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393B1 -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393B1
KR100931393B1 KR1020037013946A KR20037013946A KR100931393B1 KR 100931393 B1 KR100931393 B1 KR 100931393B1 KR 1020037013946 A KR1020037013946 A KR 1020037013946A KR 20037013946 A KR20037013946 A KR 20037013946A KR 100931393 B1 KR100931393 B1 KR 10093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leeve
end cap
protrusion
crim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146A (ko
Inventor
헤이남제이슨
로체존
크라우스존
오롤린마이크
맥유엔헤스터메이
Original Assignee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23Base and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12Adaptation for built-in fuse
    • H01H31/122Fuses mounted on, or constituting the movable contact parts of, the switch
    • H01H31/127Drop-out fus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Fuses (AREA)

Abstract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는 제 1 과 제 2 단부들과 외측 표면을 가진 코어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단부 캡들은 제 1 과 제 2 단부들에 부착된다. 단부 캡들은 외측 표면을 가진다. 슬리이브는 코어의 외측 표면상에 배치된다. 돌출부는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절연체는 코어, 슬리이브 및, 제 1 과 제 2 단부 캡들의 외측 표면 둘레로 성형된다. 중심 핀은 돌출부에 부착되어 차단기 조립체를 지지부에 고정한다.

Description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Polymeric Cutout Assembly}
본 발명은 전력 배전 시스템용 중합체 차단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이 방지된 단부 캡, 슬리이브 및, 중심 핀 조립체와, 절연기 조립체를 위한 비세라믹 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 조립체 또는 구분기는 고전압 전력 라인과 배전 네트워크 그리드 사이에 위치된 퓨즈 요소를 가진 보호 장치이다. 전력 라인상의 고전류 서지(surge)에 기인한 고장의 경우에, 퓨즈 요소는 끊어져서 순간적으로 절단기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는 그리드의 부분으로부터 전력을 제거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전체 그리드가 정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력은 고장이 발생한 부분에서만 상실된다.
차단기 조립체는 2 개의 기본적인 부품으로 형성되는데, 절연체의 둘레에 구성된 퓨즈 링크 고정부와, 퓨즈 링크 고정부에 연결된 퓨즈 조립체이다. 퓨즈 조립체는 잘못된 전류가 작용하여 퓨즈 조립체 안에 위치된 퓨즈 요소를 끊은 이후에 하방향으로 피봇된다. 퓨즈 요소가 작용하여 퓨즈 조립체를 하방향으로 피봇되었을 때, 상당한 물리적인 힘이 절연기상에 가해진다. 따라서, 절연체는 퓨즈 요소가 작 용할 때 손상을 방지하도록 강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자기나 또는 다른 세라믹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 절연기는 통상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크며, 특수화된 조립체 고정구 또는 공정을 필요로 하며, 취급과 선적이 불편하다. 세라믹인 자기 절연체는 또한 부숴지기 쉬우며 용이하게 부스러기가 되거나 깨진다. 따라서, 중앙의 핀과 단부 핀들이 황의 시멘트와 함께 자기에 부착되는데, 이것은 조립체에 중량을 부가하여 시간이 지나면 크랙이 생기기 쉽다.
퓨즈 조립체의 퓨즈 요소가 작용되었을 때, 공익 사업체의 선로원은 어느 차단기 조립체가 하방향의 위치로 매달린 퓨즈 조립체를 가지고 있는지를 볼 필요가 있을 뿐이다. 그로부터 선로원은 네트워크 그리드의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잘못된 원인을 찾아내서 고치고, 고온의 스틱(stick)으로써 퓨즈 조립체를 제거하며, 퓨즈 조립체 안의 퓨즈 요소를 교체하고, 그리고 차단기 조립체를 처리하여 다시 한번 배전 네트워크 그리드를 보호하도록 퓨즈 조립체를 다시 설치한다.
