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28B1 -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28B1
KR100935328B1 KR1020080045284A KR20080045284A KR100935328B1 KR 100935328 B1 KR100935328 B1 KR 100935328B1 KR 1020080045284 A KR1020080045284 A KR 1020080045284A KR 20080045284 A KR20080045284 A KR 20080045284A KR 100935328 B1 KR100935328 B1 KR 10093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unsaturated polyester
polyester resin
weight
re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321A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Priority to KR102008004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2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8Polyesters;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 몰탈 또는 프라이머에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 보수, 콘크리트 상판,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인장접착강도

Description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A repairing mortar contain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repa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 몰탈 및 프라이머에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보호용 교면 포장으로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아스팔트 포장을 하는 공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아스팔트 교면포장은 콘크리트 상판과 아스팔트 포장 간에 열적 거동 및 탄성계수의 차이가 있어 이로 인한 균열, 소성변형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방수층이 파괴되고 수분이 콘크리트 상판에 침투하여 열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종래 교면 포장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콘크리트 상판 위에 방수층 형성 후 아스팔트 혼합물을 5~8㎝ 두께로 포설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공법은 아스팔트 균열부로 물이나 염소 이온 등이 침투하여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이 반복되는 동결/융해를 거치면서 열화되거나, 콘크리트 상판 내부의 철근이 부식되어 이로 인 한 빈번한 보수공사로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고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또한, 특허 제312599호에는 콘크리트 상판 위에 SBR계 라텍스를 혼입한 LMC(Latex Modified Concrete)를 포설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하면 휨강도는 개선되었으나, 인장변형성능이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하기 때문에 피로하중에 의한 균열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미국특허 제5,498,683호는 a) -COO-CH2-CHOH-CH2O-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에스터, b) 10~70중량%의 스티렌 및 c) 0.1~60중량%의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내로 폴리머화 가능한 프리믹스 또는 바인더 프리믹스를 개시한다. 이 미국특허에서는 폴리머 콘크리트의 바인더로서 에폭시, 폴리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의 4종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 중 불포화 폴리에스터는 도로 및 교량의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불포화 폴리에스터는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에 대한 접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기
존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인 초속경 LMC(Latex Modifide Concrete) 공법의 경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 가격이 매우 높아 실용화가 어려운 점을 개선하여 경화 시간을 단축하고 접착성을 강화시킨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력이 약한 불포화 폴리에스터 바인더 또는 프리믹스의 단점을 극복하여 접착성을 강화시킨 보수용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의 물성 특성에 대해 면밀히 연구한 결과, 특정 스티렌 모노머 함량 범위, 점도 범위 내의 주제를 선택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함량을 조절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골재류와 혼합함으로써 접착력이 현저히 증대된 콘크리트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경화 시간을 단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공 가격을 현저히 낮추었고, 접착성이 강화되었다.
본 발명은 주제 90~99.5중량%와 경화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7~25중량%; 및
5㎜ 체 통과중량백분율 95~100% , 2.5㎜ 체 통과중량백분율 85~95%, 0.60㎜ 체 통과중량백분율 35~55% 및 0.075㎜ 체 통과중량백분율 7~18%의 입경을 가진 골재류 75~9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주제가 스티렌 모노머 함량 39~44중량%, 25℃에서 비중 1.02~1.10, 25℃에서 점도 50~160cps, 겔화시간 20~5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 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 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
상기 몰탈 조성물 포설면 위에 아스콘용 에폭시계 프라이머를 0.1~1㎏/㎡ 살 포하는 공정; 및
에폭시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프라이머로서 주제 90~99.5중량% 및 경화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0.1~10㎏/㎡로 균일 도포하는 공정;
상기 프라이머 도포면 위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프라이머로서 주제 90~99.5중량% 및 경화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0.1~10㎏/㎡로 균일 도포하는 공정;
상기 프라이머 도포면 위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
상기 몰탈 조성물 포설면 위에 아스콘용 에폭시계 프라이머를 0.1~1㎏/㎡ 살포하는 공정; 및
에폭시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에 사용하는 혼합골재 입도는 다음 표 1과 같다.
