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391B1 -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 Google Patents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391B1
KR100932391B1 KR1020070092071A KR20070092071A KR100932391B1 KR 100932391 B1 KR100932391 B1 KR 100932391B1 KR 1020070092071 A KR1020070092071 A KR 1020070092071A KR 20070092071 A KR20070092071 A KR 20070092071A KR 100932391 B1 KR100932391 B1 KR 10093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crew
fram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960A (ko
Inventor
이덕현
Original Assignee
이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현 filed Critical 이덕현
Priority to KR102007009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3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 E04F13/088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by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재로 시공되는 석판재(STONE PANEL)를 건식공법으로 시공할 때 사용하는 중간 지지구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석판재 배면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어 승하강 하도록 구성된 승강지지판과, 상기 승강지지판의 평판 외측부에 식재된 자석으로 이루어져 석판재의 부착 완료 후 외부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지지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승강지지판이 석판재 배면에 밀착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이다.
석판재, 습식시공, 건식시공, 중간 지지, 취성 파괴

Description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STONE PANEL BRACE FOR A DRY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내 외장재로 시공되는 석판재(STONE PANEL)를 건식공법으로 시공할 때 사용하는 중간 지지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건식공법으로 석판재를 시공할 때 철물을 사용하는 각 고정 지지점 사이의 중간에서 발생하는 휨에 의한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중간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대리석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석판재는 특유의 질감, 광택, 미감 및 자연소재에 대한 선호에 의해 오랜 역사를 가지고 건축물의 장식, 예술품 등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석판재는 원석을 판재로 가공하여 광택을 내고 시공에 적합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통상 석판재의 시공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등의 본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습식시공과, 앵글, 파스너(fastner) 트러스 등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하는 건식시공이 알 려져 있다.
습식시공은 시멘트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체나 바닥에 시공하는 방법으로 마감거리(벽체와 석판재외표면 까지 거리)가 짧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지진 등의 발생시 안전성이 약하고, 에폭시 등의 접착제는 포름알데히드 등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을 발생하여 거주 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모르타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 중 얼룩 등 백화 현상이 발생하여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시공하면 해체가 어렵고, 파손을 전제로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건식 시공은 앵글 등의 철물을 사용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금속 부착구조를 사용하여 석판재를 벽체에 고정하는 시공방법으로 본드나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친환경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고, 백태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내 외장 벽체 시공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건식시공은 석판재 테두리의 일점 또는 일부를 고정지지점으로 하고, 고정지지점과 고정지지점 사이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고정지지점에 과도한 부착응력이 작용하고, 중간의 공간은 석판재 자체의 강성에 의해 응력을 부담하도록 되어 있어 면적이 큰 대규격 석판재를 시공하거나 얇은 석판재를 시공하는 경우에 외력에 의한 취성파괴가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석판재의 고정지지점 사이사이에 지지부재를 끼워 시공하는 방법이 강구될 수 있으나 정밀 시공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벽체의 표면은 정확한 평면이 이루어지지 않고 굴곡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리 지지부재를 형성할 수밖에 없는 건식시공 특성상 미리 형성한 지지부재로 필요한 밀착지지력을 얻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기존 방법은 취약부에서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석판재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거나 중 소규격의 석판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석판재의 불필요한 낭비요인이 많았고, 석판재 자중 증가가 구조물의 안전성에도 나쁜 영향을 초래하였으며, 넓은 면적에 의한 독특한 문양일 때 극대화 되는 천연석의 미감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석판재의 부착시 미리 형성한 지지구를 부착 완료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조정하여 석판재 배면을 밀착 지지하는 석판재 중간 지지구를 제시함으로써, 건식시공시에 석판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얇은 판재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대규격 석판재의 시공과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석판재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석판재의 배면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벽체에 고정되며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도록 석판재의 배면에 접촉하며 외측부에 자석이 식재되는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나사축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석판재를 부착한 후 외부 전자석과 원형판에 식재된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지지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지지판이 상승되어 석판재의 배면에 밀착되어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나사부는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임이 제한된 나사링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링의 하부에는 받침나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는 석판재의 부착시공시 취약부위에 미리 프레임과 중간 지지구를 결합 시공한 상태에서 석판재의 부착을 완료한 후 중간 지지구 형성 위치에 전자석을 대고 자석 끼리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을 원형으로 돌려 줌으로써 나사축이 인출되고, 그 두부에 형성된 평판이 석판재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석판재를 지지하는 작용원리를 갖는다.
