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477B1 -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477B1
KR100930477B1 KR1020080090039A KR20080090039A KR100930477B1 KR 100930477 B1 KR100930477 B1 KR 100930477B1 KR 1020080090039 A KR1020080090039 A KR 1020080090039A KR 20080090039 A KR20080090039 A KR 20080090039A KR 100930477 B1 KR100930477 B1 KR 10093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space
p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6729A (en
Inventor
유철진
Original Assignee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8009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477B1/en
Publication of KR2008009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개시한다. 주차 유도 장치는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주차 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주차 완료 후 운전자에게 해당 주차 공간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주차장으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A parking guidance apparatus for inducing parking of a vehicle in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s disclosed.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nd installed in each parking space to display the occupancy state of each parking space. do. In addition, the audio output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ovide the driv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after the parking is completed. In addition, a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collecting parking information from each parking lot and providing the same through a terminal is disclosed.

주차 유도 시스템, 주차 유도 Parking induction system, parking induction

Description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PARKING GUIDANCE APPARATUS AND PARKING GUIDANCE SYSTEM WITH THEREOF}PARKING GUIDANCE APPARATUS AND PARKING GUIDANCE SYSTEM WITH THEREOF}

본 출원은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시스템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주차장에 있어서 점유되어 있지 않은 주차공간과 점유된 주차된 공간을 운전자가 원거리 상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술에 관련된다.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a parking guidance device and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displaying a parking space not occupied and an occupied parked space in a parking lot includ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from a distance.

유동인구가 집중되는 백화점, 대형 쇼핑센터, 병원 등의 대형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대형주차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유동적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주차 공간이 특정 사람들에게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는 점유되어 있지 않은 주차 공간을 찾아서 주차장 내부를 배회하게 되어 귀중한 시간, 연료 낭비와 환경오염 유발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수의 대형 주차장에서는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많은 주차유도 인력을 고용하여 열악한 환경의 주차장에서 주차 도우미 역할을 시키는 극히 비능률적이고 비위생적인 낭비의 과정들을 거치게 되는바, 자동차를 주차시키는데 따르는 낭비와 비효율 현상이 흔하다. 따라서,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운전 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 운전자의 귀중한 주차시간 절약과 연료낭비는 물론 환경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Large buildings, such as department stores, large shopping centers, and hospitals, where the floating population is concentrated, usually have large parking facilities that provide multiple parking spaces. When parking a flexible vehicle like this, since each parking space is not assigned to a specific person, the driver finds an unoccupied parking space and roams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creating valuable time, fuel wast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are many cases. In addition, many large parking lots go through extremely inefficient and unsanitary waste processes that employ a lot of parking guide personnel to act as parking assistants in parking lots in harsh environments. This is common. Therefore, if the driver can easily grasp information about the unoccupied parking space, it helps the driver save valuable parking time, waste fuel and improve the environment.

특히, 대형주차장과 같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층의 차량 진입로에서 그 층의 주차 공간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차장 내의 교차로에서 각 방향을 따라 존재하는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인 MIS 주차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이는 복합적인 신호통신 공사로 고가의 비용이 투자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대형 복합 주차장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규모 주차장에서는 고가의 복합적인 MIS 주차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없이도 주차 유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floors such as a large parking lot, it is possible to check how much parking space is left in the vehicle access road of each floor, and also, unoccupied parking existing along each direction at the intersection in the parking lot. It will be equipped with a complex MIS park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that allows the space to be recognized in advance. However, sin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xpensive cost is invested in the complex signal communication construction, there is a limit to the application except in the case of a large complex parking lot. Therefore, a small parking lot requires a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inducing parking without an expensive and complex MIS park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도 1 은 종래의 주차유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arking guidance system.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 공간 (11) 이 확보되어 있다. 각 주차 공간에는 센서 (14) 가 설치되어 각 주차 공간이 차량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각 센서 (14) 에 의하여 수집되는 각 주차 공간 (11) 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 (미도시) 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각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 (13) 를 통하여 표시하여 왔다.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11 are secured in the parking lot. A sensor 14 is installed in each parking space to detect whether each parking space is occupi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cy state of each parking space 11 collected by each sensor 14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e controller has collected the occupancy status information of each parking space and displayed it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

