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454B1 -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454B1
KR100931454B1 KR1020080078066A KR20080078066A KR100931454B1 KR 100931454 B1 KR100931454 B1 KR 100931454B1 KR 1020080078066 A KR1020080078066 A KR 1020080078066A KR 20080078066 A KR20080078066 A KR 20080078066A KR 100931454 B1 KR100931454 B1 KR 10093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loor
center cross
floor panel
cros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4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a vehicle is provided to prevent a connection from being fractured by dispersing concentrated stress occurring in a connection between a rear floor panel front portion and a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when concentrated load occurs in a seat belt anchor. CONSTITUTION: A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for a vehicle contains a rear floor panel, a spare tire well reinforcement member mounted to the center of a center floor pa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vehicle, and a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300) connecting the rear floor panel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ement member. The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 contains a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reinforcement(310) attached to the rear cross member, a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reinforcement(320) attached to the rear floor panel and connected to the spare tire well reinforcement member, and a connecting stopper(330)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reinforcements to be movable.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vehicle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를 개선하여 리어 플로워 패널의 용접부위에 발생하는 집중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용접부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follower center cross structur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structure and to disperse the concentrated stress generated at the welded portion of the rear follower panel, thereby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welded portion. It is about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일반적으로 차체의 언더 플로워는 프런트 플로워 패널, 센터 플로워 패널 및 리어 플로워 패널(10)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underfloor of the vehicle body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ront floor panel, the center floor panel, and the rear floor panel 10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의 중앙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10)의 중앙에는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30)가 장착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와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30)는 용접을 통해 연결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follower panel, and a rear follower center cross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follower panel 10. 30 is mounted,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 and 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30 are connected by welding.

또한,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10)은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와 리 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의 연결부위에는 리어 크로스멤버(40)가 장착되고, 그들 위에는 시트 벨트 앵커(5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rear floor panel 10 includes a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 and a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 and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 and the lower floor panel rear part 12. The rear crossmember 40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at belt anchor 50 thereon.

또한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의 연결부위에는 시트 벨트 앵커(50)의 강성 및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시트 벨트 앵커 레인프(6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seat belt anchor rain 60 for increasing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seat belt anchor 50 is moun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

그러나 시트 벨트에 의해 시트 벨트 앵커(50)가 전방과 상부 사이로 당겨질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의 연결부위 중 강성 또는 강도가 취약한 용접부위(70)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seat belt anchor 50 is pulled between the front and the top by the seat belt, as shown in FIG. 2, the rigidity or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follower panel front part 11 and the rear follower panel rear part 12 is show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ak welding part 70 is broke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트 벨트 앵커(50)에 당겨지면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는 전방과 상방 중간으로 들림 현상이 발생하는데 반하여,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는 리어 크로스 멤버(40)와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30)의 강성 및 강도에 의해 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In detail, when the seat belt anchor 50 is pulled,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 may be lifted between the front and the upper part, whereas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 is the rear cross member 40. Lift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due to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30.

따라서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의 연결부위에 집중 응력이 발생하며, 이 집중 응력에 의해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의 취약한 용접부위(70)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 concentrated stress is genera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follower panel front part 11 and the rear follower panel rear part 12, and the concentrated follower stress causes the rear follower panel front part 11 and the rear follower panel rear part 12.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ulnerable welding part 70 is brok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를 개선하여 시트 벨트 앵커에 집중 하중이 발생할 때,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의 연결부위에 발생하는 집중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의 연결부위가 파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so that when a concentrated load occurs at the seat belt anchor,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are 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a vehicle that can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by dispersing the concentrated stress generated at the si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는 리어 플로워 패널과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를 연결하는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는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에 장착된 리어 크로스멤버에 부착되는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에 연결되는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 및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의 상호 대응면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 connecting the rear floor panel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and the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 is the rear floor. A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attached to a rear crossmember mounted to the panel, a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attached to the rear floor panel and connected to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and the first and first And a connection stopper for fluidly connecting the mutually opposite surfaces of the two rear floor center cross lanes.

