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734B1 - 절삭공구 케이스 - Google Patents

절삭공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734B1
KR100930734B1 KR1020090059057A KR20090059057A KR100930734B1 KR 100930734 B1 KR100930734 B1 KR 100930734B1 KR 1020090059057 A KR1020090059057 A KR 1020090059057A KR 20090059057 A KR20090059057 A KR 20090059057A KR 100930734 B1 KR100930734 B1 KR 10093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utting tool
opening
engag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김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선 filed Critical 김광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06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for one specific hand apparatus, e.g. an electric dr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6/00Portable percussive machines with superimposed rotati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shaft of a motor being modified to generate axial impacts on the tool b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공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는 절삭공구(10)의 결합부(11)가 삽입되는 삽입부(110)가 형성되는 케이스하부(100);와, 2개의 개폐부재(210)가 한 쌍을 이루되,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210) 각각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하부(100)의 상단과 연결되며, 1개의 개폐부재(210)의 상부에는 걸림외향턱(220)이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1개의 개폐부재(210)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탄성결합되는 걸림내향턱(23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삽입부(110)를 개폐하는 케이스상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에 의하면, 개폐가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케이스 내부의 절삭공구의 확인이 쉬우며, 절삭공구가 외부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절삭공구 케이스{Cutting tool box}
본 발명은 절삭공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절삭공구가 보관되는 케이스하부와 원터치로 개폐되는 케이스상부가 일체로 제작되어 절삭공구 케이스를 1개의 사출금형으로 제작하므로 제작단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절삭공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공구 케이스는 내부에 드릴과 같은 절삭공구를 담아서 판매하거나 사용한 절삭공구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기출원된 절삭공구 케이스(출원번호 제20-2005-0035456호)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절삭공구 케이스는, 일측면이 개방된 긴 박스형상의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방부(20)을 덮으며, 그 기단부에 구비된 브래킷(22)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기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커버(12)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는 고정캡(14)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캡(14)의 외주면에는 회동돌기(36)가 돌출되어 상기 커버(12)를 열 때 상기 회동돌기(36)가 커버(12)의 기단부에 걸려 고정캡(14)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삭공구 케이스는 케이스본체, 커버 및 고정캡을 각각 사출하여 제작하여 조립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각각의 사출금형을 제작해야하므로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도중 절삭공구를 꺼내려면, 한 손으로는 케이스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커버를 잡고 열어야 하므로 작업자는 작업공구를 작업을 잠시 멈춘 후 작업도구를 내려놓고 절삭공구를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이 끝난 후 절삭공구를 케이스에 바로 넣을 경우, 비교적 고열인 절삭공구의 냉각이 곤란하여 이러한 열기로 인해 절삭공구 케이스가 변형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절삭공구가 보관되는 케이스하부와 원터치로 개폐되는 케이스상부가 일체로 제작되어 절삭공구 케이스를 1개의 사출금형으로 제작하므로 제작단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절삭공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상부가 원터치 개폐되어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된 작업공구를 한 손으로 꺼낼 수 있으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 또한 증가될 수 있는 절삭공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상부와 케이스하부에 냉각통공이 형성되어 사용 후 고온상태의 절삭공구를 보관할 경우 절삭공구의 냉각이 용이한 절삭공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상부에 확대경이 구비되어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된 절삭공구의 커터부를 확대된 상태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필요한 절삭공구를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는 절삭공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는 절삭공구(10)의 결합부(11)가 삽입되는 삽입부(110)가 형성되는 케이스하부(100);와, 2개의 개폐부재(210, 211)가 한 쌍을 이루되,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210, 211) 각각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하부(100)의 상단과 연결되며, 1개의 개폐부재(210)의 상부에는 걸림외향턱(220)이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1개의 개폐부재(21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탄성결합되는 걸림내향턱(23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삽입부(110)를 개폐하는 케이스상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하부(100)의 삽입부(110)에는 절삭공구(10)의 삽입시 상기 절삭공구(10)가 고정되도록 내벽에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리브(120);와, 상기 케이스상부(200)의 내벽에는 절삭공구(10)의 커터부(12)가 고정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리브(2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상부(200)에는, 상기 1개의 개폐부재(210, 211)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되어, 절삭공구(10)의 커터부(12)가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형성되는 확대경(250);과,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걸림내향턱(230)의 결합의 해체시, 사용자 손가락의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기 걸림내향턱(230)의 하부에 함몰형성되는 조작홈(260);과, 상기 개폐부재(210)는 결합시 길이방향의 면이 서로 면접촉되되, 접촉된 면 중 어느 한 면에는 결합돌기(270);가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한 면 에는 상기 결합돌기(270)가 끼워지는 결합홈(280);이 더 포함되며, 상기 걸림내향턱(230)과 인접한 내벽에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외향턱(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상부(200)와 케이스하부(100)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절삭공구(10)가 대기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냉각통공(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절삭공구가 보관되는 케이스하부와 원터치로 개폐되는 케이스상부가 일체로 제작되어 절삭공구 케이스를 1개의 사출금형으로 제작하므로 제작단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상부가 원터치 개폐되어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된 작업공구를 한 손으로 꺼낼 수 있으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 또한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상부와 케이스하부에 냉각통공이 형성되어 사용 후 고온상태의 절삭공구를 보관할 경우 절삭공구의 냉각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상부에 확대경이 구비되어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된 절삭공구의 커터부를 확대된 상태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필요한 절삭공구를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상부케이스가 