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794B1 -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Google Patents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3794B1 KR100933794B1 KR1020090029281A KR20090029281A KR100933794B1 KR 100933794 B1 KR100933794 B1 KR 100933794B1 KR 1020090029281 A KR1020090029281 A KR 1020090029281A KR 20090029281 A KR20090029281 A KR 20090029281A KR 100933794 B1 KR100933794 B1 KR 1009337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sealing member
- heating tube
- fastening
- heating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난방관이 연결되고, 타단은 기밀상태이면서 그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외경부에는 외부 장치들의 부착, 매립 또는 연결이 용이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난방관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전열선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전원선을 연결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전원공급기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몸체부를 외경에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하여, 그 평탄한 면에 각종 센서와, 과도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유지수단, 전원차단수단 등을 그 평탄한 면에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센서 등의 외부장치의 위치를 특정화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점검 및 보수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난방관 단부장치의 평탄한 외면측에서 삽입결합되는 전원공급기재의 구조를 하나의 전원선과 하나의 전열선을 연결하는 구조로 하고, 그 전원공급기재를 필요에 따라 다수로 체결하도록 하여, 전열선의 밀집에 따른 과열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매체, 난방, 전원공급기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된 열매체를 전열선으로 직접가열하는 난방관의 단부에 가종 센서와와 안전장치, 열매체의 수위측정장치 등을 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수분의 출입이 불가하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매체와 전열선을 이용하는 난방시스템은 물, 또는 물과 혼합된 열매체 혹은 오일등 별도의 또 다른 열매체가 충진된 난방관이 난방위치에 배치되며, 그 난방관 내에 전열선을 인입시켜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난방관 내의 열매체를 가열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난방시스템에는 열매체의 온도검출을 위한 센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등 각종 기기들을 외부 부속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확대되고 복잡하여, 설치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 며, 점검시 복잡하고 불특정한 위치에 위치하는 센서 등을 모두 점검하기가 쉽지 않으며 점검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난방관의 끝단에는 상기 전열선을 인입시키는 단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부장치를 사용하여 피복된 전원선을 난방관 측으로 제공하고, 그 전원선 각각에 전열선을 연결한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전열선의 인출을 위한 천공이 하나의 실링기재(마개)에 다수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실링기재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난방관과 연결되는 연결구 구멍에 실링기재가 삽입되고, 상기 실링기재의 외부를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시킨다. 이 경우 전열선은 상기 실링기재에 형성된 천공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는 실링기재가 연결구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더라도 난방이 가동되어 난방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진 경우에는 실링기재의 천공부위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없어 열매체의 누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실링기재에 다수의 전열선이 통과하도록 2개 이상의 천공을 하게 되는데, 인접한 전열선의 상호 작용으로 실링기재에서 과도한 온도의 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그 실링기재의 변형을 유발하고, 그 변형에 의해 실링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열매체가 누수 또는 증기 형태로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열매체가 유출되는 경우에는 난방수의 부족으로 과열이나 폭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그 열매체의 유출을 보다 더 완전하게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20-0442257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에는 단부 마감장치에, 구리재질의 봉을 절삭하여 가공한 B켑, 상기 B켑의 양면에 취부된 구리봉, 테프론코팅, 수축튜브, 오링, 와샤, 켑너트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구성부품이 많고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종 센서 등의 기기들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를 표준화하여 점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원선과 전열선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전원선과 이에 대응하는 전열선들의 연결위치를 변경하여 과도한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원선과 전열선의 연결부분에서 기상 또는 액상의 열매체가 유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압력의 과도한 상승에도 과열 또는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는, 일단에 난방관이 연결되고, 타단은 기밀상태이면서 그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외경부에는 외부 장치들의 부착, 매립 또는 연결이 용이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난방관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전열선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전원선을 연결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전원공급기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방관 단부장치의 외면을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하여, 그 평탄한 면에 각종 센서와, 과도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유지수단, 전원차단수단 등을 그 평탄한 면에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센서 등의 외부장치의 위치를 특정화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점검 및 보수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방관 단부장치의 평탄한 외면측에서 삽입결합되는 전원공급기재의 구조를 하나의 전원선과 하나의 전열선을 연결하는 구조로 하고, 그 전원공급기재를 필요에 따라 다수로 체결하도록 하여, 전열선의 밀집에 따른 과열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기재의 구조를 액상 또는 기상의 열매체가 유출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며, 난방관과 주변의 온도차이로 발생하는 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열매체의 유출에 따른 과열과 압력의 