상기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는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리어 크로스멤버의 표면에 부착되고 측부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는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 로스 레인프의 측부에 지지되고 제1 관통홀과 연통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 스토퍼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끝단에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에 끼워지되 결합되는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위차가 어긋날 경우 내측으로 압축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has a 'c' cross section shape and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forms a first through hole at a side thereof, and the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is a 'c' letter. A second through hol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and supported on a side of 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and communicating with a first through hole, wherein the connection stopper has a 'c' shape and a suppo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ject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inclined surface that is fitt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through-hole, but is inwardly compress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 is coupled.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과 돌기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리어 플로워 패널에 장착되는 리어 크로스멤버와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 사이에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와 이들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스토퍼를 포함하는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를 장착함으로써 리어 플로워 패널에 발생하는 집중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의 연결 부위 파단을 방지하고, 안정된 연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floor center cross including a first cross-section and a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between a rear cross member mounted on a rear floor panel and a spare tire well reinforcement member and a connection stopper for fluidly connecting them. By distributing the cross section, the concentrated stress generated in the rear floor panel can be dispersed, thereby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and maintaining a stable connection sta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워 패널(100), 센터 플로워 패널의 중앙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100) 및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를 연결하는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tire panel 100 and a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0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center of the center floor panel, the rear And a rear follower center cross member 300 connecting the follower panel 100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ement member 200 to each other.

리어 플로워 패널(100)은 차체 후방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 및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의 연결부위는 용접을 통해 연결된다.The rear floor panel 100 forms a rea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nd is formed of a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0 and a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0, and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0 and the rear floor panel. The connection part of the rear part 120 is connected by welding.

그리고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 및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의 연결부분에는 연결부위의 강성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차폭방향으로 리어 크로스 멤버(130)가 용접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와 리어 크로스 멤버(130) 상면에는 시트 벨트 앵커(140)의 양끝단이 각각 부착된다.The rear cross member 130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0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0 by wel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connection part. Both ends of the seat belt anchor 140 are attached to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130, respectively.

여기서,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의 상면에는 시트 벨트 앵커(140)의 강성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시트 벨트 앵커 레인프(150)를 부착하며, 이를 통해 시트 벨트 앵커(140)에 하중이 발생하여도 리어 플로워 패널(100)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한다.Here, the seat belt anchor lane 15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ollower panel front part 110 to reinforce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seat belt anchor 140, whereby a load is applied to the seat belt anchor 140. Even if it occurs, the rear floor panel 100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는 센터 플로워 패널의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센터 플로워 패널과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된다.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0 is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center follower panel and is longitudinally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center follower panel and the rear follower panel rear part 120.

여기서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100)과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리어 플로워 패널과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공지된 기술로, 그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rear floor panel 100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0 are well-known technique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rear floor panel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300)는 시트 벨트 앵커(140)에 의해 리어 플로 워 패널(100)의 용접부위에 집중 응력하중이 발생할 경우 이 용접부위가 파단되지 않도록 응력을 분산시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member 30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fracture by breaking the stress so that the welded part is not broken when the concentrated stress load is generated at the welded part of the rear follower panel 100 by the seat belt anchor 140. will be.

즉,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300)는 리어 플로워 패널(100)의 용접부위에 집중 하중이 발생하면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의 일부가 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 용접부위의 강성 및 강도 감소에 따른 응력 분산으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member 300, when a concentrated load is generated on the welded portion of the rear follower panel 100, a portion of the rear follower panel front part 110 and the rear follower panel rear part 120 generates a stress. By allowing it to flow 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acture by stress distribu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welding portion of the rear floor panel front portion 110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120.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300)는 리어 크로스멤버(130)에 부착되는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 리어 플로워 패널(100)에 부착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에 연결되는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20), 및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320)의 상호 대응면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스토퍼(330)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 300 is attached to 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10 and the rear floor panel 100 attached to the rear cross member 130 and reinforces the spare tire well. A connection stopper for fluidly connecting the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20 connected to the member 200 and the mutually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s 310 and 320. 330.

상기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는 리어 크로스 멤버(130) 및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의 선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리어 크로스 멤버(130)의 수직면에 지지되고 측부에 제1 관통홀(311a)이 형성된 제1 지지부(311), 상기 제1 지지부(311)의 상면에 연장 형성되고 리어 크로스 멤버(130)의 상면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는 부착부(312), 리어 크로스 멤버(130)의 수직면과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는 제1 날개부(313)를 포함한다.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1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 cross member 130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0,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 and has a shape of the rear cross member 130. The first support part 311 which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first through-hole 311a is formed in the side, the attachment is formed exte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1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130 by welding The portion 312 includes a first wing portion 313 attached to the vertical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130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120 by welding.

