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711B1 - 생약 패드 - Google Patents

생약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711B1
KR100935711B1 KR1020080090438A KR20080090438A KR100935711B1 KR 100935711 B1 KR100935711 B1 KR 100935711B1 KR 1020080090438 A KR1020080090438 A KR 1020080090438A KR 20080090438 A KR20080090438 A KR 20080090438A KR 100935711 B1 KR100935711 B1 KR 10093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bstrate
skin
light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구
Original Assignee
김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구 filed Critical 김희구
Priority to KR102008009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부착하되,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여 유해균의 살균효과 및 피부의 수복효과를 가지며, 약물의 침투효과가 증가되게 함으로써 작용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생약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는 피부를 살균 또는 수복하기 위한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피부를 통하여 약재성분을 투입하기 위한 약재층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상기 발광수단이 피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약재층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플랙시블한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되며, 이 기판에 약재흡수 활성화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약재흡수 활성화수단은 자석, 또는 저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생약 패드 {poulticing-pad}
본 발명은 생약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부착하되,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여 유해균의 살균효과 및 피부의 수복효과를 가지며 약물의 침투효과가 증가되게 함으로써 작용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생약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드로는 '습포제'나 '파스'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대략 사각형태를 가지는 기재의 일면에 약품이 혼합된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 점착제 부분을 이형지에 부착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습포제나 파스 등은 통상적으로 소염.진통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부에 부착하면 점착제에 포함된 약성분이 피부속으로 침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습포제나 파스 등은 약을 복용하거나, 또는 주사하거나, 또는 환부에 직접 바르는 것이 아니라, 점착제에 포함된 약성분이 접촉하고 있는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약성분이 피부에 흡착되고 효과가 피부 깊숙히 침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습포제나 파스 등은 관절통 또는 근육통을 완화시키기 위한 용 도로 제조되어 통증 부위에 직접 부착하는 것일 뿐 내과적 증상이나 통증들에는 잘 맞지 않는 것이어서 그의 기능이나 용도가 단순할 수밖에 없었다.
약성분의 침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적인 노력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5675호에는 진동을 발생시켜 약재의 침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진동 자극 패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진동발생기를 패드에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그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어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며, 피부에 대한 살균 및 수복효과를 가질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의 살균 및 수복효과를 가지며 약재의 침투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생약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는 피부를 살균 및 수복하기 위한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피부를 통하여 약재성분을 투입하기 위한 약재층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상기 발광수단이 피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약재층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플랙시블한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되며, 이 기판에 약재흡수 활성화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약재흡수 활성화수단은 자석, 또는 저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약 패드는 또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부를 통하여 약재성분을 투입하기 위한 약재층과, 상기 도광판을 통하여 피부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발광수단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는 약재 성분의 침투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에 부착된 부분에서의 살균 및 수복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생약 패드는 기판(11)과, 기판(11)의 상부에 장착되는 약재층(12)과, 상기 기판(11)에 설치되며 살균 또는 수복을 위한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4)들을 포함한다.
기판(11)은 신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플랙시블한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14)들이 장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장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장착부들은 인가되는 전원이 모든 발광다이오드(14)들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기판(11)의 일측에는 발광다이오드(1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케이블(15)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케이블(15)은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기판(11)과 분리된 상태로 전선케이블(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기판(11)의 일측에 소형 배터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14)들은 외부 교류전원을 통해 발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다이오드(14)는 생약 패드(10)가 신체에 접촉하였을 때, 접촉된 피부 표면의 살균작용 또는 수복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14)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파장의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촉되는 피부의 미생물 또는 세균을 살균하여 세균에 의한 환부의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을 조사하여 피부의 손상된 조직을 수복할 수 있는데, 수복이란 염증과 연관되는데 염증부위에 침윤한 염증세포를 제거하고 일련의 생화학적 및 세포학적 변화로 인한 손실된 조직을 재생하여 정상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것을 일컫는다. 또한 발광다이오드(14)는 발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촉된 신체 부위를 가온하여 찜질을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다이오드(14)가 자외선 또는 적외선 중 한가지 종류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발광다이오드(14)는 기판(11)에 살균 및 수복효과를 동시에 거두기 위해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혼합 발광다이오드(14)가 설치될 수 있다.