상승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관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자체가 팽창하여 그 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압력유지기재를 결합할 때, 그 압력유지기재 내에 공기가 없는 상태로 결합하여 동일한 용량의 압력유지기재를 사용하고도 보다 더 큰 압력의 상승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계전기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단에 난방관(20)이 연결되는 결합공(11)이 마련되어 있고 타단은 막혀 있으며 외주면에 다수의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평탄한 면 중 하나에 마련된 체결공(12)들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 하나의 전원선(31)과 전열선(32)을 연결하며 열매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전원공급기재(30)와, 상기 몸체부(10)에서 제공하는 평탄한 면에 설치되어 그 몸체부(10)의 온도를 검출하여 컨트롤러(도면 미도시)로 온도 정보를 제공하는 온도센서(40)와, 상기 몸체부(10)의 평탄한 면에 결합되어 온도가 과열되면 상기 전원선(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재(50),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어 그 몸체부(10) 내측의 압력이 상승하면 자체가 부풀어 그 상승하는 압력을 해소하는 압력유지기재(6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열매체의 추가 공급이 가능한 공급관, 발생되는 공 기를 유출시킬 수 있는 공기유출관 등의 기타 기재들도 상기 몸체부(10)에서 제공되는 평탄한 면에 결합공을 가공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에는 각종 센서나, 압력유지기재, 수위측정센서, 별도의 관들이 모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장치들의 설치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점검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10)의 외면은 육면 또는 사면, 팔면 등 다수의 평탄한 면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다수의 전열선(32) 각각을 외부의 전원선(31)과 연결하는 전원공급기재(30)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난방관(20)과 몸체부(10)의 내측에는 도면에서는 생략한 보충관을 통해 공급된 열매체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기재(30)에 의해 전원선(31)의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전열선(32)이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부터 그 난방관(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전열선(32)에 의해 열매체가 가열되면 난방관(20)과 몸체부(10)의 온도도 상승하게 되며, 그 몸체부(10)가 제공하는 평탄한 면에 설치된 온도센서(40)는 그 검출된 온도를 실내에 설치된 컨트롤러로 제공하여 자동으로 전원의 공급이 컨트롤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상의 발생으로 상기 몸체부(1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와는 무관하게 전원차단부재(50)에서 상기 전원선(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재(50)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재(50) 또한 상기 몸체부(10)에 부착하거나, 그 몸체부(10)에 홈을 가공하고, 그 홈에 매설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40)나 전원차단부재(50)를 직접 부착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외면에는 평탄한 면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평탄한 면은 구면에 비하여 홈 또는 홀 가공이 용이하며, 가공 후에도 기밀을 유지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도 2는 상기 전원공급기재(30)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전원공급기재(30)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기재(30)는, 상기 몸체부(10)의 체결공(12)에 일단이 체결되며 그 체결공(12)의 반대측으로 내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경사면을 제공하는 제1체결부재(33)와, 상기 제1체결부재(33)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경사지고 그 삽입부분의 외측에 단턱을 가지며 상기 전열선(32)이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천공이 마련된 제1실링부재(34)와, 상기 제1실링부재(34)의 단턱에 접촉되고 그 제1실링부재(34)와의 결합시 중앙부에는 기밀이 유지 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홈이 형성되고 타측은 그 제1실링부재(34)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원선(31)이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천공이 마련된 제2실링부재(35)와, 상기 제1실링부재(34)와 제2실링부재(35)의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선(31)과 전열선(3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6)와, 상기 제1실링부재(34)와 제2실링부재(35)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제1체결부재(33)의 외경측에 나사결합되어 그 나사결합시 상기 제2실링부재(35)에 압력을 가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제2체결부재(37)와, 상기 제2체결부재(37)의 타단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35)의 경사진 외경부가 수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3체결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공급기재(30)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체결부재(33)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단이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며, 외경이 작은 측이 상기 몸체부(10)의 체결공(12)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내경은 그 몸체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내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은 이후에 제1실링부재(34)의 대응하는 형상으로 경사진 외경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제1체결부재(33)의 내경은 제1실링부재(34)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둘 사이에는 이후에 설명할 제2 체결부재(37)의 결합에 의해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링부재(34)의 형상은 상기 제1체결부재(33)의 내경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일단이 경사진 외경을 가지며, 중앙 상부 측방향으로 단턱이 돌출되어 있다. 타단은 외경이 동일하며 평탄한 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돌출된 단턱은 이후에 설명할 제2체결부재(37)와 제1체결부재(33) 간의 결합시 그 결합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실링부재(34)에는 양단을 관통하는 천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천공을 통해 하나의 전열선(32)이 관통되어 위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전열선(32)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을 지나 난방관(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위치하여, 충진된 열매체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실링부재(35)는 양단의 외경의 직경이 서로 다르며, 일측의 단부 중앙에는 상기 제1실링부재(24)의 타단인 외경이 일정한 부분이 삽입되는 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홈의 가장자리 부분은 제1실링부재(24)의 단턱에 접하는 형상이다. 상기 홈은 제1실링부재(24)가 삽입된 후에도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도록 제1실링부재(24)의 타단 길이에 비해 더 깊게 마련된다.