상기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20)는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 및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의 후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양단이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와 제1 지지부(311)의 대응면에 각각 지지되는 제2 지지부(321), 상기 제2 지지부(321) 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1 지지부(311)의 측부에 밀착되게 지지되며 제1 관통홀(311a)과 통하게 제2 관통홀(322a)을 형성하는 연결부(322),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에 부착되는 제2 날개부(323)를 포함한다.The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0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0, and has a 'c' cross-sectional shape and both ends of the spare tire wells. The second support part 3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1, which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reinforcing member 200 and the first support part 311, extend to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1, and are closely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311. And a connection part 322 forming a second through hole 322a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11a and a second wing part 323 attached to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0.

상기 연결 스토퍼(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320)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331), 상기 지지대(331)의 양끝단 외측에 경사면(321a)이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311a)(322a)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부(3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on stopper 330 is to fix the first and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s 310 and 320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A support 331 having a shape, and a protrusion 332a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311a and 322a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support 331 are coupled to each other.

즉,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가 응력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 당겨지면,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가 당겨지면서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에도 응력이 발생한다.That is, when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0 is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by the stress,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0 is pulled and the stress is also generated in 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10.

이때,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320)는 연결스토퍼(330)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가 연결스토퍼(330)를 중심으로 차량 전방으로 유동하면서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에 작용하는 강성 및 강도를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 용접부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first and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s 310 and 320 are movab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topper 330, 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opper 330. While reducing the rigidity and strength acting on the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120 while flowing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fracture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rear floor panel front portion 110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120 is reduced. It can prevent.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가 차량 전방으로 당겨지면, 제1 관통홀(311a)에 결합된 돌기부(332)에 의해 연결스토퍼(330)의 지지대(33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돌기부(332)은 경사면(332a)에 의해 제2 관통홀(322a)로부터 이탈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320)가 분리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10 is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connection stopper 330 is formed by the protrusion 332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311a. The support 331 moves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sion 33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322a by the inclined surface 332a,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s 310 are formed. 320 is separated.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311a)(322a)과 이들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부(33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관통홀(311a)(322a)과 돌기부(332)의 안정된 결합 및 가이드를 유도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311 a and 322 a and the protrusions 332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311 a and 322 a are preferably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and through this,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311 a and 322 a. ) And the protrusion 332 can guide the stable coupl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차량 주행 중 탑승자에 충격이 발생하여 시트 벨트에 강한 지지력이 발생하고, 동시에 시트 벨트 앵커(140)가 차량 전상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리어 플로워 패널(100)에 집중 응력이 발생한다.First, a shock occurs in the occupant while driving the vehicle, so that a strong bear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seat belt, and at the same time, the seat belt anchor 140 is pulled in the vehicle front direction and concentrated stress is generated on the rear floor panel 100.

즉, 리어 플로워 패널(100)의 선단은 시트 벨트 앵커(140)에 의해 당겨지고 후단은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의 강성 및 강도에 의해 고정되며 이에 따라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의 용접부위에 집중 응력이 발생하여 파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rear follower panel 100 is pulled by the seat belt anchor 140, and the rear end is fixed by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0, and thus the rear follower panel front part 110 and A concentrated stress may occur at the welded portion of the rear follower panel rear part 120, thereby causing a breakage phenomenon.

이때, 리어 플로워 패널(100)과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200) 사이에 구비되는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300)에 의해 리어 플로워 패널(100)의 용접부위 에 발생하는 집중 응력을 분산시켜 용접부위의 파단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welded portion is distributed by dispersing the concentrated stress generated at the welded portion of the rear follower panel 100 by 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member 300 provided between the rear follower panel 100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200. To prevent breakag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가 차량 전방으로 당겨지면,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가 당겨지면서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에도 응력이 발생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rear floor panel front part 110 is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rear floor panel rear part 120 is pulled and the stress is also applied to 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10. Is generated.

