NO: 1) showed 80% sequence identity with the L1MC1 sequence, and KIT1BPR (SEQ ID NO: 2) for normal CNV and KIT2BPR (SEQ ID NO: 3) reverse primer for overlapping CN1 with L1MC1 L1ME1 showed 63.2% and 94.7% sequence identity. This feature, in turn, raises the question that PCR amplification products may contain partially nonspecific ones in other genomic regions. To solve the question of the specificity of PCR primers, 27 hybrid clones were analyzed by somatic cell hybrid panel mapping in a panel formed from vectors before quantitative analysis (Yerle, M. et al. , Cytogenet Cell Genet , 73: 194-2, 1996).

패널 안 교차 클론들의 PCR 반응은 전체 25㎕ 부피에 25ng 주형가닥 DNA, 1ㅧ 반응 버퍼, 20pmol의 각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KITBPF와 KIT1BPR; KITBPF와 KIT2BPR), 100 uM dNTPs 및 5unit Taq DNA 폴리머라제 (GenetBio, Korea)를 첨가하였다. PCR 결과는 INRA (http://www.toulouse.inra.fr/lgc/pig/pcr/pcr.htm)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CR reaction of panel not cross clone 25ng template strand to full volume 25㎕ DNA, 1 ㅧ reaction buffer, each of forward and reverse primers of 20pmol (KITBPF and KIT1BPR; KITBPF and KIT2BPR), 100 u M dNTPs, and Taq DNA polymerase 5unit (GenetBio, Korea) was added. PCR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INRA (http://www.toulouse.inra.fr/lgc/pig/pcr/pcr.htm) web page.

실험 결과, 정상적인 복제의 01000 11101 11000 11000 01000 10과 중복된 복제의 00000 11101 11010 11000 01000 10. 정상적인 복제와 중복된 복제의 위치는 사용된 primer set의 비 특이적 증폭을 나타내는 KIT 좌위 (assignment probability/correlation: 정상에 대해 0.8789/0.9250 그리고 중복된 것에 대해 0.8791/0.9250)가 존재하는 SSC8p11에서 선정되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라이머 세트는 선명하고 정확한 증폭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01000 11101 11000 11000 01000 10 of normal replication and 00000 11101 11010 11000 01000 of duplicated replication 10. KIT locus indicating the nonspecific amplification of the primer set used (assignment probability / correlation: SSC8p11 with 0.8789 / 0.9250 for normal and 0.8791 / 0.9250 for duplicate) was selected. As shown in Figure 3, the primer set was confirmed to be clear and accurate amplification.

<실시예 3><Example 3>

KITKIT 중복을 분석하기 위한 qOLA (qOLA_CNV) QOLA (qOLA_CNV) for resolving duplicates

<3-1> qOLA_CNV를 위한 프라이머의 설계<3-1> Design of primer for qOLA_CNV

KIT 중복을 분석하기 위한 qOLA를 수행하기 위해 qOLA_CNV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도 2의 b). 공통 프라이머 (BPT_Com: 5'-Fluorescein- GGC TAC ATA CTG TAT GAT TCC AA -3', 서열번호 4)의 범주는 중복중지점으로부터 ―24th 뉴클레오타이드에서 ―1st 자리까지이다. 중복과 정상적인 복제를 위한 각 역방향 프라이머(BPT1: 5'-Phosohate-GGG TCA TGG CTT GAA AAA GAA AAA AAA AAA-3', 서열번호 5 및 BPT2: 5'-Phosphate-CGA TAT GAC ATT CTG GAA ATA AAA AAA AAA AAA AA-3', 서열번호 6)는 중복중지점에서 설계되었다. QOLA_CNV primers were designed to perform qOLA to analyze KIT duplication (FIG. 2B). The category of consensus primers (BPT_Com: 5'-Fluorescein-GGC TAC ATA CTG TAT GAT TCC AA-3 ', SEQ ID NO: 4) ranges from -overlap to -1 st position in -24 th nucleotides. Each reverse primer for duplication and normal replication (BPT1: 5'-Phosohate-GGG TCA TGG CTT GAA AAA GAA AAA AAA AAA-3 ', SEQ ID NO: 5 and BPT2: 5'-Phosphate-CGA TAT GAC ATT CTG GAA ATA AAA AAA AAA AAA AA-3 ', SEQ ID NO: 6) was designed at the point of overlap.

BPT_Com의 5' 말단은 플루오레세인 (fluorescein)으로 표지하고, BPT1과 BPT2의 5' 말단에는 포스페이트 그룹 (phosphate group)을 첨가하였다. 또한, 두 개의 qOLA 산물을 구별하고 크기 (size) 구별 단계에서 사용되지 않은 프라이머의 피크로부터 떨어져있게 하기위해 BPT1과 BPT2의 3' 말단에 (dA)10 와 (dA)15 를 첨가하였다.The 5 'end of BPT_Com was labeled with fluorescein, and phosphate groups were added to the 5' ends of BPT1 and BPT2. In addition, (dA) 10 and (dA) 15 were added to the 3 'ends of BPT1 and BPT2 to distinguish the two qOLA products and to separate them from the peaks of the primers not used in the size differentiation step.

<3-2> qOLA-CNV<3-2> qOLA-CNV

PCR은 20ng 게놈 DNA, 10pmol KITBPF (서열번호 1) 및 테일 프라이머 (tail primer), 0.1pmol의 테일 프라이머(tail primer) 결합 위치를 포함하는 각 역전사 프라이머 KIT1BPR (서열번호 2) 또는 KIT2BPR (서열번호 3), 200uM dNTPs, 1ㅧ 반응 버퍼 및 2.5unit Taq 폴리머라제 (GenetBio, Kore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열 조건은 94℃에서 20초, 58℃에서 20초, 그리고 72℃에서 30초를 27회 (모근 유래 DNA의 경우) 또는 25회 (혈액 유래 DNA의 경우)를 반복하였다. PCR was performed on each reverse transcription primer KIT1BPR (SEQ ID NO: 2) or KIT2BPR (SEQ ID NO: 3) containing 20 ng genomic DNA, 10 pmol KITBPF (SEQ ID NO: 1) and tail primer, 0.1 pmol tail primer binding site. ), 200 u M dNTPs, 1 μs reaction buffer and 2.5 unit Taq polymerase (GenetBio, Korea). Thermal conditions were repeated 27 times (for hair root-derived DNA) or 25 times (for blood-derived DNA) for 20 seconds at 94 ° C, 20 seconds at 58 ° C, and 30 seconds at 72 ° C.

