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261B1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261B1
KR100934261B1 KR1020080017329A KR20080017329A KR100934261B1 KR 100934261 B1 KR100934261 B1 KR 100934261B1 KR 1020080017329 A KR1020080017329 A KR 1020080017329A KR 20080017329 A KR20080017329 A KR 20080017329A KR 100934261 B1 KR100934261 B1 KR 10093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organic light
lower substrat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052A (ko
Inventor
남영희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2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영상 및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하여 일정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을 위한 화소 영역의 감소 없이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전극,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유기막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합착되며, 상기 하부 기판 측 표면에 제 3 전극,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층, 및 제 4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시키는 합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5 전극; 상기 제 5 전극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3 유기막층; 상기 제 3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6 전극; 상기 제 6 전극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4 유기막층; 상기 제 4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며, 제 1 패턴을 가지는 제 7 전극; 상기 제 7 전극 상에 위치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시키는 합착 부재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메인 영상, 서브 영상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영상 및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하여 일정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을 위한 화소 영역의 감소 없이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는 경량 및 박형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ray Tube Display device)를 대체하는 표시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가 있다. 이 중,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Back Light)를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박막에 음극(Cathode)과 양극(Anode)을 통해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 표시장치이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구동 방법에 따라 수동 구동(Passive matrix) 방식과 능동 구동(Active matrix) 방식으로 나뉘는데, 능동 구동 방식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사용하는 회로를 가진다. 상기 수동 구동 방식은 그 표시 영역이 양극과 음극에 의하여 단순히 매트릭스 형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해상도, 구동 전압의 상승, 재료 수명의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저해상도 및 소형 디스플레이의 응용 분야로 제한된다. 상기 능동 구동 방식은 표시 영역이 각 화소마다 박막 트랜지스터를 장착함으로써, 각 화소마다 일정한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안정적인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가 적어 고해상도 및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메인 영상 및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하여 일정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인 화소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서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서브 화소 영역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메인 화소 영역이 줄어들게 되어, 휘도 저하 및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영상을 위한 메인 화소 영역의 감소없이,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하여 일정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 1 전극,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유기막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합착되며, 상기 하부 기판 측 표면에 제 3 전극,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층, 및 제 4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시키는 합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5 전극; 상기 제 5 전극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3 유기막층; 상기 제 3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6 전극; 상기 제 6 전극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4 유기막층; 상기 제 4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며, 제 1 패턴을 가지는 제 7 전극; 상기 제 7 전극 상에 위치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시키는 합착 부재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하부 기판에 메인 영상을 위한 메인 화소 영역이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기판과 합착되는 상부 기판에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한 일정 패턴을 가지는 서브 화소 영역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영상을 위한 메인 화소 영역의 감소 없이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는 서브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이며,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 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덧붙여 도면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 1 전극(122),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유기막층(124) 및 제 2 전극(126)을 포함하는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가 형성된 하부 기판(110), 상기 하부 기판(110)과 합착되며, 상기 하부 기판(110) 측 표면에 제 3 전극(142),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층(144) 및 제 4 전극(146)을 포함하며, 일정 패턴을 가지는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140)가 형성된 상부 기판(130) 및 상기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130)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 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착 부재(150)는 실런트 또는 프릿(frit)일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는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기판(110)과 제 1 전극(122)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 기판(110) 상에 단일 유기전계발광소자(12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하부 기판(110) 상에 다수의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는 매트릭스 형태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제 1 유기막층(1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R, G, B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유기막층(124)이 반복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기판(130)의 상기 하부 기판(110) 측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140)는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한 서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영상에 따라 일정 형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패턴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기판(110)에 다수의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가 매트릭스 형태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1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상이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영상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140)는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1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상이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영상을 장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140)의 일부가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10)와 중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하부 기판 상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도록 하 고, 상기 하부 기판과 합착되는 상부 기판의 상기 하부 기판 측 표면에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하여 일정 패턴을 가지는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인 화소 영역의 감소 없이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한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 5 전극(222),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3 유기막층(224) 및 제 6 전극(226)을 포함하는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가 형성된 하부 기판(210), 상기 하부 기판(210)과 합착되며, 상기 하부 기판(210) 측 표면에 제 7 전극(242),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4 유기막층(244) 및 제 8 전극(246)을 포함하며, 일정 패턴을 가지는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240)가 형성된 상부 기판(230) 및 상기 하부 기판(210)과 상부 기판(230)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 부재(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착 부재(250)는 실런트 또는 프릿(fri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의 제 6 전극(226)과 상기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240)의 제 7 전극(246)이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6 전극(226) 및 제 7 전극(246)을 통해 인가되는 전 압의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압 강하를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6 전극(226)과 제 7 전극(246)은 동일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상기 하부 기판(210) 상에 다수의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는 매트릭스 형태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210)에 다수의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가 매트릭스 형태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240)를 상기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나,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의 제 6 전극(226)과 상기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240)의 제 8 전극(246)이 접촉되도록 하여야 하며, 상기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2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상이 상기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영상을 장식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240)의 일부는 상기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10)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하부 기판 상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기판과 합착되는 상부 기판의 상기 하부 기판 측 표면에 일정 패턴을 가지는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 6 전극과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 8 전극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제 4 유기전계발광소자로 인가되는 전압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며, 상기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인 화소 영역의 감소 없이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한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하부 기판(310), 상기 하부 기판(310) 상에 위치하는 제 9 전극(322), 상기 제 9 전극(322)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5 유기막층(324), 상기 제 5 유기막층(324) 상에 위치하는 제 10 전극(326), 상기 제 10 전극(326)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6 유기막층(327), 상기 제 6 유기막층(327) 상에 위치하며, 일정 패턴을 가지는 제 11 전극(328), 상기 제 1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상부 기판(330) 및 상기 하부 기판(310)과 상부 기판(330)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기판(310)과 상부 기판(330)을 합착시키는 합착 부재(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착 부재(350)는 실런트 또는 프릿(fri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제 9 전 극(322), 제 10 전극(326) 및 상기 제 9 전극(322)과 제 10 전극(326) 사이에 위치한 제 5 유기막층(324)을 통해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0 전극(326), 일정 패턴을 가지는 제 11 전극(328) 및 상기 제 10 전극(326)과 제 11 전극(328) 사이에 위치하는 제 6 유기막층(327)을 통해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한 서브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제 9 전극(322), 제 10 전극(326) 및 제 5 유기막층(32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영상이 상기 제 6 유기막층(327)을 통과함에 따라 휘도 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6 유기막층(327)은 상기 제 11 전극(328)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9 전극(322) 및 제 5 유기막층(324)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120) 및 제 2 실시 예의 제 3 유기전계발광소자(220)와 같이 스트라이프 형태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나, 상기 제 10 전극(326)은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한 서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제 6 유기막층(327)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 10 전극(326)은 상기 하부 기판(310)의 표시 영역(미도시)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하부 기판 상에 위치하며,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9 전극, 제 5 유기막층 및 제 10 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 10 전극 상에 상기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6 유기막층 및 제 11 전극을 일정 패턴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인 화소 영역의 감소 없이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메인 영상을 장식하기 위한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필요한 배선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 부호들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 하부 기판 120, 220 :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
130, 230, 330 : 상부 기판 140, 240 :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
150, 250, 350 : 합착 부재