열린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사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는, 케이스하부(100)와 케이스상부(200)가 포함되며, 삽입부(110), 제1고정리브(120), 개폐부재(210, 211), 걸림외향턱(220), 걸림내향턱(230), 제2고정리브(240), 확대경(250), 조작홈(260), 결합돌기(270), 결합홈(280) 및 냉각통공(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되는 절삭공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와 커터부(12)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1)는 드릴과 결합되는 부분을 지칭하며, 커터부(12)는 일정한 형상으로 절삭가공되어 드릴로부터 전달되는 회 전력에 의해 벽이나 나무 등에 구멍을 뚫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할 케이스하부(100)와 케이스상부(200)는 1개의 플라스틱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케이스하부(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하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절삭공구(10)의 결합부(11)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부(1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후술할 케이스상부(200)의 개폐부재(210, 2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하부(100)의 내벽, 즉, 상기 삽입부(110)의 내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리브(120)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고정리브(120)는 삽입부(110)로 삽입되는 절삭공구(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시키며, 케이스하부(100)의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고정리브(120)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절삭공구(10)의 삽입시 벌어지면서 절삭공구(1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케이스상부(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상부(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개폐부재(210, 211)가 짝을 이루어 상술한 케이스상부(200)의 상단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2개의 개폐부재(210, 211) 중 1개의 개폐부재(210)의 상부에는 걸림외향턱(220)이, 나머지 1개의 개폐부재(21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탄성결합되는 걸림내향턱(23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내향턱(230)의 하부에는 조작홈(260)이 함몰형성되는데, 이러한 조작홈(260)은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걸림내향턱(230)의 결합해체시 사용자 손가락의 접근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내부에 절삭공구(10)가 보관된 상태,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걸림내향턱(230)이 결합되어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을 손에 감싸쥔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조작홈(260)에 접근시킨 후 상방향으로 튕기듯이 힘을 가하면, 상기 걸림외향턱(220)은 걸림내향턱(230)과의 결합이 해체되면서 개폐부재(210, 21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개의 개폐부재(210, 211)가 서로 맞닿는 길이방향의 면 중 1개의 개폐부재(210)에는 결합돌기(270)가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1개의 개폐부재(211)에는 상기 결합돌기(270)와 결합되는 결합홈(280)이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돌기(270)와 결합홈(280)의 결합으로 인하여 상술한 걸림외향턱(220)과 걸림내향턱(2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상부(200)의 내벽, 좀 더 정확하게 각각의 개폐부재(210, 211)의 내벽에는 절삭공구(10)의 커터부(12)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리브(240)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고정리브(240)는 상술한 제1고정리브(120)와 함께 절삭공 구(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10, 21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경(2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확대경(250)은 1개의 개폐부재 또는 2개의 개폐부재 모두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된 절삭공구(10)의 커터부(12)를 확대하는 돋보기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터부(12)의 굵기, 형상, 길이 등을 육안으로 확대된 상태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절삭공구(10)의 선택시 신속,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걸림내향턱(230)과 인접한 내벽에 지지부재(290)가 돌출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290)는 상기 걸림외향턱(220)의 하부를 탄지하여 개폐시 좀 더 안정적인 개폐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삭공구(10)의 커터부(12)에 의한 걸림외향턱(22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냉각통공(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각통공(300)은 사용한 후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되는 절삭공구(10)가 대기와 원활하게 접촉되도록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하부(100)의 하면과 케이스상부(20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냉각통공(300)의 위치는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된 절삭공구(10)는 신속하게 냉각이 가능하므로 케이스하부(100)나 케이스상부(200)가 절삭공구로부터 배출되는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상부케이스가 열린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사용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케이스의 개폐되는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절삭공구 11-결합부
12-커터부
100-케이스하부 110-삽입부
120-제1고정리브
200-케이스상부 210, 211-개폐부재
220-걸림외향턱 230-걸림내향턱
240-제2고정리브 250-확대경
260-조작홈 270-결합돌기
280-결합홈 290-지지부재
300-냉각통공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는 절삭공구(10)의 결합부(11)가 삽입되는 삽입부(110)가 형성되는 케이스하부(100);와
    2개의 개폐부재(210, 211)가 한 쌍을 이루되,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210, 211) 각각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하부(100)의 상단과 연결되며, 1개의 개폐부재(210)의 상부에는 걸림외향턱(220)이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1개의 개폐부재(21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탄성결합되는 걸림내향턱(23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삽입부(110)를 개폐하는 케이스상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케이스.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하부(100)의 삽입부(110)에는 절삭공구(10)의 삽입시 상기 절삭공구(10)가 고정되도록 내벽에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리브(120);와
    상기 케이스상부(200)의 내벽에는 절삭공구(10)의 커터부(12)가 고정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리브(240);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케이스.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상부(200)에는,
    상기 1개의 개폐부재(210, 211)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되어, 절삭공구(10)의 커터부(12)가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형성되는 확대경(250);과
    상기 걸림외향턱(220)과 걸림내향턱(230)의 결합의 해체시, 사용자 손가락의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기 걸림내향턱(230)의 하부에 함몰형성되는 조작홈(260);과
    상기 개폐부재(210)는 결합시 길이방향의 면이 서로 면접촉되되, 접촉된 면 중 어느 한 면에는 결합돌기(270);가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한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70)가 끼워지는 결합홈(280);이 더 포함되며,
    상기 걸림내향턱(230)과 인접한 내벽에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외향턱(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상부(200)와 케이스하부(100)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절삭공구(10)가 대기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냉각통공(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케이스.
