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988B1 - 안마장치 - Google Patents

안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988B1
KR100933988B1 KR1020090041614A KR20090041614A KR100933988B1 KR 100933988 B1 KR100933988 B1 KR 100933988B1 KR 1020090041614 A KR1020090041614 A KR 1020090041614A KR 20090041614 A KR20090041614 A KR 20090041614A KR 100933988 B1 KR100933988 B1 KR 10093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hinge
us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111A (ko
Inventor
이용백
이중재
Original Assignee
이용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백 filed Critical 이용백
Publication of KR2009007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가 설치되는 메인바디와,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가 설치되는 서브바디와,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연결하며,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와, 메인바디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와, 서브바디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를 포함한다.
안마, 두드림, 발, 종아리, 목, 허리

Description

안마장치{MASSAGE APPARATUS}
본 발명은 안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이나 수기계 치료(手技系治療: 침, 뜸, 안마 등) 때에 활용하는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경혈) 및 이 반응점을 연결한 경로를 경혈경락(經穴經絡)이라고 한다.
한방, 특히 수기계 치료의 질병관(疾病觀)에 의하면 인체에는 장부(臟腑:오장육부)가 있고, 기능이 서로 조화되면 건강하지만 조화가 흩어지면 병에 걸려 여러 가지 증세가 나타난다고 한다.
이 장부의 기능을 항상 조절하는 것은 몸의 내외를, 머리에서 다리로, 가슴에서 팔로, 즉 세로로 지나가는 에너지 순환계(循環系:氣와 血이 흐른다고 한다)가 있는데 이것을 경락이라고 한다.
경혈이나 경락을 실제로 응용하는 경우에 단지 경혈을 자로 재면서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병과 관계가 있는 경락을 잘 문질러 그 경락 위에 특히 통증이나 패인 곳, 결림, 응어리, 냉증, 달아오름, 작은 점이나 피부진(皮膚疹) 등이 생긴 곳을 대상으로 하여 수기계 치료를 한다.
또한 경혈과 경락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규칙적으로 몸의 표면이나 근육에 경혈이 배열되는 것은 아니다. 가정에서의 뜸치료나 지압요법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경락에 따라 가볍게 문지르고 누르면 특히 아픔을 느끼거나, 결리는 곳이 반드시 있을 것이다. 그 부분이 바로 경혈이 있는 곳과 일치한다.
이러한, 경락에 따라 손이나 특수한 기구로 몸을 쓸거나, 주무르거나,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두드리거나, 움직이거나하여 경혈을 풀어줌에 따라 혈액순환을 돕고, 피로가 풀리게 하는 것을 안마(按摩)라고 하며, 근육, 관절, 내장의 변조를 조정하여 그 기능을 높이며, 신경의 흥분을 가라앉히는 수기요법(手技療法)으로, 의료 보조요법의 하나이기도 하다.
안마는 중국의 황하문화권에서 침(鍼), 구(灸)와 함께 발달한 한방의술의 물리요법의 한 과로 '안교도인법(按導引法)'이라하여 중국, 한국(560년경), 일본 등으로 전해졌다.
안교란 피부나 근육을 주물러 그 기능의 항진을 억제하고, 도인은 신체근육을 부드럽게 하며 마디마디를 움직여서 대기를 체내에 도입하는 경락유주법이다.
상기와 같은 안마는 불면, 두통, 고혈압, 혈액과 체액의 순환장애, 근육과 관절의 물리적 기능 이상, 각종 신경통과 교감신경의 실조, 그리고 소화기, 비뇨기 등의 기능장애 회복에 효과가 있다.