체 크기 통과중량 백분율
5㎜ 95~100%
2.5㎜ 85~95%
0.60㎜ 35~55%
0.075㎜ 7~18%
상기 골재류 75~93중량%와 불포화 폴리에스터 7~25중량%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제조한다. 불포화 폴리에스터의 함량이 몰탈 조성물 중 7중량% 미만이면 접착력이 저하되며, 25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뭉침으로 인한 분리, 수축, 휨 등이 커지고 수지와 골재의 혼합에서의 작업성이 저하되며 고가의 수지를 필요 이상 사용하게 됨에 따라 과도한 경제적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이때 불포화 폴리에스터는 주제 90~99.5중량%와 경화제 0.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화제가 0.5중량% 미만이면 경화 시간이 늦어져서 연속작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후속공정작업과의 손실시간이 길어져 비능률적이며, 10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지나치게 빨리 경화되어 몰탈 제조 및 평탄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주제의 품질 규격은 표 2로, 물성 규격은 표 3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항목 품질규격
스티렌 모노머 함량 (%) 39~44
비 중 (25℃) 1.02~1.10
점 도 (25℃, CPS) 50~160
겔화시간 (min) 20~50
불휘발분 함량(%) 50~60
산가 20~40㎎KOH/g
구분 항목 단위 물성규격
바 콜 경 도 934-1 35 이상
열변형 온도 100 이상
인 장 강 도 60 이상
인장 탄성율 2,700 이상
굴 곡 강 도 110 이상
굴곡 탄성율 3,500 이상
신 율 % 2.4 이상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주제에 반응성 희석제인 스티렌 모노머 함량이 39중량% 미만인 경우 강도는 강해지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축으로 균열이 발생되고, 4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의 희석제로 인하여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주제는 25℃에서 점도 50~160cps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50 미만이면.혼합골재와 혼합 및 평탄화 작업시 비중차이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160을 넘으면 혼합 골재와 혼화성이 떨어져 균일한 품질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고점도의 혼합재료로 인해 평탄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주제는 겔화시간 20~50분 범위를 벗어나 20분 미만이면 시공성이 떨어지고, 50분을 초과하면 교통 개방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이용하여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을 보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두드리기 검사 등으로 콘크리트의 취약 부분을 파악한 다음 브레카, 그라인더, 데크브러시, 쇼트브라스트 및/또는 워터제트로 취약 부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또한, 콘크리트에 철근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철근의 녹청을 와이어브러쉬 등으로 제거하고 그 부분에 솔 등으로 녹청방지도료를 도포한다.
취약 부분 제거 및/또는 녹 방지 처리가 끝나면 히터 등으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타설할 면을 완전히 건조된 상태로 준비한다.
주제 90~99.5중량%와 경화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를 핸드믹서로 혼합한다. 혼합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로라 등으로 0.1~1㎏/㎡의 양으로 균일하게 타설할 면에 "프라이머"로 도포한다. 도포량이 0.1㎏/㎡ 미만이면 도포기구로 롤러나 스프레이 방법을 도입시 사용량의 부족으로 균일하게 전면도포가 어려워 접착성이 떨어지고 1㎏/㎡를 넘으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완전히 건조된 상기 표 1과 같은 입자 크기의 골재와 주제, 경화제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넣고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와 같이 혼합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을 평탄하게 상기 프라이머 도포면 위에 포설한다. 상기 몰탈의 경화 완료기준은 손으로 눌러보아 움푹 꺼지지않는 정도로 판단한다.
상기 경화된 몰탈 위에 에폭시계 프라이머인 EP-coat를 0.1~1㎏/㎡ 살포하고, 에폭시아스팔트를 일반 아스콘 시공공정에 따라 포설한다. 포설량이 0.1㎏/㎡ 미만이면 접착력이 저하되고, 1㎏/㎡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4
아래 표 4와 같이 주재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와 골재를 비율별로 혼합하여 시험편을 제조하고 24시간 동안 양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휨강도, 압축강도 및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강도는 JIS A 6916에 준하여 인스트롱 시험기를 이용하여 크로스벡터 속도 1㎜/min으로 강제 축을 접착한 시험체의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휨강도는 KS F 2408(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공시체의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압축강도는 KS F 2405(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공시체의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9054541204-pat00001
비교예 1
골재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통과중량 백분율을 가지는 골재를 사용하였다. 시멘트는 초속경 시멘트(일본 D사)를 사용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100중량부에 골재 300중량부, 물 52중량부를 균일하게 배합하여 굳지 않은 몰탈 상태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슬럼프값(KS F 2402) 18㎝, 공기량(KS F2449) 4.3%이다.
또 24시간 경과 후 상기 실시예 1~4의 방법과 동일하게 휨강도와 압축강도,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 휨강도 8.5MPa, 압축강도 25.0MPa, 접착강도 0.6MPa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콘크리트 평판 300㎜×300㎜×60㎜ 위에 프라이머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0.4㎏/㎡를 도포하고, 그 위에 실시예 4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10mm 두께로 포설하였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의 다짐은 로라콤펙터 9kN으로 10번 왕복하였으며, 실온에서 1일간 양생하였다. 양생 후 완전히 경화된 것을 확인한 다음 에폭시 프라이머로서 에폭시 수지 접착제 EP-coatTM 0.6㎏/㎡를 도포하고, 밀입도 아스콘을 포설하였다.
