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155B1 -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155B1
KR101516155B1 KR1020140015778A KR20140015778A KR101516155B1 KR 101516155 B1 KR101516155 B1 KR 101516155B1 KR 1020140015778 A KR1020140015778 A KR 1020140015778A KR 20140015778 A KR20140015778 A KR 20140015778A KR 101516155 B1 KR101516155 B1 KR 10151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ipe
sealing member
heating
pressur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제
Original Assignee
윤현진
윤희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진, 윤희제 filed Critical 윤현진
Priority to KR102014001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2Cap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671Means to detect leaks in the pressure sensi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부에 설치된 제1밀봉부재(1)와, 상기 챔버(3)의 하부에 나사식 연결되는 압력수용연결부(7)와, 상기 챔버(3)와 압력수용연결부(7)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링(4), 제2밀봉부재(5), 제3밀봉부재(6) 및 링(4)과, 상기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와셔(8) 및 캡너트(9)에 의해 연결되는 엑셀파이프(100)와, 상기 장치들의 중앙부에 삽입 관통시키되, 끝단부는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설치된 엑셀파이프(100)에 내장되는 두개의 ± 열선(110)과, 상기 챔버(3)를 통과하는 두 개의 ± 열선(110)에 각각 설치된 누수감지센서(90) 및 누전감지센서(95)와, 상기 열매체(200)가 내장된 엑셀파이프(100)의 외부에 설치된 주름관(150)으로 구성된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internal pressure safety device for an electric hot water pipe}
본 발명은 전기온열관의 전선유입구에 설치되어 가열에 의해 열매체의 팽창으로 열매체의 누전방지센서가 전원을 차단하여 누수에 의한 내부과열을 방지하여 과열로 인한 내부압력을 감소시켜 온수관의 내압을 유지하여 안전하게 관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가열식은 패널 위에 난방수 파이프를 배열 고정한 후, 이 난방수 파이프 속으로 보일러에서 가열된 난방수를 공급 순환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또, 전기온수가열식은 패널 위에 액상의 열매체와 발열전선이 내장된 난방파이프를 배관한 후, 그 속의 열선으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여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있다.
전기온수 방열관은 엑셀파이프 내에 열매체를 내장시킴과 동시에 열선을 내장시켜, 열선으로 열매체를 가열하는 전기 가열식 난방장치의 일종으로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일반 전기를 사용하더라도 열효율이 좋아 난방비가 절감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엑셀파이프에 내장된 열매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팽창되고, 팽창된 일부분이 고무제 마개를 밖으로 밀려나오기 쉬우며, 마개 밀려나가면 액상의 열매체가 누수 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충분히 가열된 열매체의 팽창으로 합성수지재 파이프가 터지는 예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열매체의 누수로 인한 누전문제, 전기발열선과 유도전선 사이의 콘넥트 부분이 겨울철에 잘 부러지는 문제, 조립 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과,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조립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과 부품수에 따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31132호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채 내부에 축열매체(M)가 내장된 파이프(10)와, 상기 파이프의 양측 끝단에 구비된 밀폐수단(20)과, 상기 밀폐수단을 지나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된 발열전선(30)으로 이루어진 난방용 전열온수관에 있어서, 상기한 축열매체(M)는 물과 염화칼슘을 약 7:3의 중량비로 배합한 것으로 하고, 상기한 밀폐수단(20)은 임의의 내경(21a)을 가지면서 일측으로 파이프 연결부(21b)와, 그 타측으로 마개 고정부(21c)를 구비한 밀폐관체(21), 상기 밀폐관체의 파이프 연결부(21b)에서 파이프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링(22)과, 그 둘레에 나사조립하는 체결너트1(23), 상기 밀폐관체의 마개 고정부(21c)에서 그 내경(21a)에 억지끼움 되도록 하는 마개(24), 상기 마개(24)가 끼워진 마개 고정부(21c)의 둘레에 나사조립하여 그 내향턱(25a)이 마개를 누르도록 조립하는 체결너트2(25)로 구성된 난방용 전열온수관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14920000(20061114)호에는 밀폐장치 내지 연결소켓에 온수관의 압력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는 압력 수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온수관의 압력 변화를 즉시 수용하여 온수관이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858165호에는 양단에 제1 및 제2단부가 구비되고 그 중앙부에는 제3단부가 돌출구비되고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T"자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1단부에 온수관의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하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2단부를 밀폐하는 단부 밀폐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3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관으로 열매체를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해 개폐되는 용량 조절부재로 구성된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가 알려져 있고,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511058호에는 제1내통과 상기 제1내통의 외측을 둘러싸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외통이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전열선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제1내통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의 