또한, 경락을 자극하는 다른 방법으로 엄지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몸 표 면의 일정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생체의 변조(變調)를 교정하거나 건강의 증진 또는 질병의 치료를 도모하는 수기요법(手技療法)을 지압 (指壓, digital compression)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경락,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도와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인 지압과 안마는 물리치료의 일환으로 기능을 가진 시술자에게 시술을 받는 것이 합당하나, 시술비가 비싸고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시술됨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아 사용자가 항시 시술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항시 시술 받을 수 있는 안마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발바닥과 종아리를 동시에 안마해주거나, 목과 허리를 동시에 안마해주는 안마장치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바닥과 종아리를 동시에 안마해주거나, 목과 허리를 동시에 안마해주는 안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 는 메인안마부가 설치되는 메인바디,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가 설치되는 서브바디,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연결하며,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 메인바디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 서브바디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힌지부는 메인바디에 연결되는 메인샤프트와, 메인샤프트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인힌지판과, 메인힌지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과 메인샤프트와 메인힌지판의 사이에서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걸림턱 및 후방걸림턱으로 구성되는 메인힌지부재와, 서브바디에 연결되는 서브샤프트와, 서브샤프트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힌지판들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힌지판과, 복수의 서브힌지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걸쇠힌지와, 걸쇠힌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걸림홈에 걸리는 걸쇠와, 걸쇠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걸쇠힌지에 설치되는 핀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서브힌지부재와, 복수의 메인힌지판 및 복수의 서브힌지판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메인힌지부재 및 서브힌지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센터힌지와, 센터힌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걸쇠를 걸림홈에서 이탈시켜 메인힌지부재와 서브힌지부재의 회전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가 설치되는 메인바디,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가 설치되는 서브바디,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연결하며,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 메인바디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 서브바 디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메인안마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위치이동부는 메인바디에 설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과,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며, 메인안마부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프레임과, 복수개의 이동프레임에 서로 마주되면서 어긋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래크와, 복수개의 이동프레임을 멀어지거나 가깝게 하도록 복수개의 래크에 결합되는 피니언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가 설치되는 메인바디,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가 설치되는 서브바디,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연결하며,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 메인바디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 서브바디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메인안마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며, 방향조절부는 메인안마부가 수용되며,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회전부재를 갖는 회전함체와, 복수개의 회전부재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회전홀이 형성되며, 회전함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회전함체를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도록 회전함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결합홀과 대응되도록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홀과,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가 설치되는 메인바디,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가 설치되는 서브바 디,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연결하며,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 메인바디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 서브바디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서브바디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간격조절부는 메인바디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서브바디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베이스부재의 상부에서 설정된 거리만큼씩 전진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가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후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이동부재를 베이스부재의 후방으로 후진시키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가 설치되는 메인바디,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가 설치되는 서브바디,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연결하며,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 메인바디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 서브바디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힌지부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조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보조회전부는 힌지부와 메인바디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샤프트와, 복수개의 회전샤프트의 마주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회전돌기 및 회전홈과, 결합된 회전돌기 및 회전홈을 관통되어 설치되는 보조힌지와, 복수개의 회전샤프트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회전돌기 및 회전홈 중 어느 한단에 90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회전방지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바닥과 종아리를 동시에 안마해주거나, 목과 허리를 동시에 안마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와,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와,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와,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와, 서브바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서브바디(40)를 위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메인바디(20)를 수직으로 세워서, 의자의 등받이에 지지하면 사용자의 목과 허리를 동시에 안마할 수 있다. 또한, 서브바디(40)와 메인바디(20)를 하늘로 향하게 하면 사용자의 발바닥과 종아리를 동시에 안마할 수 있다.
