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565B1 -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565B1
KR102210565B1 KR1020190157788A KR20190157788A KR102210565B1 KR 102210565 B1 KR102210565 B1 KR 102210565B1 KR 1020190157788 A KR1020190157788 A KR 1020190157788A KR 20190157788 A KR20190157788 A KR 20190157788A KR 102210565 B1 KR102210565 B1 KR 102210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wer
server
extra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이창희
김동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5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은, 특고압 수전설비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정전 감시 장치,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응하는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버, 및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OPERATION METHOD FOR MANAGING PASSIVE EQUIPMENT WITH HIGH VOLTAG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고압 수전설비는 전력회사로부터 수전한 높은 전압의 전기를 부하설비의 운전에 적합한 낮은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여 부하설비에 전기를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압 개폐기, 차단기, 변압기,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COS)), 피뢰기(lightening arrester(LA)),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PT)), 계기용 변성기(metering out fit(MOF)), 자동고장구간개폐기(automatic section switch(ASS))등과 같은 전기기기의 총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전기 안전 관리자는 전기사업법에 따라,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한 일상 점검, 정기 점검, 및 정밀 점검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특고압 수전설비 상태 진단이나,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이 부재하여 정전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순시 부하값 측정 및 육안점검 등 인력에 의존한 설비관리가 진행되고 있어 과학적인 방법에 의한 전기품질관리 및 정전예방 활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7591호(2012.08.07. 고장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실시간으로 특고압 수전설비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특고압 수전설비에 발생한 정전을 검출하고, 이를 전기 안전 관리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정전 복구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체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은, 특고압 수전설비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정전 감시 장치,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응하는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버, 및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다른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정전 감시 장치가 특고압 수전설비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응하는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품질 정보, 상기 전기요금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특고압 수전설비에 정전이 발생할 시, 이를 전기 안전 관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정전 복구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실시간으로 특고압 수전설비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특고압 수전설비의 정전을 검출하고, 특고압 수전설비에서 고장난 부품의 교체를 유도함으로써, 전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 감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 감시 장치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서버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전기품질 정보를 제3 서버로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서버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전기요금 정보를 생성하여 제3 서버로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3 서버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기품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기요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최대수요관리와 연관된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정전 감시 장치(101), 서버(103), 및 이동 단말기(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전 감시 장치(101)는 지정된 주기(예: 15분)마다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 정보(예: 정전 감시 장치(101)의 고압전력량계(또는 특고압 지능형 전력량계(AMI))의 측정 정보를 유선 통신을 통해 서버(103)로 송신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103)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전 감시 장치(101)는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감시 장치(101)는 고압전력량계(또는 특고압 지능형 전력량계(AMI))가 측정한 정보에 기반하여 정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정전이 발생함을 식별한 경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103)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전 감시 장치(101)는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선 통신을 통해 서버(103)로 송신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103)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103)는 정전 감시 장치(101)로부터 송신된 고압전력량계(또는 특고압 지능형 전력량계(AMI))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품질 정보는, 부하 정보, 이용률 정보, 역률 요금 정보, 고조파 정보, 정전 정보, 및 상불평형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요금 정보는, 요금 정보, 사용량 정보, 및 최대 수요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가 정보는, 고객 정보, 계기 정보, 위치 정보, 및 정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103)는 정전 감시 장치(101)로부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3)는 정전 감시 장치(101)로부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정전이 발생함을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또는 푸쉬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을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5)는 서버(103)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예: 전기 안전 관리자)에게 특고압 수전설비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서버(103)로부터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특고압 수전설비 상태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서버(103)로부터 알림을 수신한 경우, 특고압 수전설비에 정전이 발생함을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 화면, 알림 사운드, 및/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5)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정전 감시 장치(101)의 고전압전력량계와 연결된 부하들의 최대수요전력을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값으로 제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103)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3)는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정전 