누수를 차단하며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밀봉부재, 상기 단턱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밀봉부재의 외주면을 감싸고 외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압착부재 및 상기 플랜지를 매개로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에 밀착 고정시키면 상기 제1외통에 체결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전열온수난방파이프가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562190000(20070831)호에는 압력상승시 자연스럽게 압력을 저하시키고 밀봉이 잘 유지되도록, 내부에 열매체가 수용되는 열매체관과, 열매체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선과, 열매체관의 끝부분에 설치되고 열매체관의 밀봉을 행하고 열매체관의 내부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밀봉을 해제하는 안전밀봉장치를 포함하는 압력에 안전한 열매체 보일러가 기재되어 있고,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05702호에는수조;일측에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시켜 배출시키는 펌프;일단은 상기 배출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온수관의 유입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펌프의 펌핑을 통해 온수관으로 물을 공급시키도록 구성되되, 외면에는 중앙이 U형으로 접어진 전열선이 삽입되는 전열선삽입구, 압력조절볼이 투입되는 볼삽입관 및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유입관이 형성된 가이드관;상기 볼삽입관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온수관으로 일정량의 압력조절볼을 투입시키는 볼삽입기; 상기 압축공기유입관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콤프레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의 전열선 및 압력조절볼 삽입장치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31132호 2.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1492호 3.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858165호 4.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511058호 5.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56219호 6.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05702호
종래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기온열관에 내장된 열선에 의해 열매체가 과열되면 열매체의 부피가 팽창되며, 열매체가 팽창되면 엑셀파이프가 부풀어 오르던가, 엑셀파이프의 연결된 부분으로 열매체의 팽창된 부피만큼 누수 되는 것이 일반적인 이며, 상기와 같이 열매체가 누수 되면, 내부가 가열되어 내부에 누수된 열매체 부피만큼 압력이 높아져 높아진 압력에 의해 전기온열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49912호 발명의 명칭 전열온수 방열관의 압력유지 안전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난방 전열관 중간부에 탄성의 재질을 갖는 압력완충부재의 구조를 개량하고, 와셔를 추가로 설치하고, 캡 및 연결부의 구조를 개량하고 다수개의 링과 다수개의 밀봉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압력이 갑자기 높아지거나, 낮아지더라고 전기온열관 내에 압력이 일정하게 미치도록 하고 누수 및 누전을 감지하도록 구조를 개량한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온열관이 열에 의한 변형 및 손상을 방지 및 누수 및 누전을 감지하여 조치함으로서 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고, 열에 의한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력의 변화에도 전기온열관내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두 개의 링, 압력완충부재 및 제1및 제2밀봉부재에 작용하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전기온열관의 누수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누수 및 누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신속하게 조치하도록 하였고, 구조가 간단하며 조립작업에 있어 작업시간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작업자의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환경오염을 극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분해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단면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챔버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링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제2밀봉부재 상세도
전체도(7A), 단면도(7B),
도8 본 발명의 제3밀봉부재 상세도
전체도(8A), 단면도(8B)
도9 본 발명의 압력수용연결부 상세도
전체도(9A), 단면도(9B),
도10본 발명의 주름관 상세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부에 설치된 제1밀봉부재(1)와, 상기 챔버(3)의 하부에 나사식 연결되는 압력수용연결부(7)와, 상기 챔버(3)와 압력수용연결부(7)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링(4), 제2밀봉부재(5), 제3밀봉부재(6) 및 링(4)과, 상기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와셔(8) 및 캡너트(9)에 의해 연결되는 엑셀파이프(100)와, 상기 장치들의 중앙부에 삽입 관통시키되, 끝단부는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설치된 엑셀파이프(100)에 내장되는 두개의 ± 열선(110)과, 상기 챔버(3)를 통과하는 두 개의 ± 열선(110)에 각각 설치된 누수감지센서(90) 및 누전감지센서(95)와, 상기 열매체(200)가 내장된 엑셀파이프(100)의 외부에 설치된 주름관(150)으로 구성된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엑셀파이프 연결부분에 일부분에 챔버를 설치하여 챔버커버내에 관통되는 열선의 피복을 벗겨내어, 열선의 중간부에 누수감지센서 및 누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누수된 열매체가 피복된 열선부분에 접촉되면, 합선이 되어(저항을 크게 받아) 전기가 자동차단(릴레이 이용) 되게 하거나, 알람을 울려 사용자에게 누수 및 누전되는 부분을 인식하게 하여, 과다하게 누수되었을 때 즉시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은 탄성재질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 제2 및 제3밀봉부재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두개 링을 설치하여 압력이 갑자기 높아지거나, 낮아질 경우에 압축 및 팽창에 의해 압력이 완충 또는 조절되므로 전열온수관내 압력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주지 않아 그로 인한 전기온열관의 부품 파손 및 누수를 방지하였고,