이때, 메인구속부(60)는 사용자의 허리 또는 종아리를 구속시킬 수 있으므 로, 사용자의 피부는 메인구속부(6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서브구속부(70)는 사용자의 발을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를 전체적으로 씌워서 커버하는 메인케이스(200)와, 서브바디(40)를 전체적으로 씌워서 커버하는 서브케이스(40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구속부(60)는 메인바디(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띠부재(61)와, 복수개의 띠부재(61)에 각각 마련되는 암수결합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띠부재(61)는 메인바디(20)에 접착제에 의해 설치되거나, 메인바디(20)에 홀(도시생략)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띠부재(61)를 묶어서 재봉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암수결합부재(62)는 스냅단추 또는 매직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일부인 팔이나 다리가 메인안마부(10)에 밀착되므로, 안마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이때, 띠부재(61)의 일부분에 고무줄부재(도시생략)가 설치되면 사용자의 신체일부를 탄력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에 메인케이스(200)를 씌우고 메인케이스(200)에 복수개의 띠부재(6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띠부재(61)가 메인바디(20)에 설치되면 메인케이스(200)에는 복수개의 띠부재(61)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띠홀(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안마부(10)를 조절하도록 메인바디(20)의 측면에는 조절홀(21)이 형성되고, 메인케이스(200)에는 조절홀(21)과 연통되는 연결홀(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조절홀(21)과 연결홀(220)을 통해 메인안마 부(1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는 안마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서브구속부(70)는 서브바디(40)의 상부와 좌측 및 우측을 커버하고 하부는 개방되는 주머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구속부(70)의 개방된 부분은 힌지부(50)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구속부(70)에 사용자의 발을 넣은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발이 서브안마부(30)에 밀착되므로, 안마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바디(40)를 커버하도록 서브케이스(400)를 씌우고 이 서브케이스(400)에 서브구속부(70)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서브구속부(70)를 대신하여 스냅단추 또는 매직테이프를 갖는 띠부재(6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50)는 메인바디(20)에 연결되는 메인샤프트(51a), 메인샤프트(51a)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인힌지판(51b), 메인힌지판(51b)의 외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51c)과 메인샤프트(51a)와 메인힌지판(51b)의 사이에서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걸림턱(51d) 및 후방걸림턱(51e)으로 구성되는 메인힌지부재(51)와, 서브바디(40)에 연결되는 서브샤프트(52a), 서브샤프트(52a)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힌지판(51b)들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힌지판(52b), 복수의 서브힌지판(52b)의 사이에 설치되는 걸쇠힌지(52c), 걸쇠힌지(52c)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걸림홈(51c)에 걸리는 걸쇠(52d), 걸쇠(52d)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걸쇠힌지(52c)에 설치되는 핀스프링(52e)으로 구성되는 서브힌지부재(52)와, 복수의 메인힌지판(51b) 및 복수의 서 브힌지판(52b)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메인힌지부재(51) 및 서브힌지부재(52)의 회전을 지지하는 센터힌지(53)와, 센터힌지(53)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걸쇠(52d)를 걸림홈(51c)에서 이탈시켜 메인힌지부재(51)와 서브힌지부재(52)의 회전을 해제하는 해제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해제부(54)는 복수의 메인힌지판(51b)의 사이에 배치되며 원판형상의 해제판(54a)과, 센터힌지(53)에 삽입되도록 해제판(54a)의 센터에 형성되는 센터홀(54b)과, 해제판(54a)의 일측에 형성되어 걸쇠(52d)에 걸리는 해제홈(54c)과, 해제홈(54c)의 일측에 형성되어 후방걸림턱(51e)에 걸리는 후방스토퍼(54d)와, 센터홀(54b)을 중심으로 후방스토퍼(54d)와 대칭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전방걸림턱(51d)에 걸리는 전방스토퍼(54e)와, 해제홈(54c) 및 전방스토퍼(54e)의 사이에 형성되며, 메인힌지판(51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호형상의 해제스토퍼(54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샤프트(51a)는 메인바디(20)에 연결되고, 서브샤프트(52a)는 서브바디(40)에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메인바디(20)와 서브바디(40)를 오므리거나 펴는 것으로 메인바디(20)와 서브바디(40)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마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50)의 동작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약180도로 벌려진 메인바디(20)와 서브바디(40)를 오므리면서 회전시키면, 걸쇠(52d)가 걸림홈(51c)에서 이탈되어 다른 걸림홈(51c)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림홈(51c)들은 메인힌지판(51b)의 중심에서 외측에 약 90도 각도의 범위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사용자가 약90도가 되기 전까지 회전시키면 걸쇠(52d)의 걸림홈(51c)의 걸림작용에 의해 메인바디(20)와 서브바디(40)는 소정의 각도로 설정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걸쇠(52d)에는 해제홈(54c)도 함께 걸린 상태이므로, 해제판(54a)은 걸쇠(52d)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인바디(20)와 서브바디(40)를 약90도를 넘겨서 꺽으면 걸쇠(52d)는 걸림홈(51c)들중 마지막 걸림홈(51c)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해제판(54a)은 전방스토퍼(54e)가 전방걸림턱(51d)에 걸려서 회전이 멈추면서 걸쇠(52d)가 해제판(54a)의 해제스토퍼(54f)에 얹혀 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메인바디(20)와 서브바디(40)를 약90도를 넘겨서 꺽은 후에 다시 약180도까지 펼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와 서브바디(40)를 약180도까지 펼치면 해제판(54a)의 후방스토퍼(54d)가 후방걸림턱(51e)에 걸리게 되어 걸쇠(52d)는 해제홈(54c)에서 이탈되어 다시 걸림홈(51c)과 해제홈(54c)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50)는 메인샤프트(51a)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5)를 더 포함하며, 높이조절부(55)는 메인샤프트(51a)가 삽입되도록 메인바디(20)에 형성되는 수용홀(55a)과, 수용홀(55a)에 수용되는 메인샤프트(51a)의 외측에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샤프트홈(55b)과, 수용홀(55a)의 입구에 설치되며, 메인샤프트(51a)가 관통되는 상부홀(55c)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홀(55d)이 