현존하는 차단 조립체의 예는 틸러리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00,912 호, 해슬러등에 허여된 5,559,488 호, 하몬에게 허여된 4,870,387 호, 미사레에 허여된 3,594,676 호 및, 허먼에 허여된 2,961,518 호등에 개시되어 있다.
센터 핀과 단부 핀들은 종종 황 시멘트로써 자기에 부착되는데, 이것은 무겁고 부피가 큰 절연기 조립체를 초래한다. 이것은 차단기 조립체를 위하여 필요한 재고품의 목록을 증가시키며 조립과 취급 시간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전력 배전 시스템을 위한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에 대한 향상된 절연기 조립체를 제공할 필요 성이 계속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의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로드(rod)에 연결된 단부 캡과 중앙의 튜브를 가진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의 튜브와 단부의 캡들이 크림핑(crimping)되고, 절연체는 로드 조립체의 둘레에 성형되며, 중앙 핀은 중앙 튜브에 크림핑 되어 있는 절연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달성된다. 절연기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단부와 외측 표면을 가진 코어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단부 캡들은 제 1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단부 캡들은 외측 표면을 가진다. 슬리이브는 코어의 외측 표면상에 배치된다. 돌출부는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부쪽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절연체는 슬리이브와 제 1 및, 제 2 단부 캡, 코어의 외측 표면 둘레에 성형된다. 중앙의 핀은 돌출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연기 조립체를 성형함으로써, 부숴지기 쉽지 않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크랙이 발생하는 경향이 없는 차단기 조립체가 조립되어, 보다 장시간의 유용한 수명 시간을 가진 차단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더욱이, 차단기 조립체는 보다 적은 숫자의 조립 부품을 필요로 하여, 재고 목록을 감소시키며 차단기 조립체를 조립하는데 보다 가볍고 용이한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현저한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 터 명백해질 것이며, 이것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되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개시한다.
이제 처음으로 개시된 부분을 형성하는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절연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튜브를 둘러싸는 중심 핀을 도시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절연기 조립체의 측면도이며, 중심 핀은 중심 튜브 안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다.
도 4 는 도 1 의 절연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상부 및, 저부 브랙킷 조립체가 없고 중심 핀이 없는 상태에서 도 3 의 절연기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절연기 조립체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7-7을 따라서 취한 절연기 조립체의 부분적인 단부도이다.
도 8 은 단부 캡과 센터 튜브가 부착된 상태인 로드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후면도이며, 고정구가 각 단부 캡 안으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도 10 은 도 1 의 절연기 조립체의 단부 캡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단부 캡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의 단부 캡에 대한 상부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3 의 절연기 조립체에 대한 중심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중심 튜브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의 중심 튜브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6 은 도 13 의 중심 튜브의 정면도이다.
도 17 은 도 1 의 절연기 조립체의 중심 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중심 핀의 정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 의 중심 핀에 대한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 따른 튜브를 둘러싸는 중심 핀을 도시하는 인슐레이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절연기 조립체의 측면도이며, 튜브를 둘러싸는 중심 핀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연기 조립체(11)와 퓨즈튜브 조립체 (91)(도 3)를 가진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절연기 조립체(11)는 제 1 및, 제 2 코어 단부(23,25)를 가진 코어(21)와 외측 표면(24)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단부 캡(51,53)들은 제 1 및, 제 2 코어 단부들에 각각 부착된다. 슬리이브(31)는 코어(21)의 외측 표면(24)상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37)는 슬리이브(37)의 외측 표면(32)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절연체(61)는 코어 외측 표면(24), 슬리이브(31) 및, 단부 캡(51,53)의 둘레에 성형된다. 중심 핀(33)은 돌출부(37)에 부착되어서 차단기 조립체를 지지부에 고정시킨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또는 로드(21)는 제 1 코어 단부(23), 제 2 코어 단부(25) 및, 외측 표면(24)을 가진다. 