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986B1 -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986B1
KR100932986B1 KR1020080032819A KR20080032819A KR100932986B1 KR 100932986 B1 KR100932986 B1 KR 100932986B1 KR 1020080032819 A KR1020080032819 A KR 1020080032819A KR 20080032819 A KR20080032819 A KR 20080032819A KR 100932986 B1 KR100932986 B1 KR 10093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isplay devic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349A (ko
Inventor
하근동
조대한
이동수
이현희
문찬경
임정준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9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03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characterised by the die pad
    • H01L23/4951Chip-on-leads or leads-on-chip techniques, i.e. inner lead fingers being used as die pa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3Batch processes
    • H01L22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H01L2224/97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the device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substrate, e.g. interposer, said common substrate being separable into individual assemblies after conne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이송할 때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트레이의 보관홈 벽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깨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는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보관되는 적어도 한 개의 보관홈을 갖는 보관부재, 보관홈에 보관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에 탈착 및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접착부재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에 각각 면접착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 접착부재, 트레이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TRAY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본 발명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정공 주입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층 내부에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낮은 소비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장치로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내부에 유기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베젤(Bezel)과, 연성 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패널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기판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가 액정으로 채워진 액정 표시장치와 달리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구조이므로, 기구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특히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장치가 베젤에 불과하므로, 종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만한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런데, 베젤은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외부 충격에 더욱 취약한 구조가 될 경우가 많다. 이는 패널 어셈블리에 베젤이 결합된 세트 자체의 변형을 통해 충격 에너지를 발산하는 구조와 더불어 패널 어셈블리도 이에 따라 변형을 일으켜 줘야 하나 베젤에 의해 방해를 받을 뿐 아니라 베젤에 의해 오히려 패널 어셈블리의 일측이 깨질 수 있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세트의 구성에서 베젤을 생략한 이른바, 베젤리스(bezel-less)의 구조로 세트의 변형을 통해 대부분의 충격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최근에는 베젤리스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조건과 그 원리에 대해 많은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베젤리스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이송하는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젤이 있는 경우 기존의 트레이(Tray)에서는 베젤에 의해 패널 어셈블리가 감싸져 있기 때문에 이송 중에 직접적인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이에 반해, 베젤리스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트레이 내부에 그대로 적재할 경우 이송에 따른 진동, 충격으로 인해 패널 어셈블리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을 통해서 베젤리스형 유기발광 표시장 치에 적합한 이송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베젤리스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이송할 때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트레이의 보관홈 벽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깨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는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보관되는 보관홈을 갖는 보관부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에 탈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접착부재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에 각각 면접착된다.
접착부재는 박판 형상의 보디부재, 보디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층, 및 보디부재의 타면에 형성되어 보관홈의 바닥면과 접착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은 서로 같은 접착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은 서로 다른 접착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접착층의 접착강도는 0.02N/cm~0.2N/cm일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제1 접착층보다 큰 접착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보디 부재,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관홈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와의 사이에 보관홈의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기설정된 유격을 두면서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안착되는 크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보관홈이 보관부재에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보관홈 사이에는 격벽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관홈은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격벽에는 복수개의 보관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홈은 보관홈의 가로 배열 방향 또는 세로 배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복수개의 연결홈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며, 연결홈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보관홈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는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트레이의 보관홈에 접착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트레이에 보관된 상태에서 이송중 외부 충격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이송에서 문제되었던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과의 상하 유격으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호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에 접착강도 및 접착위치를 표시하여 상하 대칭적으로 하지 않거나 상하 끝단쪽에 색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적층 방향이 혼재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에서 보관홈에 접착부재가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여기에 베젤리스형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10)는 보관부재(100), 접착부재(200)를 포함한다.
보관부재(100)는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보관되는 적어도 한 개의 보관홈(112)을 갖는다.
