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588B1 - 트랙터용 굴삭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588B1
KR100934588B1 KR1020080134598A KR20080134598A KR100934588B1 KR 100934588 B1 KR100934588 B1 KR 100934588B1 KR 1020080134598 A KR1020080134598 A KR 1020080134598A KR 20080134598 A KR20080134598 A KR 20080134598A KR 100934588 B1 KR100934588 B1 KR 10093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tractor
link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814A (ko
Inventor
장균식
Original Assignee
(주)대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정밀 filed Critical (주)대광정밀
Publication of KR2009011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27Devices to connect beams or arms to tractors or similar self-propelled machines, e.g.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랙터의 상한한계링크 및 하부링크나 이와 함께 뒤 차축의 연장축에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어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이 간단하고 단순함은 물론 상기 링크들과 뒤 차축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상하유동이 없고 안정적인 굴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탈부착 가능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이 장착되고 이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에 통상의 굴삭기가 설치되어 있는 트랙터용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은 트랙터 후방의 상한한계링크와 하부링크에 의해 3점지지로 연결되도록 제1연결브래킷을 갖는 가로 비임을 마련하고, 상기 가로 비임의 한쪽끝단 또는 양쪽 끝단에서 뒤 차축을 향하여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결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한글 자음인 니은자 형상(ㄴ字 形狀) 또는 디귿자 형상(ㄴ字 形狀) 또는 모음의 오자 형상(ㅗ字 形狀)이 되도록 하면서, 일측 선단부에 굴삭기의 연결 구조를 갖는 세로 비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랙터, 굴삭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 가로 비임, 세로 비임

Description

트랙터용 굴삭기{excavator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상한한계링크와 하부링크 및 뒤 차축을 이용하여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통상의 굴삭기를 트랙터의 측면에 위치되게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아 굴삭작업이 편하며, 상기 프레임이 링크들과 뒤 차축에 의해 상하유동이 없는 상태로 고정이 확실하여 안정적인 굴삭작업이 가능하게 이뤄지는 트랙터용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인이 선 출원한 국내특허출원 제 2008-0043771호(출원일 : 2008.05.13.자 ; 트랙터용 굴삭기)에 대해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적인 부분을 부가 및 한정한 것으로, 본원인의 상기 선 출원특허에 대해 국내우선권을 주장하는 트랙터용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굴착기라고도 하며, 주로 터파기 작업이나 깎아내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산업용장비이다. 이러한 굴삭기를 소형화하여 농업용 차량인 트랙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개량하여 터파기를 포함한 좁은 농로작업과 배수로작 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트랙터용 굴삭기에서 두어 개를 발췌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5-0018963호에는 트랙터의 전방양측에 마운트브래킷을 수개의 볼트로 장착하고 이 마운트브래킷 선단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어 스윙포스트를 좌우실린더로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윙브래킷에다 통상의 굴삭기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며, 운전석이 있는 트랙터의 상단부에 지지간 및 지지기둥을 통해 컨트롤러가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공보의 굴삭기에 있어서는, 트랙터의 운전석에 앉은 상태로 전방을 주시하면서 굴삭기를 조작하므로 작업성은 좋으나, 트랙터에 마운트브래킷과 스윙브래킷은 물론 컨트롤러를 탈부착하는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우며, 또한 상기 부품들이 트랙터 전방에 분산 설치되어 있어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9881호에는 트랙터의 중앙하부에 제1 ,제2붐을 통해 단부에 집게를 구비하는 스틱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제2붐과 스틱에 제1, 제2지지대가 4절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면서 그 작동을 위해 유압실린더가 연결 설치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의 굴삭기에 있어서는, 집게로 낮은 곳의 짚을 높은 곳으로 옮기거나 상차할 때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고 접은 상태에서도 중심이 안정적인 것이나, 굴삭기 자체의 구성으로는 집게를 측면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고, 트랙터 자체를 구동시켜야만 가능하므로 농로작업이라든가 수로작업 등과 같은 굴삭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굴삭기들은 모두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작업이 용이할 것 같으나, 이는 트랙터 차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전방상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버킷(집게)을 이용한 제대로의 굴삭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의 