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805B1 -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805B1
KR100931805B1 KR1020080008553A KR20080008553A KR100931805B1 KR 100931805 B1 KR100931805 B1 KR 100931805B1 KR 1020080008553 A KR1020080008553 A KR 1020080008553A KR 20080008553 A KR20080008553 A KR 20080008553A KR 100931805 B1 KR100931805 B1 KR 10093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ervo motor
molten resin
screw
hea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660A (ko
Inventor
박경호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8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658Injection unit
    • B29C2945/76665Injection unit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929Controlling method
    • B29C2945/76939Using stored or historical data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용 서보 모터와 계량용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사출 축의 제어 추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구동하여 가열 실린더(21) 내에 있는 스크루(20)를 회전시켜 가열 실린더(21)의 선단부에 용융 수지를 쌓고, 용융 수지가 가열 실린더(21)의 전방에 쌓여감에 따른 용융 수지의 배압에 의해 스크루(20)가 후퇴하며, 용융 수지의 배압은 로드셀(18)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계량용 서보 모터(24)의 회전수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피이드 백 제어함으로써 용융 수지를 계량하는 공정; (나)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함께 구동하여, 스크루(20)를 전진시킴과 함께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열 실린더(21) 선단부에 쌓인 용융 수지를 가열 실린더(21)의 전방 노즐(21a)을 통해 사출하여 금형 안에 충전하는 공정; (다) 충전 종료 시점에서 계량용 서보 모터(24)는 정지하고 사출용 서보 모터(11)만을 이용한 압력제어에 의해 주입된 용융 수지가 금형 냉각 및 고화될 때까지 보압을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용 서보 모터만을 이용하여 사출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사출용 서보 모터와 함께 계량용 서보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사출함으로써, 사출초기 과정에서 계량용 서보 모터에 의한 추가적인 사출력을 제공하여 사출용 서보 모터만으로 구동할 때보다 더 짧은 시간 안에 설정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 추종 응답이 빨라지게 된다. 또한, 계량용 서보 모터에 의한 추가적인 사출력에 의해, 더욱 높은 사출 압력 조건의 성형품도 성형을 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80008553
사출, 계량, 충전, 스크루, 사출 축, 로드 셀, 제어

Description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INJECTION SHAFT CONTROL METHOD OF ELECTRICALLY DRIVEN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출용 서보 모터와 계량용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사출 축의 제어 추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전동식 사출 성형기는,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용융된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고압으로 사출하고, 냉각 및 고화시킴으로써 캐비티의 형태와 같은 제품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사출 장치의 형태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사출용 서보 모터(11)의 회전은 볼 나사(12)에 전달된다. 볼 나사(12)의 회전에 의해서 전후진하는 볼 너트(13)는 이송대(14)에 고정되어 있다. 이송대(14)는 베이스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가이드 바(15, 16)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이송대(14)의 전후진 운동은 베어링(17), 로드셀(18), 사출 축(19)을 통하여 스크루(20)에 전달된다. 스크루(20)는 가열 실린더(21) 안에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가열 실린 더(21)의 후방에는 수지 공급용 호퍼(22)가 설치되어 있다. 사출 축(19)에는 벨트/풀리와 같은 동력전달장치(23)에 의해 계량용 서보 모터(24)의 회전운동이 전달된다. 즉,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해서 사출 축(19)이 회전구동됨으로써 스크루(20)가 회전한다. 계량용 서보 모터(24)는 이송대(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에는 각각,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와 같은 센서(31)(32)가 장착되어 있고, 이송대(14)에는 스크루(20)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기(27)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셀(18)에서 받은 스크루(20) 전단의 용융 수지 압력 검지 신호, 상기 각 센서(31)(32), 그리고 위치검출기(27)에서 검출된 신호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증폭기(25)(28)(29)(30)를 통해 컨트롤러(26)로 입력되어 피드백 제어에 사용된다.
컨트롤러(26)는, 입력장치(35)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종 설정값에 따라서 각 공정에 따른 전류(토크) 지령을 증폭기(29)(30)에 출력한다. 증폭기(29)(30)에서는 사출용 서보 모터(11)의 구동전류를 제어하여 사출용 서보 모터(11)의 출력 토크를 제어한다. 사출용 서보 모터(11)(24)의 회전수는 센서(31)(32)에 의해 검출되어 컨트롤러(26)에 입력된다.
이러한 사출 장치에 의한 사출 공정은, 크게 가소화 및 계량 공정, 충전 공정, 보압 공정을 포함한다.