감시 장치(101)의 고전압전력량계와 연결된 부하들의 최대수요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 감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전 감시 장치(200)(예: 도 1의 정전 감시 장치(101))는 고압전력량계(201) 및 모뎀(20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고압전력량계(201)는 고객의 특고압 수전설비에 설치되며, 특고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예: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모뎀(203)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압전력량계(201)는 측정된 정보를 모뎀(203)으로 송신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비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압전력량계(201)는 정전 시에도 동작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예: 커패시터 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압전력량계(201)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예: 외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모뎀(203)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압전력량계(201)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05)(예: 암수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압전력량계(201)는 USB 단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보다 쉽게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모뎀(203)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뎀(203)은 고압전력량계(201)와 연결되며, 고압전력량계(201)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고압전력량계(201)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뎀(203)은 고압전력량계(201)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지정된 주기(예: 15분)마다 서버(예: 도 1의 서버)로 저장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뎀(203)은 고압전력량계(201)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고압전력량계(201)의 전원측 고장에 의한 정전, 고압전력량계(201)의 부하측 고장에 의한 정전, 또는 고압전력량계(201)의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서버(예: 도 1의 서버(103))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203)은 부하를 측정하는 동안 측정된 부하가 기준값(예: 30%) 이상 감소함을 식별한 경우, 고압전력량계(201)의 부하측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로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부하측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뎀(203)은 부하를 측정하는 동안 고압전력량계(201)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 고압전력량계(201)의 전원측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로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전원측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모뎀(203)은 부하를 측정하는 동안 고압전력량계(201)로부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 블랭크(blank)), 고압전력량계(201)의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로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고압전력량계(201)의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뎀(203)은 부하를 측정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비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는, 정전 원인 정보(예: 전원측 고장, 부하측 고장, 또는 고압전력량계 고장),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 정전 발생 알림 정보, 고압전력량계(201) 또는 모뎀(203)의 식별 정보, 및 정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뎀(203)은 내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예: 커패시터)를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고압전력량계(2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0)(예: 도 1의 서버(103))는 제1 서버(301), 제2 서버(303), 및 제3 서버(3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301)는 고압 지능형 전력량계 서버 또는 고압 AIM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서버(303)는 I-SMART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서버(305)는 전기품질관리 서비스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서버(301), 제2 서버(303), 및 제3 서버(305)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정전 감시 장치(예: 도 1의 정전 감시 장치(101) 또는 도 2의 정전 감시 장치(200))의 모뎀(예: 도 2의 모뎀(203))으로부터 정전 감시 장치의 고압전력량계(예: 도 2의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01)는 지정된 주기(예: 15분)마다 전원 감시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전원 감시 장치의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를 제2 서버(303) 및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01)는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고압전력량계의 현재 부하, 이용률, 역률 요금, 고조파, 정전 정보, 및 상불평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전기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품질 정보는 아래의 <표 1>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전기
품질
분야
현재 부하 유효전력에 대한 현재 부하
이용률 (순시 유효전력/계약전력) ×100%
역률 요금 순시역률의 평균값 ×미달값 ×할증요금
* 지상 90%(9~23시), 진상 95% 이상
고조파 ((기본차수+전차수 고조파 전류)-기본차수 전류)
/기본차수 전류
정전 정보 정전 및 복귀 정보
상불평형 상간 부하량의 불평형 정도
((최대전류-최소전류)/평균전류) ×100%
<표 1>을 참조하면, 현재 부하는 유효전력에 대한 현재 부하로 산출될 수 있다. 이용률은 (순시 유효전력/계약전력) x 100%로 산출될 수 있다. 고조파는 ((기본차수+전차수 고조파 전류)-기본차수 전류)/기본차수 전류로 산출될 수 있다. 역률 요금은 순시역률의 평균값 x 미달값 x 할증요금(예: 지상역률 90%(9시~23시), 진상역률 95% 이상인 경우)으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지상역률(9시~23시)은 평균역률이 90% 미달하는 역률 60%까지 매 1%당 기본요금의 0.2%를 추가하고, 평균 역률이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역률의 95%까지 초과하는 매 1%당 기본요금의 0.2%를 감액할 수 있다. 진상역률(23시~9시)은 평균역률이 95%에 미달하는 경우에 매1%당 기본요금의 0.2%가 추가될 수 있다. 정전 정보는 정전 시간 및 정전 복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불평형은 상간 부하량의 불평형 정도를 의미하며, ((최대전류-최소전류)/평균전류) x 100%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전력품질 정보가 생성된 것에 응답하여, 전력품질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지정된 주기가 도래하였으나, 전원 감시 장치로부터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정전 감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정전 감시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또는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서버(303)는 제1 서버로부터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기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03)는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요금정보, 일별 사용량 정보, 월별 사용량 정보, 일병 최대수요 정보, 월별 최대수요 정보, 및 고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요금 정보는 아래의 <표 2>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전기
요금
분야
요금정보 유효전력량
사용량정보(일별) 전력사용량 일별 정보
최대수요(일별) 최대수요 일별 정보
사용량정보(월별) 전력사용량 월별 정보