측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케이스(55e)와, 측면홀(55d)에 관 통되게 설치되며, 샤프트홈(55b)에 걸리는 샤프트돌기(55f)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55g)가 형성되는 구속부재(55h)와, 높이조절케이스(55e)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속부재(55h)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5i)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높이조절부(55)를 이용하여 서브바디(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55g)를 누르면 탄성부재(55i)인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샤프트돌기(55f)가 샤프트홈(55b)에서 이탈되므로, 수용홀(55a)에서 메인샤프트(51a)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길이 만큼 메인샤프트(51a)를 넣거나 뺀 후에 손잡이(55g)를 누르지 않으면, 탄성부재(55i)인 압축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샤프트돌기(55f)가 샤프트홈(55b)에 걸리게 되어, 메인샤프트(51a)는 메인바디(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안마부(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500)를 포함하며, 위치이동부(500)는 메인바디(20)에 설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510)과,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510)의 사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510)에서 슬라이딩되며,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프레임(520)과, 복수개의 이동프레임(520)에 서로 마주되면서 어긋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래크(530)와, 복수개의 이동프레임(520)을 멀어지거나 가깝게 하도록 복수개의 래크(530)에 결합되는 피니언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520)의 외측에 롤러(550)들을 더 설치하면 이동프레 임(520)은 가이드프레임(510)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피니언부재(540)는 회전부재(550)에 의해 메인바디(20)에 공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조절홀(21)을 통해 복수개의 이동프레임(520)중 어느 하나를 밀거나 당기면 복수개의 메인안마부(10)들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메인안마부(10)들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안마부(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600)를 포함하며, 방향조절부(600)는 메인안마부(10)가 수용되며,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회전부재(611)를 갖는 회전함체(610)와, 복수개의 회전부재(611)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회전홀(621)이 형성되며, 회전함체(610)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620)와, 회전함체(610)를 지지부재(620)에 고정시키도록 회전함체(6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홀(612)과, 결합홀(612)과 대응되도록 지지부재(6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622)과, 가이드홀(622)을 관통하여 결합홀(61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611)는 끝단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회전홀(621)에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지지부재(620)를 벌리면 회전부재(611)가 회전홀(621)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회전함체(610)는 복수개의 지지부재(620)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612)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재(630)는 볼트로 구 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622)은 회전부재(611)를 축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장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부재(630)는 가이드홀(622)을 관통하여 결합홀(612)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재(630)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함체(6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수 있다. 그러면, 회전함체(610)는 회전부재(61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함체(610)를 회전시켜 메인안마부(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킨 후에, 결합부재(630)를 조여서 결합홀(612)에 결합시키면 가이드홀(622)이 형성된 지지부재(620)는 결합부재(630)와 결합홀(612)의 사이에 조여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조절홀(21)을 통해 메인안마부(10)를 밀거나 당겨서 간격을 조절하고, 메인안마부(10)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몸에 정확하게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위치이동부(500)를 이용하고 방향조절부(600)를 이용하여 메인안마부(10)를 사용자의 신체에 정확하게 밀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 서브바 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70)를 포함하며, 서브바디(4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간격조절부(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간격조절부(80)는 메인바디(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샤프트(81)와, 고정샤프트(81)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83)와, 서브바디(4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서 설정된 거리만큼씩 전진되는 이동부재(85)와, 이동부재(85)가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후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7)와, 이동부재(85)를 베이스부재(83)의 후방으로 후진시키는 압축스프링(89)을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부재(83) 및 서브바디(40)의 전면 및 후면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설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때, 간격조절부(80)는 메인바디(20)를 기준으로 서브바디(40)를 전진 및 후진 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브바디(40)는 힌지부(50)에 의해 회전되어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 밀착되지만, 간격조절부(80)에 의해 빈 공간 없이 서브바디(40)와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 더욱 밀착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안마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샤프트(81)는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샤프트(81)의 양단이 메인바디(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샤프트(81)의 중앙부분에서 상부에는 베이스부재(83)가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85)가 서브바디(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서브바 디(40)를 전진시키면, 이동부재(85)가 설정된 간격만큼씩 전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부재(85)를 계속해서 전진시키면, 이동부재(85)는 가이드부재(87)에 의해 베이스부재(83)의 후방으로 안내되고, 압축스프링(89)의 탄력에 의해 후방으로 후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서브바디(40)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자신의 신체구조에 맞게 밀착시켜서 안마할 수 있다.
