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129B1 -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129B1
KR100931129B1 KR1020070129643A KR20070129643A KR100931129B1 KR 100931129 B1 KR100931129 B1 KR 100931129B1 KR 1020070129643 A KR1020070129643 A KR 1020070129643A KR 20070129643 A KR20070129643 A KR 20070129643A KR 100931129 B1 KR100931129 B1 KR 10093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rotary table
fuel cell
cell stac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411A (ko
Inventor
이남두
조인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1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8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Fuel Cell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의 조립을 위한 단위셀 적층시 자동화 개념을 도입하여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을 자동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스택의 구성품인 분리판과 MEA를 직교로봇으로 자동 적층할 수 있고, 적층 완료된 스택의 기밀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를 제공한다.
연료전지스택, 조립기, 분리판, MEA, 스택 파렛트, 로타리 테이블, 리크 테스트

Description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Rotary table unit for fuel battery stack assembly machine}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스택의 조립을 위한 단위셀 적층시 자동화 개념을 도입하여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스택은 단위셀을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쌓은 전기에너지 발생장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분리판의 사이에 MEA(5-Layer)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은 연료전지의 연료가 되는 수소 및 공기(산소), 냉각수 공급을 위한 것으로서, 표면에 유로가 가공되어 있으며 전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흑연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MEA는 연료전지에서 반응가스(수소, 공기)의 반응이 일어나고 수 소이온을 이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두개의 전극촉매층과 양자교환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위셀에는 가스확산층(GDL)이 포함되는데, 이것은 분리판에서 공급되는 반응가스를 MEA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반응생성수와 가습수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는 기능과 분리판 및 MEA 사이에서 전자 이동의 전기전도 기능도 담당한다.
이러한 연료전지스택은 단위셀을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쌓은 형태로 조립되는데, 보통 수작업에 의존하는 관계로 조립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또 정확히 정렬된 상태로 쌓는데 한계가 있는 등 전체적인 조립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전지스택을 자동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스택의 구성품인 분리판과 MEA를 직교로봇으로 자동 적층할 수 있고, 적층 완료된 스택의 기밀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는 90°간격으로 배치되며 적층 로봇에 의해 제공되는 분리판과 MEA를 교차로 적층시키는 4개의 스택 파렛트, 상기 스택 파렛트를 저부에서 지지하며 모터를 동력으로 하여 스택 파렛트를 회전시켜주는 로터리 테이블, 상기 로터리 테이블의 한쪽 옆에서 포스트상에 설치되며 스택 파렛트의 회전궤적선상에 위치되어 어느 한 위치에서 스택에 대한 가압 및 리크 테스트를 수행하는 에어 프레스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택 파렛트는 적층되는 분리판과 MEA의 하중을 받쳐주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옆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적층 완료된 스택의 측면을 잡아주는 한쌍의 그립퍼, 상기 그립퍼의 구동을 위한 실린더 및 안내를 위 한 가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테이블의 경우 테이블 구동을 위한 모터 및 기어박스, 스택 파렛트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받쳐주는 부분으로 기어박스측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받아 프레임 구조물을 회전시켜주는 회전 블록 등을 포함하는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수작업 스택제작을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스택 파렛트를 그립퍼 구동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그립퍼 작동시 스택의 측면에 밀착되어 스택을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고, 따라서 적층 정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그립퍼가 구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둠으로써 소재 크기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고, 따라서 장치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 의해 적층 완료된 스택은 리크 테스트(Leak test) 공정으로 운반되고, 동시에 비어 있는 스텍 파렛트가 적층 공정에 위치됨으로써 리크 테스트 공정과 적층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공정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료전지스택 조립기는 연료전지스택의 구성품인 분리판과 MEA를 직교로봇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적층하고, 적층 완료된 스택의 리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조립기의 중앙에는 스택 파렛트(10) 및 로터리 테이블(11)이 배치되고, 우측에는 워크 공급부(24) 및 자동 적층부(25)가 배치되고, 좌측에는 모듈 스택 적층/체결부(26)가 배치되고, 뒷쪽으로는 에어 프레스(21)가 배치된다.
