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990B1 -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990B1
KR100930990B1 KR1020070037713A KR20070037713A KR100930990B1 KR 100930990 B1 KR100930990 B1 KR 100930990B1 KR 1020070037713 A KR1020070037713 A KR 1020070037713A KR 20070037713 A KR20070037713 A KR 20070037713A KR 100930990 B1 KR100930990 B1 KR 100930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amount
control signal
predetermined value
prepaid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450A (ko
Inventor
지윤영
Original Assignee
박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욱 filed Critical 박신욱
Priority to KR102007003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9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12)는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기량을 계량하여 계량 펄스를 출력하는 계량부(10)와, 계량 펄스를 수신하여 사용 금액에 해당하는 계량 데이터를 구하고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1 순위 통제 신호(C1)를 출력하는 제어부(14), 및 제1 순위 통제 신호(C1)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출력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는 미리 사용금액을 지불하면서 구입한 선불 카드를 삽입하여 선불 카드의 금액이 소진되면 전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경우에 자신이 얼마 정도의 금액을 사용하였는지를 알 수 없어 사용 후에 과도한 금액의 청구서를 받고서 난감해 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문제나 특히 전기의 경우에는 누진제가 적용되어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과다한 전기세를 부담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전기, 선불 카드, 기기 고장, 문자메시지

Description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Electricity providing control appaatus based on prepaid ca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제어부(14)의 제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선불 카드(120)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선불 카드(120)에 저장된 휴대 전화 정보가 제어부(14)에 의하여 문자 메시지 생성부(164)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 및
도 5는 도 2의 단계(S202)에 따라 발송된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선불 카드식 가스 공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리 사용금액을 지불하면서 구입한 선불 카드를 삽입하여 선불 카드의 금액이 일정 부분 소진되면 금액 충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잔액이 거의 소진되면 공급되는 전기에 일정한 노이즈를 삽입하여 공급함으로써 금액 충전을 미리 알 려주며 완전히 소진되면 전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단계별로 카드 금액 충전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선불 카드식 가스 공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과 산업체 등에서는 각종 전자 제품이나 전등 및 전열 기구 등을 가동하는 목적으로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들에는 다양한 계량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 계량기들은 사용자가 전기 계량기에 나타내어진 적산치를 적게 하고 공급자측에서는 전월의 적산치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실제 사용량을 결정하여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기 계량기들은 전기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일반 사용자들은 자신이 얼마 정도의 금액을 사용하였는지를 알 수 없어 사용 후에 과도한 금액의 청구서를 받고서 난감해 하는 사례가 자주 목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기의 경우에는 누진제가 적용되어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과다한 전기세를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리 사용금액을 지불하면서 구입한 선불 카드를 삽입하여 선불 카드의 금액이 소진되면 전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면서 일차적으로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카드 충전의 필요성을 안내 받을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공급되는 전기에 일정한 노이즈를 부가하되 접속되는 기기에는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선불 카드식 가스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는,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기량을 계량하여 계량 펄스를 출력하는 계량부(10);
계량 펄스를 수신하여 사용 금액에 해당하는 계량 데이터를 구하고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1 순위 통제 신호(C1)를 출력하는 제어부(14); 및
제1 순위 통제 신호(C1)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출력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의 제어부(14)는,
계량 펄스를 수신하여 사용 금액에 해당하는 계량 데이터를 구하고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3 순위 통제 신호(C3)를 출력하고, 이후에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2 순위 통제 신호(C2)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4)로부터의 제3 순위 통제 신호(C3)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14)에 의하여 읽혀진 잔액 정보와 상기 계량부(10)에 의하여 적산된 값을 비교하여 잔액 정보와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된 휴대전화번호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처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 생성부(16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14)는,
계량 펄스를 수신하여 사용 금액에 해당하는 계량 데이터를 구하고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3 순위 통제 신호(C3)를 출력하고, 이후에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2 순위 통제 신호(C2)를 출력하며, 이후에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1 순위 통제 신호(C1)를 출력하고,
제2 순위 통제 신호(C2)에 응답하여 노이즈를 발생하여 출력 전원 전압에 간헐적으로 부가시키는 노이즈 발생부(16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또한, 도 2에는 제어부(14)의 제어 프로세스를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1)는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기량을 계량하여 계량 펄스를 출력하는 계량부(10)와, 계량 펄스를 수신하여 사용 금액에 해당하는 계량 데이터를 구하고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1 소정 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3 순위 통제 신호(C3)를 출력하고, 이후에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2 순위 통제 신호(C2)를 출력하며, 이후에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1 순위 통제 신호(C1)를 출력하는 제어부(14)와, 상기 제어부(146)로부터의 제3 순위 통제 신호(C3)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14)에 의하여 읽혀진 잔액 정보와 상기 계량부(10)에 의하여 적산된 값을 비교하여 잔액 정보와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된 휴대전화번호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처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 생성부(149), 제2 순위 통제 신호(C2)에 응답하여 노이즈를 발생하여 출력 전원 전압에 간헐적으로 부가시키는 노이즈 발생부(162), 및 제1 순위 통제 신호(C1)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출력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1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소정값 > 제2 소정값 > 제3 소정값의 순으로 잔액이 적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4)는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부(10)에서의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단계 S200)한다. 만일 단계(S200)에서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3 순위 통제 신호(C3)를 출력한다. 그러면, 문자 메시지 생성부(149)는 상기 제어부(146)로 부터의 제3 순위 통제 신호(C3)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14)에 의하여 읽혀진 잔액 정보와 상기 계량부(10)에 의하여 적산된 값을 비교하여 잔액 정보와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된 휴대전화번호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처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02).