접착부재(200)는 보관홈(112)에 보관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1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112)에 탈착 즉, 제거 또는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재(200)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112)에 각각 면접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10)에 있어서 보관부재(100)에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보관되는 보관홈(112)을 구비하고, 보관홈(112)의 바닥면에 접착부재(200)를 접착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보관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더욱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와 접착부재(200)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접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A10)과 패드 영역(A20)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A10)에서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20)와, 연성 회로기판(32)을 통해 패널 어셈블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36)을 포함한다.
패널 어셈블리(20)는 제1 기판(12)과, 제1 기판(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실런트에 의해 가장자리가 제1 기판(12)에 고정되는 제2 기판(14)을 포함한다. 실런트 내측으로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이 중첩되는 영역에 실제 영상 표시가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A10)이 위치하고, 실런트 외측의 제1 기판(12) 위에 패드 영역(A20)이 위치한다.
제1 기판(12)의 표시 영역(A10)에는 부화소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며, 패널 어셈블리(20)의 패드 영역에는 칩 온 글라스(COG ; chip on glass) 방식으로 집적회로 칩(30)이 실장된다. 집적회로 칩(30)에는 연성 회로기판(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집적회로 칩(30)과 연성 회로기판(32)의 주위에는 보호막(34)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선Ⅴ-Ⅴ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에 보호필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착부재(200)는 보디부재(202), 제1 접착층(204), 제2 접착층(206)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디부재(202), 제1 접착층(204) 및 제2 접착층(206)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접착층(204)과 제2 접착층(206)이 박판 형상의 보디부재(202)의 양면에 형성되어 이로 인해 접착부재(200)는 양면 테이프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층(204)은 보디부재(202)의 일면에 형성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1 기판(12) 일면과 접착된다.
제2 접착층(206)은 보디부재(202)의 타면에 형성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홈(112)의 바닥면과 접착된다.
제1 접착층(204)과 제2 접착층(206)은 서로 같은 접착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층(204)과 제2 접착층(20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접착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로서 제1 접착층(204)과 제2 접착층(206)이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제2 접착층(206)은 제1 접착층(204)보다 더 큰 접착강도를 갖는다. 참고적으로, 제1 접착층(204)의 접착강도는 0.02N/cm~0.2N/cm이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접착되는 제1 접착층(204)은 보관부재(100)의 보관홈(112)에 접착되는 제2 접착층(206)의 접착강도보다 약한 접착력을 갖도록 형성한다. 즉, 이송 후에도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접착부재(200)로부터 탈착하는데 있어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손상시키거나 접착부재(200)의 이물이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남는 일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접착부재(200) 없이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보관부재(100)의 보관홈(112)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이송시 보관부재(100) 내에서 진동 혹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관홈(112)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와의 사이에 보관홈(112)의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기설정된 유격을 갖고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안착되는 크기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보관부재(100)의 보관홈(112)에서 유격에 의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부딪힘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패널부분 또는 패드부분에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부재(100)의 보관홈(112) 사이에는 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간에 편측 0.15mm 내외, 상면과는 0.5mm~1mm 정도의 유격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유격으로 말미암아 패드 부분이 이송 중에 깨지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는 보관홈(112)의 바닥면에 양면이 접착 가능한 접착부재(200)의 제2 접착층(206)을 접착하고 접착부재(200)의 제1 접착층(204)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면에 접착한다. 접착부재(200)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112)에 접착부재(200)를 접착함으로써 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보호장치가 별도로 없는 베젤리스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정도의 접착강도를 갖는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접착부재(200)로부터 강제로 떼어내는 경우에는 충분이 접착력이 약해야 하고 또 이송 후에 접착부재(200)를 다시 떼어 내는데 아 무런 이물질을 남기지 않도록 제1 접착층(204)과 제2 접착층(20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접착층(204)과 제2 접착층(206)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착층을 보호하는 제1 보호필름(214)과 제2 보호필름(216)이 결합되며, 제1 보호필름(214)과 제2 보호필름(216)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보관홈(112)에 각각 접착시 탈피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보호필름(214)과 제2 보호필름(216)은 접착강도 및 접착위치를 표시하는 각각의 표시부(215, 217)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15, 217)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강도 및 접착위치를 나타내는 숫자, 기호 및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215, 217)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5, 217)를 통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적재를 한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관부재(100)는 격벽(114)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보관홈(112)을 갖는다. 복수개의 보관홈(112)은 격자 형태로 배치되며, 격벽(114)에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보관홈(112)을 연결하는 연결홈(116)이 형성된다.