상기에서 수득한 각 PCR 산물에 프로테인아제 케이(Proteinase K)를 최종 농도 10ug/㎕가 되도록 첨가하고 55℃에서 40분 동안 반응시켰다. To each PCR product obtained above, Proteinase K was add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0 u g / μl and reacted at 55 ° C for 40 minutes.

qOLA는 상기에서 프로테인아제 케이로 처리한 PCR 산물 1㎕, 1ㅧ 반응 버퍼, 1.5unit Ampligase (EPICENTRE, USA), 1pmol BPT_Com (서열번호 4) 그리고 0.5pmol의 BPT1 프라이머 (서열번호 5) 또는 BPT2 프라이머 (서열번호 6)가 포함된 10㎕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qOLA의 열 조건은 94℃에서 30초와 50℃에서 1분 30초를 10회 반복하였다. 그 다음 10㎕의 탈이온 포름아미드 (deionize formamide)를 첨가하고 이를 ABI 프리즘 3100 제네틱 분석기(ABI Prism 3100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 USA)로 분석하였다. 피크에 상응하는 높이와 면적의 분석에는 진스캔 소프트웨어 버전 2.1(GeneScan software version 2.1, Applied Biosystems, USA)을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과 기초적인 통계 계산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프로그램(Microsoft,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qOLA is a PCR product treated with proteinase K, 1 μl, 1 μs reaction buffer, 1.5 unit Ampligase (EPICENTRE, USA), 1 pmol BPT_Com (SEQ ID NO: 4) and 0.5 pmol BPT1 primer (SEQ ID NO: 5) or BPT2 primer It was carried out using a 10 μl mixture containing (SEQ ID NO: 6). The thermal conditions of qOLA were repeated 10 times for 30 seconds at 94 ℃ and 1 minute 30 seconds at 50 ℃. 10 μl of deionize formamide was then added and analyzed by ABI Prism 3100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 USA. GeneScan software version 2.1 (Applied Biosystems, USA) was used to analyze the height 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peaks. Data collection and basic statistical calc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a Microsoft Excel program (Microsoft, USA).

상기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3의 두쌍의 프라이머 세트로 증폭된 각각의 PCR 산물을 pGEM-T 벡터 (Stratagen, USA)를 이용하여 클론을 제조하였다. 클론의 증폭산물을 M13 정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7) 및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8)를 이용하여 다시 증폭하였으며, 정제하여 중복된 복제 및 정상적인 복제를 0%에서 100%까지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qOLA_CNV는 4반복의 PCR을 수행하였고, 피크의 높이와 면적에 대한 두개의 표준곡선(standard curve)을 추정하였다(도 4의 a 및 b). 높이와 면적 모두 표준곡선에서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0.999로서, 매우 좋은 선형성을 나타냈다. Clones were prepared using the pGEM-T vector (Stratagen, USA) of each PCR product amplified by the two sets of primers SEQ ID NO: 1 and SEQ ID NO: 2, SEQ ID NO: 1 and SEQ ID NO: 3. The amplification products of the clones were amplified again using M13 forward primer (SEQ ID NO: 7) and reverse primer (SEQ ID NO: 8), and purified to dilute duplicate and normal replication sequentially from 0% to 100%. qOLA_CNV performed 4 repetitive PCRs and estimated two standard curves for the height and area of the peak (a and b of FIG. 4). In both the height and area,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99 in the standard curve, indicating a very good linearity.

상관계수는 단지 표준곡선의 선형성만을 나타낸 것으로 정밀성 및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 RMS) 및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를 비교하였다. 기준 비율의 치우친 량을 의미하는 RMS 그리고 기준점 복제 시 변이량을 의미하는 SD는 예상한 것과 맞는 관측치 데이터를 상관계수 보다 더 잘 찾아내는 적정한 지표이다. TqOLA_CNV에서 피크 높이의 기대치가 기준 값에 더 잘 맞고, 가장 낮은 변이를 보였다(표 1). 특히 전체에서 4개 이상의 KIT 복제를 가지는 개체를 정확히 유전자형 분석 (genotyping)하기 위한 정량 분석에는 표준곡선의 의 60%와 90% 사이의 구역에서 더 정확한 분석법이 필요하다. qOLA_CNV에서 피크 면적은 60%와 90% 사이의 구역에서 편향 (bias)의 RMS와 SD가 각각 2.21과 1.17로 나타났다. 반면에 qOLA_CNV에서 피크 높이는 같은 구역에서 0.86과 0.51로 나타났다. Correlation coefficients only show the linearity of the standard curve. To compare precision and accuracy, the root mean square (RMS) and standard deviation (SD) were compared. RMS, which represents the bias of the baseline ratio, and SD, which represents the amount of variation in baseline replication, are a good indicator of finding observation data that match the expectations better tha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expected peak height in TqOLA_CNV fits better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showed the lowest variation (Table 1). In particular, quantitative analysis for accurate genotyping of individuals with four or more KIT copies in their entirety requires more accurate assays in the region between 60% and 90% of the standard curve. For qOLA_CNV, the peak areas were 2.21 and 1.17 for bias and RMS, respectively, in the region between 60% and 90%. On the other hand, the peak heights in qOLA_CNV were 0.86 and 0.51 in the same zone.

<실시예 4><Example 4>

KITKIT 중복을 분석하기 위한 파이로시퀀싱(pyrosequencing, Pyro_CNV) Pyrosequencing (Pyro_CNV) to analyze redundancy

KIT CNV의 정량 분석을 위한 PCR과 파이로시퀀싱은 파이로마크 MD(PyroMark MD, Biotage, Sweden)을 이용하여 이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Pielberg, G. et al., Genome Res., 13:2171-217, 2003).PCR and pyro sequencing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KIT CNV were performed according to previously known methods using PyroMark MD (PyroMark MD, Biotage, Sweden) (Pielberg, G. et al., Genome Res. , 13: 2171-217, 2003).

