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509B1 - 익수자 보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익수자 보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509B1
KR100930509B1 KR1020090003807A KR20090003807A KR100930509B1 KR 100930509 B1 KR100930509 B1 KR 100930509B1 KR 1020090003807 A KR1020090003807 A KR 1020090003807A KR 20090003807 A KR20090003807 A KR 20090003807A KR 100930509 B1 KR100930509 B1 KR 10093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unit
valley
informa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진
장우석
박철홍
장홍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Priority to KR102009000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곡과 같은 넓은 위험지역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될때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카메라가 닿지 않는 곳으로 익수자가 떠내려가는 동안에도 사람에 부착된 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조요원들이 미리 구조지점으로 이동하여 떠내려가는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익수자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계곡 또는 유원지를 입장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와; 계곡 또는 유원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수심이 낮은 안전지역과 수심이 깊은 위험지역으로 분리하여 설정하는 안전지역 관리부와, 상기 계곡 또는 유원지에 입장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태그 관리부와, 상기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와 통신하면서 태그정보를 제공받고 태그의 위치를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태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태그 확인부와, 상기 계곡 또는 유원지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관리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서버로 이루어진 통상의 익수자 보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인식하고, 사람으로 인식되면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확인부와; 상기 태그 확인부 또는 영상확인부에서 확인된 사람의 위치정보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익수자 추적부와; 상기 태그 확인부 또는 영상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사람들의 위치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피커를 통해 비상경고 방송을 하고, 태그의 실시간 위치를 외부의 구조요원 및 119에 무선으로 제공하여 긴급 구조요청을 요청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03807
계곡, 유원지, 위험지역, 카메라, 태그, 안전관리서버, 경고

Description

익수자 보호시스템{PROTECTING SYSTEM FOR DROWNING MAN}
본 발명은 계곡과 같은 넓은 위험지역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될때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카메라가 닿지 않는 곳으로 익수자가 떠내려가는 동안에도 사람에 부착된 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조요원들이 미리 구조지점으로 이동하여 떠내려가는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익수자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곡 또는 유원지에는 안전요원이 배치되어 물놀이 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인력으로 몰놀이 하는 사람들을 안전요원의 눈으로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사전조치 및 구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에 의해 물놀이 장소를 촬영한다고 하더라도 촬영된 영상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물살이 급한 계곡 전체 또는 넓은 유원지 전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는 경우에 익수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곡과 같은 넓은 위험지역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될때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카메라가 닿지 않는 곳으로 익수자가 떠내려가는 동안에도 사람에 부착된 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조요원들이 미리 구조지점으로 이동하여 떠내려가는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익수자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계곡 또는 유원지를 입장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와; 계곡 또는 유원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수심이 낮은 안전지역과 수심이 깊은 위험지역으로 분리하여 설정하는 안전지역 관리부와, 상기 계곡 또는 유원지에 입장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태그 관리부와, 상기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와 통신하면서 태그정보를 제공받고 태그의 위치를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태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태그 확인부와, 상기 계곡 또는 유원지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관리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서버로 이루어진 통상의 익수자 보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인식하고, 사람으로 인식되면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확인부와; 상기 태그 확인부 또는 영상확인부에서 확인된 사람의 위치정보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익수자 추적부와; 상기 태그 확인부 또는 영상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사람들의 위치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피커를 통해 비상경고 방송을 하고, 태그의 실시간 위치를 외부의 구조요원 및 119에 무선으로 제공하여 긴급 구조요청을 요청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익수자 보호시스템은 계곡 또는 유원지에 입장하는 사람에게 태그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지역에서 익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추적하여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수자 보호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익수자 보호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곡 또는 유원지의 안전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10)를 장착하고, 입장하는 사람에게 태그(20)를 착용된다. 안전관리서버(30)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과 사람들의 태그정보를 인식하여 사람이 안전지역을 벗어나 위험지역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위험지역에 설치된 스피커(50)를 통해 비상경고 방송을 수행하고, 동시에 구조요원(51) 및 119안전센터(52)에 자동으로 위험발생을 통보하여 구조를 요청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안전관리서버를 자세히 살펴보면, 안전관리서버(30)는 안전지역 관리부(31), 태그 관리부(32), 태그 확인부(33), 카메라 관리부(34), 영상확인부(35), 익수자 추적부(36), 경고부(37) 및 제어부(38)를 구비한다.