코어(21)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11)에 대한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코어(21)가 에폭시 유리 재료와 같은 비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8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단부 캡(51,53)이 제 1 및, 제 2 코어 단부(23,25)에 제공된다. 단부 캡(51,53)들은 동축선상으로 정렬된 제 1 부분(50)과 제 2 부분(55)을 가진다. 제 2 부분(55)은 보어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 캡(51,53)에 부착된 돌기들이다. 제 2 부분(55)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제 1 부분(50)에 부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 2 부분을 제 1 부분에 용접함으로써 부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일체형의 하나로 된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2 부분(55)이 입방체 형상을 가진다. 제 2 부분(55,54) 안의 내부 나사화된 고정구 구멍(57)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튜브 고정용 브랙킷 조립체(71,73)를 단부 캡(51,53)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72,74)를 수용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단부 캡(51,53)들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브랙킷 조립체(71,73)의 브랙킷 부재들은 대응하는 단부 캡 제 2 부분(55)의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81,83,85,87 및, 89)를 가진다. 원형 형상의 단부 캡들과는 달리, 단부 캡(51,53)의 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인 제 2 부분(55)은 단부 캡에 대하여 브랙킷 조립체(71,73)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며, 그에 의해서 퓨즈튜브 조립체를 절연기 조립체(11)에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브랙킷 조립체(71,73)는 퓨즈튜브 조립체를 위한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슬리이브 또는 중심 튜브(31)는 도 8, 도 9 및, 도 13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1)상에 동축선상으로 위치된다. 슬리이브(31)는 도 8,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T 형상인 부속이다. 슬리이브(31)의 하나의 길이 방향 축을 통한 보어(35)는 로드(21)를 수용한다. 돌출부(37)는 슬리이브(31)의 외측 표면(3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돌출부(37)가 실질적으로 보어(35)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직각이다. 돌출부(37)는 바람직스럽게는 견고하다. 도 13 에 도시된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돌출부(37a)는 그것을 공동으로 만드는 개구(60)를 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슬리이브(31)가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도 1 내지 도 3 과, 도 17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핀(33)은 돌출부(37)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39)를 가진다. 중심 핀(33)은 제 1 및, 제 2 부분(38,34)을 가진다. 제 1 부분(38)은 바람직스럽게는 원통형이며 돌출부(37)에 부착된다. 제 1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부분(38)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7)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39)를 가진다. 도 3 에 도시된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부분(38a)은 돌출부(37a)내 개구(60) 안으로 삽입되도록 견고할 수 있다. 중심 핀(33)의 제 1 부분(38)으로부터 각도상으로 연장된 것은 제 2 부분(34)이며, 이것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2 부분(34)이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38)의 길이 방향 축(65)과 예각 (α)을 형성한다. 바람직스럽게는, 각도(α)가 대략 17.5 도이다. 중심 핀(33)의 제 2 부분 안의 개구(36)는 차단기 조립체(11)가 사용되어야 하는 곳에서 적절한 지지부 또는 유틸리티 폴(utility pole)(미도시)에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중심 핀(33)이 아연 도금(galvanized)된 강철로 만들어진다.
일단 단부 캡(51,53)과 슬리이브(31)가 코어에 부착되어서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체(61)를 형성한다면 중합체 재료는 코어(21)의 위로 성형되어 접합된다. 절연체(61)는 바람직스럽게는 복수개의 웨더쉐드(weathershed, 63)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바람직스럽게는, 절연체(61)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thylene-propylene-monomer)) 고무와 같은 중합체 재료를 가진다.
조립 및, 분해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이브(31)는 코어(21)상으로 크림핑된다. 단부 캡(51,53)들은 다음에 코어의 제 1 및, 제 2 코어 단부(23,25)에서 각각 크림핑된다. 중합체 절연체는 다음에 그 어떤 통상적인 방법으로도,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서 코어, 단부 캡 및, 슬리이브 조립체의 둘레에 성형되고 그에 접합되어 절연체(61)를 형성한다.
