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20B1 - 자동초점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초점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20B1
KR100935320B1 KR1020070113407A KR20070113407A KR100935320B1 KR 100935320 B1 KR100935320 B1 KR 100935320B1 KR 1020070113407 A KR1020070113407 A KR 1020070113407A KR 20070113407 A KR20070113407 A KR 20070113407A KR 100935320 B1 KR100935320 B1 KR 10093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focus lens
scan
scann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309A (ko
Inventor
김재수
김종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 특성을 보상하여 자동초점 조정을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스캔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스캔 단계; 및 상기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랜딩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이동하여 초점을 조정하는 포커싱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제공한다.
자동초점, 제1 스캔 단계, 제2 스캔 단계, 포커싱 단계, 포커스 렌즈

Description

자동초점 조정방법{Auto focusing method}
본 발명은 자동초점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성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 특성을 보상하여 자동초점 조정을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초점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달은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영상 송수신 등의 기능과 음성 송수신 기능이 함께 구현된 휴대용 복합 이동통신단말기가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합 이동통신단말기로는 사용자가 평소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단말기(일명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현해 놓은 카메라폰이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폰의 구성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 중 하나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그리고 상대 통화의 음성 및 영상 중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서브 시스템(Lens Sub System) 및 영상 처리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렌즈 서브 시스템은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 등으로 구성된 렌즈부와, 렌즈부의 줌 렌즈 또는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영상 처리 서브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 및 ISP, 자동초점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렌즈 서브 시스템은, 외부의 촬영 장면에 초점을 맞추고, 이 외부의 촬영 장면으로부터 범위가 정해진 특정 영역으로 입사하는 빛이(광원)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영상 처리 서브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는, 특정 흡수 기간동안 광원이 입사됨에 따라 전하가 축적되는 포토셀(photo-cell)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적된 전하를 디지털값(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 서브 시스템의 ISP는, 획득한 픽셀들에 대한 디지털값을 압축, 스케일링 이미지 인헨스먼트(scaling image enhancement) 등과 같은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휴대폰 본체로 전송한다.
이때, 렌즈 서브 시스템은 선명한 이미지 촬영을 위하여 렌즈의 포커스 조정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장치는 일반적인 사진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에 있는 자동초점(auto focusing) 조정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며, 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사진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자동초점조절장치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향하여 구도를 설정한 다음,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이 작동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어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초점장치는 크게 액티브(active) 방식과 패시브(passive)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액티브 방식은 카메라 스스로가 적외선이나 초음파 등을 발사한 다음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이나 파동을 감지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패시브 방식은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따로 없이 자연적인 조명하에서 피사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받고 입력된 피사체의 명암차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거리를 판별하는 방식이다.
즉, 패시브 방식은 이미지 센서로부터 나오는 영상 신호 중에서, 휘도 신호가 고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여 얻어진 콘트라스트(contrast)에 비례하는 고역 주파수 신호를 매 프레임(frame)마다 검출하고, 이때 얻어진 콘트라스트를 전 프레임의 콘트라스트와 비교하여 콘트라스트가 커지는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움직여 가장 콘트라스트가 큰 지점에서 포커스 렌즈의 회전운동을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초점을 조절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은 보통 휴대폰에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통해 입수된 영상을 ISP 처리한 후,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 HPF)를 통과시켜 나온 에 지를 통해 산출된 초점값(focus value)을 매 픽처(Picture) 단위로 추출하여 중앙처리장치(CPU)로 전달하고, 이때 CPU는 산출된 초점값을 근거로 포커스 렌즈(Focus Lens)이동 방향 및 거리를 판단하여 액추에이터 드라이버에게 명령을 내리며,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가 구동되어 렌즈가 이동하게 되면서 자동적으로 초점이 맞추어지게 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엑츄에이터의 자동초점 조정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VCA 방식 엑츄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구동전압에 대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VCA 방식 엑츄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한 포커스값으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a는 정상적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도 2b는 실제 구동시의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3a, 3b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경로는 엑츄에이터의 구동시 구동 전압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나타낸 것이고, 좌표의 교차점에 도달했을 경우 최적의 포커스 조정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였을 경우에는 렌즈 특성상 점선과 같은 경로로 움직이지 않으며, 포커스 렌즈가 피사체와 가장 먼 원거리로부터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근거리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가장 우측에 위치한 좌에서 우방향으로의 경로로 움직이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로부터 원거리로 움직이는 반대의 경우에는 가장 좌측에 위치한 우에서 좌방향으로의 경로로 움직임으로써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다.