<실시예 5>Example 5

qOLA_CNV 및 파이로시퀀싱에 의한 표준곡선의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 of Standard Curves by qOLA_CNV and Pyro Sequencing

실시예 3에서 수행한 qOLA_CNV와 실시예 4에서 수행한 Pyro_CNV를 비교하였다. qOLA_CNV에 이용된 순차적으로 희석한 것을 Pyro_CNV의 표준곡선 추정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Pyro_CNV의 표준곡선은 좋은 선형성(상관계수 0.995)을 나타냈 다(도 4의 c). 그러나, 전반적인 Pyro_CNV 편향(bias)의 RMS (5.05) 및 SD (1.04)가 qOLA_CNV의 피크 높이 (2.09와 0.45)와의 비교에서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표 1). 따라서, qOLA_CNV의 피크 높이를 이용한 돼지 KIT의 CNV 추정이 Pyro_CNV에 비해 시스템적 에러(error)와 변이가 보다 더 낮음을 알 수 있었다(도 4의 d).Performed in Example 3 qOLA_CNV and Pyro_CNV performed in Example 4 were compared. The serial dilutions used for qOLA_CNV were used to estimate the standard curve of Pyro_CNV. As a result, the standard curve of Pyro_CNV showed good linearity (correlation coefficient 0.995) (FIG. 4C). However, the RMS (5.05) and SD (1.04) of the overall Pyro_CNV bias were more than doubled in comparison with the peak heights (2.09 and 0.45) of qOLA_CNV (Table 1).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NV estimation of the pig KIT using the peak height of qOLA_CNV is lower than the Pyro_CNV system error and variation (Fig. 4d).

표준곡선의 편향, 표준편차, RMS를 비교한 결과Comparison of deflection, standard deviation, and RMS of the standard curve Referencea (%)Reference a (%) |Bias| of qOLA_CNV (Height)| Bias | of qOLA_CNV (Height) SD of qOLA_CNV (Height)SD of qOLA_CNV (Height) |Bias| of qOLA_CNV (Area)| Bias | of qOLA_CNV (Area) SD of qOLA_CNV (Area)SD of qOLA_CNV (Area) |Bias| of Pyro_CNV| Bias | of Pyro_CNV SD of Pyro_CNVSD of Pyro_CNV 00 00 00 00 00 3.643.64 0.380.38 1010 1.551.55 0.510.51 1.911.91 0.240.24 1.131.13 1.301.30 2020 3.433.43 0.420.42 3.673.67 0.460.46 5.875.87 0.310.31 3030 4.014.01 0.560.56 3.313.31 0.930.93 4.484.48 0.690.69 4040 3.093.09 0.310.31 1.921.92 1.081.08 7.177.17 1.041.04 5050 2.322.32 0.580.58 3.403.40 1.951.95 7.487.48 1.491.49 6060 1.271.27 0.610.61 1.651.65 1.321.32 5.235.23 0.970.97 7070 0.510.51 0.330.33 2.072.07 0.930.93 3.753.75 0.930.93 8080 0.560.56 0.720.72 2.912.91 1.341.34 1.041.04 0.920.92 9090 0.870.87 0.130.13 2.012.01 1.031.03 3.623.62 1.811.81 100100 00 00 00 00 6.986.98 0.520.52 RMS1b RMS1 b 2.092.09 0.450.45 2.162.16 1.031.03 5.055.05 1.041.04 RMS2c RMS2 c 0.850.85 0.510.51 2.212.21 1.171.17 3.733.73 1.211.21

a: 도 4의 X축에서 복제된 카피의 기대치로서 기술된 표적값a: target value described as expected of replicated copy on X axis of FIG. 4

b: 전체 RMSb: total RMS

c: 60-90% 사이 영역의 RMSc: RMS of area between 60-90%

<실시예 6><Example 6>

스플라이스 (Pyro_Splice) 형태의 In the form of a splice (Pyro_Splice) KITKIT 복제에 대한 양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Replication

KIT21과 KIT35 PCR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와 열 조건은 이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Marklund, S. et al., G enome Res 1998, 8:826-8). 열 조건은 94℃에서 20초, 63℃에서 20초, 그리고 72℃에서 30초를 30회 반복하였다.KIT21 and KIT35 PCR primer sets (SEQ ID NO: 9 and SEQ ID NO: 10) and thermal condi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previously known methods (Marklund, S. et al., G enome Res 1998, 8: 826-8). Thermal conditions were repeated 30 times 20 seconds at 94 ℃, 20 seconds at 63 ℃, and 30 seconds at 72 ℃.

정방향 프라이머 KIT21: 서열번호 9Forward primer KIT21: SEQ ID NO: 9

5'-GTA TTC ACA GAG ACT TGG CGG C-3'5'-GTA TTC ACA GAG ACT TGG CGG C-3 '

역방향 프라이머 KIT35: 서열번호 10Reverse primer KIT35: SEQ ID NO: 10

5'-AAA CCT GCA AGG AAA ATC CTT CAC GG-3' 5'-AAA CCT GCA AGG AAA ATC CTT CAC GG-3 '

파이로시퀀싱은 Pielberg et al(Genome Res ., 13:2171-217, 2003)이 기술한대로 수행하였다. 파이로시퀀싱에 사용된 프로브 프라이머 Pielberg et al (Genetics 160: 305-311, January 2002)에 기술(5'-TAA TTA CIT GGT CAA AGG AAA C-3'(I는 이노신(Inosine)으로, 구아닌을 변환한 것이다.))한 바와 같으며, 스트렙타아비딘 비드 (Streptavidin bead, Streptavidin Sepharose High Performance, Amersham), 2X binding buffer 그리고 PCR 증폭 산물을 섞어 진공 조제 (Vacuum Prep)한 후 프로브 프라이머와 어닐링 버퍼(annealing buffer)의 혼합물에 떨어뜨려 80℃에서 2분간 변성(Denaturation) 시켰다. Pyro sequencing is described by Pielberg et al ( Genome Res . 13: 2171-217, 2003). Probe primers used for pyro sequencing Pielberg et al (Genetics 160 : 305-311, January 2002) as described in (5'-TAA TTA CIT GGT CAA AGG AAA C-3 '(I is Inosine, guanine) ), And prepared by vacuum preparation of Streptavidin beads (Streptavidin bead, Streptavidin Sepharose High Performance, Amersham), 2X binding buffer and PCR amplification products, followed by vacuum primer (Vacuum Prep) The mixture was dropped into a mixture of annealing buffer) and denatured at 80 ° C. for 2 minutes.