상한한계링크 및 하부링크나 이와 함께 뒤 차축의 연장축에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어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이 간단하고 단순함은 물론 상한한계링크와 하부링크 및 뒤 차축에 확실하게 고정하여 상하유동이 없고 안정적인 굴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굴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이 트랙터의 후방에서 그 측면의 운전석 근처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분에 통상의 굴삭기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트랙터의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시야의 가림 없이 트여있는 측면에 설치된 굴삭기를 바라보면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굴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에 탈부착 가능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이 장착되고 이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에 통상의 굴삭기가 설치되어 있는 트랙터용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은 트랙터 후방의 상한한계링크와 하부링크에 의해 3점 지지로 연결되도록 제1연결브래킷을 갖는 가로 비임이 마련되며, 이 가로 비임의 한쪽끝단에서 뒤 차축을 향하여 전방으로 구부러져 전체적인 형상이 한글 자음인 니은자 형상(ㄴ字 形狀)이나 모음의 오자형상(ㅗ字 形狀)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분에 굴삭기의 연결 구조를 갖는 세로 비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을 이루는 가로 비임의 중앙부분에는 상단에 상부링크와 연결을 위한 제2연결브래킷을 갖는 직립 비임이 상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을 이루는 세로 비임의 선단부분에는 보다 확실한 안정적인 고정이 이뤄지도록 뒤 차축의 연장축과 연결을 위한 체결구가 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축은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의 세로 비임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더라도 트랙터의 구동에 따라 뒤 차축이 자유롭게 공 회전되도록 베어링 회전축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상한한계링크와 하부링크나 이와 함께 뒤 차축의 연장축에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어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이 간단하고 단순함은 물론 상한한계링크와 하부링크 및 뒤 차축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상하유동이 없고 안정적인 굴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이 트랙터의 후방에서 그 측면의 운전석 근처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분에 통상의 굴삭기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 가 트랙터의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시야의 가림 없이 트여있는 측면에 설치된 굴삭기를 바라보면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트랙터용 굴삭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랙터용 굴삭기를 트랙터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고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비임이 체결된 뒤 차축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굴삭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랙터용 굴삭기는 트랙터(10)의 후단 양쪽에 회전 승강되게 설치된 하부링크(11)와, 이 하부링크(11) 사이의 중간상부에 장착된 트랙터브래킷(12)과 연결된 상한한계링크(13) 및 뒤 차축(14)의 단부에 연장 설치된 연장축(19)을 통해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의 선단, 즉 트랙터의 뒤 차축(14) 바로 앞에 통상의 굴삭기(30)를 이루는 수평회동프레임(31)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굴삭기(30)는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의 세로 비임(23) 선단에 제1실린더(32a)를 통해 회동되게 설치되는 수평회동프레임(31)과, 이 수평회동프레임(31)에 제2실린더(32b)를 통해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된 제1붐(33)과, 이 제1붐(33)에 제3실린더(32c)를 통해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된 제2붐(34) 및 이 제2 붐(34)에 제4실린더(32d)를 통해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된 버킷(35)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은 트랙터(10) 후방의 상한한계링크(13)와 하부링크(12)에 의해 3점 지지로 연결되도록 제1연결브래킷(22a,22b)을 갖는 가로 비임(21)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가로 비임(21)의 한쪽 끝단에서 뒤 차축(14)을 향하여 전방으로 구부러져 전체적인 형상이 한글 자음인 니은자 형상(ㄴ字 形狀)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분에 굴삭기(30)의 수평회동프레임(31)과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를 갖는 세로 비임(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로 비임(23)의 선단부분에는 보다 확실한 안정적인 고정이 이뤄지도록 뒤 차축(14)의 연장축(19)과 연결을 위한 체결구(25)가 마련되되, 이 체결구(25)는 연장축(19)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호형부를 갖는 밴드(25a)와 이 밴드(25a)의 양단을 조일 수 있도록 볼트(2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25)를 이루는 밴드(25a) 하부의 세로 비임(23) 상면에도 연장축(19)이 안착될 수 있는 호형안착부(25c)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축(19)은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의 세로 비임(23)에 체결구(25)를 이용하여 체결하더라도 트랙터(10)의 