이는, 포커스가 최적화되는 위치가 포커스 렌즈의 이동방향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현상을 히스테리시스 현상이라고 한다.
도 1에서 나타난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한 포커스값으로 나타내면 도 2와 같다.
즉, 도 2의 (a)에 나타난 포커스 렌즈의 정상적인 움직임시 포커스의 최적점에 해당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와 달리, 실제 포커스 렌즈의 구동시에는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커스 렌즈의 이동방향에 따라 포커스의 최적점에 해당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 힐 클라임(hill climb) 방식의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적용하면, 포커스 렌즈의 방향성에 따라 포커스의 최적점에 해당되는 포커스 렌즈에 오차가 발생하고, 자동초점 조정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힐 클라임 방식의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초점 조정방법은 포커스 렌즈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제1 스캔 단계와, 상기 제1 스캔 단계의 최종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역방향으로 이 동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제2 스캔 단계와, 상기 제2 스캔 단계에서 산출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초점을 조정하는 포커싱 단계로 크게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스캔 단계는, 먼저 최대 포커스값(AFmax)과, 제1 스캔의 현재위치(P1cur)를 초기화하고, 스캔 스텝은 제1 스캔 스텝으로 설정하며, 포커스 렌즈의 이동방향은 순방향으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1 스캔의 현재위치에 제1 스캔의 한 스텝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제1 스캔의 현재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이때의 현재 포커스값(AFcur)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현재 포커스값을 이전 포커스값(AFprev)과 비교하여, 현재 포커스값이 이전 포커스값보다 크면 최대 스텝 반복 횟수(Cmax)를 초기화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값을 상기 최대 포커스값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현재 포커스값이 상기 최대 포커스값보다 크면 이 현재 포커스값을 최대 포커스값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1 스캔의 현재위치에 제1 스캔의 한 스텝을 증가시키는 과정으로 리턴한다.
한편, 상기 제1 스캔의 현재위치에서 측정된 현재 포커스값이 이전 포커스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현재 포커스값이 최대 포커스값보다 작으면, 최대 스텝 반복 횟수를 1 횟수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최대 스텝 반복 횟수가 설정된 스텝 반복 횟수(k)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1 스캔 단계가 완료되고, 이때 최대 포커스값에 해당되는 제1 스캔의 현재위치가 제1 스캔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1max)가 된다.
상기 제1 스캔 단계가 완료되면, 제2 스캔 단계를 위하여 최대 포커스값(AFmax)과 최대 스텝 반복 횟수(Cmax)를 초기화하고, 제2 스캔의 현재위치(P2cur)는 상기 제1 스캔의 완료시 제1 스캔의 현재위치(P1cur)로 설정하며, 스캔 스텝은 제2 스캔 스텝으로 설정하고, 포커스 렌즈의 이동방향은 역방향으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2 스캔 단계는 포커스 렌즈를 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스캔 단계를 반복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제2 스캔 단계가 완료시의 최대 포커스값에 해당되는 제2 스캔의 현재위치가 제2 스캔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가 된다.
상기 제2 스캔 단계가 완료되면, 포커스 렌즈를 제2 스캔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최적 위치로 이동하여 자동초점 조정을 수행한다.