연결홈(116)은 격벽(114)에 상기 보관홈(112)의 가로 배열 방향과 세로 배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사 각형으로 형성되는 보관부재(100)의 길이방향(가로 배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16)이 형성되는 경우, 접착부재(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홈(116)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며, 연결홈(116)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보관홈(112)에 걸쳐 배치된다. 따라서, 보관부재(100)의 보관홈(112)에 접착해야 하는 접착부재(300)의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연속형 접착부재(300)를 적용하면 한번의 작업으로 복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접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속형 접착부재(300)를 트레이 제작 및 공급하는 업체에서 접착한 상태로 공급하게 되면 기존의 유기발광 표시장치 적재 작업은 접착부재(300)의 보호 필름만 제거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접착하는 간단한 추가작업으로 안정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젤리스 혹은 베젤 기능을 하는 글라스(glass) 보호장치가 생략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이송할 때 보관부재(100)에 접착부재(200, 300)를 접착해서 충격이나 진동에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직접 보관부재(100)의 보관홈(112) 벽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깨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에서 보관홈에 접착부재가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관홈에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와 접착부재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접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의 접착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도 2의 선Ⅴ-Ⅴ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에 보호필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의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12 ; 제1 기판 14 ; 제2 기판
20 ; 패널 어셈블리 100 ; 보관부재
112 ; 보관홈 114 ; 격벽
116 ; 연결홈 200, 300 ; 접착부재
202 ; 보디부재 204 ; 제1 접착층
206 ; 제2 접착층 214 ; 제1 보호필름
216 ; 제2 보호필름 215, 217 ; 표시부

Claims (13)

  1.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보관되는 보관홈을 갖는 보관부재;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상기 보관홈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상기 보관홈에 탈착되는 접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상기 보관홈에 각각 면접착되고,
    상기 보관홈이 상기 보관부재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관홈 사이에는 격벽이 배치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복수개의 보관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홈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연결홈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보관홈에 걸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박판 형상의 보디부재;
    상기 보디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보디부재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관홈의 바닥면과 접착되는 제2 접착층
    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은 서로 같은 접착강도를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은 서로 다른 접착강도를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강도는 0.02N/cm~0.2N/c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보다 큰 접착강도를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부재,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이 일체로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홈은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와의 사이에 상기 보관홈의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기설정된 유격을 두면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안착되는 크기를 가지고 형성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관홈은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은 상기 보관홈의 가로 배열 방향 또는 세로 배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13. 삭제
KR1020080032819A 2008-04-08 2008-04-08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KR10093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19A KR100932986B1 (ko) 2008-04-08 2008-04-08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19A KR100932986B1 (ko) 2008-04-08 2008-04-08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49A KR20090107349A (ko) 2009-10-13
KR100932986B1 true KR100932986B1 (ko) 2009-12-21

Family

ID=4153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819A KR100932986B1 (ko) 2008-04-08 2008-04-08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9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135A (ja) * 2000-08-21 2002-02-28 Oki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トレイ
JP2002332023A (ja) 2001-05-10 2002-11-22 Sony Corp トレー
KR20050105598A (ko) * 2004-04-30 2005-1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트레이
KR20070051414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135A (ja) * 2000-08-21 2002-02-28 Oki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トレイ
JP2002332023A (ja) 2001-05-10 2002-11-22 Sony Corp トレー
KR20050105598A (ko) * 2004-04-30 2005-1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트레이
KR20070051414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49A (ko)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695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81206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652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16574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795712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534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920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2235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2009635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3298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트레이
KR1009223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79994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KR2012007967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0964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070029007A (ko) 양면 oled 디스플레이 장치
US850244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09009926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5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6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060079019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KR10091318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7422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0000991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0000991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