계속해서, 제어부(14)는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부(10)에서의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단계 S204)한다. 만일 단계(S204)에서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2 순위 통제 신호(C2)를 출력한다. 그러면, 노이즈 발생부(162)는 제2 순위 통제 신호(C2)에 응답하여 노이즈를 발생하여 출력 전원 전압에 간헐적으로 부가시킨다. 이때, 발진 노이즈를 생성하여 부가(단계 S206)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클록(1620)에서 생성된 클록신호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분주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진부(1624)에서 고주파의 발진 노이즈를 생성하고 증폭부(1626)에서는 발진 노이즈를 증폭하며 증폭된 발진 노이즈는 출력 전력단자에 권취된 코일(1628)에 인가하여 교류의 출력 전압 단자에 고주파의 전자파를 실어 보낸다.
이와 같이 고주파의 전자파를 실어보내면 출력 전압 단자에서 전력을 공급받은 기기에서는 전등 기구인 경우에는 깜박임이 나타나고 아날로그 티비의 경우에는 화면에 잔상등이 발생하게 되며 라디오에서는 잡음이 들리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금액 충전의 필요성을 보다 급박하게 느끼게 될 것이다.
계속해서, 제어부(14)는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 부(10)에서의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단계 S208)한다. 만일 단계(S208)에서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1 순위 통제 신호(C1)를 출력한다. 그러면, 스위치(160)는 제1 순위 통제 신호(C1)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출력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도 3에는 선불 카드(120)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었으며 도 4에는 선불 카드(120)에 저장된 휴대 전화 정보가 제어부(14)에 의하여 문자 메시지 생성부(164)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처음에 선불 카드(120)가 투입되면 카드 리더기(12)는 선불 카드(120)에 저장된 데이터(302, 304, 306)를 읽고(402), 휴대전화번호 정보(306)을 추출하며 제어부(14)에서는 문자 메시지 생성부(164)로 휴대전화번호 정보(306)를 등록시킨다(406). 이제 문자 메시지 생성부(164)는 카드리더기(14)에서 읽어낸 금액 정보와 계량부(10)에서 적산한 사용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잔액 정보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자 메시지를 등록된 휴대전화번호 정보(306)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408).