또한 제2실링부재(35)의 타단은 제1실링부재(24)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형상이다. 이와 같은 형상은 기밀을 유지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2체 결부재(37)의 결합에 의한 압력을 충분히 받아들이기 위한 구조이다.
그 제2실링부재(35)에는 양단을 관통하는 천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천공을 통해 전원선(31)이 관통하게 된다.
즉, 전원선(31)은 외부로부터 연결되어 그 제2실링부재(35)의 천공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제1실링부재(34)와의 사이 공간에서 전열선(32)과 연결된다.
상기 전원선(31)과 전열선(32)은 연결부재(36)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재(36)는 슬리브(sleeves) 등의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34)와 제2실링부재(35)의 재질은 탄성과 강성을 가지며, 충분한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가지는 것이면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체결부재(37)의 형상은 내측에 상기 제1실링부재(34)의 일부와 제2실링부재(3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그 공간의 내측에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여, 테이퍼 부분이 상기 제2실링부재(35)의 상대적으로 더 큰 외경부에 압력을 가하여, 제2실링부재(35)와 제1실링부재(34)의 기밀 유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재(34)의 중앙 상부 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과 상기 제2실링부재(35)의 일측 홈의 가장자리는 서로 접촉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37)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실링부재(34)의 단턱과 상기 제2실링부재(35)의 가장자리가 압 착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재(37)가 제1체결부재(33)에 결합되어 제2실링부재(35)와 제1실링부재(34)에 압력이 가해지면 각각의 양단을 관통하는 천공 또한 그 직경이 줄어들게 되고, 삽입되어 있는 전원선(31)과 전열선(32)과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어진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본 발명은 기밀성이 높아지게 되며, 제2체결부재(37)의 타단측으로 상기 제2실링부재(35)의 경사진 외경부의 일부가 노출된다.
그 노출된 제2실링부재(35)의 끝단은 그 끝단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의 내경을 가지는 제3체결부재(38)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선(31)이 연결될 수 있도록 그 단부는 제3체결부재(38)의 중앙측으로 노출된다.
상기의 구조는 제1체결부재(33)와 제2체결부재(37)의 내부 전체에 제1실링부재(34)와 제2실링부재(35)를 억지끼움시킨 것으로, 완전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1실링부재(34)와 제2실링부재(35)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그 공간 내에서 전원선(31)과 전열선(32)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사용중 단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전원공급기재(30)가 하나의 전원선(31)과 하나의 전열선(32) 만을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다수의 전열선(32)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다수의 전원공급기재(30)를 몸체부(10)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와 같이 하나의 실링기재에 다수의 전열선이 통과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열과 그에 따른 실링기재의 변형, 나아가 변형된 실링기재에 의한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의 전원공급기재(30)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그 몸체부(10)의 평탄한 면에 체결공(12)을 더 가공하여 하나의 전원선(31)과 전열선(32)을 연결하는 전원공급기재(30)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전열선(32)을 통해 열매체를 가열하면 그 열매체의 일부가 기화되면서 상기 몸체부(10)와 난방관(20)의 내부 압력은 상승하게 되며, 그 압력의 상승이 과도하면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몸체부(10) 또는 난방관(20)이 파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에 홀을 가공하고, 그 홀에 연결되는 압력유지기재(60)가 구비된다. 압력유지기재(60)는 난방관(20)에서 기화되거나 가열된 열매체의 일부를 유입받아 부피가 팽창되고, 압력이 낮아지면 다시 부피가 줄어드는 고무성질의 탄성 구조이다.