약재층(12)은 피부를 통해 신체 내부로 침투시킬 약재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진통 소염을 목적으로 한다면 맨솔(menthol), 박하유, 유칼유지 등의 냉감 자극성분이나, 노닐산 바닐아미드, 장뇌(camphor)와 같은 온감 자극 성분이 약재층(12)에 함유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증상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약재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약재층(12)은 상기 기판(1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약재층(12)에는 발광다이오드(14)들이 피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14)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관통홀(13)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 관통홀(13)을 통해 발광다이오드(14)에서 피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생약 패드(10)는 상기 기판(11)과 약재층(12)을 신체에 결착시키기 위한 결착수단으로서 별도의 접착패드(16)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착패드(16)에는 신체에 밀착시키기 위해 접착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는 달리 탄성밴드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약재층과 기판을 신체에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접착패드(16)는 상기 기판(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기 때문에 접착패드(16)의 내측에 기판(11)이 접착되고 가장자리 부분이 신체에 접착됨으로써 기판(11)이 신체에 접착 및 고정된다.
물론 상기 약재층(12)의 표면에 접착물질이 마련되어 있어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접착패드(16)를 사용하지 않고도 생약 패드(10)가 신체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생약 패드(2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생약 패드(20)는 발광다이오드(22)가 장착된 기판(21)과, 기판(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약재층(23)과, 기판(21)의 하부에 장착되는 약재침투 활성화수단 및 접착패드(26)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21) 및 발광다이오드(22)는 제1 실시예의 기판(21) 및 발광다이오드(22)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약재층(23)은 신체에 침투시킬 약재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며, 포함되는 약재성분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재층(23)은 발광다이오드(22)가 피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관통홀(13)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약재층(23)은 발광다이오드(22)에서 자외 선이 피부에 조사될 수 있도록 투광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21)의 하부에는 약재침투 활성화수단으로써 자석(25)이 설치되었다. 상기 자석(25)은 약재층(23)에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피부를 통해 약재의 침투효과가 증가되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플랙시블한 자석(25)이 기판(21)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자석(25)는 신체에 부착하였을 때, 신체의 굴곡 형상에 따라 형태가 용이하게 변형되어야 하므로 고무자석과 같이 플랙시블한 자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는 달리 기판(21)의 제작 시에 기판(21)에 자성부재들이 함침되거나 혼합됨으로써 기판(21)이 자기장을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약재침투 활성화수단으로써 저주파 발생기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약재층(23)을 통해 저주파를 전달함으로써 약재의 침투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접착패드(26)는 기판(21)에 상기 약재침투 활성화수단으로써 적용된 고무자석(25)을 고정시키며, 기판(21)과 약재층(23)을 신체에 접착 및 고정시킨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생약 패드(30)의 제3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생약 패드(30)는 플랙시블한 도광판(31)과, 도광판(31)의 상부에 결합되는 약재층(34)과, 도광판(3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광판(31)을 통해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다이오드(32)를 포함한다.
상기 약재층(34)은 피부를 통해 침투시킬 약재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도광판(31)을 통해 방사되는 자외선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광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약재층(34)은 투광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도광판(31)을 통해 방사되는 자외선이 피부를 향해 방사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마련될 수 있다.
도광판(31)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발광다이오드(32)에서 조사되는 광이 도광판(31)을 도파하면서 약재층(34)을 향해 방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31)의 하부에는 도파되는 광이 모두 약재층(34)을 향해 방사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진행하는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반사층(3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생약 패드(30)는 도광판(31)을 통해 발광다이오드(3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인체에 방사되므로, 약재층(34)의 전 면에서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발광다이오드가 기판 전체에 설치되는 제1, 제2 실시예에 비해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32)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생약 패드(30) 역시 약재의 침투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약재침투 활성화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생약 패드의 단면도,
도 3은 생약 패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생약 패드를 도시한 다면도,
도 5는 생약 패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3 실시예의 생약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생약패드
11,21; 기판
12,23,34; 약재층
14,22,32; 발광다이오드