상기 워크 공급부(24)는 분리판과 MEA를 적층하기 위한 부품 위치 결정용 카트리지에 분리판과 MEA를 정렬하여 적재하는 부분으로서, 여기서는 분리판에 부착된 실(Seal) 재 간의 점착을 방지하기 위한 간지를 분리판 사이에 삽입하는 공정도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 적층부(25)는 카트리지에 적층된 분리판과 MEA를 직교로봇이 취출하게 되며, 분리판 사이의 간지는 별도의 동작에 의해 제거된다.
작업자가 입력한 1회 적층 수량에 따라 직교로봇이 분리판과 MEA를 교차로 적층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취성이 큰 분리판과 유연한 재질의 MEA를 취출하고 적층하는 픽커는 진공을 이용하여 전면을 흡착할 수 있다.
적층 정밀도는 적층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유지한다.
상기 로터리 테이블(11)은 입력된 수량의 분리판과 MEA를 적층 후 90°회전하여 1차 리크 테스트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는 리크 테스트와 분리판 적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프레스(21)는 1차 리크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스택 내부에는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수소, 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된 연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과정에서 반응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연료로서 공급된 가연성 물질인 수소가 외부로 누설될 경우, 안전 문제와 스택 내부에서 반응해야 할 연료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서, 연료전지의 출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냉각수가 누설될 경우 전지에서 발전된 전기의 누전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스택은 엄격한 기밀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스택 적층 후 반드시 기밀 검사를 거친 후 체결하여 스택을 조립하게 된다.
에어 프레스에서는 스택의 기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일정한 수량의 분리판과 MEA를 적층 후 1차 기밀 테스트를 수행하며, 이때의 기밀 테스트와 관련한 구체적인 방식은 공지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스택 적층/체결부(26)는 1차 기밀 테스트를 마친 단위 스택들을 수동으로 2차 가압장치로 이동시킨 후 집전판과 체결 유니트가 하강하여 가압 후 2 차 기밀검사를 수행 및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는 스택 파렛트(10), 로터리 테이블(11), 에어 프레스(21) 등을 포함하며, 분리판과 MEA를 적층하는 공정과 적층된 스택의 에어 리크 테스트를 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택 파렛트(10)는 분리판과 MEA가 교차로 적층되는 부분으로서, 로터리 테이블(11)의 구성부품인 프레임 구조물(18)의 4면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볼 때 4세트의 스택 유니트(10)가 90°간격으로 배치된 형태가 된다.
상기 로터리 테이블(11)은 스택 파렛트(10)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18) 전체를 회전시켜주는 부분으로서, 스택 파렛트(10)의 저부에 설치되고, 동력원으로 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에어 프레스(21)는 스택 파렛트(10)에 적층된 스택이 로터리 테이블(11)에 의해 회전되어 운반되면 가압 및 리크 테스트를 시행하는 부분으로서, 스택 파렛트(10)의 회전궤적선상에 위치되어 어느 한 위치에서 스택에 대한 가압 및 리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어 프레스(21)는 포스트(20)에 설치되는 프레스 실린더(23)와, 상기 프레스 실린더(23)의 로드에 설치되어 스택 상부를 가압하는 프레스 다이(22a) 및 스택 하부를 가압하는 프레스 다이(22b)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 프레스(21)에는 리크 테스트를 위한 통상의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프레스 실린더(23)의 작동에 따른 2개의 프레스 다이(22a),(22b)로 스택을 가압한 상태에서 리크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서 스택 파렛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택 파렛트(10)는 적층되는 분리판과 MEA의 하중을 받쳐주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플레이트(12), 상기 플레이트(12)의 양옆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작동에 의해 동작되어 적층 완료된 스택의 측면을 잡아주는 한쌍의 그립퍼(13), 그립퍼(13)의 구동을 위해 그립퍼(13)의 후면에 그 로드를 연결하면서 프레임 구조물(18)측에서 연장되는 판체상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14), 그립퍼(13)의 후면에 연결 설치되어 그립퍼 이동시 안내를 하는 4개의 봉 형태의 가이드(15)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택 파렛트(10)에는 분리판과 MEA가 교차로 적층되면서 적층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적층되고, 이렇게 적층 완료된 스택은 그립퍼(13)에 의해 밀착 고정되어 에어 프레스측으로 운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서 