KR1020090059057A 2009-03-10 2009-06-30 절삭공구 케이스 KR100930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0499 2009-03-10
KR1020090020499 2009-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734B1 true KR100930734B1 (ko) 2009-12-09

Family

ID=4168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057A KR100930734B1 (ko) 2009-03-10 2009-06-30 절삭공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7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0561A (ja) * 2011-06-01 2013-01-17 Itomol Kk 工具容器
KR200469684Y1 (ko) * 2011-01-21 2013-11-01 주식회사 심텍 폐비트 낙하방지가 가능한 툴 포스트
KR20180060001A (ko) 2016-11-28 2018-06-07 박대한 절삭공구 케이스
KR101868876B1 (ko) * 2018-04-17 2018-06-19 김영휘 절삭공구용 보관함
WO2020022618A1 (ko) * 2018-07-27 2020-01-30 임용재 절삭 공구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18Y1 (ko) * 2005-12-16 2006-03-27 박종선 절삭공구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18Y1 (ko) * 2005-12-16 2006-03-27 박종선 절삭공구 케이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84Y1 (ko) * 2011-01-21 2013-11-01 주식회사 심텍 폐비트 낙하방지가 가능한 툴 포스트
JP2013010561A (ja) * 2011-06-01 2013-01-17 Itomol Kk 工具容器
KR20180060001A (ko) 2016-11-28 2018-06-07 박대한 절삭공구 케이스
KR101868876B1 (ko) * 2018-04-17 2018-06-19 김영휘 절삭공구용 보관함
US10435230B1 (en) 2018-04-17 2019-10-08 Young Whi Kim Storage case for cutting tool
WO2019203401A1 (ko) * 2018-04-17 2019-10-24 김영휘 절삭공구용 보관함
TWI676535B (zh) * 2018-04-17 2019-11-11 金永輝 切削工具用保管箱
CN110612180A (zh) * 2018-04-17 2019-12-24 金永辉 切削工具用保管箱
WO2020022618A1 (ko) * 2018-07-27 2020-01-30 임용재 절삭 공구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734B1 (ko) 절삭공구 케이스
US20050247587A1 (en) Packaging for tool sets
EP2749382B1 (en) Tool housing case and subcase
US7367451B2 (en) Tool accessory case having product indicator indicia surface inserts
RU2012118378A (ru) Ящик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ивод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20070114150A1 (en) Toolbox
KR101589086B1 (ko) 수납용기
JP2006250481A (ja) 把手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CN2915403Y (zh) 工具盒
JP5917234B2 (ja) 包装装置
KR200412318Y1 (ko) 절삭공구 케이스
HK1118784A1 (en) Cigarette box and blank set for the same
KR100958526B1 (ko) 골프크럽용 헤드커버
JP4692093B2 (ja) 包装容器
KR101556923B1 (ko) 다중 결합 및 변형이 가능한 단열상자
PT855254E (pt) Caixa de bolso para ferramentas
CN211415087U (zh) 熔接机工具箱
JP2007278585A (ja) 冷蔵庫扉
JP6013591B2 (ja) 電子体温計の収納ケース
JP3185125U (ja) プラスチックケース
JP7100408B2 (ja) 取り出し具付き容器
JP4312073B2 (ja) ラップフィルム巻物収納箱
KR200309396Y1 (ko) 수납 용기
CN209807488U (zh) 一种室内设计用电子绘图板
CN200939972Y (zh) 一种新型的钻夹头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