상기 구조는 벽체 또는 석판재를 지지하기 위한 주프레임에 고정 부착되는 프레임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축을 결합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는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제한된 나사링을 결합하여 상기 나사링의 상부에 상기 나사축을 결합하고, 상기 나사링의 하부에 받침나사를 결합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전자는 석판재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나사축을 통하여 프레임에 전달되고, 프레임은 이를 벽체에 전달하는 작용에 의해 석판재를 지지함으로서 구성은 간단하지만 프레임을 강성구조로 구성하여야 한다.
후자는 평판이 석판재의 배면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나사축 및 받침나사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로써 석판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나사링 및 받침나사를 통하여 벽체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강성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전체적으로 축 하중을 부담하므로 안정적이며, 굴곡이 심한 경우에 받침나사의 인출량을 미리 조절하여 줌으로써 현장 상황에 맞는 시공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원형판 표면에는 고무판 등 완충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석판재를 더욱 보호할 수 있고 급격한 충격이 작용한 경우에도 이를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 지지 상태의 취약 부위인 석판재의 중간 중간을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로 지지하여 보강하여 줌으로써 건식시공 시에 석판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강성이 향상되어 얇은 판재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대규격 석판재의 시공과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는 석판재 배면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어 승하강 하도록 구성된 승강지지판과, 상기 승강지지판의 평판 외측부에 식재된 자석으로 이루어져 석판재의 부착 완료 후 외부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지지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승강지지판이 석판재 배면을 받쳐 준다.
승강지지판은 석판재에 접촉하는 원형판과 그 중심에 형성된 나사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에는 상기 나사축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지지판은 석판재에 접촉하는 원형판과 그 중심에 형성된 나사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임이 제한된 나사링이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나사축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임이 제한된 나사링의 하부에 받침나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지지판 표면에 완충고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석판재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석판재(A)의 배면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벽체에 고정되며 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도록 석판재의 배면에 접촉하며 외측부에 자석(30)이 식재되는 원형판(21)과, 상기 원형판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나사축(22)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지지판(20);으로 구성되며, 석판재를 부착한 후 외부 전자석(40)과 원형판에 식재된 자석(30)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지지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지지판이 상승되어 석판재의 배면에 밀착되어 받쳐준다.
상기한 프레임(10)은 벽체에 직접 고정되거나 석판재를 부착 시공하기 위한 틀체에 고정되는 요소로 승강지지판의 나사축(22)을 수용하기 위한 나사부(11)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승강지지판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시 나사 작용으로 상하로 승강하여 원형판 표면이 석판재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석판재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승강지지판의 승하강 작용을 위한 나사부는 리드스크류와 같이 회전 마찰이 적고 피치가 큰 나사부가 적용된다.
자석(30)은 상기 원형판(21)의 외측에 홈을 내어 식재하며, 외부 전자석(40)과 함께 상기 승강지지판을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석판재의 부착을 완료한 상태에서 해당 지지구 위치에 강한 자성을 갖는 전자석(40)을 대고 돌리면 원형판에 식재된 자석(30)과의 인력에 의해 승강지지판이 회전하면서 석판재 배면에 밀착 지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승강지지판의 나사축(22)을 프레임에 직접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하지 않고,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이 제한되도록 프레임에 결합한 나사링(23)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나사링의 하단에는 필요에 따라 받침나사(24)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자석에 의해 승강지지판을 회전시키면 승강지지판은 상승하고, 나사링은 반대로 하강하여 승강지지판과 나사링이 각기 석판재와 벽체에 닿는 상태가 되었을 때 석판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받침나사(24)가 추가로 결합된 경우에는 받침나사가 벽체에 닿아 지지면을 형성한다.
상기 구조에서 프레임은 나사링의 위치를 잡아 주는 작용만 하고, 지지 압력은 전혀 부담하지 않음으로 금속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 가벼운 소재로 구성할 수 있고, 접착제나 피스나사 등을 사용하여 벽체에 간단하게 부착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받침나사는 벽체의 굴곡이 커서 국부적으로 받침 축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나사링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시공 시 받침 축 거리를 근사적으로 조정한 후 전자석에 의한 최종 밀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양 측면이 건식 시공법에 의한 철물(100)에 의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휨이 크게 발생하는 중심부 또는 중간 중간에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를 형성한 것을 보인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은 완충고무이며, 석판재에 가해지는 급속한 충격을 흡수하고, 석판재와 승강지지판과의 밀착성을 향상하는 작용을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및 그 동작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적용 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
도 4 은 본 발명의 적용 상태를 보인 평면 상태도
*. 주요부호의 설명
A. 석판재 10. 프레임 11.나사부
20. 승강지지판 21. 원형판 22.나사축
23. 나사링 24. 받침나사
30. 자석 40. 전자석 50. 완충고무

