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558B1 -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 Google Patents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558B1
KR100935558B1 KR1020080014248A KR20080014248A KR100935558B1 KR 100935558 B1 KR100935558 B1 KR 100935558B1 KR 1020080014248 A KR1020080014248 A KR 1020080014248A KR 20080014248 A KR20080014248 A KR 20080014248A KR 100935558 B1 KR100935558 B1 KR 10093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ounting portion
blade holder
mounting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975A (ko
Inventor
강태현
Original Assignee
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현 filed Critical 강태현
Priority to KR102008001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5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17/32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ach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시술시 잇몸을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홀더로서, 시술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하기 장착부가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 및 본체를 기준으로 블레이드의 장착 각도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블레이드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Blade Holder for Dental Work}
본 발명은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시 잇몸을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홀더로서, 시술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하기 장착부가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 및 본체를 기준으로 블레이드의 장착 각도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블레이드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 충치치료, 보철치료 등과 같은 치과 시술시 수술 부위의 잇몸을 절개하는데 치과용 블레이드(Blade)를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블레이드는 손상된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치아의 기능적인 복원 및 심미적 효과를 얻기 위한 시술법의 한 방법인 임플란트 시술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을 절개하고 잇몸 뼈에 드릴로 구멍을 형성시키고, 인공치근 기능을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상의 티타늄 또는 그 합금 소재의 임플란트를 삽입한 후, 잇몸 뼈와 결합하도록 충분한 기간이 경과한 다음 상부 인공치아를 연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임플란트는 음식물을 씹는 힘이 자연치아의 약 30%에 불과한 기존 틀니에 비해, 정상치아와 비슷한 정도의 힘을 낼 수 있으며, 임플란트 시술은 기존의 치과 치료와 달리, 빠진 치아 좌우의 정상치아를 깎아내지 않으므로, 저작기능의 수복과 심미성 측면에서 기존의 다른 시술법보다 매우 우수하다.
한편, 종래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는 스칼펠(Scalpel)이라 불려지는 치과용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수술부위 잇몸을 십자 절개한 후, 잇몸 뼈에 구멍을 형성하고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과정으로 임플란트 시술이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스칼펠과 같은 치과용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레이드 홀더는 날카로운 블레이드의 단부가 홀더로부터 매우 길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시술시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하여 절개부위에 접근시키거나 잇몸의 절개부위를 정교하게 절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절개 시술은 좁은 구강 내부에서 수행되므로 종래 구조의 블레이드 홀더로는 시술부위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잇몸을 절개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세심한 주의집중과 정교함과 같은 조건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 들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절개부위의 상처가 커지므로 회복이 지연되며, 회복 후에도 절개부위의 잇몸모양이 심미적 관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 특히, 잇몸 부위 중, 전치부에서 퍼필러(Papilla)라는 부위는 한번 절개되면 심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더욱 세심한 주의집중과 정교함이 요구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등과 같은 치주질환에 대한 시술시, 수술 부위의 상처를 최소화하고 치유를 촉진시키며, 간편한 방법으로도 정교한 절개가 가능하게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본체,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연결부, 및 본체를 기준으로 블레이드의 장착 각도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블레이드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홀더에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치주질환 시술시 사용하는 경우, 절개부위의 상처가 적고, 간편한 방법으로 정교한 절개가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는, 치과 시술시 잇몸을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홀더로서,
(a) 시술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본체,
(b)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하기 장착부가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 및
(c) 본체를 기준으로 블레이드의 장착 각도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블레이드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홀더는 장착부가 본체에 대해 소정의 장착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부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장착부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 홀더 구조보다, 블레이드의 장착시, 날카로운 블레이드 절개용 단부의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짧은 블레이드 절개용 단부를 사용하여 소망하는 잇몸 부위를 더욱 정교하게 절개할 수 있고,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홀더의 본체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술자가 좀더 섬세하고 안정적으로 시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는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와 인접한 연결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꺾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블레이드의 후단부와 인접한 연결부를 기준으로 길게 꺾여 있는 종래의 블레이드 홀더와 비교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사용상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장착부에는 블레이드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블레이드와 홀더의 결합이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블레이드 홀더와 비교하여, 별도로 렌치를 사용하여 나사를 조일 필요가 없고, 한 번의 동작으로 착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장착된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연결부에 대한 장착부의 각도는 내각이 30 내지 60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장착된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는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60% 이하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용 단부의 짧게 돌출된 길이는 소망하는 잇몸 부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홀더에서 연결부에 대한 장착부의 각도는, 시술자가 편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각이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30 내지 60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에 대한 장착부의 각도는 내각이 40 내지 50도의 각도로 형성된 경우, 소망하는 절개부위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절개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절개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를 연결부에 결합하는 방법은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홀더 본체에 대한 블레이드의 장착 각도가 소정의 각을 이루면서 결합되는 방법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장착부가 연결부의 단부 일측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결합홈은 연결부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길이로 장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홈의 길이는 장착부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대략 10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이 형성된 장착부는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홀더 본체와 소정의 장착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장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장착된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의 후미에는 장착된 블레이드의 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돌출부가 형성된 장착부의 구조는 장착부에 장착된 블레이드가 잇몸부위를 절개하기 위해 힘을 받게 될 때, 블레이드가 흔들리거나 정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는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에 위치한 칼날이 하향인 상태로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는 반대로 칼날이 상향인 상태로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장착부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의 안착을 위해 지지 돌출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폭이 넓어지고 상단면이 만입된 구조의 안착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블레이드의 후단부를 장착부의 안착부위에 정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를 장착부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의 전단부는,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부분이므로 시술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전단부 인근 외면에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처리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가공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널링 가공은 기계 가공 분야에서 주로 원통 형상인 공작물의 외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거친 형상을 만드는 기계 공작법을 의미하며, 이러한 널링 가공에 의해 블레이드 홀더 본체의 외면에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표면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홀더의 평면도가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그러한 홀더의 평면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홀더(100)는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본체(110),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장착부(130)가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120), 및 본체(110)를 기준으로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의 장착 각도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부(120)에 결합되어 있는 장착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10)의 전단부 인근 외면은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 가공에 의해 표면처리(111)되어 있고, 장착부(130)는 연결부(120)의 단부 일측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1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장착부(130)와 연결부(120)는 내각(α)이 50도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블레이드(200a)를 블레이드 홀더(100)의 장착부(130)에 장착하는 경우, 블레이드(200a)의 절개용 단부(214)는 블레이드(200a)의 전체 길이(D)를 기준으로 38%의 크기(d)로 돌출된다.
도 3에는 도 1의 블레이드 홀더에서 장착부의 확대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블레이드의 사진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장착부(130)는 블레이드들(200a, 200b)의 결합부위(210)에 대응하는 결합홈(131)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연결부(120)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길이(L)를 가지고 장착부(13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30)는 장착될 블레이드들(200a, 200b)의 후단부(212)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 돌출부(133)가 후미에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들(200a, 200b)의 안착을 위해 지지 돌출부(13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폭(w)이 넓어지고 상단면이 만입된 구조의 안착부위(132)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블레이드들(200a, 200b)을 장착부(13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들(200a, 200b)을 블레이드 홀더의 장착부(130)에 장착하는 경우, 날카로운 블레이드 절개용 단부(214)의 돌출 길이(d)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0a)의 전체 길이(D)를 기준으로 38%의 크기로 짧게 돌출되므로, 시술시 잇몸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절개부위를 더욱 정교하게 절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홀더는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장착부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의 장착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부와 결합되어 있어서,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잇몸 부위를 더욱 정교하게 절개할 수 있고, 수술 부위의 상처를 최소화 하며, 시술자의 안정적인 작업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그러한 홀더의 평면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레이드 홀더에서 장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블레이드의 사진들이다.