이때,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320)는 연결스토퍼(330)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가 연결스토퍼(330)를 중심으로 차량 전방으로 유동하면서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에 작용하는 강성 및 강도를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10)와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120) 용접부위에 발생하는 집중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first and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s 310 and 320 are fluid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topper 330, the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opper 330. While reducing the stiffness and strength acting on the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120 while flowing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concentration occurring at the welded portion of the rear floor panel front portion 110 and the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120 is reduced. The stress can be dispersed to prevent breaka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 플로워 패널에 발생한 집중 응력에 의해 파손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roken by the concentrated stress generated in the rear floor pa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member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를 나타낸 단면도.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ar follower center cross member shown in FIG. 3; FIG.

도 6은 리어 플로워 패널에 발생한 집중 응력에 의해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follower center cross member is separated by a concentrated stress generated in the rear follower pane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리어 플로워 패널 110 : 리어 플로워 패널 프런트부100: rear floor panel 110: rear floor panel front

120 : 리어 플로워 패널 리어부 200 :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120: rear floor panel rear portion 200: spare tire well reinforcement member

300 :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 300: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

310 :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310: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rain

320 :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 330 : 연결스토퍼320: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rain 330: connection stopper

Claims (3)

리어 플로워 패널과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를 연결하는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를 포함하며,A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 connecting the rear floor panel and the spare tire well reinforcement member, 상기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부재는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에 장착된 리어 크로스멤버에 부착되는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 웰 보강부재에 연결되는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 및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의 상호 대응면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The rear floor center cross member may include a first rear floor center cross lane attached to a rear cross member mounted on the rear floor panel, and a second rear floor center attached to the rear floor panel and connected to the spare tire well reinforcing member. And a cross stop and a connection stopper for fluidly connecting the mutually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floor center cross lane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는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리어 크로스멤버의 표면에 부착되고 측부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The first rear follower center cross lane has a 'c' cross-sectional shape and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forms a first through hole at a side thereof. 상기 제2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는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레인프의 측부에 지지되고 제1 관통홀과 연통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며,The second rear follower center cross lane has a 'C' cross-sectional shape and forms a second through hole that is supported at a side of the first rear follower center cross lane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연결 스토퍼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끝단에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에 끼워지되 결합되는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위차가 어긋날 경우 내측으로 압축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 The connecting stopper has a support having a 'c' shape and an inclined surface compressed inwar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is misaligned. A rear floor center cross structure of a vehicle comprising a formed protrusion.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과 돌기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An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the protrusion ar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KR1020080078066A 2008-08-08 2008-08-08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KR1009314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66A KR100931454B1 (en) 2008-08-08 2008-08-08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66A KR100931454B1 (en) 2008-08-08 2008-08-08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454B1 true KR100931454B1 (en) 2009-12-11

Family

ID=4168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066A KR100931454B1 (en) 2008-08-08 2008-08-08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4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22B1 (en) 2011-05-25 2012-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holding mounting of rear differenti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426A (en) 2001-06-05 2002-12-18 Fuji Heavy Ind Ltd Rear car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426A (en) 2001-06-05 2002-12-18 Fuji Heavy Ind Ltd Rear car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22B1 (en) 2011-05-25 2012-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holding mounting of rear different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5042B1 (en) Vehicle body structure
EP2143619B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US20090096253A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JP6478011B2 (en) Body structure
US9067629B2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trailer coupling
RU2651316C1 (en) Supporting construction for stabilizer
KR100931454B1 (en) Structure of rear floor center cross for vehicle
CN101209718B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rigidity of vehicle body
CN212579545U (en) Control arm, multi-link suspension and have its vehicle
CN112776905B (en) Suspension mounting point additional strengthening, suspension installation assembly and vehicle that has it
CN113147923B (en) Suspension mounting point additional strengthening, suspension installation assembly and vehicle that has it
KR101114207B1 (en) Front sub-frame
CN217835800U (en) Floor of vehicle and vehicle
CN214836060U (en) Connection structure of footboard and ladder leg in a word ladder
CN112172923B (en) Front pillar structure
CN218907433U (en) Track frame and crawler-type engineering machinery
CN112689593B (en) Suspension subframe structure
CN220053940U (en) Vehicle body assembly and vehicle
CN211106795U (en) Traction seat assembly and tractor
KR101499999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tunnel part of vehicle
WO2018155573A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228877B2 (en) Chassis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147147Y1 (en) Frame structure of a truck
KR100536339B1 (en) Seat anchor plate mounting structure
KR100294848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front side frame and cross member f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