<실시예 7><Example 7>

qOLA_CNV 및 Pyro_Splice 방법의 조합에 의한 유전자형 분석Genotyping by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methods

KIT 대립유전자(allele)의 분리를 입증하기 위해, 실시예 3에서 수행한 qOLA_CNV와 실시예 6에서 수행한 스플라이스(splice)된 형태인 KIT 복제의 양적 분석을 위한 파이로시퀀싱 분석(Pyro_Splice) 방법을 조합하여 재래돈 (Korean native pig)과 렌드레이스 돈 (Landrace)을 상호교배 한 145두 F1의 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하였다.To demonstrate the isolation of KIT alleles, the Pyro_Splice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qOLA_CNV performed in Example 3 and KIT replication in the spliced form performed in Example 6 Was performed to genotype analysis of 145 two F 1 cross-crossing Korean native pig and Renracedon (Landrace).

qOLA_CNV와 Pyro_Splice 방법의 조합에 의해 부모 세대 집단과 F1 집단의 유전자형을 분석할 수 있었다. 부모 세대 집단의 경우 수컷 8두와 암컷 11두인 19두의 재래돈(korean native) 은 모두 블랙 표현형(Black phenotype)의 동형접합체 i/i을 보유하였으나, 수컷 8두와 암컷 9두의 17두의 렌드레이스(Landrace)는 화이트 표현형(White phenotype)의 3가지 다른 유전자형(genotype)인 I 1 , I 2 그리고 i 대립유전자(allele)의 조합을 보유하였다 (도 5의 a). F1 집단은 부모로부터 유전된 대립유전자의 조합인 이형접합체 I 1 /iI 2 /i 그리고 동형접합체 i/i의 3가지 유전자형을 보유하였다 (도 5의 b). The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methods could be used to analyze the genotypes of the parent generation and F 1 populations. In the parent generation group, 19 Korean natives (8 males and 11 females) all had black phenotype homozygotes i / i , but 17 males (8 males and 9 females). Lendace possessed a combination of three different genotypes, the I 1 , I 2 and i alleles of the White phenotype (FIG. 5 a). The F 1 population possessed three genotypes of heterozygotes I 1 / i and I 2 / i and homozygotes i / i , which are combinations of alleles inherited from the parent (FIG. 5 b).

유전자형 분리를 위해 관측된 특징들의 그룹핑 (grouping)을 바탕으로 한 좌표분석의 분류와 SAS 소프트웨어의 PROC FASTCLUS 절차(procedure)의 근접 중심 소팅(nearest centroid sorting)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통계분석은 이론적인 유전자형의 스플라이스와 중복 비율을 12종류의 씨드(seed)로 정하고, 관측치를 유클리드 (Euclidean) 거리를 바탕으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부류로 지정하여, 그 부류를 중심의 분류 표시와 같이 표지하였다.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lassification of coordinate analysis based on grouping of observed features for genotyping and the nearest centroid sorting method of the PROC FASTCLUS procedure of SAS software. In other words, the statistical analysis sets the theoretical genotype splice and the overlapping rate to 12 kinds of seeds, assigning observations to the nearest class based on Euclidean distance, and classifying the class as the center class. Labeled as indicated.

유전자형 분석 결과 좌표분석 분류와 통계분석 분류 방법이 100%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론적인 유전자형 비율 (표 2)과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F1의 대립유전자들은 각 부모 세대의 렌드레이스 유전자형으로부터 정확하게 분리되었고, 이론적인 비율과 일치하는 판정 가능한 비율에서 클로스터 (cluster)되었다(도 5의 c 및 d). 이러한 결과는 qOLA_CNV와 Pyro_Splice의 조합을 바탕으로 한 유전자형 분리 방법을 높은 신뢰성과 계통 정보가 없는 임의의(random) 집단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As a result of genotyping, the coordinate analysis classification method and statistical analysis classification method were found to be 100% identical, and the same as the theoretical genotype ratio (Table 2). Alleles of F 1 were correctly isolated from the lendace genotype of each parental generation and clustered at a determinable proportion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ratio (c and d in FIG. 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genotyping metho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can be applied to random populations without high reliability and systematic information.

스플라이싱 돌연변이 및 중복 특징을 이용한 KIT 좌위의 이론적 유전형Theoretical Genotype of KIT Locus Using Splicing Mutations and Duplicate Features Genotypesa Genotypes a Numbers of splice/normalNumbers of splice / normal Ratios of splice (%)Ratios of splice (%) Copy numbers of duplication/normal (total copy numbers)Copy numbers of duplication / normal (total copy numbers) Ratios of duplication (%)Ratios of duplication (%) Seed No.b Seed No. b i/i(I Be ) i / i ( I Be ) 0/20/2 00 0/2(2)0/2 (2) 00 1One I P /i(I Be ) I P / i ( I Be ) 0/30/3 00 1/2(3)1/2 (3) 33.333.3 22 II PP /I/ I PP 0/40/4 00 2/2(4)2/2 (4) 5050 33 II 22 /I/ I PP 1/41/4 2020 3/2(5)3/2 (5) 6060 44 II 1One /I/ I PP 1/31/3 2525 2/2(4)2/2 (4) 5050 55 I 2 /i(I Be ) I 2 / i ( I Be ) 1/31/3 2525 2/2(4)2/2 (4) 5050 55 I 1 /i(I Be ) I 1 / i ( I Be ) 1/21/2 33.333.3 1/2(3)1/2 (3) 33.333.3 66 II 22 /I/ I 22 2/42/4 33.333.3 4/2(6)4/2 (6) 66.766.7 77 II 1One /I/ I 22 2/32/3 4040 3/2(5)3/2 (5) 6060 88 II 33 /I/ I PP 2/32/3 4040 3/2(5)3/2 (5) 6060 88 II 1One /I/ I 1One 2/22/2 5050 2/2(4)2/2 (4) 5050 99 I 3 /i(I Be ) I 3 / i ( I Be ) 2/22/2 5050 2/2(4)2/2 (4) 5050 99 II 22 /I/ I 33 3/33/3 5050 4/2(6)4/2 (6) 66.766.7 1010 II 1One /I/ I 33 3/23/2 6060 3/2(5)3/2 (5) 6060 1111 II 33 /I/ I 33 4/24/2 66.766.7 4/2(6)4/2 (6) 66.766.7 1212

a: I L 대립유전자는 포함되지 않으며 유전자형은 스플라이싱 돌연변이의 비율에 의해 정렬되었음.a: The I L allele is not included and genotypes are sorted by the rate of splicing mutations.

b: 통계적인 유전자형 지정에 사용된 중심 계급(class centroids)의 수치임.b: Number of class centroids used for statistical genotyping.