나아가, 급격한 온도변화 및 기타 외부 충격에 의해 장치내에 충전된 열매체의 부피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충전시 완전히 충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장치내에 일정공간을 유지하도록 하여 누전 및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온도가 높아져 열매체가 과열되어 열매체 부피의 증감에 의해 장치내에 압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완충하여, 장치내의 열매체는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하는 전기온열관의 내압유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기온열관에서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링(4)에서 1차 압력을 완충시키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제2밀봉부재(5)에서 2차 압력을 완충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다른 링(4)에서 3차 압력을 완충시키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제3밀봉재(6)에서 4차 완충시켜 장치내의 열매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인 것이다. 또 누수센서 및 누전센서에 의해 누수나 누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하였다.
본 발명에서 열매체는 통상의 전기를 통하는 전도성 열매체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열매체 조성성분은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 아니므로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기로 하며, 또한 중앙조절기와 중앙조절기의 작동을 타이머, 온도센서등으로 자동세팅하여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방법은 당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 아니므로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기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분해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단면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챔버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링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제2밀봉부재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제3밀봉부재 상세도, 도9 본 발명의 압력수용연결부 상세도, 도10본 발명의 주름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1밀봉부재(1), 챔버(3), 링(4), 제2밀봉부재(5), 제3밀봉부재(6), 압력수용연결부(7) , 와셔(8), 너트(9), 챔버결합부(31), 챔버결합암나사부(32), 챔버몸체(33), 홈부(34), 챔버상부(35), 제2밀봉부재입구(51), 제2밀봉부재턱(52), 제2밀봉부재몸체(53), 제2밀봉부재출구(54), 상부테두리경사면(71), 상,하부연결관수나사부(72,73), 연결홈부(74), 연결부(75), 누수감지센서(90), 누전감지센서(95), 엑셀파이프(100), 열선(110), 주름관(150), 열매체(20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1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부에 설치된 제1밀봉부재(1)와, 상기 챔버(3)의 하부에 나사식 연결되는 압력수용연결부(7)와, 상기 챔버(3)와 압력수용연결부(7)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링(4), 제2밀봉부재(5), 제3밀봉부재(6) 및 링(4)과, 상기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와셔(8) 및 캡너트(9)에 의해 연결되는 엑셀파이프(100)와, 상기 장치들의 중앙부에 삽입 관통시키되, 끝단부는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설치된 엑셀파이프(100)에 내장되는 두개의 열선(110)과, 기 엑셀파이프(100)에 내장되는 열매체(200)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된 구조로 하부에는 육각형의 너트형상인 챔버결합부(31)와, 상기 챔버결합부(31)의 내측 테두리에 설치된 챔버결합암나사부(32)와, 상기 챔버결합부(31)의 상부로 연결되어 설치된 챔버몸체(33)와, 상기 챔버결합부(31)와 쳄버몸체(33) 사이에 설치된 홈부(34)와, 상기 챔버(3)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통공테두리에 설치되는 챔버상부(35)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밀봉부재(5)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고무 재질로 원통형상이며 내부에 두개의 열선이 관통되도록 두개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하부에 설치된 제2밀봉부재입구(51)와, 상기 제2밀봉부재입구(5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밀봉부재입구(51)보다 직경이 큰 제2밀봉부재턱(52)과, 상기 제2밀봉부재턱(52)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밀봉부재턱(52)보다 직경이 적으며 제2밀봉부재입구(51)보다 직경이 큰 제2밀봉부재몸체(53)와, 상기 제2밀봉부재몸체(53)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2밀봉부재출구(54)로 구성되며,
상기 제3밀봉부재(6)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내부에 두개의 ± 열선이 관통되도록 두개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수용연결부(7)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된 육각형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전후면의 몸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상부에 설치된 상부테두리경사면(71)과, 상, 하부 외측 끝단부 테두리에 외부 설치된 상,하부연결관수나사부(72,73)와, 상기 하부연결관수나사부(73)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홈부(74)와, 상기 연결홈부(74)의 하부에 상기 하부연결관수나사부(73)보다 직경이 적으며 후면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테두리홈부가 설치된 연결부(75)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3)를 통과하는 두 개의 ± 열선(110)에 각각 설치된 누수감지센서(90) 및 누전감지센서(95)와, 상기 열매체(200)가 내장된 엑셀파이프(100)의 외부에 설치된 주름관(150)로 구성된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의 구조인 것이다.