그리고,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베이스부재(83)는 고정샤프트(81)에 고정되는 베이스바디(831)와, 이동부재(85)의 전진이동은 허락하고, 후진이동은 구속하도록, 베이스바디(83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속돌기(833)와, 베이스바디(831)의 후방에서 구속돌기(833)들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압축스프링(89)의 후방이 연결되는 후방고정구(835)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샤프트(81)와 베이스바디(831)는 철재로 제작될 수 있고,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고 볼트가 삽입되는 홀을 고정샤프트(81)와 베이스바디(831)에 각각 형성하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개의 구속돌기(833)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구속돌기(833)들은 이동부재(85)가 전진될 때는 슬라이딩되면서, 후진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부재(85)는 베이스부재(83) 의 상부를 이동하는 이동체(851)와, 이동체(8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서브바디(4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53)과, 이동체(851)의 하부에 형성되어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서 설정된 간격만큼 전진되고, 후진시에 구속되는 걸림돌기(855)와, 이동체(851)가 후진될 때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부재(87)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857)와, 압축스프링(89)의 전방이 연결되는 전방고정구(859)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돌기(855)는 구속돌기(833)들에 전진할 때는 슬라이딩되고, 후진지에 구속되도록 걸림돌기(855)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브라켓(853)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판재형상으로 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브바디(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857)는 이동체(851)의 양측에 복수개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가이드돌기(857)를 안내하도록 가이드부재(87)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베이스부재(83)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이드부재(87)는 베이스부재(83)의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재(871)와, 가이드판재(871)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이동부재(85)가 전진될 때, 이동부재(85)의 상승을 방지하고, 이동부재(85)가 후진될 때 이동부재(85)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부가이드부재(873)와,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판재(871)에 설치되어 이동부재(85)가 후진될 때,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상부면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부재(85)를 상승시 키는 상승부재(875)와,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상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가이드판재(871)에 설치되며, 이동부재(85)가 후진될 때, 이동부재(85)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부가이드부재(877)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동부재(85)인 이동체(851)를 전진시켜 이동체(851)가 전진될 때 가이드돌기(857)가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저면에 지지되므로, 이동체(851)가 상승되지 않으면서 이동체(851)의 걸림돌기(855)는 구속돌기(833)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851)가 전진되면서 가이드돌기(857)가 상승부재(875)를 지나게 되면, 걸림돌기(855)는 구속돌기(833)들을 모두 벗어나게 된다. 이때, 이동체(851)가 압축스프링(89)의 탄력에 의해 후진되면 가이드돌기(857)가 상승부재(875)에 접촉되어 상승되면서 상부가이드부재(877)와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사이로 안내되어 이동체(851)는 후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857)가 구속돌기(833)들을 모두 벗어난 후에 가이드판재(871)의 전방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가이드돌기(857)를 정지시키는 돌기스토퍼(82)가 가이드판재(871)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승부재(875)는 둔각으로 절곡되며, 일단이 타단보다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가이드판재(871)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승체(875a)와, 상승체(875a)의 절곡된 부분에 설치되며,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판재(871)에 고정되는 상승힌지(875b)와, 상승체(875a)의 타단에 형성되어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전방의 하부에 걸리는 걸림 턱(875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승체(875a)는 둔각으로 절곡되어 "V"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이 힌지(875b)에 의해 가이드판재(871)에 설치되어 상승체(875a)는 가이드판재(871)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체(851)를 전진시키면 가이드돌기(857)가 상승체(875a)의 길이가 긴 일단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게 되므로, 상승힌지(875b)를 축으로 상승체(875a)의 길이가 긴 일단이 상승되도록 회전된다. 이어서, 이동체(851)가 계속 전진하여 가이드돌기(857)가 상승체(875a)의 일단을 지나게 되면, 상승체(875a)의 일단은 상승힌지(875b)를 축으로 역회전되고, 이에 의해 상승체(875a)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875c)이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전방의 하부에 걸리게 되어 상승체(875a)는 원위치로 위치된다. 이어서, 이동체(851)는 구속돌기(833)들을 모두 벗어나게 되고, 사용자가 이동체(851)의 전진을 그만하면서 이동체(851)를 놓으면 가이드돌기(857)가 상승체(875a)의 일단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그러면, 가이드돌기(857)는 상승체(875a)의 일단의 상부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부가이드부재(877)와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사이로 안내되므로, 이동체(851)는 후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부가이드부재(877)의 전방에는 이동체(851)가 상부가이드부재(877)의 상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부경사부재(876)가 형성되고, 상부가이드부재(877)의 후방에는 이동체(851)가 상부가이드부재(877)의 후방에서 아래로 이동되도록 하부로 경사지게 후방경사부재(87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돌기(857)가 후진되면서 상부가이드부재(877)와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사이로 안내될 때, 상부가이드부재(877)의 전방에 형성된 상부경사부재(876)에 의해 가이드돌기(857)는 