최대수요(월별) 최대수요 월별 정보
고객정보 고객 기본정보(계약전력, 계약종별, 송전일자, 주생산품, 검침일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서버(303)는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12월, 1월, 2월, 7월, 8월, 9월, 및 당월 분의 최대수요전력 중 가장 큰 최대수요전력을 요금적용 전력으로 사용하며, 가장 큰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의 30% 미만인 경우, 계약 전력의 30%를 요금적용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서버(303)는 전기요금 정보가 산출된 것에 응답하여, 전기요금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로부터 전기품질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서버(303)로부터 전기요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버(305)는 전기품질 및 전기요금에 대한 종합 정보, 고객 정보, 계기 정보, 정전이 발생한 위치 정보, 및 정전 정보(예: 정전 시간, 정전 복구 시간 등)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추가 정보가 생성된 것에 응답하여,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예: 도 1의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 및 통신 모듈과 피크 관리 기능이 탑재된 전자 장치(예: 조명, 냉난방기) 및 고압전력량계(또는 특고압 지능형 전력량계(AMI))와 연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3 서버(305)와 연계된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 제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제3 서버(305)와 연계된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버(305)는 제3 서버(305)와 연계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예: 50%)로 제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로부터 정전 감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을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로부터 정전 감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정전 감시 장치의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을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로부터 정전에 이상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특고압 수전설비에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을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전 감시 장치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정전 감시 장치(예: 도 1의 정전 감시 장치(101) 또는 도 2의 정전 감시 장치(200))의 모뎀(예: 도 2의 모뎀(203))은 고압전력량계(예: 도 2의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고압전력량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203)은 고압전력량계(201)가 측정한 정보들을 고압전력량계(201)로부터 주기적으로, 비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모뎀(203)은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서버(예: 도 1의 서버(103) 또는 도 3의 제1 서버(3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203)은 지정된 주기(예: 15분)마다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를 제1 서버(301)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뎀(203)은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안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정전이 발생함을 식별한 경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서버(301)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서버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전기품질 정보를 제3 서버로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제1 서버(예: 도 3의 제1 서버(301))는 모뎀(예: 도 2의 모뎀(203))으로부터 고압전력량계(예: 도 2의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모뎀(203)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지정된 주기마다 모뎀(201)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모뎀(203)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모뎀(20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버(301)는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지정된 주기가 도래하였으나, 모뎀(203)으로부터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정전 감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제1 서버(301)는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제2 서버(303)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제2 서버(303)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제2 서버(303)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제1 서버(301)는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01)는 도 5b와 같이, 구조화질의어(structured query language(SQL))를 이용하여 제1 서버(301) 내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들로부터 정전이 발생한 수전설비에 대한 이용률, 고조파, 상불평형률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서버(301)는 도 5c와 같이, 구조화질의어를 이용하여 제1 서버(301) 내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들로부터 정전이 발생한 수전설비에 대한 당일평균 지상역률 및 당일평균 진상역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들에 기반하여 정전이 발생한 수전 설비에 대한 역률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제1 서버(301)는 전기품질 정보가 생성된 것에 응답하여, 전기품질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301)는 제3 서버(305)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품질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서버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전기요금 정보를 생성하여 제3 서버로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제2 서버(예: 도 3의 제2 서버(303))는 제1 서버(예: 도 3의 제1 서버(301))로부터 고압전력량계(예: 도 2의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서버(303)는 제1 서버(301)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를 제1 서버(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제2 서버(303)는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03)는 고압전력량계(201)의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요금 정보, 일별 사용량 정보, 월별 사용량 정보, 일별 최대수요 정보, 월별 최대수요 정보, 및 고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제2 서버(303)는 전기요금 정보가 생성된 것에 응답하여, 전기요금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서버(303)는 제3 서버(305)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요금 정보를 제3 서버(305)로 송신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3 서버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제3 서버(예: 도 3의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로부터 전기품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품질 정보를 제1 서버(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제3 서버(305)는 제2 서버(303)로부터 전기요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품질 정보를 제1 서버(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제3 서버(305)는 전기품질 정보 및 전기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추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버(305)는 전기품질 및 전기요금에 대한 종합 정보, 고객 정보, 계기 정보, 정전이 