밀입도아스콘
에폭시 수지접착제(프라이머) EP-coat 0.6㎏/㎡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10mm)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프라이머) 0.4㎏/㎡
콘크리트평판 300×300×60
접착기구 : 후레스콜수지(백착색) 1일간, 30℃에서 양생.
상기 방법으로 제작 완료된 시험편에 대하여 건연식 인장시험기로 23℃에서 인장하중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장접착강도는 JIS A 6916에 준하여 인스트롱 시험기를 이용하여 크로스벡터 속도 1㎜/min으로 강제 축을 접착한 시험체의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하중과 인장접착강도는 동일하게 제조된 시험편 3개에 대해 실시하였다.
No. 인장하중 (kN) 인장접착강도 (N/㎟) 파괴부위 파괴상황
1 9.37 1.15 아스콘층 접착제직하 아스콘 혼합물상층
2 9.32 1.15 아스콘층 접착제직하 아스콘 혼합물상층
3 9.58 1.18 아스콘층 접착제직하 아스콘 혼합물상층
평균 9.42 1.16 - -
표 5와 같이, 접착강도 시험 결과 접착부위에서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아스콘층 내에서 파괴가 일어났다. 즉, 본 발명의 접착 조성물은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콘크리트 평판 300㎜×300㎜×60㎜ 위에 실시예 4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10mm 두께로 평탄하게 포설하였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의 다짐은 로라콤펙터 9kN으로 10번 왕복하였으며, 실온에서 1일간 양생하였다. 양생 후 완전히 경화된 것을 확인한 다음 프라이머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0.4㎏/㎡ 도포하였다.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 1일 실온양생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프라이머) 0.4㎏/㎡
콘크리트평판 300×300×60
접착기구 : 후레스콜수지(백착색) 1일간 30℃에서 양생.
인장시험기구 : 건연식 인장시험기(23℃).
인장하중과 인장접착강도는 동일하게 제조된 시험편 3개에 대해 실시하였다.
No. 인장하중 (kN) 인장접착강도 (N/㎟) 파괴부위 파괴상황
1 5.32 0.65 수지몰탈과 콘크리트판 일부콘크리트판의 파괴 몰탈원주끝부분파괴
2 11.24 1.38 수지몰탈과 콘크리트판 일부콘크리트판의 파괴 몰탈원주끝부분파괴
3 10.04 1.23 수지몰탈과 콘크리트판 일부콘크리트판의 파괴 몰탈원주끝부분파괴
평균 8.87 1.09
비교예 2
콘크리트 평판 300㎜×300㎜×60㎜ 위에 수용성 프라이머(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0.4㎏/㎡ 도포 후 상기 비교예 1의 초속경 몰탈 배합에 따르는 콘크리트 보수용 몰탈을 1㎝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No. 인장하중 (kN) 인장접착강도 (N/㎟) 파괴부위 파괴상황
1 0.5 0.07 몰탈과 프라이머 사이 몰탈과 프라이머층 박리
2 0.7 0.12 몰탈층 일부 및 몰탈과 프라이머 사이 몰탈과 프라이머층 박리 및 몰탈층 일부
3 0.6 0.10 몰탈층 일부 및 몰탈과 프라이머 사이 몰탈과 프라이머층 박리 및 몰탈층 일부
평균 0.6 0.97
실시예 7
교량 콘크리트 상판을 두드리기 검사하여 취약 부분을 파악한 다음 그라인더와 워터제트로 취약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 노출된 철근의 녹청을 와이어브러쉬 작업으로 제거하고 녹청방지도료를 도포하였다. 히터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타설할 면을 완전히 건조시켰다.
스티렌 모노머 함량 40%, 25℃의 비중 1.05, 25℃의 점도 100cps, 겔화 시간 30분인 불포화 폴리에스터 주제 97중량%와 경화제 3중량%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핸드믹서로 혼합하였다.
완전히 건조된 골재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넣고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때 골재의 입도는 5㎜ 체 95~100중량% 통과, 2.5㎜ 체 85~95% 통과, 0.6㎜ 체 35~55% 통과, 0.075㎜ 체 7~18% 통과이다. 이와 같이 혼합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상기 상판 위에 포설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경화된 몰탈 조성물 위에 에폭시계 프라이머인 EP-coatTM를 0.5㎏/㎡ 살포하고, 에폭시아스팔트를 일반 아스콘 시공공정에 따라 포설하였다.
실시예 9
교량 콘크리트 상판을 두드리기 검사하여 취약 부분을 파악한 다음 그라인더와 워터제트로 취약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 노출된 철근의 녹청을 와이어브러쉬 작업으로 제거하고 녹청방지도료를 도포하였다. 히터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타설할 면을 완전히 건조시켰다.