우선, 가소화 및 계량 공정에 있어서,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해 가열 실린더(21) 내에 있는 스크루(20)가 회전하면, 호퍼(22)로부터 공급되는 수지는 가열 실린더(21) 안에서 용융되면서 스크루(20)의 회전에 의해 가열 실린더(21)의 선단 부로 보내져 쌓이게 된다. 용융 수지가 가열 실린더(21)의 전방에 쌓여감에 따라 스크루(20)는 용융 수지의 압력(배압)을 받게 되고, 이 배압에 의해 스크루(20)는 후퇴하게 된다. 이러한 용융 수지의 배압은 로드셀(18)에 의해 검출되어 피드백 제어에 사용되고, 그에 의해 계량용 서보 모터(24)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정확하게 계량된 용융 수지가 가열 실린더(21)의 선단부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충전 공정에 있어서, 사출용 서보 모터(11)를 구동하여 이송대(14)를 전진시켜 스크루(20)의 선단부를 피스톤으로 삼아 용융 수지를 밀어내어 가열 실린더(21) 전방의 노즐(21a)을 통해 사출하여 금형 안에 충전한다. 이때 스크루(20)는 용융 수지를 노즐(21a)로부터 압출하는 반작용력 즉, 사출압을 받는다. 이 사출압은 상술한 배압 제어와 마찬가지로 피드백 제어 루프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보압 공정에 있어서, 용융 수지가 금형의 캐비티(cavity) 안에 충만 되는 사출 종료 시점에서는 스크루(20)의 전진 운동은 속도제어로부터 압력제어로 전환되어 소정의 압력 즉, 보압(保壓)을 유지한 상태로 금형의 캐비티 안에 충만된 용융 수지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사출 공정에 있어서는, 용융 수지의 정확한 계량뿐만 아니라 사출 속도 및 압력은 성형품의 품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런데, 종래의 사출 장치에서는 실제 사출 시에 사출 압력과 사출 속도 설정 값을 사출용 서보 모터만이 감당하여 추종하도록 함에 따라 제어 압력과 제어 속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사출공정을 얻기가 어려웠다. 특히, 사출과정에서 행해지는 사출 스트로크가 짧을 경우에는 사출량도 적기 때문에 압력과 속도를 제어하 기가 한층 더 까다롭다.
또한, 높은 속도 응답성이 요구되는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출용 서보 모터를 모터 관성이 작은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고, 높은 압력 조건을 요구하는 성형품의 경우에는 사출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더 큰 용량의 사출용 모터를 사용하던지 모터를 더 추가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용융 수지 사출량이 작고, 빠른 사출 속도와 높은 사출 압력으로 성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제품의 성형에 있어서는, 하나의 사출용 모터에 고부하가 걸려 제어의 응답성이 떨어지고, 그 때문에 사출 구간에서 제어의 추종성이 떨어져 오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시에 사출용 모터 하나가 부하를 감당하여야 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줄이고 제어의 추종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은, (가) 계량용 서보 모터를 구동하여 가열 실린더 내에 있는 스크루를 회전시켜 가열 실린더의 선단부에 용융 수지를 쌓고, 용융 수지가 가열 실린더의 전방에 쌓여감에 따른 용융 수지의 압력(배압)에 의해 스크루가 후퇴하며, 용융 수지의 배압은 로드셀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계량용 서보 모터의 회전수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피이드 백 제어함으로써 용융 수지를 계량하는 공정; (나) 사출용 서보 모터와 계량용 서보 모터를 함께 구동하여, 스크루를 전진시킴과 함께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열 실린더 선단부에 쌓인 용융 수지를 가열 실린더의 전방 노즐을 통해 사출하여 금형 안에 충전하는 공정; (다) 충전 종료 시점에서 계량용 서보 모터는 정지하고 사출용 서보 모터만을 이용한 압력제어에 의해 주입된 용융 수지가 금형 냉각 및 고화될 때까지 보압을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정 (가) 단계에서, 상기 사출용 서보 모터와 계량용 서보 모 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스크루를 전진과 동시에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크루 전방 부분의 체크 링과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의 이동 간극(e)에 의해 역류하는 용융 수지의 양을 사전에 측정하여 그 역류량만큼 용융 수지가 더 쌓이도록 스크루의 후퇴량을 미리 설정해 두어 그 설정된 후퇴량에 근거하여 계량한 후, 공정 (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정 (가)에서, 상기 용융 수지의 양은 상기 스크루 전방 부분의 체크 링과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의 이동 간극(e)만큼 스크루(20)를 더 후퇴시켜 상기 이동 간극(e) 에 의한 용융 수지의 역류량만큼의 용용 수지가 더 쌓이도록 계량하고, 상기 공정 (나)에서, 상기 사출용 서보 모터를 먼저 구동하여, 상기 스크루 전방 부분의 체크 링과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의 이동 간극(e)만큼 상기 스크루를 전전시켜 상기 체크 링과 상기 스페이서가 닫힌 시점에 이르러 비로소 상기 계량용 서보 모터를 함께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축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출용 서보 모터만을 이용하여 사출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사출용 서보 모터와 함께 계량용 서보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사출함으로써, 사출초기 과정에서 계량용 서보 모터에 의한 추가적인 사출력을 제공하여 사출용 서보 모터만으로 구동할 때보다 더 짧은 시간 안에 설정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 추종 응답이 빨라지게 된다. 또한, 계량용 서보 모터에 의한 추가적인 사출력에 의해, 더욱 높은 사출 압력 조건의 성형품도 쉽게 성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축 제어 과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출 장치에 대한 구성은 도 1을 함께 참조한다. 