안전지역 관리부(31)는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수심이 낮은 안전지역(2)과 수심이 깊은 위험지역(3)으로 분리하여 설정한다.
태그 관리부(32)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에 대한 정보를 태그정보DB(39)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태그 확인부(33)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20)와 통신하면서 태그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태그의 위치를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태 그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태그 확인부(33)는 계곡 또는 유원지의 곳곳에 설치된 RFID리더 또는 초음파센서 등으로부터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GPS를 통해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카메라 관리부(34)는 계곡 또는 유원지에 설치된 카메라(10)에 대한 정보를 카메라정보DB(40)에 저장하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한다. 카메라는 계곡 또는 유원지의 안전지역과 위험지역 모두를 감시하도록 다수개로 설치할 수 있다.
영상확인부(35)는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고,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킨다. 한편, 영상확인부는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킬 수도 있다.
익수자 추적부(36)는 상기 태그 확인부(33) 또는 영상확인부()에서 확인된 사람의 위치정보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 즉, 계곡과 같이 위험지역이 넓어 카메라가 닿지 않는 곳에 익수자가 떠내려가는 동안에도 사람에 부착된 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경고부(37)는 태그 확인부(33) 또는 영상확인부(34)를 통해 확인된 사람들의 위치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피커(50)를 통해 비상경고 방송을 한다. 이와 함께 경고부(37)는 사람들의 위치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태그정보의 실시간 위치를 구조요원(51) 및 119안전센터(52)에 자동으로 위험발생을 통보하여 구조를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각 부(31~37)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익수자 보호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안전관리서버(30)는 안전지역 관리부(31)를 사용하여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안전지역과 위험지역을 구분하고 설정한다(단계 S101).
계곡 또는 유원지에 입장하는 사람들에게 태그(20)를 제공한다(단계 S102). 이러한 태그는 태그DB(39)에 등록된 태그로서 GPS, 초음파센서 등이 부착된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관리서버(30)의 태그 확인부(33)는 사람들에게 제공된 태그(20)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고(단계 S103), 태그의 위치를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위치를 확인한다(단계 S104).
그 후, 태그 확인부(33)를 통해 확인된 사람들의 위치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면(단계 S105), 안전관리서버(30)는 위험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확인하여 위험지역에 사람이 위치하는 지를 확인한다(단계 S106).
영상의 확인결과 위험지역에 사람이 위치하면, 위험지역의 스피커(50)로 비상경고 방송을 하고(단계 S107), 태그(20)의 실시간 위치를 구조요원(51) 및 119안전센터(52)에 자동으로 위험발생을 통보하여 구조를 요청한다(단계 S108).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계곡과 같이 위험지역이 넓어 카메라가 닿지 않는 곳에 익수자가 떠내려가는 동안에도 사용자의 정보는 태그를 통해 연속적으로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구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서버(30)의 계곡 또는 유원지에 설치된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들의 위치를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위 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상경고 방송 및 외부에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설계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설계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경우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수자 보호시스템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익수자 보호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카메라 20 : 태그
30 : 안전관리서버 31 : 안전지역 관리부
35 : 태그 확인부 34 : 카메라 관리부
35 : 영상확인부 36 : 익수자 추적부
37 : 경고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계곡 또는 유원지를 입장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와; 계곡 또는 유원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수심이 낮은 안전지역과 수심이 깊은 위험지역으로 분리하여 설정하는 안전지역 관리부와, 상기 계곡 또는 유원지에 입장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태그 관리부와, 상기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태그와 통신하면서 태그정보를 제공받고 태그의 위치를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태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태그 확인부와, 상기 계곡 또는 유원지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관리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서버로 이루어진 통상의 익수자 보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인지의 여부를 인식하고, 사람으로 인식되면 계곡 또는 유원지의 지역정보에 매칭시켜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확인부와;
    상기 태그 확인부 또는 영상확인부에서 확인된 사람의 위치정보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익수자 추적부와;