<실시예 8><Example 8>

qOLA_CNV 및 Pyro_Splice 방법의 조합에 의한 상업돈 및 라아지 화이트 돈의 분석Analysis of Commercial and Large White Don by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Methods

qOLA_CNV 및 Pyro_Splice 방법을 조합하여 임의로 선택된 100두의 상업돈 및 159두의 라아지 화이트 돈(Large White pigs)의 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qOLA_CNV 및 Pyro_Splice는 실시예 4 및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A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methods was used to perform genotyping of randomly selected 100 commercial pigs and 159 large white pigs. qOLA_CNV and Pyro_Splice we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and Example 6.

먼저, 100두의 상업돈 (CP)의 경우 종결 부돈 듀록 (Duroc)은 열성 동형접합체 i/i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돈으로 이용한 F1 은 표현형적으로 화이트 (White)이며, 동형접합체 또는 이형접합체 상태의 우성 I 대립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CP는 적어도 듀록으로부터 유전된 하나의 i 대립유전자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qOLA_CNV 및 Pyro_Splice 방법의 조합에 의해 관측된 특징을 4 종류로 그룹핑하였다: I 1 /i, I 2 /i, I P /ii(I Be )/i (도 6의 b). 관측된 특징을 그룹핑한 것과 통계적 클러스터링 한 것이 완벽하게 일치하였다.First, in the case of 100 commercial pigs (CP), the terminating piglet Duroc consists of recessive homozygotes i / i , and F 1 used as sows is phenotypicly white and homozygous or heterozygous. It is assumed to have a dominant I allele of. CP is therefore expected to have at least one i allele inherited from Duroc. The features observed by the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methods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I 1 / i , I 2 / i , I P / i and i (I Be ) / i (FIG. 6B). The grouping of observed features and the statistical clustering were in perfect agreement.

159두의 라아지 화이트 돈의 경우 CP에 비하여 LW에서의 CNV (3~6 복제) 의 범주 가 더 넓을 것이라 예상되었고, 이는 qOLA_CNV 분석의 연장 평가라 할 수 있다. 더욱이, LW DNA는 모근으로부터 준비하였기 때문에 qOLA_CNV의 민감성을 추정할 수 있다. 먼저, 좌표 분석 분류를 수행하였다; LW를 실험에 의해 확보한 데이터의 그룹화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11종의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8 종류로 분류하였다 (도 6의 c).For 159 large white pigs, the category of CNV (3-6 copies) in LW is expected to be wider than CP, which is an extended assessment of the qOLA_CNV analysis. Moreover, since LW DNA was prepared from the hair root, the sensitivity of qOLA_CNV can be estimated. First, coordinate analysis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LW was classified into eight types including eleven genotypes based on grouping characteristics of data obtained by experiments (FIG. 6C).

그 다음에, 분류한 것을 기초로 SAS 소프트웨어의 PROC FASTCLUS 절차(procedure)의 근접 중심 소팅(nearest centroid sorting)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유전자형 분석 방법 모두 두 개체 (IDs:T7183 와 Y4410Q)를 제외하고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T7183 개체는 qOLA_CNV와 Pyro_Splice가 63.4%와 62.9%이며, 점의 좌표가 I 1 /I 3 표준 좌표 (60%와 60%)와 명확히 구분되었다. 그러나 좌표와 I 3 /I 3 중심 (66.7%와 66.7%) 사이의 거리가 4.78로, 좌표와 I 1 /I 3 중심 사이의 4.45보다 조금 더 길었다(표 3).Th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nearest centroid sorting method of the PROC FASTCLUS procedure of SAS software. As a result, both genotyping methods showed the same results except for two individuals (IDs: T7183 and Y4410Q). In T7183 individuals, qOLA_CNV and Pyro_Splice were 63.4% and 62.9%, and the coordinates of the points we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I 1 / I 3 standard coordinates (60% and 60%).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and the I 3 / I 3 centers (66.7% and 66.7%) was 4.78, slightly longer than 4.45 between the coordinates and the I 1 / I 3 centers (Table 3).

159두의 라아지 화이트 돈에 대한 관측치 및 통계치의 비교Comparison of observations and statistics for 159 heads of Raji White Don 4a 4 a 5a 5 a 7a 7 a 8a 8 a 9a 9 a 10a 10 a 11a 11 a II 22 /I/ I PP 6 (8.77%)6 (8.77%) -- -- -- -- -- -- I 1 /I P or I 2 /i(I Be ) I 1 / I P or I 2 / i ( I Be ) -- 12 (7.55)12 (7.55) -- -- -- -- -- II 22 /I/ I 22 -- -- 28 (14.47)28 (14.47) 1One (0.63)(0.63) -- -- -- I 1 /I 2 or I 3 /I P I 1 / I 2 or I 3 / I P -- -- -- 58 (36.4858 (36.48 -- -- -- I 1 /I 1 or I 3 /i(I Be ) I 1 / I 1 or I 3 / i ( I Be ) -- -- -- -- 51 (32.08)51 (32.08) -- -- II 22 /I/ I 33 -- -- -- -- -- 5 (3.14)5 (3.14) -- II 1One /I/ I 33 -- -- -- -- -- -- 2 (1.26)2 (1.26) II 33 /I/ I 33 -- -- -- -- -- -- 1One (0.63)(0.63)

* 관찰된 그룹핑 특징에 의해 지정된 유전자형은 종렬에 나타내었고 통계 분석을 위한 중심 계층(class centroids)의 수는 횡렬에 나타내었다. The genotypes designated by the observed grouping features are shown in rows and the number of class centroids for statistical analysis is shown in rows.

*두 방법 간의 2개의 불일치된 결과는 이탤릭체 및 굵은 글씨체로 나타내었다.Two mismatched results between the two methods are shown in italics and bold.

a: 각 유전자형의 중심 계층(seed number)의 수 a: number of seed numbers of each genotype

<실시예 9>Example 9

상업돈 및 라아지 화이트 돈의 분석에 있어서 qOLA_CNV 및 Pyro_CNV 의 비교Comparison of qOLA_CNV and Pyro_CNV in the Analysis of Commercial and Large White Money

100두의 상업돈(CP)과 159두의 라아지 화이트돈(LW)에 대해 qOLA_CNV와 Pyro_CNV를 수행하고, 상기 두 방법을 비교하였다. QOLA_CNV and Pyro_CNV were performed on 100 commercial pigs (CP) and 159 ludge white pigs (LW), and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그 결과, 70두 I 1 /i CP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qOLA_CNV의 경우 2.9%이며, Pyro_CNV의 경우 6.9%였다. Pyro_CNV의 CV 값이 qOLA_CNV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표 4). 이는 두 방법에 의한 표준곡선(standard curve)의 비교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경향이다(실시예 5).As a resul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70 head I 1 / i CP was 2.9% for qOLA_CNV and 6.9% for Pyro_CNV. The CV value of Pyro_CNV was more than twice higher than qOLA_CNV (Table 4). This is the same tendency 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e standard curves by the two methods (Example 5).