Claims (5)

  1. 석판재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석판재의 배면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벽체에 고정되며 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도록 석판재의 배면에 접촉하며 외측부에 자석(30)이 식재되는 원형판(21)과, 상기 원형판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나사축(22)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지지판(20);으로 구성되어 석판재를 부착한 후 외부 전자석(40)과 원형판에 식재된 자석(30)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지지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지지판이 상승되어 석판재의 배면에 밀착되어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임이 제한된 나사링(23)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링의 하부에는 받침나사(24)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의 표면에는 완충고무(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KR1020070092071A 2007-09-11 2007-09-11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KR10093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71A KR100932391B1 (ko) 2007-09-11 2007-09-11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71A KR100932391B1 (ko) 2007-09-11 2007-09-11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960A KR20090026960A (ko) 2009-03-16
KR100932391B1 true KR100932391B1 (ko) 2009-12-16

Family

ID=4069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071A KR100932391B1 (ko) 2007-09-11 2007-09-11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8375A (zh) * 2014-10-30 2015-02-18 林立 可调式磁吸支承机构
CN112554488B (zh) * 2020-12-11 2022-04-1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磁吸式墙板安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925U (ja) 1981-09-10 1983-03-16 ミサワホ−ム株式会社 化粧枠の取付構造
KR950009079U (ko) * 1993-09-08 1995-04-19 이호석 수지로 된 조정식천장판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925U (ja) 1981-09-10 1983-03-16 ミサワホ−ム株式会社 化粧枠の取付構造
KR950009079U (ko) * 1993-09-08 1995-04-19 이호석 수지로 된 조정식천장판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960A (ko)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51242A (ja) 壁装飾保温一体機構及び壁装飾保温装置
EP2650454A1 (en) A process for realising high-resistance slabs or tiles, destined for covering internal or external floors or walls
KR100932391B1 (ko) 건식공법을 위한 석판재 중간 지지구
KR20160026508A (ko)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KR100769582B1 (ko) 벽돌 패널
CN104153495A (zh) 一种多功能轻质混凝土幕墙的连接结构
KR20042000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90020294A (ko) 외장 석재 시공용 고정구
KR10077196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11779141B (zh) 一种轻质外挂墙板连接节点
CN204001309U (zh) 一种多功能轻质混凝土幕墙的连接结构
CN101832006A (zh) 组合式免粘墙体表面装饰砖
CN111608355A (zh) 一种墙面大规格玻化砖可调节干挂结构及安装方法
CA2576780C (en) Slab edge casing and method therefor
KR2009000381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ES2319036B1 (es) Panel prefabricado con anclaje incorporado.
CN213653907U (zh) 一种背栓挂件连接结构
CN210713424U (zh) 一种土建施工用幕墙支撑机构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CN201474234U (zh) 一种墙面固定件
KR100947164B1 (ko) 건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CN205444592U (zh) 一种瓷砖幕墙安装系统
KR20170004093A (ko) 플라스틱 욕실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CZ28794U1 (cs) Tenkostěnný fasádní panel z vysokohodnotného betonu UHPC s výztužnou sítí 2D z nekovových vláken
CN204059851U (zh) 一种复合板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