발생한 위치 정보, 및 정전 정보(예: 정전 시간, 정전 복구 시간 등)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전이 발생한 위치 정보 및 정전 정보는 제1 서버(301)로부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제3 서버(305)는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예: 도 1의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제1 서버(301)로부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특고압 수전설비에 정전이 발생함을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을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도 7b와 같이, OCF 표준 및 통신 모듈과 피크관리 기능이 탑재된 조명, 냉난방기, 고압전력량계(또는 특고압 AMI), 및 외부 서버(KPX, 기상청 등)와 연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버(305)는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한 이후, 이동 단말기(105)로부터 제3 서버(305)와 연계된 조명 및/또는 냉난방기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으로 제한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요청에 대응하는 조명 및/또는 냉난방기의 최대수요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조명 및/또는 냉난방기의 최대수요전력이 지정된 값을 초과할 시, 요청에 대응하는 조명 및/또는 냉난방기의 피크감축 제어를 통해 최대전력수요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3 서버(305)가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모두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3 서버(305)는 전기품질 정보, 전기 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일부만 이동 단말기(105)로 송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서버(305)는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또는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가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105)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서버(305)는 특고압 수전설비로부터 정전이 발생한 경우,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가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105)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수전설비의 정전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기품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기요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최대수요관리와 연관된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이동 단말기(예: 도 1의 이동 단말기(105))는 서버(예: 도 1의 서버(103) 또는 도 3의 제3 서버(305))로부터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5)는 제3 서버(305)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제3 서버(305)로부터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5)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이 실행된 경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품질 정보, 전기요금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전기품질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도 9와 같이, 종합 정보 화면(901), 고조파 정보 화면(903), 역률 정보 화면(905), 상불평형 정보 화면(907), 및 이용률 정보 화면(909)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전기요금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도 10과 같이, 최대수요전력 정보 화면(1001), 및 전력사용량 정보 화면(1003), 전기요금 정보 화면(1005)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추가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도 11과 같이, 종합 정보 화면(1101), 고객 정보 화면(1103), 계기 정보 화면(1105), 정전이 발생한 위치 정보 화면(1107), 정전 정보 화면(1109)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이동 단말기(105)는 입력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도 12와 같이, 수전설비와 연관된 최대수요정보 화면(1201)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도 12와 같이, 제3 서버(305)와 연계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조명, 냉난방기 등)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으로 제한할 수 있는 제어 화면(1203)을 표시하고,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으로 제한(예: 50%, 80% 등)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3 서버(305)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으로 제한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저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서버(305)는 이동 단말기(105)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으로 제한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지정된 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이동 단말기(105)는 제3 서버(305)로부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특고압 수전설비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제3 서버(305)로부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이동 단말기(105)는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5)는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가 수신된 알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림 화면, 알림 사운드, 또는 진동 중 적어도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5)는 알림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음성)에 기반하여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5)는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특고압 수전설비로부터 정전이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기(105)의 사용자가 특고압 수전설비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정전복구 응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도 1의 정전 감시 장치(101), 서버(103), 또는 이동 단말기(105))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도 1의 이동 단말기(105))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
101: 정전 감시 장치
103: 서버
105: 이동 단말기

Claims (14)

  1.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측정 감시 장치가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한 측정 정보를 지정된 주기마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측정 감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측정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한 상시 요금, 최대수요전력, 부하, 이용률, 역률 요금, 고조파 및 상불평형 정보를 생성하고,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한 상시 요금, 최대수요전력, 부하, 이용률, 역률 요금, 고조파 및 상불평형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에 대한 상시 요금, 최대수요전력, 부하, 이용률, 역률요금, 고조파 및 상불평형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 화면, 알림 사운드, 및 진동을 출력하며,
    상기 측정 감시 장치가,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고압전력량계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제1 서버, 제2 서버, 및 제3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측정 감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최대수요전력, 부하, 이용률, 역률 요금, 고조파 및 상불평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제1 서버는 부하, 이용률, 역률 요금, 고조파 및 상불평형 정보를 식별하되, 부하는 유효전력에 근거하여 식별하고, 이용률은 순시 유효전력과 계약전력에 근거하여 식별하며, 역률 요금은 순시역률에 근거하여 식별하며, 고조파는 기본차수와 전차수 고조파 전류에 근거하여 식별하며, 상불평형은 최대전류와 최소전류 및 평균전류에 근거하여 식별하며,