스택 파렛트와 로터리 테이블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8)의 4면에는 각각의 스택 파렛트(10)가 설치되고, 이때의 프레임 구조물(18)은 그 저부의 회전 블록(19)상에 지지되며, 회전 블록(19)의 일측에는 모터(16) 및 기어박스(17)가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17)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회전 블록(19)의 회전운동으로 전동하기 위해 내부가 벨트와 기어 조합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터(16) 및 기어박스(17)측에서 동력이 제공되면 회전 블록(19)이 회전되고, 결국 스택 파렛트(10)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18)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모터(16) 및 기어박스(17)에 의해 회전 블록(19)이 회전되고, 2단계에서 회전 블록(19)의 회전이 프레임 구조물(18)에 전동되므로서, 3단계에서 스택 파렛트(10)의 회전으로 이어지면서 스택이 공정간 이동된다.
도 7a 내지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단계에서는 자동 적층부(25)의 직교로봇에 의해 분리판 및 MEA가 교대로 스택 파렛트(10)측에 공급된다(도 7a).
2단계에서는 1회 적층 수량에 따라 스택 파렛트(10)에 분리판 및 MEA가 반복 적층되면서 적층이 완료된다(도 7b).
3단계에서는 스택 파렛트(10)의 그립퍼(13)가 동작하여 적층되어 있는 분리판 및 MEA의 양측면이 밀착 고정된다(도 7c).
4단계에서는 스택 파렛트(10)의 플레이트(12)가 하강하여 회전시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도 7d).
5단계에서는 로터리 테이블(11)의 90°회전에 의해 스택 모듈이 리크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는 에어 프레스(21) 영역으로 운반된다(도 7e).
6단계에서는 에어 프레스(21)의 작동에 의해 스택 모듈이 가압되고, 이 상태에서 리크 테스트가 진행된다(도 7f).
이와 같이, 위의 1단계 내지 6단계가 연속 사이클 형태로 반복되면서 스택 적층 공정 및 리크 테스트 공정이 동시에 연속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료전지스택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서 스택 파렛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서 스택 파렛트와 로터리 테이블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에서 스텍 파렛트의 회전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택 파렛트 11 : 로터리 테이블
12 : 플레이트 13 : 그립퍼
14 : 실린더 15 : 가이드
16 : 모터 17 : 기어박스
18 : 프레임 구조물 19 : 회전 블록
20 : 포스트 21 : 에어 프레스
22a,22b : 프레스 다이 23 : 프레스 실린더
24 : 워크 공급부 25 : 자동 적층부
26 : 모듈 스택 적층/체결부

Claims (4)

  1. 90°간격으로 배치되며 적층 로봇에 의해 제공되는 분리판과 MEA를 교차로 적층시키는 4개의 스택 파렛트(10)와, 상기 스택 파렛트(10)를 저부에서 지지하며 모터를 동력으로 하여 스택 파렛트(10)를 회전시켜주는 로터리 테이블(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택 파렛트(10)는 적층되는 분리판과 MEA의 하중을 받쳐주는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의 양옆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적층 완료된 스택의 측면을 잡아주는 한쌍의 그립퍼(13)와, 상기 그립퍼(13)의 구동을 위한 실린더(14) 및 안내를 위한 가이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테이블(11)은 테이블 구동을 위한 모터(16) 및 기어박스(17)와, 스택 파렛트(10)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물(18)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18)을 받쳐주는 부분으로 기어박스(17)측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받아 프레임 구조물(18)을 회전시켜주는 회전 블록(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테이블(11)의 한쪽 옆에서 포스트(20)상에 설치되며 스택 파렛트(10)의 회전궤적선상에 위치되어 어느 한 위치에서 스택에 대한 가압 및 리크 테스트를 수행하는 에어 프레스(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KR1020070129643A 2007-12-13 2007-12-13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KR10093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643A KR100931129B1 (ko) 2007-12-13 2007-12-13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643A KR100931129B1 (ko) 2007-12-13 2007-12-13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411A KR20090062411A (ko) 2009-06-17
KR100931129B1 true KR100931129B1 (ko) 2009-12-10

Family

ID=4099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643A KR100931129B1 (ko) 2007-12-13 2007-12-13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15B1 (ko) * 2009-12-03 201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스택의 연결장치