Claims (8)

  1. 치과 시술시 잇몸을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홀더로서,
    (a) 시술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본체;
    (b)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하기 장착부가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 및
    (c) 본체를 기준으로 블레이드의 장착 각도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블레이드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
    를 포함하고 있고,
    장착된 블레이드가 상기 본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하고, 장착된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의 돌출 길이는 장착부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 홀더 구조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장착된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연결부에 대한 장착부의 각도는 내각이 30 내지 60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연결부의 단부 일측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연결부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길 이로 장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장착된 블레이드의 절개용 단부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의 후미에는 장착된 블레이드의 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블레이드의 안착을 위해 지지 돌출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폭이 넓어지고 상단면이 만입된 구조의 안착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단부 인근 외면은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널링(Knurling)가공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KR1020080014248A 2008-02-18 2008-02-18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KR10093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48A KR100935558B1 (ko) 2008-02-18 2008-02-18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48A KR100935558B1 (ko) 2008-02-18 2008-02-18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75A KR20090088975A (ko) 2009-08-21
KR100935558B1 true KR100935558B1 (ko) 2010-01-07

Family

ID=4120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248A KR100935558B1 (ko) 2008-02-18 2008-02-18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5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70Y2 (ja) * 1989-10-31 1994-03-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外科用メス
KR20000030997A (ko) * 1998-11-02 2000-06-05 문천호 치과용 메스
KR20030018288A (ko) * 2001-08-27 2003-03-06 신현달 칼날 교체식 안전 수술 칼 세트.
US7131982B1 (en) 2005-01-20 2006-11-07 Armen Karapetyan Dental scalp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70Y2 (ja) * 1989-10-31 1994-03-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外科用メス
KR20000030997A (ko) * 1998-11-02 2000-06-05 문천호 치과용 메스
KR20030018288A (ko) * 2001-08-27 2003-03-06 신현달 칼날 교체식 안전 수술 칼 세트.
US7131982B1 (en) 2005-01-20 2006-11-07 Armen Karapetyan Dental scalp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75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9219B1 (en) Periotome
JP5501361B2 (ja) インプラント用の穿孔ドリル
US9198743B2 (en) Unitary alveolar bone chisel and spreader osteotome for a dental implant
JP2005185705A (ja) 歯科矯正用支持体
WO2005002462A1 (en) Intra-osseous implant
US11576749B2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US7934928B2 (en) Implanter
US20100196849A1 (en) Flapless dental implant punch
KR20150014932A (ko) 타원형 플랫폼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그의 부품
MX2008015109A (es) Metodo y sistema para el reemplazo de un solo diente en un individuo en crecimiento.
EP3752090B1 (en) Dental surgery device
US20090181342A1 (en) Tooth Extration Assisting Device
KR100935558B1 (ko)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
US9248004B2 (en) Ultrasonic tip for minimally invasive crown lengthening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CN107405179B (zh) 医疗用器件、牙科用、头颈部外科用和整形外科用器件结构以及医疗用器件对骨的接合方法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20100061384A (ko)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KR101375066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제 플라이어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20090000907A (ko) 치과용 임상기구
AU2020201283B2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KR101483579B1 (ko)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및 이를 갖는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
KR101339320B1 (ko) 미니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25767Y1 (ko) 임플란트 시술용 치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