또한 159두의 LW를 FASTCLUS 절차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씨드(cluster seed) 근처에서 선정된 관측치의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qOLA_CNV는 유전자형 분석에 있어서 명확한 결과를 보인 반면에, Pyro_CNV의 데이터는 많은 변이 (CV 범위: 7.3 ― 15.3%)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qOLA_CNV가 Pyro_CNV보다 분석능이 더 우수하고 정확함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159 heads of LW were analyzed using genotypes of selected observations near the cluster seed using the FASTCLUS procedure, while qOLA_CNV showed clear results in genotyping, whereas Pyro_CNV data showed many variations (CV range). 7.3-15.3%). Therefore, qOLA_CNV is better and more accurate than Pyro_CNV.

상업돈 및 라아지 화이트돈의 유전자형 분석에 있어서 qOLA_CNV, Pyro_CNV 및 Pyro_Splice의 정확성 및 정밀성 비교Comparison of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qOLA_CNV, Pyro_CNV, and Pyro_Splice in Genotyping of Commercial and Lazi Whitedon Breed or Cross (Type of DNA)Breed or Cross (Type of DNA) Estimated Genotype by qOLAEstimated Genotype by qOLA No. of pigsNo. of pigs qOLA (%)qOLA (%) Pyrosequencing (%)Pyrosequencing (%) Expecteda Expected a Observedbd in qOLA_CNVObserved bd in qOLA_CNV CVc CV c Expecteda Expected a Observedbd in Pyro_CNVObserved bd in Pyro_CNV CVc CV c Expecteda Expected a Observedbd in Pyro_SpliceObserved bd in Pyro_Splice CVc CV c 상업돈 (혈액유래 DNA)Commercial money (blood-derived DNA) II 1One /i/ i 7070 33.333.3 33.733.7 2.92.9 33.333.3 31.831.8 6.96.9 33.333.3 35.935.9 2.22.2 II 22 /i/ i 2323 5050 49.449.4 1.81.8 5050 44.744.7 7.27.2 2525 27.727.7 2.62.6 II PP /i/ i 55 33.333.3 34.334.3 nag na g 33.333.3 29.729.7 nana 00 00 nana i(I Be )/i i ( I Be ) / i 33 00 00 nana 00 1.81.8 nana 00 00 nana 라아지 화이트돈 (모근유래 DNA)Lazi Whitedon (hair rooted DNA) I 1 / I 1 or I 3 / i(I Be ) I 1 / I 1 or I 3 / i ( I Be ) 5151 5050 50.750.7 3.43.4 5050 47.147.1 11.711.7 5050 51.451.4 2.12.1 I 1 / I 2 or I 3 / I P I 1 / I 2 or I 3 / I P 5858 6060 58.258.2 3.43.4 6060 54.654.6 15.915.9 4040 41.841.8 2.42.4 I 1 / I P or I 2 /i(I Be ) I 1 / I P or I 2 / i ( I Be ) 1212 5050 51.051.0 3.13.1 5050 47.447.4 7.37.3 2525 27.927.9 3.83.8 II 22 /Of II 22 2424 66.766.7 65.765.7 3.53.5 66.766.7 61.161.1 11.311.3 33.333.3 34.334.3 6.26.2 II 1One /Of II 33 22 6060 57.357.3 nana 6060 58.358.3 nana 6060 61.261.2 nana II 22 /Of II PP 66 6060 59.259.2 nana 6060 52.352.3 nana 2020 22.822.8 nana II 22 /Of II 33 55 66.766.7 64.564.5 nana 66.766.7 60.360.3 nana 5050 50.450.4 nana II 33 /Of II 33 1One 66.766.7 63.463.4 nana 66.766.7 58.758.7 nana 66.766.7 62.962.9 nana

a: 각 유전자형에 상응하는 이론적인 비율 a: theoretical ratio corresponding to each genotype

b: 각 유전자형에 있어서 관찰된 비율의 평균값b: mean value of the ratios observed for each genotype

c: 변이계수. 10개 이상의 유전형을 가진 개체를 포함하는 4개의 유전자형이 분석을 위해 선별됨.c: coefficient of variation. Four genotypes, including individuals with more than 10 genotyp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d: KIT 중복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분석d: Oligonucleotide binding assay for KIT duplication

e: KIT 중복에 대한 파이로시퀀싱 비율e: Pyro Sequencing Rate for KIT Redundancy

f: KT의 스플라이스 돌여변이에 대한 파이로시퀀싱 비율f: Pyro sequencing ratio for splice variation of KT

g: na는 분석되지 않음을 의미함 g: na means not analy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모색 관련 KIT 유전자의 복제수 변이 탐지방법 및 파이로시퀀싱 방법을 비교하여 도식화한 것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of the comparison of the copy number variation detection method and pyro sequencing method of the pig groping-related KIT ge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돼지 KIT 좌위와 중복의 전체적인 모식도(a) 및 중복중지점 주변의 염기서열(b)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the overall schematic diagram (a) of the pig KIT locus and overlap and the base sequence (b) around the overlap point.

도 3은 체세포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PCR 분석 결과이다. 3 is a result of PCR analysis using a somatic cell hybrid panel.

a: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 프라이머 세트의 특이성을 검증하기 위해 체세포 하이브리드 패널 결과이다.a: Somatic hybrid panel results to verify the specificity of the SEQ ID NO: 1 and SEQ ID NO: 2 primer set.

b: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3 프라이머 세트의 특이성을 검증하기 위해 체세포 하이브리드 패널 결과이다. b: Somatic hybrid panel results to verify the specificity of the SEQ ID NO: 1 and SEQ ID NO: 3 primer set.

각 레인의 수치는 체세포 하이브리드 패널에 이용한 클론 (총 27개) 중 PCR 증폭된 클론의 번호를 표기한 것이다.The numbers in each lane indicate the number of PCR amplified clones among the clones (27 total) used in the somatic hybrid panel.