일단 중합체 성형 공정이 완료되었다면, 중심 핀(33)이 슬리이브(31)에 부착된다. 제 1 구현예에 있어서, 중심 핀(33)의 제 1 부분(38) 안의 개구(39)는 돌출부(37)를 수용하며 중심 핀은 슬리이브(31)로 크림핑된다. 도 3 에 도시된 제 2 구 현예에 있어서, 돌출부(37) 안에 있는 개구(60)는 중심 핀(33)의 제 1 부분(38a)을 수용한다. 슬리이브(31)는 다음에 중심 핀(33)으로 크림핑된다. 중심 핀(33)의 제 2 부분(34) 안에 있는 개구(36)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유틸리티 폴 또는 다른 적절한 지지부에 고정하도록 고정구를 수용한다.
브랙킷 조립체(71,73)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캡(51,53)의 제 2 부분(55,54)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된 개구를 가진다. 고정구(72,74)는 브랙킷 조립체(71,73)를 단부 캡(51,53)에 각각 고정시킨다. 사각형 형상의 제 2 부분은 절연기 조립체(11)에 대한 브랙킷 조립체(71,73)의 회전을 방지하여, 퓨즈튜브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한다. 퓨즈튜브 조립체는 그 어떤 종래의 방법으로도 브랙킷 조립체(71,73)들 사이에 고정된다.
구현예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11)와 유사한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101)의 특징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유사한 특징들에 대한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72,74)들은 브랙킷 조립체(171,173)를 단부 캡(51,53)에 각각 고정시킨다. 장착 브랙킷(103,105)은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구현예들에서 보다도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101)로부터 더욱 브랙킷 조립체(171,173)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브랙킷 조립체(171,173)는 퓨즈튜브 조립체에 대한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일단 단부 캡(51,53)과 슬리이브(31)가 코어에 부착되어서 차단기 조립체(101)를 위한 절연체를 형성한다면 중합체 재료는 코어(21) 위로 성형되어 그에 접합된다. 절연체(161)는 복수개의 웨더쉐드(weathershed,163)를 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각 웨더쉐드(163)가 동일한 크기여서,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101)의 유전 강도를 증가시킨다. 바람직스럽게는, 절연체(161)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와 같은 중합체 재료이다.
바람직스러운 구현예들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선택되었을지라도, 당업자들은 다양한 변형 및, 수정예들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그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 조립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4)

  1.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 및, 외측 표면을 가지는 코어;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외측 표면을 가지는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슬리이브로서, 돌출부가 상기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리이브;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 상기 슬리이브 및, 상기 제 1 단부 캡과 제 2 단부 캡의 둘레에 성형된 절연체; 및,
    상기 돌출부에 크림핑(crimping)으로 부착된 중심 핀;을 구비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크림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2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코어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로부터 등거리인 위치에서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리이브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슬리이브 돌출부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돌출부는 상기 중심 핀에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복수개의 웨더쉐드(wheather sh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14.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 및, 외측 표면을 가지는 코어;
    상기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외측 표면을 가지는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슬리이브로서, 돌출부가 상기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리이브;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 상기 슬리이브 및, 상기 제 1 단부 캡과 제 2 단부 캡의 둘레에 성형된 절연체; 및,
    상기 돌출부에 크림핑으로 부착된 중심 핀;을 구비한 절연기 조립체; 그리고,
    상기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에 부착된 퓨즈튜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은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2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퓨즈튜브 조립체(fusetube assembly)는 상기 제 1 단부 캡의 돌기와 제 2 단부 캡의 돌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로부터 등거리인 위치에서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리이브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돌출부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돌출부는 상기 중심 핀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22. 삭제
  23. 삭제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복수개의 웨더쉐드(wheather sh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27.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 및, 외측 표면을 가지는 코어;
    상기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외측 표면을 가지는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슬리이브로서, 돌출부가 상기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리이브;