사출용 서보 모터(11)만을 이용하여 사출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함께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구동하여 사출함으로써, 사출초기 과정에서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한 추가적인 사출력을 제공하여 사출용 서보 모터(11)만으로 구동할 때보다 더 짧은 시간에 설정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 추종 응답이 빨라지도록 하고, 또한,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한 추가적인 사출력에 의해, 더욱 높은 사출 압력 조건의 성형품도 성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출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스크루 전방의 체크 링과 스페이서의 관계(구조) 및 용융 수지의 역류를 감안한 보정 관계를 먼저 설명한다.
도 3 내지 5는 스크루 전방의 체크 링과 스페이서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3에는 구성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계량시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사출시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실린더(21) 내에 삽입되어 있는 스크루(20)는, 사출용 서보 모터(11)에 의해서는 전후진 운동을 하고,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해서는 회전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루(20)의 전방 부분의 헤드(20a) 와 스페이서(50) 사이에는 체크 링(60)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체크 링(60)과 스크루(20) 외경 사이에는 통로(61)가 형성되고, 스크루(20)의 헤드(20a)에도 통로(20b)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0)는 체크 링(60)이 접촉할 때 상기 통로(61)를 막을 수 있는 지름을 가진다. 용융 수지는 상기 통로(61)(20b)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소통하게 된다.
계량시에는,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해 스크루(20)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60)는 스크루(20)의 나사산(20c)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밀려오는 용융 수지의 압력에 의해 헤드(20a) 쪽으로 이동하여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통로(61)가 개방되어 용융 수지는 가열 실린더(21) 앞쪽으로 이동하여 쌓이게 된다. 가열 실린더(21)의 전방에 용융 수지가 쌓여 감에따라 그 압력에 의해 스크루(20)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계속하여 계량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동작 시, 즉 충전 시에는 스크루(20)가 전진하는데, 일반적인 경우에는 스크루(20)가 전진함에 따라서 스크루(20)의 나사산(20c)에 작용하는 용융 수지의 압력에 의해 스크루(20)가 회전할 우려가 있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량용 서보 모터(24)는 스크루(20)를 회전하지 못하게 잡아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스크루(20)의 체크 링(60)은 스크루(20) 앞쪽의 용융 수지의 압력에 의해 뒤로 밀려 스페이서(50)와 접촉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통로(61)가 막혀 용융수지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도 6에는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구동하여 사출하는 초기에 체크 링(60)이 받는 압력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사출 동작 시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이용하는 본 발명의 사출 축 제어 방법과 관련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구동할 때에는, 스크루(20)는 회전과 동시에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체크 링(60)에는 가열 실린더(21) 앞쪽의 용융 수지에 의한 압력(Pa) 의한 힘(Fr)을 받음과 동시에, 뒤쪽에서는 스크루(20)의 회전에 의해 앞으로 밀려가는 용융 수지의 압력(Pb)에 의한 압력(Ff)을 받게 된다. 상기 전방에서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Fr)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힘(Ff)에 비해 크기 때문에 체크 링(60)은 곧 후퇴하겠지만, 그렇더라도 힘(Ff)에 의해 체크 링(60) 닫힘이 약간 늦어지는 현상은 어쩔 수 없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체크 링(60)의 닫힘이 지연되는 현상에 의해 용융 수지의 역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역류량을 미리 측정하여 설정해 두는 한편, 그 설정된 역류량만큼 스크루(20)가 더 후퇴하도록 스크루(20)의 후퇴량을 사전에 설정해 둠으로써 그만큼 용융 수지가 더 쌓이도록 한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그리고 도 1을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출 축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계량시에 있어서,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구동하여 가열 실린더(21) 내에 있는 스크루(20)를 회전시켜 가열 실린더(21)의 선단부에 용융 수지를 쌓는다(s100). 용융 수지가 가열 실린더(21)의 전방에 쌓여감에 따라 용융 수지의 압력(배압)에 의해 스크루(20)는 후퇴하게 된다. 이때, 용융 수지의 배압은 로드셀(18)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되고 계량용 서보 모터(24)의 회전수도 실시간으로 검출되어, 이 값들이 피이드 백 제어에 이용되면서 계량이 수행된다. 계량이 끝나면, 계량용 서보 모터(24)의 구동을 정지한다(s101).