Claims (11)

  1. 제 1 전극,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유기막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합착되며, 상기 하부 기판 측 표면에 제 3 전극,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층, 및 제 4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시키는 합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와 하부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은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감싸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 2 전극과 상기 제 2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 3 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과 제 3 전극은 동일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유기막층;
    상기 제 1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층;
    상기 제 2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며, 제 1 패턴을 가지는 제 3 전극;
    상기 제 3 전극 상에 위치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시키는 합착 부재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과 제 1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막층은 상기 제 3 전극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1 유기막층은 제 2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80017329A 2008-02-26 2008-02-2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93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29A KR100934261B1 (ko) 2008-02-26 2008-02-2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29A KR100934261B1 (ko) 2008-02-26 2008-02-2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52A KR20090092052A (ko) 2009-08-31
KR100934261B1 true KR100934261B1 (ko) 2009-12-28

Family

ID=4120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329A KR100934261B1 (ko) 2008-02-26 2008-02-2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2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850A (ko) * 2005-11-22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표시를 위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90075097A (ko) * 2008-01-03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850A (ko) * 2005-11-22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표시를 위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90075097A (ko) * 2008-01-03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52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491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KR100460210B1 (ko)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775527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983888B1 (ko) 투명 oled 부품 및 그 부품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351349B2 (en) Organic EL device having improved sealing property
CN108666348A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100741968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51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전극 연결 방법
JP4688732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539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399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52540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WI426488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6870197B2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11001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US807684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TW20122048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assembly thereof
KR10093426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484400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의전원전압강하를 줄이기 위한 배선 구조 및 그배선방법
KR10063112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3057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070067502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4924B1 (ko) 상부발광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73B1 (ko) 마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제조방법
KR20110051783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