조립방법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품의 내부를 관통하여 두개의 ± 열선(110)을 삽입시키되, 캡너트형상에서 몸체가 연장된 구조를 갖는 관형 챔버(3)의 챔버상부(35)에 제1밀봉부재(1)를 삽입시키되,
챔버(3)의 상부에 제1밀봉부재(1)의 하부에 설치된 제1밀봉부재홈부가 일치하도록 설치하여 제1밀봉부재(1)의 전선관통구에 전선이 관통시켜 조립하고,
상기 챔버(3)의 하부에 챔버결합부(31)의 내측 테두리에 설치된 챔버결합암나사부(32)에 압력수용연결부(7) 를 삽입시켜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챔버(3)를 내부를 통과하는 ± 열선(110)인 두 개의 전선에 각각 누수감지센서(90) 및 누전감지센서(95)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3)와 압력수용연결부(7) 사이에 링(4), 제2밀봉부재(5) , 링(4) 및 제3밀봉부재(6)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고,
( 제2밀봉부재(5) 의 상, 하부에 각각 링(4)을 위치시킨 다음, 상부에 링(4)이 삽입된 제2밀봉부재(5) 의 상부를 챔버결합부(31)에 삽입시키고, 제2밀봉부재(5) 의 하부에 링(4)이 삽입된 제2밀봉부재(5) 의 하부를 압력수용연결부(7) 상부에 삽입시켜 연결한 후에)
상기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와셔(2) 및 너트(9)에 의해 엑셀파이프(100)로 연결시키고, 상기 엑셀파이프(100)에 열매체(200)를 내장시키고 외부에는 주름관(150)을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하였다.
작동방법은 중앙조절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전원을 온시키면, 일측은 중앙조절기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장치들의 중앙부에 삽입 관통시키되, 챔버(3)내에서는 피복된(커버) 일부분이 벗겨져 동선이 노출된 상태이며,
압력수용연결부(7)의 후면에 설치된 엑셀파이프(100)에 내장되는 두개의 ± 열선(110)이 가열됨과 동시에, 엑셀파이프(100)내의 열매체(200)가 가열되어 엑셀파이프(100)를 가열시켜 전열온수관으로 사용하다가,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열매체의 부피가 급격히 팽창되거나 축소되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링(4)에서 1차 압력을 완충시키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제2밀봉부재(5)에서 2차 압력을 완충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다른 링(4)에서 3차 압력을 완충시키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제3밀봉재부(6)에서 4차 완충시켜 수축 및 팽창으로 장치내의 열매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작동방법인 것이다.
이때, 상기 챔버(3)를 통과하는 ± 열선(110)인 두 개의 전선에 각각 설치된 누수감지센서(90) 및 누전감지센서(95)에서 누수 및 누전이 감지되면 중앙제어기로 신호를 보내어 누수 및 누전위치를 파악하여 조치하도록 하는 방법인 것이다.
엑셀파이프(100)의 외부에 주름관(150)을 설치하여 엑셀파이프(100)의 파손을 방지하였다.