Claims (6)

  1. 피부를 살균 또는 수복하기 위한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피부를 통하여 약재성분을 투입하기 위한 약재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이 피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약재층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랙시블한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되며, 이 기판에 약재흡수 활성화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약재흡수 활성화수단은 자석, 또는 저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피부의 유해균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극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도파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약재층이 상면에 결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해 방사되는 상기 발광수단의 광이 상기 약재층을 통해 상방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도광판의 하방으로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패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패드.
KR1020080090438A 2008-09-12 2008-09-12 생약 패드 KR10093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438A KR100935711B1 (ko) 2008-09-12 2008-09-12 생약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438A KR100935711B1 (ko) 2008-09-12 2008-09-12 생약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711B1 true KR100935711B1 (ko) 2010-01-07

Family

ID=4180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438A KR100935711B1 (ko) 2008-09-12 2008-09-12 생약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06B1 (ko) 2011-01-31 2011-07-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피부미용기용 필름형 프락셔널 전극패드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36471A1 (ko) * 2018-08-17 2020-02-2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의료용 드레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0835A (ja) * 1988-12-29 1990-07-13 Lion Corp 外用製剤
KR200330906Y1 (ko) 2003-05-23 2003-10-22 김종훈 기능성 광촉매 파스
US20040009212A1 (en) 2002-01-30 2004-01-15 Pharma Power Biotec Co. Ltd. Mucoadhesive thermoresponsive medicament-carrier composition
JP2005185860A (ja) 1994-09-30 2005-07-14 Vyteris Inc 改良された制御器及びパッチを有するイオン導入ドラッグ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0835A (ja) * 1988-12-29 1990-07-13 Lion Corp 外用製剤
JP2005185860A (ja) 1994-09-30 2005-07-14 Vyteris Inc 改良された制御器及びパッチを有するイオン導入ドラッグ供給装置
US20040009212A1 (en) 2002-01-30 2004-01-15 Pharma Power Biotec Co. Ltd. Mucoadhesive thermoresponsive medicament-carrier composition
KR200330906Y1 (ko) 2003-05-23 2003-10-22 김종훈 기능성 광촉매 파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06B1 (ko) 2011-01-31 2011-07-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피부미용기용 필름형 프락셔널 전극패드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36471A1 (ko) * 2018-08-17 2020-02-2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의료용 드레싱
US11938236B2 (en) 2018-08-17 2024-03-26 Seoul Viosys Co., Ltd. Medical dr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8802T3 (es) Composición de rejuvenecimiento cutáneo fotoactivada oxidativa que comprende ácido hialurónico, glucosamina o alantoína
US7686839B2 (en) Phototherapy treatment devices for applying area lighting to a wound
ES2316629T3 (es) Dispositivo luminoso terapeutico.
US201000878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light therapy
CA2427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treatment
BRMU8901002U2 (pt) disposição construtiva para uma bandagem portadora de um dispositivo estimulador de nervos transcutáneo elétrico
JP2012532643A (ja) 改良型医療器具
JP2008253337A (ja) 医療用発光装置
KR20150135618A (ko) 치료 또는 미용용 발광모듈
KR100935711B1 (ko) 생약 패드
KR20160054423A (ko) Cox-2효소를 억제하는 피부접착식 광선 조사 전극
KR101642836B1 (ko) 저출력광선치료기용 일회용 광선전극
KR101181580B1 (ko) 접착식 칼라라이트 패치
KR100725564B1 (ko) Lllt를 위한 범용 패치
KR102097047B1 (ko) Led를 이용한 광치료 장치
KR20120115765A (ko) 생리통 치료용 접착식패치
KR101139868B1 (ko) 광치료 파스
KR102225680B1 (ko)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의 다파장 레이저 광 시술 패치
KR102225675B1 (ko) 레이저 치료와 온열 시술이 가능한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통증 치료기기
KR100500795B1 (ko) 치료용 밴드
KR200355196Y1 (ko) 저출력 레이저 광 치료기가 형성된 매트리스
KR20200102665A (ko) 근적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광 찜질기
JP7193658B2 (ja) 鼻炎治療器
ES2306029T3 (es) Equipo para tratamiento laser.
TW200522883A (en) Light-radiating health-caring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