구동에 따라 뒤 차축(14)이 자유롭게 공회전이 이뤄지는 베어링회전축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의 가로 비임(21)에는 굴삭기(30)의 필수구성부품인 제1 내지 제4실린더(32a~32d)로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하도록 하나의 유압시스템을 이루는 유압모터(36)와 오일탱크(37) 및 분배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이외에 이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트랙터(10)의 운전석 옆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모터(36)는 트랙터(10)의 PTO축과 만능이음(15)을 통해 연결되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의 가로 비임(21)과 세로 비임(23)에는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을 트랙터(10)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때, 트랙터(10)에 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상태에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지지실린더(26)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을 보관할 때에는 굴삭기(30)의 버킷(35)이 가로 비임(21)에 최대로 근접되게 회전시킨 상태로 보관함이 구조적인 특성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굴삭기를 트랙터(10)에 부착하는 과정부터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와 같이,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의 하부로 지지실린더(26)를 연장 작동시킴과 아울러, 적어도 가로 비임(21)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삭기(30)의 버킷(35)이 위치되거나 가로 비임(21)과 세로 비임(23)이 만나는 부분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되 상기 버킷(35)이 지면을 지탱하는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을 이루는 가로 비임(21)의 제1연결브래킷(22a,22b)에 트랙터(10)의 상한한계링크(13)와 하부링크(11)를 각각 연결하고 트랙터(10)의 뒤 차축(14)에서 연장된 연장축(19)에다 세로 비임(23) 선단을 체결구(25)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이후에 트랙터(10)의 PTO축과 굴삭기(30)의 유압모터(36)를 만능이음(15)으 로 연결함은 물론, 굴삭기(30)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시스템을 이루는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를 트랙터(10)의 운전석 옆에 부착한다.
이렇게 트랙터(10)에 본 발명의 트랙터용 굴삭기를 부착한 후 제어기를 조작하여 지지실린더(26)를 작동시켜 지면과 닿지 않게 상승시킨 다음 굴삭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굴삭기(30)의 조작은 제어기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되, 참고적으로 그 조작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1실린더(32a)를 작동시켜 수평회동프레임(31)을 소정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제2 내지 제4실린더(32b~32d)를 연계 동작시켜 제1붐(33), 제2붐(34) 및 버킷(35)을 연속적인 부드러운 동작으로 땅을 파거나 깎아내는 굴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굴삭작업은 트랙터(10)의 측면인 그 뒤 차축(14) 근처의 세로 비임(23)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굴삭기(30)를 보면서 운전석 옆의 제어기를 조작함으로써 농수로작업이나 농로작업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농수로작업이나 농로작업을 수행할 때 굴삭기(30)의 버킷(35)으로 토양을 파고자 하면 초기에는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에 그 하부에서 상부로 들리는 힘이 작용하고 후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리누르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루는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의 세로 비임(23) 선단이 뒤 차축(14)의 연장축(19)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고, 가로 비임(21)은 상한한계링크(13)와 하부링크(11)에 3점 링크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로 들리는 힘은 상한한계링크(13)가 지탱하고, 하부로 눌리는 힘은 하부링크(11)가 지지하여 굴삭작업을 수행할 때 상항유동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안정적인 굴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굴삭작업을 완료한 후 창고 등에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트랙터(10)의 운전석 옆에 설치된 제어기를 조작하여 굴삭기(30)가 도 3과 같은 상태 혹은 가로 및 세로 비임(21,23)이 만나는 부분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다음, 굴삭기설치용 프레임(20)에 설치된 지지실린더(26)를 작동시켜 그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상한한계링크(13)와 하부링크(11) 및 체결구(25)를 해제시킴으로써 분리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트랙터용 굴삭기에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만을 트랙터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은 가로 비임(21)의 한쪽끝단에 세로 비임(23)이 마련되되 전체적인 형상이 한글모음의 오자 형상(ㅗ字 形狀)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로 비임(21)의 중앙부분에는 상단에 트랙터(10)의 트랙터브래킷(12)과 연결된 상부링크(16)와 연결을 위한 제2연결브래킷(28)을 갖는 직립 비임(27)이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트랙터용 굴삭기는,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을 이루는 가로 비임(21)의 제1연결브래킷(22a,22b)에 트랙터(10)의 상한한계링크(13)와 하부링크(11)를 각각 연결하고, 여기에다가 가로 비임(21)측 직립 비임(27) 상단의 제2연결브래킷(28)에 