    상기 코어의 외측 표면, 상기 슬리이브 및, 상기 제 1 단부 캡과 제 2 단부 캡의 둘레에 성형된 절연체; 및,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는 중심 핀으로서, 상기 중심 핀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은 원통형이며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1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과 일체형이며 지지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개구와 함께 평탄한, 중심 핀;을 구비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크림핑(crimp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2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로부터 등거리인 위치에서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리이브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슬리이브 돌출부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4. 제 27 항에 있어서,
    예각이 상기 중심 핀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서 17.5 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6.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복수개의 웨더쉐드(wheather sh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39.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 및, 외측 표면을 가지는 코어;
    상기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외측 표면들을 가지는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슬리이브로서, 제 1 개구를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리이브;
    상기 코어의 외측 표면, 상기 슬리이브 및, 상기 제 1 단부 캡과 제 2 단부 캡의 둘레에 성형된 절연체; 및,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는 중심 핀으로서, 상기 중심 핀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은 원통형이며 상기 돌출부 제 1 개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과 일체형이며 지지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개구와 함께 평탄한, 중심 핀;을 구비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은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2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로부터 등거리인 위치에서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리이브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5.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슬리이브 돌출부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6. 제 39 항에 있어서,
    예각이 상기 중심 핀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7.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서 17.5 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8.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복수개의 웨더쉐드(wheather sh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49.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기 조립체.
  51.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 및, 외측 표면을 가지는 코어;
    상기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외측 표면을 가지는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슬리이브로서, 돌출부가 상기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리이브;
    상기 코어의 외측 표면, 상기 슬리이브 및, 상기 제 1 단부 캡과 제 2 단부 캡의 둘레에 성형된 절연체; 및,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는 중심 핀으로서, 상기 중심 핀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은 원통형이며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1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과 일체형이며 지지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개구와 함께 평탄한, 중심 핀;을 구비하는 절연기 조립체; 및,
    상기 제 1 단부 캡과 제 2 단부 캡에 부착된 퓨즈튜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은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2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퓨즈튜브 조립체는 상기 제 1 단부 캡의 돌기 및 제 2 단부 캡의 돌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5.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로부터 등거리인 위치에서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리이브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7.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돌출부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8. 제 51 항에 있어서,
    예각이 상기 중심 핀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59.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서 17.5 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0.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복수개의 웨더쉐드(wheather sh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1.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3. 제 1 코어 단부와 제 2 코어 단부 및, 외측 표면을 가지는 코어;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외측 표면을 가지는,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
    상기 코어의 상기 외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슬리이브로서, 제 1 개구를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슬리이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리이브;