도 4는 qOLA_CNV와 Pyro_CNV의 표준곡선이다.4 is a standard curve of qOLA_CNV and Pyro_CNV.

a, b, c의 X 축: 중복 복제수의 각 기대치들을 표기한 것이다X axis of a, b, c: each expectation of duplicate copies

a와 b의 Y축: qOLA를 수행한 결과 값들로써 a의 Y축은 각 기대치에 대한 qOLA_CNV 관측치 중 피크 높이의 실제 값을 표기한 것이며, b의 Y축은 각 기대치에 대한 qOLA 관측치 중 피크 면적의 실제 값을 표기한 것이다. Y-axis of a and b: As a result of performing qOLA, the Y-axis of a represents the actual value of the peak height among qOLA_CNV observations for each expectation, and the Y-axis of b represents the actual peak area of the qOLA observations for each expectation. It is a value.

c의 Y축: 파이로시퀀싱을 수행한 결과 값들로써 Pyro_CNV의 실제 값을 표기한 것이다. Y-axis of c: The actual values of Pyro_CNV are expressed as the values of the pyro sequencing.

d: 표1의 RMS1을 나타낸 것으로 X축은 |Bias| 값을 Y축은 SD 값을 각각 표기 한 것이다. 즉, X축은 실제적 절대치의 편차를 표기한 것이고 Y는 반복 내의 변이를 표기한 것이다. d: RMS1 of Table 1, where X axis is | Bias | Y-axis represents the SD value. In other words, the X-axis represents the actual absolute deviation and the Y represents the variation in the iteration.

도 5는 KIT 복제 수 분석을 위한 qOLA_CNV와 스플라이싱 형태의 KIT 복제의 양적 분석을 위한 파이로시퀀싱 (Pyro_Splice)을 이용한 KIT 대립유전자의 분리 분석에 의한 유전자형을 분류한 결과이다.FIG. 5 shows genotyping results by separation analysis of KIT alleles using pyro sequencing (Pyro_Splic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qOLA_CNV and splicing forms of KIT replication for KIT replication number analysis.

a 및 b: qOLA 결과(qOLA_CNV)를 X축에 표기하고 파이로시퀀싱 결과(Pyro_Splice)를 Y축에 표기한 것이다. a는 부모돈들의 비율을 b는 자돈들의 비율을 각각 표기한 것이며, 각 유전자형으로 그룹핑이 된다는 것을 보여 준 것이다. a and b: The qOLA result (qOLA_CNV) is written on the X-axis and the pyro sequencing result (Pyro_Splice) is written on the Y-axis. a is the ratio of parental pigs and b is the ratio of piglets, showing that they are grouped by genotype.

c 및 d: 자돈들이 각 부모돈들의 유전자형에 어떻게 분포가 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X축은 부모의 유전자형을 표기한 것이며 Y축은 자돈들의 비율을 표기한 것이다. c는 자돈들의 qOLA 분포도를 d는 파이로시퀀싱 분포도를 각각 표기한 것이다. 부모돈들은 한쪽은 랜드레이스 (Landrace)이며 다른 한쪽은 듀록 (Duroc(i/i))이므로 c와 d의 X축에 고정된 듀록 유전자형은 표기 하지 않았다.c and d: shows how the piglets are distributed in the genotypes of their respective piglets. The x-axis is the genotype of the parent and the y-axis is the ratio of the piglets. c is the qOLA distribution of the piglets and d is the pyro sequencing distribution. The parental pigs were Landrace on one side and Duroc (i / i) on the other, so the Duroc genotypes fixed on the X-axis of c and d were not shown.

e: 각 유전자형의 qOLA와 파이로시퀀싱 수행시 실제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 준 것이다.e: shows how each genotype actually appears when performing qOLA and pyro sequencing.

도 6은 qOLA_CNV와 Pyro_Splice 조합을 이용하여 상업돈 및 라아지 화이트 돈의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이다.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genotyping of commercial and large white pigs using a combination of qOLA_CNV and Pyro_Splice.

a: 통계분석에 이용되는 12종류의 씨드(seed)의 위치를 표기한 것이다.a: The 12 seed type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 및 c: 좌표 분석을 표기한 것으로 씨드 주위에 각 결과값들이 밀집되는 것을 보여 준 것이다. c의 T7183과 Y4410Q는 표 3에서의 두개의 불일치 되는 것들 (좌표분석 분류와 통계분석 분류 비교시)을 표기한 것이고, b는 상업돈들의 그룹이며 c는 라아지 화이트 그룹이다.b and c: Coordinate analysis, showing that each result is concentrated around the seed. c's T7183 and Y4410Q are the two discrepancies in Table 3 (when comparing the Coordinate Analysis and Statistical Classification), b is a group of commercial pigs and c is a large white group.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160> 1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KITBPF <400> 1 caactatgct acatccaggc 20 <210> 2 <211> 4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KIT1BPR <400> 2 gtaaccgttc gtacgagaat cgctgtggct cttttgaggt cag 43 <210> 3 <211> 4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KIT2BPR <400> 3 gtaaccgttc gtacgagaat cgctctgtct ccatggtttt gcc 43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BPT_Com <400> 4 ggctacatac tgtatgattc caa 23 <210> 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BPT1 <400> 5 gggtcatggc ttgaaaaaga aaaaaaaaaa 30 <210> 6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BPT2 <400> 6 cgatatgaca ttctggaaat aaaaaaaaaa aaaaa 35 <210> 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13 forward primer <400> 7 cacgacgttg taaaacgac 19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13 Reverse primer <400> 8 ggataacaat ttcacacagg 20 <210> 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KIT21 <400> 9 gtattcacag agacttggcg gc 22 <210> 10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KIT35 <400> 10 aaacctgcaa ggaaaatcct tcacgg 26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ilR primer <400> 11 cgttcgtacg agaatcgct 19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160> 1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KITBPF <400> 1 caactatgct acatccaggc 20 <210> 2 <211> 4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KIT1BPR <400> 2 gtaaccgttc gtacgagaat cgctgtggct cttttgaggt cag 43 <210> 3 <211> 4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KIT2BPR <400> 3 gtaaccgttc gtacgagaat cgctctgtct ccatggtttt gcc 43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BPT_Com <400> 4 ggctacatac tgtatgattc caa 23 <210> 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BPT1 <400> 5 gggtcatggc ttgaaaaaga aaaaaaaaaa 30 <210> 6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BPT2 <400> 6 cgatatgaca ttctggaaat aaaaaaaaaa aaaaa 35 <210> 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13 forward primer <400> 7 cacgacgttg taaaacgac 19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13 Reverse primer <400> 8 ggataacaat ttcacacagg 20 <210> 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KIT21 <400> 9 gtattcacag agacttggcg gc 22 <210> 10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KIT35 <400> 10 aaacctgcaa ggaaaatcct tcacgg 26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ilR primer <400> 11 cgttcgtacg agaatcgct 19  