    상기 제1 서버는 부하를 유효전력에 대한 현재 부하로 산출하고, 이용률을 (순시 유효전력/계약전력) x 100%로 산출하며, 역률 요금을 순시역률의 평균값 x 미달값 x 할증요금으로 산출하며, 고조파를 ((기본차수+전차수 고조파 전류)-기본차수 전류)/기본차수 전류로 산출하며, 상불평형을 ((최대전류-최소전류)/평균전류) ×100%로 산출하며,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측정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측정 정보가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측정 감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3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3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측정 감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측정 정보에 응답하여 전기요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전기요금 정보는 요금정보, 일별 사용량 정보, 월별 사용량 정보, 일별 최대수요 정보, 월별 최대수요 정보, 및 고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버는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12월, 1월, 2월, 7월, 8월, 9월, 및 당월 분의 최대수요전력 중 가장 큰 최대수요전력을 요금적용전력으로 사용하며, 가장 큰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의 30% 미만인 경우, 계약전력의 30%를 요금적용전력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3 서버는 상기 제1 서버와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추가 정보는 전기품질 및 전기요금에 대한 종합 정보, 고객 정보, 계기 정보, 정전이 발생한 위치 정보, 및 정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버는 상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며,
    상기 측정 감시 장치는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고압전력량계의 부하를 토대로 부하측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고압전력량계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고압전력량계의 전원측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고압전력량계로부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고압전력량계의 고장에 의해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감시 장치는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상기 고압전력량계의 부하가 30% 이상 감소함을 식별한 경우 부하측 고장에 의한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는 정전 원인 정보, 상기 고압전력량계의 측정 정보, 정전 발생 알림 정보, 상기 고압전력량계의 식별 정보, 및 정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제한하기 위한 값이 지정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사용자가 지정한 값으로 제한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제3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서버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사용자가 지정한 값으로 제한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조명 또는 냉난방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최대수요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피크 관리 기능이 탑재된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57788A 2019-11-29 2019-11-29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210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788A KR102210565B1 (ko) 2019-11-29 2019-11-29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788A KR102210565B1 (ko) 2019-11-29 2019-11-29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565B1 true KR102210565B1 (ko) 2021-02-03

Family

ID=7457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788A KR102210565B1 (ko) 2019-11-29 2019-11-29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5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684A (ko) * 2006-09-21 2008-03-26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KR20120033641A (ko) * 2010-09-30 2012-04-09 한국전력공사 파급정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급정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31679B1 (ko) * 2015-10-26 2016-06-17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684A (ko) * 2006-09-21 2008-03-26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KR20120033641A (ko) * 2010-09-30 2012-04-09 한국전력공사 파급정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급정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31679B1 (ko) * 2015-10-26 2016-06-17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3022B1 (en) Method for inferring downtime from power quality data
US20200124683A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metering function and method of evaluating energy metering
Chakraborty et al. Smart meters for enhancing protection and monitoring functions in emerging distribution systems
JP5452613B2 (ja) 電力グリッドの供給停止および故障状況の管理
Hughes et al. Distribution customer power quality experience
US20170271915A1 (en) Energy Demand Monitoring System and Smart micro-Grid Controller
CN107093017B (zh) 停电事件的业务数据获取方法及其装置和系统
KR20080051630A (ko) 발전기 운전실적 분석시스템
WO2018177540A1 (en) System,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 improved fault analysis in an electrical power system
JP6647756B2 (ja) 分電盤監視システム
CN104181386A (zh) 单相费控智能电能表
KR20120015569A (ko) 전력 계량에 있어서의 이상 검출 방법 및 이상 검출 장치
KR102210565B1 (ko) 특고압 수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801611B1 (ko) 특별고압 계기용변성기(mof)의 변류기 비율 및 오차범위 적정성 검증 정보기술(it)시스템
Sakib et al. GSM-based automatic voltage protection system for residential small appliances
Vatau et al. Monitoring of the power quality on the wholesale power market in Romania
CN109655681A (zh) 一种变电站及开关站二次测量回路异常检测方法及系统
Pohjanheimo A probabilistic method for comprehensive voltage sag management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Bollen et al. A framework for regulation of rms voltage and short-duration under and overvoltages
CN112379176B (zh) 一种变压器损耗获取系统及方法
CN111856385A (zh) 一种电量突变故障检测方法、装置和设备
Ferrolho et al. Power quality and modeling analysis of a university campus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CN104360189A (zh) 一种电网停电事件判断方法
Skok et al. Electrical performance test procedure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RU2800630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по измерениям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их величин и показате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