제1밀봉부재(1), 챔버(3), 링(4), 제2밀봉부재(5), 제3밀봉부재(6), 압력수용연결부(7) , 와셔(8), 너트(9), 챔버결합부(31), 챔버결합암나사부(32),챔버몸체(33), 홈부(34), 챔버상부(35), 제2밀봉부재입구(51), 제2밀봉부재턱(52), 제2밀봉부재몸체(53), 제2밀봉부재출구(54), 상부테두리경사면(71),상하부연결관수나사부(72,73), 연결홈부(74), 연결부(75), 누수감지센서(90), 누전감지센서(95), 엑셀파이프(100), 열선(110), 주름관(150), 열매체(200),

Claims (4)

  1.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부에 설치된 제1밀봉부재(1)와, 상기 챔버(3)의 하부에 나사식 연결되는 압력수용연결부(7)와, 상기 챔버(3)와 압력수용연결부(7)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링(4), 제2밀봉부재(5), 제3밀봉부재(6) 및 링(4)과, 상기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와셔(8) 및 캡너트(9)에 의해 연결되는 엑셀파이프(100)와, 상기 장치들의 중앙부에 삽입 관통시키되, 끝단부는 압력수용연결부(7)의 하부에 설치된 엑셀파이프(100)에 내장되는 두개의 ± 열선(110)과, 상기 챔버(3)를 통과하는 두 개의 ± 열선(110)에 각각 설치된 누수감지센서(90) 및 누전감지센서(95)와, 열매체(200)가 내장된 상기 엑셀파이프(100)의 외부에 설치된 주름관(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3)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된 구조로 하부에는 육각형의 너트형상인 챔버결합부(31)와, 상기 챔버결합부(31)의 내측 테두리에 설치된 챔버결합암나사부(32)와, 상기 챔버결합부(31)의 상부로 연결되어 설치된 챔버몸체(33)와, 상기 챔버결합부(31)와 쳄버몸체(33) 사이에 설치된 홈부(34)와, 상기 챔버(3)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통공테두리에 설치되는 챔버상부(35)로 구성되고,
    상기 제3밀봉부재(6)는 원통형상으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내부에 두개의 ± 열선이 관통되도록 두개의 관통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수용연결부(7)는 중앙에 설치된 육각형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전후면의 몸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상부에 설치된 상부테두리경사면(71)과, 상,하부 외측 끝단부 테두리에 외부 설치된 상,하부연결관수나사부(72,73)와, 상기 하부연결관수나사부(73)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홈부(74)와, 상기 연결홈부(74)의 하부에 상기 하부연결관수나사부(73)보다 직경이 적으며 후면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테두리홈부가 설치된 연결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15778A 2014-02-12 2014-02-12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KR10151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778A KR101516155B1 (ko) 2014-02-12 2014-02-12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778A KR101516155B1 (ko) 2014-02-12 2014-02-12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155B1 true KR101516155B1 (ko) 2015-05-04

Family

ID=5339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778A KR101516155B1 (ko) 2014-02-12 2014-02-12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1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683Y1 (ko) * 2006-04-04 2006-06-23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100089628A (ko) * 2009-02-04 2010-08-12 윤현진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장치
KR101198112B1 (ko) * 2012-05-25 2012-11-09 김평근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683Y1 (ko) * 2006-04-04 2006-06-23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100089628A (ko) * 2009-02-04 2010-08-12 윤현진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장치
KR101198112B1 (ko) * 2012-05-25 2012-11-09 김평근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247Y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의 밀폐장치
KR101129472B1 (ko) 전기온수 방열관 내압유지 안전장치
KR101029476B1 (ko)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온수보일러장치
CN203518192U (zh) 一种即热式非金属纳米稀土加热装置
KR101077548B1 (ko)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 및 압력유지장치
KR200419683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1516155B1 (ko) 전기온열관의 내압수용 안전장치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20100089628A (ko)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장치
EP1857745B1 (en) Electric heating structure, in particular a bathroom towel warmer or a radiator.
CN103542537A (zh) 热水机的恒温补水控制方法及系统
KR101502748B1 (ko) 난방용 전열관
KR100611609B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KR101301791B1 (ko) 전기 온수보일러
KR101372407B1 (ko) 전열온수 방열관의 압력유지 안전장치
KR200331132Y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KR200389029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구조
KR100707965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관의 구조
CN110388751B (zh) 一种智能热水器
CN204404504U (zh) 一种用于按摩浴池的ptc加热器
CN104564647A (zh) 一种水泵发热装置
CN208382554U (zh) 一种快速加热冷水的水电分离加热安全装置
KR20160125081A (ko) 온수전열기의 과열방지장치
KR101198112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CN110848455A (zh) 一种便于使用且具有防冻功能的电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