상부링크(16)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트랙 터(10)에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은 양쪽의 하부링크(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한한계링크(13)와 상부링크(16)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에 그 하부에서 상부로 들리는 힘이라든가 상부에서 하부로 내리누르는 힘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끝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20)은 가로 비임(21)의 양쪽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한글자음의 디귿자 형상(ㄷ字 形狀)이 되도록 세로비임(23)을 마련하되, 상기 세로 비임(23)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굴삭기(30)가 설치되는 수평회동프레임(31)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 세로 비임(23)의 가로 비임(21) 방향 양단에는 운전석 옆에 마련된 제어기의 조작에 의해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승강 조절되는 지지실린더(26)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가로 비임(21)의 양측에 마련되는 세로 비임(23) 중 굴삭기(30)가 설치되는 세로 비임(23)의 측면 일측 단(굴삭기가 설치되는 반대쪽 단부)에는 제1실린더(32a)가 고정되고, 상기 제1실린더(32a)의 피스톤은 세로 비임(23)에 일측 단이 고정된 작동링크(4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링크(40)의 타측 단은 굴삭기(30)와 세로 비임(23)을 회동 가능하게 링크 연결하는 수평회동프레임(31)에 연결된다.
상기 작동링크(40)는 일측 단이 세로 비임(23)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은 자유공간으로 라운드 지면서 연장된 판체 형상의 링크1(41)과, 일측 단은 상기 링크1(41)의 타측 단 및 상기 제1실린더(32a)의 피스톤 단부와 힌지 연결되고, 타측 단은 상기 세로 비임(23)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수평회동프레임(31)의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31a)에 축 연결되는 라운드 진 핀체 형상의 링크2(42)로 이루 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세로 비임(23)이 가로 비임(21)의 일측에 마련되었을 때 보다 균형을 갖고 안정적으로 작업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링크(40)는 제1실린더(32a)의 피스톤 동작에 의해 작동링크(40)의 중간부분이 당겨지거나 밀리면 링크1(41)의 세로 비임(23)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링크2(42)가 당겨지거나 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굴삭기(30)의 수평회동프레임(31) 역시 당겨지거나 밀려서 수평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외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랙터용 굴삭기를 트랙터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비임이 체결된 뒤 차축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굴삭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트랙터용 굴삭기에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만을 트랙터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랙터 14 : 차축
19 : 연장축 20: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
21: 가로 비임 22a, 22b: 제1연결브래킷
23: 세로 비임 25: 체결구
25a: 밴드 25b: 볼트
25c: 호형안착부 26: 지지실린더
27: 직립 비임 30 : 굴삭기
31 : 수평회동프레임 31a : 통공
40 : 작동링크 41,42 : 링크1,2

Claims (7)

  1. 트랙터에 탈부착 가능한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이 장착되고 이 굴삭기 설치용프레임에 통상의 굴삭기가 설치되어 있는 트랙터용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은 트랙터 후방의 상한한계링크와 하부링크에 의해 3점 지지로 연결되도록 제1연결브래킷을 갖는 가로 비임을 마련하고, 상기 가로 비임의 양쪽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한글자음의 디귿자 형상이 되도록 세로비임을 마련하되, 상기 세로 비임 중 어느 한 쪽 선단부에 굴삭기가 설치되는 수평회동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세로 비임의 뒤 차축 방향의 선단부분에는 세로비임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뤄지도록 뒤차축의 연장축과 연결을 위한 체결구를 마련하고, 상기 세로 비임의 가로 비임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운전석 옆에 마련된 제어기의 조작에 의해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승강 조절되는 지지실린더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가로 비임 양측의 세로 비임 중 굴삭기가 설치되는 세로 비임의 측면 일측 단에는 제1실린더를 고정하고, 상기 제1실린더의 피스톤은 세로 비임에 일측 단이 고정된 작동링크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작동링크의 타측 단은 굴삭기와 세로 비임을 회동 가능하게 링크 연결하는 상기 수평회동프레임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굴삭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은 굴삭기 설치용 프레임의 세로 비임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더라도 트랙터의 구동에 따라 뒤 차축이 자유롭게 공 회전되도록 베어링 회전축으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굴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비임의 중앙부분에는 상단에 상부링크와 연결을 위한 제2연결브래킷을 갖는 직립 비임이 상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굴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비임은 가로 비임의 한쪽끝단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한글모음의 오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굴삭기.