압력유지기재(60)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최대부피에 따라 그 용량이 결정되며, 동일한 부피로의 팽창이 가능한 것이라면 최초 몸체부(10)와 연결할 때 내측에는 공기가 없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그 몸체부(10)와의 결합시 압력유지기재(60)를 비틀어 내측에 공기가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일한 부피로 팽창하는 압력유지기재(60)를 사용하더라도 내부에 잔류 공기가 없는 상태로 결합하여, 압력의 조절기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전원공급기재의 분리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전원공급기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부 11:결합공
12:체결공 20:난방관
30:전원공급기재 31:전원선
32:전열선 33:제1체결부재
34:제1실링부재 35:제2실링부재
36:연결기재 37:제2체결부재
38:제3체결부재 40:온도센서
50:전원차단부재 60:압력유지기재
Claims (7)
- 일단에 난방관이 연결되고, 타단은 기밀상태이면서 그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외경부에는 외부 장치들의 부착, 매립 또는 연결이 용이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몸체부 및,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상호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와; 상기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의 내측에서 억지끼움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하며,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서 기밀이 유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실링부재 및 제2실링부재와; 상기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2실링부재 사이의 상기 공간 내에서 각각 상기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2실링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전열선과 상기 전원선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난방관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전열선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전원선을 연결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전원공급기재를 포함하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장치는,온도센서, 수위센서, 전원차단부재, 열매체 공급관 또는 압력유지기재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압력유지기재는,상기 난방관 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압력상승시 팽창되는 것이며, 최초 결 합시 내부에 공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체결부재와 제1실링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몸체부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상이고, 상기 제2체결부재와 제2실링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몸체부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실링부재의 중앙 상부 측방향으로 단턱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실링부재와의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실링부재에 형성된 홈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실링부재의 단턱에 접촉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실링부재의 단턱과 상기 제2실링부재의 가장자리가 압착되어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기재는,열매체 난방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전열선의 수와 동수로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281A KR100933794B1 (ko) | 2009-04-06 | 2009-04-06 |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281A KR100933794B1 (ko) | 2009-04-06 | 2009-04-06 |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3794B1 true KR100933794B1 (ko) | 2009-12-24 |
Family
ID=4168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9281A KR100933794B1 (ko) | 2009-04-06 | 2009-04-06 |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379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9683Y1 (ko) | 2006-04-04 | 2006-06-23 | 임희섭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
KR100687521B1 (ko) * | 2006-01-25 | 2007-02-27 | 임희섭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
KR20080004570U (ko) * | 2007-04-09 | 2008-10-14 | 임희섭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밀폐장치 |
-
2009
- 2009-04-06 KR KR1020090029281A patent/KR1009337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7521B1 (ko) * | 2006-01-25 | 2007-02-27 | 임희섭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
KR200419683Y1 (ko) | 2006-04-04 | 2006-06-23 | 임희섭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
KR20080004570U (ko) * | 2007-04-09 | 2008-10-14 | 임희섭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밀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40510B1 (en) | Device having heating/heat-retaining tube | |
US11333261B2 (en) |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device | |
US20130277008A1 (en) | Liquid leakage prevention device, liquid leakage prevention method, and liquid cooling system | |
JP2007333607A (ja) | 水蒸気移動制御装置を取り付けるための箱体を検査対象とした気密検査装置 | |
CN115003968A (zh) | 具有集成泄漏检测系统的热水器 | |
KR200419683Y1 (ko)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 |
KR100933794B1 (ko) | 열매체 난방시스템의 난방관 단부장치 | |
KR200460511Y1 (ko) | 블래더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압력탱크 | |
US20170121950A1 (en) | Water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device | |
KR102392031B1 (ko) | 가스기구용 중간밸브 | |
KR101232319B1 (ko) | 파이프 연결구 | |
KR100707965B1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관의 구조 | |
KR101638835B1 (ko) | 파이프 연결구 | |
JP4128981B2 (ja) | 配管の流体漏れ検査プラグ | |
RU2413120C2 (ru) |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KR101642889B1 (ko) | 분기파이프 연결용 연결장치 | |
JP2007163278A (ja) | 配管の流体漏れ検査プラグ | |
KR101339840B1 (ko) | 관 연결구 | |
KR100985792B1 (ko) |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 구조 및 전열 온수관 시스템 | |
KR101955576B1 (ko) | 배관용 소켓-플러그 조립체 | |
KR200198129Y1 (ko) | 유체 유동라인의 결합부 고정장치 | |
KR101029526B1 (ko) | 유체 차단용 분기 티이 장치 | |
KR20160008795A (ko) | 전열온수 난방장치 | |
JP2008135472A (ja) | 電子機器ユニットの接続構造 | |
KR200244744Y1 (ko) | 가스기기의니플조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