Claims (16)

(a) 분석하고자 하는 DNA시료의 L1MC1/L1ME1 지역을 서열 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세트 또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증폭하는 단계; (a) L1MC1 / L1ME1 region of the DNA sample to be analyzed using a primer set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and SEQ ID NO: 2 or a primer set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and SEQ ID NO: 3 PCR amplifying; (b) 상기 (a) 단계의 PCR 증폭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는 단계; (b) treating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of step (a) with a protease; (c) 상기 (b) 단계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한 산물을, 형광물질을 결합시킨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세트 또는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세트로 증폭시키는 단계; 및(c) the product treated with the proteolytic enzyme in step (b) is a primer set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4 and SEQ ID NO: 5, or SEQ ID NO: 4 and SEQ ID NO: 6 Amplifying with a primer set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And (d) 상기 (c) 단계의 PCR 증폭산물을 KIT 좌위와 연관된 중복 중지점에서 발생하는 유전자 중복 (C/G)의 복제수 변이 (copy number variation)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모색 관련 KIT유전자 중복의 복제수 변이 정량 분석방법. (d) measuring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gene duplication (C / G) occurring at the overlapping breakpoint associated with the KIT locus of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of step (c). Quantitative analysis of copy number variation of gene duplic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DNA 시료는 돼지의 혈액 또는 모근으로부터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NA sample of step (a) is isolated from pig blood or hair roo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PCR 증폭은 94℃에서 20초, 58℃에서 20초, 및 72℃에서 30초를 27회 또는 25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CR amplification in step (a) is repeated 20 or 25 times at 94 ° C, 20 seconds at 58 ° C, and 30 seconds at 72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단백질분해효소가 프로테인아제 케이(proteinase K), 프로테인아제 에이(proteinase A), 프로테인아제 비(proteinase B), 또는 프로테인아제 씨(proteinase C)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olytic enzyme of step (b) is proteinase K (proteinase K), proteinase A (proteinase A), proteinase B (proteinase B), or proteinase C (proteinase C) is characterized in that How to.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증폭은 94℃에서 30초와 50℃에서 1분 30초를 10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c), the amplification is repeated 10 times 30 seconds at 94 ℃ and 1 minute 30 seconds at 5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의 방법과 KIT좌위의 스플라이싱 돌연변이의 복제수 변이 정량을 위한 파이로시퀀싱 분석방법을 조합하여 대립 유전자형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모색 관련 KIT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 방법.The genotyping method of a pig groping-related KIT gene, characterized by separating alleles by combining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yro sequencing analysis method for quantifying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splicing mutant of the KIT loc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형 분리는 관측된 특징들의 그룹핑 (grouping)을 바탕으로 한 좌표 분석의 분류와 근접 중심 소팅 (nearest centroid sorting)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enotyping is performed using a classification of coordinate analysis based on the grouping of observed features and a statistical centroid sort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04192A 2007-10-16 2007-10-16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KR100936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92A KR100936133B1 (en) 2007-10-16 2007-10-16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92A KR100936133B1 (en) 2007-10-16 2007-10-16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737A KR20090038737A (en) 2009-04-21
KR100936133B1 true KR100936133B1 (en) 2010-01-12

Family

ID=4076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192A KR100936133B1 (en) 2007-10-16 2007-10-16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13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6158A2 (en) * 2001-04-24 2002-10-31 Pig Improvement Co (Uk) Ltd Method to analyse the kit genotype of pi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6158A2 (en) * 2001-04-24 2002-10-31 Pig Improvement Co (Uk) Ltd Method to analyse the kit genotype of pi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737A (en)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41495A1 (en) Polymorphic markers and methods of genotyping corn
US9976191B2 (en) Rice whole genome breeding chip and application thereof
US20060135758A1 (en) Soybean polymorphisms and methods of genotyping
US20060288444A1 (en) Soybean polymorphisms and methods of genotyping
US20080083042A1 (en) Maize polymorphisms and methods of genotyping
CN108998562B (en) Grain length gene marker based on wheat 895 genetic background in wheat variety and application
Yang et al. Rapid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linked to a gene conferring phomopsis stem blight disease resistance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in lupin (Lupinus angustifolius L.) breeding
FI112093B (en) Method and test kit for demonstrating genetic identity
CN104735970A (en) Molecular markers for various traits in wheat and methods of use
CN109234431B (en) Molecular marker of corn stalk rot resistance QTL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929391B1 (en) Novel SNP marker for discriminating increasedthe number of nipples of pigs and use thereof
Aliyeva-Schnorr et al. Collinearity of homoeologous group 3 chromosomes in the genus Hordeum and Secale cereale as revealed by 3H-derived FISH analysis
US20170283854A1 (en) Multiplexed pcr assay for high throughput genotyping
US20070048768A1 (en) Methods for screening for gene specific hybridization polymorphisms (GSHPs) and their use in genetic mapping and marker development
Lyons et al. Isolation, analysis and marker utility of novel miniature inverted repeat transposable elements from the barley genome
KR102024212B1 (en) Composition for selecting variety resistant to rice bakanae disease containing qBK1WD gene comprising DNA marker and method for selecting variety resistant to rice bakanae disease using DNA marker
KR100936133B1 (en) Method for quantifying and analyzing copy number variation in porcine KIT by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US20070192909A1 (en) Methods for screening for gene specific hybridization polymorphisms (GSHPs) and their use in genetic mapping ane marker development
Bello et al.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selected sugarcane (Saccharum spp. hybrids) varieties using DarT-Seq technology.
KR20180060624A (en) Snp markers for discrimination of raphanus sativus
JP3999254B2 (en) Genetic markers linked to loci involved in resistance to barley stripe dwarf disease and their utilization
KR101878539B1 (en)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in soybean and the use thereof
KR20230082354A (en) Snp marker set for identifying cucurbita moschata cultivars and method for identifying cucurbita moschata cultivars using the same
CN117230230A (en) Molecular marker for identifying black embryo disease resistance of wheat and method thereof
CN113388686A (en) SNP locus combination for identifying Gaoyou duck varieties and appl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