다음으로, 사출을 행하기 위해,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함께(동시에) 구동한다(s102, s103). 즉, 사출용 서보 모터(11) 만을 이용하여 즉, 스크루(20)의 전진에 의해서만 사출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서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활용하여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용융 수지를 앞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크루(20)를 전진시킴과 함께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열 실린더(21) 선단부에 쌓인 용융 수지를 가열 실린더(21)의 전방 노즐(21a)을 통해 사출하여 금형 안에 충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출용 서보 모터(11) 하나가 사출 속도와 압력을 전담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출 구간에서의 제어의 추종 성능을 높이고 제어 오차를 감소시킨 것이다. 또한,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에 사출량이 적고, 빠른 사출 속도와 높은 압력으로 성형하여야 할 제품에 있어서, 사출용 서보 모터(11)에 요구되는 고부하를 계량용 서보 모터(24)가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모터(11)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 좀더 안정적인 시스템이 구현된다.
다시 말하면, 사출용 서보 모터(11)만을 이용하여 사출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함께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구동하여 사출함으로써, 사출초기 과정에서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한 추가적인 사 출력을 제공하여 사출용 서보 모터(11)만으로 구동할 때보다 더 짧은 시간에 설정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 추종 응답이 빨라지게 된다. 또한,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한 추가적인 사출력에 의해, 더욱 높은 사출 압력 조건의 성형품도 성형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충전 종료 시점에서는, 계량용 서보 모터(24)에 의한 스크루(24)의 회전 구동은 정지하고(s104), 사출용 서보 모터(11)만을 이용한 압력제어에 의해 주입된 용융 수지가 금형 냉각 및 고화될 때까지 보압을 유지한다(s105).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량 공정 직후, 상기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구동하기에 앞서, 도 6을 통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동시에 구동하여 스크루(20)를 전진과 동시에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스크루(20) 전방 부분의 체크 링(60)과 스페이서(50)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60)의 이동 간극(e)(도 4 참조)에 의해 역류하는 용융 수지의 양을 사전에 측정하여 그 역류량만큼 용융 수지가 더 쌓이도록 즉, 스크루(20)가 더 후퇴되도록 스크루(20)의 후퇴량을 미리 설정해 두어 그 설정된 후퇴량에 근거하여 계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서는 계량 후 사출용 서보 모터(11)를 먼저 구동하여 체크 링(60)의 이동 간극(e)만큼 미리 스크루(20)를 전진시킨 다음 계량용 섭보 모터(24)를 구동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량 공정에서는, 상기 용융 수지의 양은 상기 스크루(20) 전방 부분의 체크 링(60)과 스페이서(50)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60)의 이동 간극(e)만큼 스크루(20)를 더 후퇴시켜 상기 이동 간극(e) 에 의한 용융 수지의 역류량만큼의 용용 수지가 더 쌓이도록 계량한다. 이어서 충전 공정에 들어가, 먼저 상기 사출용 서보 모터(11)를 구동하여, 상기 스크루(20) 전방 부분의 체크 링(60)과 스페이서(50)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60)의 이동 간극(e)만큼 상기 스크루(20)를 전전시켜 상기 체크 링(60)이 상기 스페이서(50)에 접촉하여 닫히도록 하고, 스페이서(60)가 닫힌 시점에 이르러 비로소 상기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 되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식 사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축 제어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 보정량을 설명하기 위해, 스크루 전방의 체크 링과 스페이서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3은 구성 도면이고, 도 4는 계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사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사출용 서보 모터와 계량용 서보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사출하는 초기에 체크 링이 받는 압력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3)

  1. (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구동하여 가열 실린더(21) 내에 있는 스크루(20)를 회전시켜 가열 실린더(21)의 선단부에 용융 수지를 쌓고, 용융 수지가 가열 실린더(21)의 전방에 쌓여감에 따른 용융 수지의 배압에 의해 스크루(20)가 후퇴하며, 용융 수지의 배압은 로드셀(18)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계량용 서보 모터(24)의 회전수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피이드 백 제어함으로써 용융 수지를 계량하는 공정;