    상기 코어의 외측 표면, 상기 슬리이브 및, 상기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의 둘레에 성형된 절연체; 및,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는 중심 핀으로서, 상기 중심 핀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은 원통형이며 상기 돌출부 제 1 개구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과 일체형이며 지지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개구와 함께 평탄한, 중심 핀;을 구비하는 절연기 조립체 및,
    상기 제 1 단부 캡과 제 2 단부 캡에 부착된 퓨즈튜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 및 제 2 단부 캡은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에 각각 크림핑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캡은 상기 제 1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부 캡은 상기 제 2 코어 단부에 크림핑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사각형 돌기를 가지고, 상기 퓨즈튜브 조립체는 상기 제 1 단부 캡의 돌기 및 제 2 단부 캡의 돌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7.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제 1 코어 단부 및 제 2 코어 단부로부터 등거리인 위치에서 상기 코어상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8.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리이브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69.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돌출부에 크림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70. 제 63 항에 있어서,
    예각이 상기 중심 핀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71.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핀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서 17.5 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72.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복수개의 웨더쉐드(wheather sh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73.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ESP(Engineered Synthetic Polymer; 공학용 합성 폴리머) 또는 EPDM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KR1020037013946A 2001-04-26 2002-04-25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KR100931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637001P 2001-04-26 2001-04-26
US60/286,370 2001-04-26
US09/939,797 2001-08-28
US09/939,797 US6593842B2 (en) 2001-04-26 2001-08-28 Polymeric cutout assembly
PCT/US2002/012979 WO2002089165A1 (en) 2001-04-26 2002-04-25 Polymeric cutou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146A KR20040015146A (ko) 2004-02-18
KR100931393B1 true KR100931393B1 (ko) 2009-12-11

Family

ID=2696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946A KR100931393B1 (ko) 2001-04-26 2002-04-25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93842B2 (ko)
KR (1) KR100931393B1 (ko)
AU (1) AU2002311847B2 (ko)
BR (1) BRPI0209202B1 (ko)
CA (1) CA2444828C (ko)
ES (1) ES2213493B2 (ko)
GB (1) GB2390763B (ko)
MX (1) MXPA03009581A (ko)
TW (1) TW552606B (ko)
WO (1) WO2002089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9253C (en) * 2000-12-26 2009-11-17 S&C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gas-tight housing joint
US20030080848A1 (en) * 2001-10-29 2003-05-01 Hubbell Incorporated Unitary arrester housing and support bracket
US6952154B2 (en) * 2002-06-16 2005-10-04 Maclean-Fogg Company Composite insulator for fuse cutout
US6831232B2 (en) 2002-06-16 2004-12-14 Scott Henricks Composite insulator
US7683751B2 (en) * 2007-01-18 2010-03-23 Eaton Corporation Fuse mounting member
US7646282B2 (en) * 2007-12-14 2010-01-12 Jiri Pazdirek Insulator for cutout switch and fuse assembly
US7639113B2 (en) * 2008-01-22 2009-12-29 Impact Power, Inc. Enclosed insulator assembly for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s
US20100245023A1 (en) * 2009-03-26 2010-09-30 Steven Massingill Safety fusible connector
KR101051186B1 (ko) * 2009-09-10 2011-07-21 송홍준 변압기용 컷 아웃 스위치 어셈블리 및 애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US8729396B2 (en) * 2010-09-02 2014-05-2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ll composite insulator for electrical cutout
US10043630B2 (en) * 2014-03-20 2018-08-0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Fuse insulating support bracket with pre-molded shed
US9953795B2 (en) * 2014-07-14 2018-04-24 Hubbell Incorporated Fuse cutout insulator
ES2557955B1 (es) * 2014-07-29 2016-11-10 Inael Electrical Sytems, S.A. Cortacircuitos fusible de expulsión
CN104392874A (zh) * 2014-12-08 2015-03-04 国家电网公司 一种35kv熔断器
CN104576258A (zh) * 2014-12-30 2015-04-29 国家电网公司 一种自储能高压跌落式熔断开关