    상기 태그 확인부 또는 영상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사람들의 위치가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피커를 통해 비상경고 방송을 하고, 태그의 실시간 위치를 외부의 구조요원 및 119에 무선으로 제공하여 긴급 구조요청을 요청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보호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03807A 2009-01-16 2009-01-16 익수자 보호시스템 KR10093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07A KR100930509B1 (ko) 2009-01-16 2009-01-16 익수자 보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07A KR100930509B1 (ko) 2009-01-16 2009-01-16 익수자 보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509B1 true KR100930509B1 (ko) 2009-12-09

Family

ID=4168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07A KR100930509B1 (ko) 2009-01-16 2009-01-16 익수자 보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5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081B1 (ko) 2010-09-13 2012-01-11 유진환 보호자가 참여하는 안심 보호 시스템
CN103559584A (zh) * 2013-11-08 2014-02-05 浙江工商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城市安全事故溯源与风险预警方法
KR101370574B1 (ko) * 2013-10-25 2014-03-25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산불예방 홍보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00103954A (ko) * 2019-02-26 2020-09-0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감지장치가 탑재된 구명튜브를 이용한 수상안전 위치확인 시스템
KR102213651B1 (ko) 2019-10-02 2021-02-09 주식회사 에이오비 드론을 이용하는 인명구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099A (ja) 2004-10-13 2006-04-27 Adc Technology Kk 位置検出・撮像システム
KR100653369B1 (ko) 2005-11-28 2006-12-05 (주)한국무선네트워크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아이디 태그 및 이를 이용한위험지역 안내시스템
KR20070108645A (ko) * 2006-05-08 200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 및방법
KR100779727B1 (ko) *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099A (ja) 2004-10-13 2006-04-27 Adc Technology Kk 位置検出・撮像システム
KR100653369B1 (ko) 2005-11-28 2006-12-05 (주)한국무선네트워크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아이디 태그 및 이를 이용한위험지역 안내시스템
KR20070108645A (ko) * 2006-05-08 200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 및방법
KR100779727B1 (ko) *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081B1 (ko) 2010-09-13 2012-01-11 유진환 보호자가 참여하는 안심 보호 시스템
KR101370574B1 (ko) * 2013-10-25 2014-03-25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산불예방 홍보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3559584A (zh) * 2013-11-08 2014-02-05 浙江工商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城市安全事故溯源与风险预警方法
KR20200103954A (ko) * 2019-02-26 2020-09-0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감지장치가 탑재된 구명튜브를 이용한 수상안전 위치확인 시스템
KR102155954B1 (ko) * 2019-02-26 2020-09-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감지장치가 탑재된 구명튜브를 이용한 수상안전 위치확인 시스템
KR102213651B1 (ko) 2019-10-02 2021-02-09 주식회사 에이오비 드론을 이용하는 인명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599B1 (ko)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KR100930509B1 (ko) 익수자 보호시스템
KR100956978B1 (ko) 교통사고 유의지역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02753B1 (ko) 음성인식 비상 호출 시스템
KR101514696B1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CN109326073A (zh) 一种基于多点定位的无线传感器网络安防监控系统
KR102195174B1 (ko)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6202062A (ja) 施設監視システム
JP6529062B1 (ja) デジタルアキュレ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158B1 (ko)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20170087223A (ko) 비콘 일체형 스마트cctv를 이용한 영상감시 및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62621A1 (en) Guard performance and security system
KR100908190B1 (ko) 철도터널 안전시스템
US98470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licy-based access using an accelerometer
KR20130062584A (ko) 선박 및 해양 설비 내의 위험지역 경고시스템
KR20200021218A (ko) 미등록 드론 식별 시스템
ES2686086B1 (es) Sistema autónomo de seguridad privada, capaz de prestar servicios pasivos y activos y en la lucha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KR101415848B1 (ko) 차량 및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스쿨존 방범장치
KR101400604B1 (ko) 실내 이동자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114425A1 (en) Methods, Software, and Systems for Providing Policy-Based Access
KR20220029881A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102031489B1 (ko) 재난안전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JP6093596B2 (ja) 移動物体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