    (나)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함께 구동하여, 스크루(20)를 전진시킴과 함께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열 실린더(21) 선단부에 쌓인 용융 수지를 가열 실린더(21)의 전방 노즐(21a)을 통해 사출하여 금형 안에 충전하는 공정;
    (다) 충전 종료 시점에서 계량용 서보 모터(24)는 정지하고 사출용 서보 모터(11)만을 이용한 압력제어에 의해 주입된 용융 수지가 금형 냉각 및 고화될 때까지 보압을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가) 단계에서, 상기 사출용 서보 모터(11)와 계량용 서보 모 터(24)를 동시에 구동하여 스크루(20)를 전진과 동시에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크루(20) 전방 부분의 체크 링(60)과 스페이서(50)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60)의 이동 간극(e)에 의해 역류하는 용융 수지의 양을 사전에 측정하여 그 역류량만큼 용융 수지가 더 쌓이도록 스크루(20)의 후퇴량을 미리 설정해 두어 그 설정된 후퇴량에 근거하여 계량한 후, 상기 공정 (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가)에서는, 상기 용융 수지의 양은 상기 스크루(20) 전방 부분의 체크 링(60)과 스페이서(50)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60)의 이동 간극(e)만큼 스크루(20)를 더 후퇴시켜 상기 이동 간극(e) 에 의한 용융 수지의 역류량만큼의 용용 수지가 더 쌓이도록 계량하고,
    상기 공정 (나)에서, 상기 사출용 서보 모터(11)를 먼저 구동하여, 상기 스크루(20) 전방 부분의 체크 링(60)과 스페이서(50) 사이에 형성되는 체크 링(60)의 이동 간극(e)만큼 상기 스크루(20)를 전전시켜 상기 체크 링(60)과 상기 스페이서(50)가 닫힌 시점에 이르러 비로소 상기 계량용 서보 모터(24)를 함께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KR1020080008553A 2008-01-28 2008-01-28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KR10093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553A KR100931805B1 (ko) 2008-01-28 2008-01-28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553A KR100931805B1 (ko) 2008-01-28 2008-01-28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660A KR20090082660A (ko) 2009-07-31
KR100931805B1 true KR100931805B1 (ko) 2009-12-14

Family

ID=4129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553A KR100931805B1 (ko) 2008-01-28 2008-01-28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052B1 (ko) 2013-03-13 2014-10-30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연속생산장치
KR20160063644A (ko) 2014-11-27 2016-06-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부분 교체가 가능한 사출기용 배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62B1 (ko) 2018-07-20 2020-07-20 (주) 케이티에스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28B1 (ko) * 1998-06-17 2005-03-0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사출성형기 및 가소화 계량공정에서의 제어방법
KR200404213Y1 (ko) * 2005-10-12 2005-12-19 주식회사동신유압 이중사출용 사출성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28B1 (ko) * 1998-06-17 2005-03-0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사출성형기 및 가소화 계량공정에서의 제어방법
KR200404213Y1 (ko) * 2005-10-12 2005-12-19 주식회사동신유압 이중사출용 사출성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052B1 (ko) 2013-03-13 2014-10-30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연속생산장치
KR20160063644A (ko) 2014-11-27 2016-06-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부분 교체가 가능한 사출기용 배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660A (ko) 200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5247B2 (en) Control system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596039B1 (ko) 사출 성형의 제어 방법 및 사출 성형의 제어 장치
US7785090B2 (en) Injection control apparatus
US6416694B1 (en) Injection controlling method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9162386B2 (en) Controller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417600B1 (ko) 사출성형기
KR100931805B1 (ko) 전동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 축 제어 방법
JP5351307B1 (ja) 射出成形機の圧力制御装置
KR100473925B1 (ko) 전동사출성형기에서의 로드셀 원점조정장치 및 방법
JP5788353B2 (ja) 射出成形機
JP2013052622A (ja) 射出装置およびその射出制御方法
JP6552933B2 (ja) 射出成形機
KR102277106B1 (ko) 사출성형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4040989B2 (ja) 射出成形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2010188706A (ja) 射出成形装置、成形品、および射出成形方法
KR20170001019A (ko) 사출 성형기
JP2014117889A (ja)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