US11581111B2 (en) * 2020-08-20 2023-02-14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omposite polymer insulator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TWI785892B (zh) * 2021-11-17 2022-12-01 固威電機股份有限公司 熔絲管裝置及具有該熔絲管裝置的負載可切熔絲鏈開關
TWI785893B (zh) * 2021-11-17 2022-12-01 固威電機股份有限公司 絕緣裝置及具有該絕緣裝置的負載可切熔絲鏈開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8615A (en) 1973-11-12 1975-02-25 Chance Co Ab Current sensitive interrupting terminator assembly
KR960008267Y1 (ko) * 1993-04-20 1996-09-25 상동전기 주식회사 특 고압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6954A (en) 1948-03-22 1952-08-12 S & C Electric Co Universal single insulator mounting for high-voltage electrical devices
US2883448A (en) 1957-08-28 1959-04-21 Gen Electric Insulated clamping means
US2961518A (en) 1957-10-11 1960-11-22 Gen Electric Circuit interrupter
US3594676A (en) 1969-08-14 1971-07-20 Joslyn Mfg & Supply Co Electrical cutout
US3648211A (en) * 1969-12-10 1972-03-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High-voltage current limiting protective device
US3611240A (en) * 1970-05-04 1971-10-05 Mc Graw Edison Co Dropout fuse
US4414527A (en) * 1980-03-24 1983-11-08 S&C Electric Company Contact assembly for a fuse cutout
US4870387A (en) 1987-10-28 1989-09-26 A. B. Chance Company Beam strengthened cutout insulator
US4774488A (en) * 1987-12-18 1988-09-27 Kearney-National, Inc. Electric cutout having a link break fuse holder
US4833278A (en) 1988-10-31 1989-05-23 Hyrdro-Quebec Insulator housing made from polymeric materials and having spirally arranged inner sheds and water sheds
US4945333A (en) * 1989-02-13 1990-07-31 Asea Brown Boveri Inc. Fuse assembly, for a cutout, with accelerated arc extinction
US5300912A (en) 1992-06-09 1994-04-05 Utility Solutions, Inc. Electrical cutout for high voltage power lines
US5191311A (en) 1992-06-18 1993-03-02 Firon Metal Industries Ltd. Switch for use as a vertically mounted cut out or in-line switch
US5406033A (en) 1992-09-02 1995-04-11 Maclean-Fogg Company Insulator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5274349A (en) 1992-09-17 1993-12-28 Cooper Power Systems, Inc. Current limiting fuse and dropout fuseholder for interchangeable cutout mounting
US6065207A (en) 1995-03-20 2000-05-23 Ngk Insulators, Ltd. Composite insulator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031186A (en) 1995-10-19 2000-02-29 Hubbell Incorporated Solid polymer insulators with eye and clevis e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8615A (en) 1973-11-12 1975-02-25 Chance Co Ab Current sensitive interrupting terminator assembly
KR960008267Y1 (ko) * 1993-04-20 1996-09-25 상동전기 주식회사 특 고압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93842B2 (en) 2003-07-15
KR20040015146A (ko) 2004-02-18
AU2002311847B2 (en) 2006-06-08
ES2213493A1 (es) 2004-08-16
GB0324540D0 (en) 2003-11-26
US20020158745A1 (en) 2002-10-31
BR0209202A (pt) 2004-10-13
TW552606B (en) 2003-09-11
GB2390763B (en) 2004-12-15
ES2213493B2 (es) 2005-07-16
WO2002089165A1 (en) 2002-11-07
BRPI0209202B1 (pt) 2017-06-13
MXPA03009581A (es) 2004-04-02
GB2390763A (en) 2004-01-14
CA2444828A1 (en) 2002-11-07
CA2444828C (en) 201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393B1 (ko) 중합체 차단기 조립체
AU2002311847A1 (en) Polymeric cutout assembly
US7532103B2 (en) Composite insulator for fuse cutout
US7671274B2 (en) Electric power cable fixing apparatus for an insulator
US3955167A (en) Encapsulated vacuum fuse assembly
RU2370841C1 (ru) Разрядник для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с каркасн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CZ355592A3 (en) Excess voltage arrester
US8859905B2 (en) Wildlife guard assembli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5300912A (en) Electrical cutout for high voltage power lines
RU2172535C2 (ru) Разрядник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KR101847711B1 (ko) 완철용 절연 커버
US8710364B2 (en) Multiple angle bend for high-voltage lines
EP3577676B1 (en) In-line high current fuse holder assembly
JP2001118707A (ja) 避雷器
KR200410883Y1 (ko) 컷 아웃 스위치용 폴리머 애자의 접속금구
US11651872B2 (en) Insertable pin for high voltage insulating covers
KR200241085Y1 (ko) 조류둥지 방지용 폴리머 현수애자
KR100750244B1 (ko) 자기재 내오손용 결합애자의 제조방법 및 그 결합애자
KR200181704Y1 (ko) 전선혼
KR200324780Y1 (ko) 캐치홀더
KR19980011799U (ko) 과전압방지용 안전차단기
JPS6282677A (ja) 配線ダクト用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