  6. 삭제
  7. 삭제
KR1020080134598A 2008-05-14 2008-12-26 트랙터용 굴삭기 KR100934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771 2008-05-14
KR20080043771 200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14A KR20090118814A (ko) 2009-11-18
KR100934588B1 true KR100934588B1 (ko) 2010-01-18

Family

ID=4160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598A KR100934588B1 (ko) 2008-05-14 2008-12-26 트랙터용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76B1 (ko) 2015-09-09 2016-03-03 대한민국 트랙터 부착식 원목 집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91Y1 (ko) * 2018-07-18 2018-11-30 김기선 트랙터의 하이브리드 동력을 이용하여 중장비의 견인 및 구동 기능을 갖는 트랙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2417A (ja) * 1988-01-13 1989-07-20 Kubota Ltd トラクタの油圧配管
JP2006217863A (ja) * 2005-02-10 2006-08-24 Sugano Farm Mach Mfg Co Ltd 撥土板付心土犂の取り付けられたプラウ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2417A (ja) * 1988-01-13 1989-07-20 Kubota Ltd トラクタの油圧配管
JP2006217863A (ja) * 2005-02-10 2006-08-24 Sugano Farm Mach Mfg Co Ltd 撥土板付心土犂の取り付けられたプラウ作業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um그린넷_생생!생활정보_트랙터도 되고 굴삭기도 되고(2008.12.04.),DaumTV팟_스팟TV_트랙터도 되고 굴삭기도 되고(2008.11.2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76B1 (ko) 2015-09-09 2016-03-03 대한민국 트랙터 부착식 원목 집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14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1837B2 (en) Latching system for automatically securing front-mounted loader mast to tractor-carried loader mounting frame
KR100483337B1 (ko) 프레임형 트랙터
CN104010484B (zh) 裂土器组件
KR100693375B1 (ko) 농업용 작업기의 링크 연결장치
KR100934588B1 (ko) 트랙터용 굴삭기
US7131502B1 (en) Implement mounting system
KR20130075315A (ko)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US7010874B2 (en) Mounting frame unit for attaching working implements to a tractor body
CN211571824U (zh) 一种兼容工程机械属具与农用机械属具的多功能工程车
JP2005068993A (ja) ローダのリンク機構
JP2017214033A (ja) 作業機械
KR0134792B1 (ko) 트랙터용 굴삭기의 고정부재
JP4324069B2 (ja) 建設作業機械
EP1585865B1 (en) A loader for agricultural tractors
JPH0111802Y2 (ko)
CN219514568U (zh) 一种拖拉机的农机具液压提升装置
KR200296583Y1 (ko) 트랙터의 버켓 결합구조
KR200284782Y1 (ko) 트랙터용 로우더 스탠드
KR20100010588A (ko) 트랙터용 굴삭기 연결기
KR20110012767A (ko) 접철식 광폭쟁기
JP3017113U (ja) トラクター用掘削機
JP3074478U (ja) パワーショベルのブーム機構
KR200237357Y1 (ko) 트랙터용 써레
JPH0788784A (ja) ロボット作業車
JPH03169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