도 5에는 도 2의 단계(S202)에 따라 발송된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의하여 등록된 휴대전화 번호로 생성된 문자메시지가 발송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에 "잔액이 10,000원 남았습니다"와 같은 경고 문구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금액 충전에 대한 안내를 받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액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 위치(160)을 개방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12)는 미리 사용금액을 지불하면서 구입한 선불 카드를 삽입하여 선불 카드의 금액이 소진되면 전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면서 일차적으로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카드 충전의 필요성을 안내받을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공급되는 전기에 일정한 노이즈를 부가하되 접속되는 기기에는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선불 카드식 가스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치않는 누진요금이 적용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원하는 만큼만 계획적으로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고, 잔액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문자를 통하여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기에 노이즈를 부가하여 공급함으로써 금액 충전이 보다 급박하다는 것까지 안내한 후에 최후에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금액 충전함에 있어서 약간의 과태가 있다고 하여도 충분히 사전에 통지함으로써 갑작스런 전력 차단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사용금액을 지불하면서 구입한 선불 카드를 삽입하여 선불 카드의 금액이 소진되면 전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면서 일차적으로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카드 충전의 필요성을 안내받을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공급되는 전기에 일정한 노이즈를 부가하되 접속되는 기기에는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선불 카드식 가스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기량을 계량하여 계량 펄스를 출력하는 계량부(10);
    계량 펄스를 수신하여 사용 금액에 해당하는 계량 데이터를 구하고 카드 리더기(12)에서의 충전 금액 정보에서 계량 데이터를 차감하여 그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1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3 순위 통제 신호(C3)를 출력하고, 이후에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2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2 순위 통제 신호(C2)를 출력하고, 이후에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잔액이 제3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1 순위 통제 신호(C1)를 출력하는 제어부(14);
    상기 제어부(14)로부터의 제3 순위 통제 신호(C3)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14)에 의하여 읽혀진 잔액 정보와 상기 계량부(10)에 의하여 적산된 값을 비교하여 잔액 정보와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된 휴대전화번호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처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 생성부(164);
    제2 순위 통제 신호(C2)에 응답하여 노이즈를 발생하여 출력 전원 전압에 간헐적으로 부가시키되,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클록(1620)과 상기 클록(1620)에서 생성된 클록신호를 분주하는 분주회로를 포함하여 고주파의 발진 노이즈를 생성하는 발진부(1624)와, 발진 노이즈를 증폭하는 증폭부(1626), 및 출력 전력단자에 권취된 코일(16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증폭된 발진 노이즈를 상기 코일(1628)에 인가하여 교류의 출력 전압 단자에 고주파의 전자파를 실어 보내는 노이즈 발생부(162); 및
    제1 순위 통제 신호(C1)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출력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KR1020070037713A 2007-04-18 2007-04-18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KR10093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713A KR100930990B1 (ko) 2007-04-18 2007-04-18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713A KR100930990B1 (ko) 2007-04-18 2007-04-18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450A KR20070055450A (ko) 2007-05-30
KR100930990B1 true KR100930990B1 (ko) 2009-12-10

Family

ID=3827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713A KR100930990B1 (ko) 2007-04-18 2007-04-18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9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37A (ko) * 2001-08-23 2003-03-04 (주)아이씨코리아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한 서비스요금의 자동징수시스템
KR20050121826A (ko) * 2004-06-23 2005-12-28 (주)지오텍 선불식 디지탈 계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37A (ko) * 2001-08-23 2003-03-04 (주)아이씨코리아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한 서비스요금의 자동징수시스템
KR20050121826A (ko) * 2004-06-23 2005-12-28 (주)지오텍 선불식 디지탈 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450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74319A (zh) 一种用于改进电池组的温度管理的方法
WO2010004984A1 (ja) 電池状態監視装置
CN101187829B (zh) 计算机及其电能控制方法
CN103366458A (zh) 一种带短信自动报警的预付费计量控制装置
US20130021021A1 (en) Utility meter with capacitor charging circuit
US8260695B1 (en) Secondary power meter for quarter-cycle power measurement and invoicing method
MXPA02009225A (es) Elemento integrado de limitacion de corriente y de retroalimentacion de fuentes corriente.
KR100930990B1 (ko) 선불 카드식 전기공급제어장치
JP5355047B2 (ja) 力率改善促進システム
KR0157941B1 (ko) 프리 페이먼트 전자식 전력량계
US117645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portable electric generator, and rental system
US20150326048A1 (en) Charge fare meter
KR20070097942A (ko) 전기식 및 전자식 겸용 전압전류검출장치
JP4352656B2 (ja) 電子機器
US20040230853A1 (en) Data processor and method for notification
Prakash Talking Energy Meter
KR100776989B1 (ko) 선불 카드식 가스공급제어장치
JP2018113829A (ja) 蓄電制御装置
KR20000034234A (ko) 사용 요금 확인이 가능한 원격 검침 겸용무선 단말기 이용방법
KR102210565B1 (ko)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08157637A (ja) 信号供給構造
KR20110132844A (ko) 실시간 전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전력 사용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5671A (ko) 콘센트형 전력요금 표시장치
Priya et al. Automatic Electricity Bill Generating System using Embedded Technology
JP3909337B2 (ja) 分散電源の単独運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