스티렌 모노머 함량 40%, 25℃의 비중 1.05, 25℃의 점도 100cps, 겔화 시간 30분인 불포화 폴리에스터 주제 97중량%와 경화제 3중량%로 이루어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핸드믹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로라로 0.5㎏/㎡ 타설할 면에 프라이머로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완전히 건조된 골재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넣고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때 골재의 입도는 5㎜ 체 95~100중량% 통과, 2.5㎜ 체 85~95% 통과, 0.6㎜ 체 35~55% 통과, 0.075㎜ 체 7~18% 통과이다. 이와 같이 혼합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상기 프라이머 도포면 위에 포설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실시한 후 경화된 몰탈 조성물 위에 에폭시계 프라이머인 EP-coatTM를 0.5㎏/㎡ 살포하고, 에폭시아스팔트를 일반 아스콘 시공공정에 따라 포설하였다.

Claims (7)

  1. 스티렌 모노머 함량 39~44중량%, 25℃에서 비중 1.02~1.10, 25℃에서 점도 50~160cps, 겔화시간 20~5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90~99.5중량%와 경화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7~25중량%; 및
    5㎜ 체 통과중량백분율 95~100% , 2.5㎜ 체 통과중량백분율 85~95%, 0.60㎜ 체 통과중량백분율 35~55% 및 0.075㎜ 체 통과중량백분율 7~18%의 입경을 가진 골재류 75~9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
  2. 삭제
  3.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 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 리트 상판 보수방법.
  4.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 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
    상기 몰탈 조성물 포설면 위에 아스콘용 에폭시계 프라이머를 0.1~1㎏/㎡ 살포하는 공정; 및
    에폭시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
  5.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프라이머로서 주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90~99.5중량% 및 경화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0.1~10㎏/㎡로 균일 도포하는 공정;
    상기 프라이머 도포면 위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
  6. 콘크리트 상판의 취약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취약부분이 제거된 콘크리트 상판을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상판에 프라이머로서 주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90~99.5중량% 및 경화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0.1~10㎏/㎡로 균일 도포하는 공정;
    상기 프라이머 도포면 위에 상기 제1항의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을 평탄하게 포설하는 공정;
    상기 몰탈 조성물 포설면 위에 아스콘용 에폭시계 프라이머를 0.1~1㎏/㎡ 살포하는 공정; 및
    에폭시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는 스티렌 모노머 함량 39~44중량%, 25℃에서 비중 1.02~1.10, 25℃에서 점도 50~160cps, 겔화시간 20~5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방법.
KR1020080045284A 2008-05-16 2008-05-16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KR10093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284A KR100935328B1 (ko) 2008-05-16 2008-05-16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284A KR100935328B1 (ko) 2008-05-16 2008-05-16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321A KR20090119321A (ko) 2009-11-19
KR100935328B1 true KR100935328B1 (ko) 2010-01-06

Family

ID=4160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284A KR100935328B1 (ko) 2008-05-16 2008-05-16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3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306A (ko) * 2001-10-09 2003-04-18 주식회사 화성산업 천연석 질감을 갖는 박판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306A (ko) * 2001-10-09 2003-04-18 주식회사 화성산업 천연석 질감을 갖는 박판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22788B1 (ko) * 2001-10-09 2004-03-16 주식회사 화성산업 천연석 질감을 갖는 박판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321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84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시공방법
KR100884355B1 (ko) 섬유혼입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914733B1 (ko) 균열 충전용 상온 경화형 침투식 균열 보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KR100799501B1 (ko) 맥반석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반강성 포장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Miller Polymers in cementitious materials
KR100917410B1 (ko)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 포장 공법 및 콘크리트 포장 보수 공법
US4299761A (en) Polymer concrete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and polymerized products thereof
KR20050031097A (ko) 교면 재포장용 초속경 고인성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0618297B1 (ko) 초속경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590547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117062B1 (ko) 기능성 결합재를 포함한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 공법
KR101056825B1 (ko) 수성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489653B1 (ko) 속경성 폴리머 개질 방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로 보수공법
KR20130011560A (ko) 보수용 폴리머 혼입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0872518B1 (ko) 폴리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KR100796209B1 (ko) 칼라 바닥재용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
JP5457777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防水工法
WO1994000638A1 (en) Permeable material composition, permeable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KR101931321B1 (ko) 초속경 교량 상판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교량 상판 보수방법
KR101136810B1 (ko) 고내구성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재
JP2015518515A (ja) 表面組成物及びその塗布方法
CN112479655A (zh) 一种混凝土twf应用系统耐磨硬化剂
KR100935328B1 (ko)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몰탈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KR102445706B1 (ko) 초속경 콘크리트 포장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방법
KR102390756B1 (ko) 초속경 도로보수 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