즉, 제2 스캔 단계의 완료시 제2 스캔의 현재위치에 설정된 스텝 반복 횟수와 제2 스캔의 스텝을 곱한 값을 더하여 산출된 위치로 포커싱 렌즈를 이동하여 초정 조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내용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자동초 점 조정방법으로 자동초점을 수행할 경우, 방향성에 따른 렌즈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으로 인하여 제1 스캔에서 산출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1max)와 제2 스캔에서 산출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 간에는 최적점 편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자동초점 조정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거나, 자동초점 조정이 실패되어 엑츄에이터의 성능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성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 특성을 보상하여 자동초점 조정을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스캔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스캔 단계; 및 상기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랜딩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이동하여 초점을 조정하는 포커싱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보상 스텝은 상기 포커스 렌즈가 순방향으로 스캔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스캔하면서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최소범위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랜딩 스텝은 상기 스캔 스텝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방향은 상기 포커스 렌즈가 피사체와 가장 먼 무한대로부터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매크로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제1 스캔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제1 스캔 단계; 상기 제1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제1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제2 스캔 단계; 및 상기 제2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제2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랜딩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이동하여 초점을 조정하는 포커싱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스캔 단계는 최소 1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 보상 스텝은 상기 포커스 렌즈가 순방향으로 제1, 2 스캔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스캔하면서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각각 보상할 수 있는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랜딩 스텝은 상기 제1, 2 스캔 스텝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방향은 상기 포커스 렌즈가 피사체와 가장 먼 무한대로부터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매크로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에 의하면, 방향성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 특성을 보상하여 자동초점 조정을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자동초점 조정방법의 일 실시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은, 크게 제1 스캔 단계와, 상기 제2 스캔 단계와, 최종적으로 포커싱을 조정하는 포커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캔 단계는,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제1 스캔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단계로서, 종래 제1 스캔 단계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은 제1 스캔 단계 이후의 제2 스캔 단계와 포커싱 단계가 종래와 상이하다.
즉, 상기 제2 스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P1max)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제1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 단계는, 상기 제2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P2max)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제2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랜딩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P2max)로 이동하여 초점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기 제2 스캔 단계와 상기 포커싱 단계를 보다 상세하세 설명한다.
상기 제1 스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스캔 단계를 위하여 최대 포커스값(AFmax)과 최대 스텝 반복 횟수(Cmax)를 초기화하고, 제2 스캔의 현재위치(P2cur)는 상기 제1 스캔에서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1max)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최소범위의 값을 갖는 제1 보상 스텝을 감소한 위치로 설정하며, 스캔 스텝은 제2 스캔 스텝으로 설정하고, 포커스 렌즈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1 스캔의 포커스 렌즈 이동방향과 동일한 순방향으로 설정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에서 제2 스캔 단계는, 방향성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의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 후에 제1 스캔 단계와 동일한 순방향으로 스캔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스캔 단계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상기 제2 스캔 단계에서 검출된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가 상기 제1 스캔 단계에서 검출된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1max)와 동일하다.
이후, 상기 제2 스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포커싱 단계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2 스캔 단계에서 검출된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로 이동하여 초점을 조정한다.
즉, 상기 제2 스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포커싱 단계를 위하여 제2 스캔 단계에서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최소범위의 값을 갖는 제2 보상 스텝을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동된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2cur)를 상기 제2 스캔 단계에서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와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2cur)가 상기 제2 스캔 단계에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2cur)에 설정된 랜딩 스텝만큼 증가시킨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2cur)가 상기 제2 스캔 단계에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와 동일하면, 최종적으로 포커스 렌즈의 초점 조정이 완료되고, 이에 따라 포커싱 단계 및 자동초점 조정방법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에 의하면, 제2 스캔 단계 및 포커싱 단계시 방향성에 따른 렌즈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제1 스캔에서 검출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1max)와 제2 스캔에서 검출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P2max)와의 최적점 편차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초점 조정을 정확하게 수행하여 엑츄에이터의 성능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스캔 단계는 최소 1회로 수행되며, 보다 정밀한 초점 조정을 위하여 1회 이상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캔 단계와 상기 포커싱 단계에서 제1, 2 보상 스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커스 렌즈가 순방향으로 제1, 2 스캔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스캔하면서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각각 보상할 수 있는 최소범위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랜딩 스텝은 상기 제1, 2 스캔 스텝보다 작은 값을 갖음으로써, 포커싱 단계에서 포커스 렌즈의 최종 초점 조정을 미세하게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초점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순방향은 상기 포커스 렌즈가 피사체와 가장 먼 무한대로부터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매크로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VCA 방식 엑츄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구동전압에 대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VCA 방식 엑츄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한 포커스값으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a는 정상적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도 2b는 실제 구동시의 그래프이다.