상부가이드부재(877)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돌기(857)가 상부가이드부재(877)와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사이로 후진될 때, 상부가이드부재(877)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경사부재(878)에 의해 가이드돌기(857)는 상부가이드부재(877)와 하부가이드부재(873)를 벗어나서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 서브바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70)를 포함하며, 힌지부(50)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조회전부(9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보조회전부(90)는 힌지부(50)와 메인바디(20)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샤프트(91)와, 복수개의 회전샤프트(91)의 마주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회전돌기(93) 및 회전홈(95)과, 결합된 회전돌기(93) 및 회전홈(95)을 관통되어 설치되는 보조힌지(97)와, 복수개의 회전샤프트(91)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회전돌기(93) 및 회전홈(95) 중 어느 한단에 90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회전방지턱(99)을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부(50)에 의해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는 약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보조회전부(90)에 의해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는 약90도로 더 회전될 수 있으므로,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는 각각의 전면이 서로 접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턱(99)에 의해 복수개의 회전샤프트(91)는 180도로 수직된 상태에서 한쪽방향 즉, 메인바디(20)의 전면에서 아래방향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샤프트(91)에는 높이조절부(55)에 걸려서 서브바디(4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샤프트홈(55b)이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힌지부(50) 및 보조회전부(90)에 의해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는 각각의 전방이 서로 마주되게 겹쳐지므로, 본 발명 안마장치의 높이는 줄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피가 줄여질 수 있으므로 보관공간이 적게 소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 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힌지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힌지부의 요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힌지부의 소정각도로 절곡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힌지부가 완전히 절곡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힌지부가 해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위치이동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방향조절부를 보인 도면.
도 11은 방향조절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2는 방향조절부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안마장치에 적용되는 간격조절부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에서 이동체의 전진되어 상승부재가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에서 이동체가 더 전진되어 상승체가 역회전되어 원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에서 이동체가 후진되면서 상승체에 의해 상승 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 및 보조회전부가 적용된 안마장치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힌지부에 의해 서브바디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힌지부 및 보조회전부에 의해 서브바디가 회전되어 메인바디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안마부 20 : 메인바디
30 : 서브안마부 40 : 서브바디
50 : 힌지부 60 : 메인구속부
70 : 서브구속부
100 : 간격조절부 130 : 베이스부재
150 : 이동부재 170 : 가이드부재
200 : 보조회전부

Claims (15)

  1.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 상기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 상기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 상기 서브바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70)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50)는
    상기 메인바디(20)에 연결되는 메인샤프트(51a)와, 상기 메인샤프트(51a)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인힌지판(51b)과, 상기 메인힌지판(51b)의 외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51c)과 상기 메인샤프트(51a)와 메인힌지판(51b)의 사이에서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걸림턱(51d) 및 후방걸림턱(51e)으로 구성되는 메인힌지부재(51);
    상기 서브바디(40)에 연결되는 서브샤프트(52a)와, 상기 서브샤프트(52a)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힌지판(51b)들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힌지판(52b)과, 상기 복수의 서브힌지판(52b)의 사이에 설치되는 걸쇠힌지(52c)와, 상기 걸쇠힌지(52c)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51c)에 걸리는 걸쇠(52d)와, 상기 걸쇠(52d)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걸쇠힌지(52c)에 설치되는 핀스프링(52e)으로 구성되는 서브힌지부재(52);
    상기 복수의 메인힌지판(51b) 및 복수의 서브힌지판(52b)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힌지부재(51) 및 서브힌지부재(52)의 회전을 지지하는 센터힌지(53);
    상기 센터힌지(53)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쇠(52d)를 상기 걸림홈(51c)에서 이탈시켜 상기 메인힌지부재(51)와 서브힌지부재(52)의 회전을 해제하는 해제부(54)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54)는
    상기 복수의 메인힌지판(51b)의 사이에 배치되며 원판형상의 해제판(54a);
    상기 센터힌지(53)에 삽입되도록 상기 해제판(54a)의 센터에 형성되는 센터홀(54b);
    상기 해제판(54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쇠(52d)에 걸리는 해제홈(54c);
    상기 해제홈(54c)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걸림턱(51e)에 걸리는 후방스토퍼(54d);
    상기 센터홀(54b)을 중심으로 상기 후방스토퍼(54d)와 대칭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걸림턱(51d)에 걸리는 전방스토퍼(54e);
    상기 해제홈(54c) 및 전방스토퍼(54e)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힌지판(51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호형상의 해제스토퍼(54f)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50)는