KR102109123B1 (ko) * 2014-12-09 202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의 조립 시스템
KR101698395B1 (ko) * 2015-03-03 2017-01-20 주식회사휴비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를 사전활성화하는 열간압착시스템
KR101734269B1 (ko) 2015-06-09 2017-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고속 적층 장치
KR101734271B1 (ko) * 2015-06-09 2017-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US11043685B2 (en) * 2017-04-28 2021-06-22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esin frame equipp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N109449471B (zh) * 2018-10-17 2020-10-20 武汉轻工大学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的装堆装置
DE102019110472A1 (de) * 2019-04-23 2020-10-29 Grob-Werk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ellstape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461A (ko) * 2002-04-03 2004-12-3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연료 전지 막 웨브를 정밀하게 위치 설정된 막 시트로변환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20060051651A1 (en) 2004-09-03 2006-03-09 Rock Jeffrey A Aligning method for repeating and non-repeating units in a fuel cell stack
KR100762254B1 (ko) * 2006-11-21 2007-10-04 (주)하이드로 메틱스 연료전지 스택 조립용 프레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461A (ko) * 2002-04-03 2004-12-3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연료 전지 막 웨브를 정밀하게 위치 설정된 막 시트로변환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20060051651A1 (en) 2004-09-03 2006-03-09 Rock Jeffrey A Aligning method for repeating and non-repeating units in a fuel cell stack
KR100762254B1 (ko) * 2006-11-21 2007-10-04 (주)하이드로 메틱스 연료전지 스택 조립용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411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129B1 (ko) 연료전지스택 조립기용 로터리 테이블 유니트
KR100957368B1 (ko) 연료전지용 mea 소재 자동 타발 및 접합 설비
KR101836251B1 (ko) 연료전지 스택 조립 장치
US67561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acking fuel cell material layers
KR100957366B1 (ko) 연료전지 스택 분리판용 접합설비의 지그장치
KR101361233B1 (ko) 연료전지스택의 막전극접합체 어셈블리 제조설비
CN112978357A (zh) 一种燃料电池单元的上下料设备
KR100986484B1 (ko)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및 방법
JP4662716B2 (ja) 接合用取付具から燃料電池アセンブリ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TWI484691B (zh) 疊層式燃料電池裝配
KR101371496B1 (ko) 연료전지 스택 부품 제조 장치
CN113097505A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膜电极的七层组装设备
JP5076681B2 (ja) 燃料電池の組立装置および組立方法,この組立方法によって組み立てた燃料電池
KR101405580B1 (ko) 연료전지 금속 분리판의 멀티 기밀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CN113113616A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膜电极的封装检测生产线
KR101628681B1 (ko) 연료전지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결합방법
JP6221680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CN216389439U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膜电极的封装检测生产线
CN214956964U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膜电极的七层组装设备
CN215815952U (zh) 一种氢燃料电池双极板检测贴合设备
EP4362149A1 (en) A transport and testing trolley for moving and conditioning and/or testing stacked assemblies of electrolyser and/or fuel cell components, and associated station
KR100957370B1 (ko) 엠이에이 자동조립장치 및 방법
KR20190106057A (ko) 다중작업이 가능한 연료전지제작용 카트리지 및 연료전지 소재에 부착된 간지제거방법
CN114628757A (zh) 用于堆叠燃料电池的系统
CN114628756A (zh) 用于堆叠燃料电池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