도 3a,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Fmax: 최대 포커스값 AFprev: 이전 포커스값
AFcur: 현재 포커스값
P1max: 제1 스캔에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
P2max: 제2 스캔에서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
P1cur: 제1 스캔의 현재위치 P2cur: 제2 스캔의 현재위치
Cmax: 최대 스텝 반복 횟수 k: 설정된 스텝 반복 횟수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제1 스캔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제1 스캔 단계;
    상기 제1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제1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값을 스캔하는 제2 스캔 단계; 및
    상기 제2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상하는 제2 보상 스텝만큼 감소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설정된 랜딩 스텝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스캔 단계의 최대 포커스값을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이동하여 초점을 조정하는 포커싱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캔 단계는 최소 1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보상 스텝은 상기 포커스 렌즈가 순방향으로 제1, 2 스캔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스캔하면서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각각 보상할 수 있는 최소범위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스텝은 상기 제1, 2 스캔 스텝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은 상기 포커스 렌즈가 피사체와 가장 먼 무한대로부터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매크로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정방법.
KR1020070113407A 2007-11-07 2007-11-07 자동초점 조정방법 KR10093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07A KR100935320B1 (ko) 2007-11-07 2007-11-07 자동초점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07A KR100935320B1 (ko) 2007-11-07 2007-11-07 자동초점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09A KR20090047309A (ko) 2009-05-12
KR100935320B1 true KR100935320B1 (ko) 2010-01-06

Family

ID=4085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407A KR100935320B1 (ko) 2007-11-07 2007-11-07 자동초점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411B1 (ko) 2010-12-06 2017-10-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 불량 검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615B1 (ko) 2010-01-12 201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150A (ja) 2002-09-13 2004-04-08 Canon Inc 合焦制御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050104528A (ko) * 2004-04-29 2005-11-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62404B1 (ko) 2003-12-19 2006-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20060038166A (ko) * 2004-10-29 2006-05-03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력곡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찾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150A (ja) 2002-09-13 2004-04-08 Canon Inc 合焦制御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562404B1 (ko) 2003-12-19 2006-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20050104528A (ko) * 2004-04-29 2005-11-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20060038166A (ko) * 2004-10-29 2006-05-03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력곡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찾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411B1 (ko) 2010-12-06 2017-10-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 불량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09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690B1 (ko) 자동초점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초점 조정장치
KR100706953B1 (ko)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3992992B2 (ja) 被写体像取得装置
JP5523143B2 (ja) 撮像装置及び自動焦点調節方法
JP4674471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10187583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with independent exposure controls
US9438815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dynamic ranges
US8507835B2 (en) Auto-focusing method which uses a different focus determining method according to a type of corresponding focus graph,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and auto-focusing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JP6474693B2 (ja) 焦点検出装置、焦点検出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094458B2 (ja) 画像入力装置
US7630622B2 (en) Automatic focusing methods and image capture devices utilizing the same
JP4081806B2 (ja) 自動焦点カメラ及び撮影方法
JP2006017960A (ja) 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
US7864239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US20100315528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5524509B2 (ja) カメラ、携帯端末装置及びレンズの位置制御方法
KR100935320B1 (ko) 자동초점 조정방법
WO2016167142A1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13630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固体撮像素子
KR100904180B1 (ko) 엑츄에이터 구동방법
TWI395473B (zh) 在低亮度場景執行自動對焦之系統與方法
JP3272186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JP2004120582A (ja) カメラ
KR100813404B1 (ko) 자동초점 조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00531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