    상기 메인샤프트(51a)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55)는
    상기 메인샤프트(51a)가 삽입되도록 메인바디(20)에 형성되는 수용홀(55a);
    상기 수용홀(55a)에 수용되는 메인샤프트(51a)의 외측에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샤프트홈(55b);
    상기 수용홀(55a)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프트(51a)가 관통되는 상부홀(55c)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홀(55d)이 측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케이스(55e);
    상기 측면홀(55d)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홈(55b)에 걸리는 샤프트돌기(55f)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55g)가 형성되는 구속부재(55h);
    상기 높이조절케이스(55e)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부재(55h)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5i)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구속부(60)는
    상기 메인바디(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띠부재(61);
    상기 복수개의 띠부재(61)에 각각 마련되는 암수결합부재(62)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구속부(70)는
    상기 서브바디(40)의 상부와 좌측 및 우측을 커버하고 하부는 개방되는 주머니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
  6.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 상기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 상기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 상기 서브바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70)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마부(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500)는
    상기 메인바디(20)에 설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510);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510)의 사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프레임(510)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프레임(520);
    상기 복수개의 이동프레임(520)에 서로 마주되면서 어긋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래크(530);
    상기 복수개의 이동프레임(520)을 멀어지거나 가깝게 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래크(530)에 결합되는 피니언부재(540)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7.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 상기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 상기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 상기 서브바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70)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마부(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조절부(600)는
    상기 메인안마부(10)가 수용되며,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회전부재(611)를 갖는 회전함체(610);
    상기 복수개의 회전부재(611)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회전홀(62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함체(610)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620);
    상기 회전함체(610)를 상기 지지부재(62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회전함체(6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홀(612);
    상기 결합홀(612)과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재(6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622);
    상기 가이드홀(622)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61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30)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622)은
    상기 회전부재(611)를 축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장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
  9.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 상기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 상기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 상기 서브바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 브구속부(70)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4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간격조절부(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80)는
    상기 메인바디(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샤프트(81);
    상기 고정샤프트(81)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83);
    상기 서브바디(4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서 설정된 거리만큼씩 전진되는 이동부재(85);
    상기 이동부재(85)가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후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7);
    상기 이동부재(85)를 베이스부재(83)의 후방으로 후진시키는 압축스프링(89)을 포함하는 안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83)는
    상기 고정샤프트(81)에 고정되는 베이스바디(831);
    상기 이동부재(85)의 전진이동은 허락하고, 후진이동은 구속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83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속돌기(833);
    상기 베이스바디(831)의 후방에서 상기 구속돌기(833)들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89)의 후방이 연결되는 후방고정구(835)를 포함하는 안마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85)는
    상기 베이스부재(83)의 상부를 이동하는 이동체(851);
    상기 이동체(8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바디(4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53);
    상기 이동체(8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서 설정된 간격만큼 전진되고, 후진시에 구속되는 걸림돌기(855);
    상기 이동체(851)가 후진될 때 베이스부재(83)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재(87)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857);
    상기 압축스프링(89)의 전방이 연결되는 전방고정구(859)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87)는
    상기 베이스부재(83)의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재(871);
    상기 가이드판재(871)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85)가 전진될 때, 이동부재(85)의 상승을 방지하고, 상기 이동부재(85)가 후진될 때 이동부재(85)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부가이드부재(873);
    상기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판재(871)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85)가 후진될 때,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상부면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부재(85)를 상승시키는 상승부재(875);
    상기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상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판재(871)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85)가 후진될 때, 이동부재(85)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부가이드부재(877)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재(875)는
    둔각으로 절곡되며, 일단이 타단보다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판재(871)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승체(875a);
    상기 상승체(875a)의 절곡된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판재(871)에 고정되는 상승힌지(875b);
    상기 상승체(875a)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가이드부재(873)의 전방의 하부에 걸리는 걸림턱(875c)을 포함하는 안마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부재(877)의 전방에는 상기 이동체(851)가 상부가이드부재(877)의 상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부경사부재(876)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재(877)의 후방에는 상기 이동체(851)가 상부가이드부재(877)의 후방에서 아래로 이동되도록 하부로 경사지게 후방경사부재(87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
  15.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메인안마부(1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0), 상기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안마하는 서브안마부(30)가 설치되는 서브바디(40),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부(50), 상기 메인바디(20)에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메인구속부(60), 상기 서브바디(40)에 사용자의 다른 신체를 구속하는 서브구속부(70)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50)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상기 메인바디(20) 및 서브바디(40)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조회전부(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회전부(90)는
    상기 힌지부(50)와 메인바디(20)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샤프트(91);
    상기 복수개의 회전샤프트(91)의 마주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 되는 회전돌기(93) 및 회전홈(95);
    상기 결합된 회전돌기(93) 및 회전홈(95)을 관통되어 설치되는 보조힌지(97);
    상기 복수개의 회전샤프트(91)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회전돌기(93) 및 회전홈(95) 중 어느 한단에 90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회전방지턱(99)을 포함하는 안마장치.
KR1020090041614A 2009-01-30 2009-05-13 안마장치 KR100933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7421 2009-01-30
KR1020090007421 2009-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111A KR20090074111A (ko) 2009-07-06
KR100933988B1 true KR100933988B1 (ko) 2009-12-28

Family

ID=4133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614A KR100933988B1 (ko) 2009-01-30 2009-05-13 안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2380B (zh) * 2018-10-25 2024-05-17 上海新时达线缆科技有限公司 组合式电缆
CN114126565A (zh) * 2019-07-10 2022-03-01 保迪弗兰德有限公司 包括能够提供温热感的按摩单元的按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8928A (ja) * 1987-06-24 1988-12-27 Sakai Iryo Kk 足関節痙縮度測定装置
KR20030018760A (ko) * 2001-08-31 2003-03-06 주식회사 지인텍 다리 운동구가 구비된 마사지 장치
KR20050007993A (ko) * 2003-07-12 2005-01-21 이하용 다리 안마기
KR200393309Y1 (ko) * 2005-05-20 2005-08-22 백인권 자동 안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8928A (ja) * 1987-06-24 1988-12-27 Sakai Iryo Kk 足関節痙縮度測定装置
KR20030018760A (ko) * 2001-08-31 2003-03-06 주식회사 지인텍 다리 운동구가 구비된 마사지 장치
KR20050007993A (ko) * 2003-07-12 2005-01-21 이하용 다리 안마기
KR200393309Y1 (ko) * 2005-05-20 2005-08-22 백인권 자동 안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111A (ko) 200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0711104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JP3201821U (ja) 調整可能な経穴・器官押圧装置
US9125786B2 (en) Method and device to alleviate carpal tunnel syndrome and dysfunctions of other soft tissues
KR20150136439A (ko) 하지 근력을 이용한 자가 경추 견인 치료기
CN107753257A (zh) 一种保健用小腿按摩设备
KR20130086672A (ko) 자동 안마장치
KR101203367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100933988B1 (ko) 안마장치
CN209392372U (zh) 按摩组件及人体按摩装置
KR101038518B1 (ko) 다기능 안마기
KR100787926B1 (ko) 휴대용 안마기
KR102325166B1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CN210495058U (zh) 一种上下肢淋巴水肿功能锻炼一体化装置
CN209253497U (zh) 一种骨科膝关节护理活动器
CN209916478U (zh) 一种预防足下垂护理固定架
CN217645787U (zh) 一种化疗后预防末梢神经炎肢体活动器
CN218305527U (zh) 一种中医针灸护理架
CN101375822A (zh) 按摩钳
CN205612700U (zh) 心经胆经疏理床
CN215741412U (zh) 一种风湿免疫临床辅助康复装置
CN110975158B (zh) 用于暴露颈部放疗野的下颌肩颈定位装置
KR102501550B1 (ko)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CN205181550U (zh) 一种腰椎间盘突出牵引治疗、预防以及锻炼装置
CN115192342B (zh) 一种基于外科护理用的头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