디스플레이 장치 (13) 는 일반적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각 교차로 (12) 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13) 는 제어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수를 표시한다. The display device 13 is generally installed at each intersection 12 through which an entering vehicle can move. The display device 13 displays the number of unoccupied parking spaces existing in each travel dir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따라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주차장 진 입시 또는 교차로에서 주차 공간이 남아있는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하였다. Accordingly, the driver may enter the parking space at the entrance or intersection of the parking lot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종래기술에서는 각각의 주차 공간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하기만 하고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전체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종래기술은, 이와 같이 수집된 MIS 주차정보를 차량의 진행방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운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정보, 예를 들어,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수, 또는 주차장의 도면을 이용하여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식은 운전자가 즉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the sensor installed in each parking space only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parking state of the entire parking space. In the prior art, the MIS parking information thus collected is provided to the drivers in real time through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u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number of unoccupied parking spaces, or The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 of an unoccupied parking space using a drawing of the parking lo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a driver to recognize immediately.

또 다른 기술은 주차 공간에 설치된 센서가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하기만 하고,센서에서 분리된 거리에 주차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전기통신 공사비의 2중 부담과 실시간 통신의 지연을 초래하여 온 문제점이 있다. Another technology is that the sensor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nly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and installs a display device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at a distance separated from the sensor, but this is due to the double burden of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cost and delay of real time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has resulted.

따라서, 운전자가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을 보다 즉각적으로 먼 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더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경제적인 주차유도 시스템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conomical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allows the driver to identify unoccupied parking spaces more quickly and in real time, even at a greater distance.

본 출원의 제 1 실시형태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로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 거리에서도 더욱 확실하고 분명하 게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도 1 과 같은 주차장 통로의 디스플레이 (13) 를 설치하지 않거나 그 설치개소를 줄여 경제적인 시스템을 이루면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가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는, 현재보다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된 주차 유도 장치이다.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parking induction device for inducing parking of a vehicle in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wherein the parking induction device detects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nd the sensor.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more clearly and clearly at a distanc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from the parking space, and does not or does not install the display 13 of the parking lot passage as shown in FIG.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while displaying an economical system by reducing the location, and is an advanced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is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than the present, which displays the parking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또한, 본 출원의 제 2 실시형태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주차 유도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먼 거리에서도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이다.Moreover, 2nd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is a parking guidance system which guides the parking of a vehicle in the parking lot which has a some parking space, Comprising: The sensor which detects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nd the signal from the said sensor. And a parking guide device having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parking induction devic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t is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induces parking of a vehicle by displaying the parking state at a long distance.

또한, 본 출원의 제 3 실시형태는,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서버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Moreover, 3rd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is a park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which provides the parking information of a some parking lot through a terminal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which collects the parking information of a some parking lot.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해당 주차 공간에 설치되는 램프로 주차장내 360도 방향 어디에서나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즉각적으로 주차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 면에서도 복합주차유도시스템을 설치하기가 부담스러운 중소형 주차장의 경우, 센서와 램프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복잡한 주차정보 MIS 시스템이 없이도 운전자가 각각의 주차공간의 점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바,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케 함으로써 본 주차유도시스템을 전국적으로 대중화 가속화 하여 운전자는 주차공간을 찾는데 낭비되는 시간절약, 에너지 절감을 통한 경제생활에 종사하여야 할 귀중한 국민의 시간절약과 국가적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고, 또한, 주차장의 운영자에게는 불필요한 유도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경비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The parking spaces can be clearly identified by the lamps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s in a 360 degree direction in the parking lot,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parking spaces more immediate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sized parking lot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complex parking guidance system in terms of economy, the driver can check the occupancy status of each parking space without the complicated parking information MIS system by installing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ing the sensor and the lamp. By drasticall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this parking guidance system is popularized nationwide, and the driver saves time spent on finding parking spaces, saves valuable time for nationals who need to work in economic life by saving energy, and nationally. Contributing to energy savings,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unnecessary manpower for the operator of the parking lot can reduce the cost effect.

또한, 이러한 경제적인 주차유도 설비를 대형주차장은 물론 중소형 주차장까지 경제성에 의해 대중적 보급을 꾀함으로써 각각의 단위주차장 내부의 주차효율뿐만 아니라 각 주차장 단위의 주차공간 정보를 집약하여 차량에 부착하는 내비게이션, 인터넷, 핸드폰 그리고 도로상에 설치하는 도로교통 정보망 디스플레이와 연계하여 실시간 주차정보를 알림으로써 주차장을 찾아 헤매는 도로상의 차량들을 줄임으로써 더욱 빠른 도시교통 순환에 의한 국가적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음성안내를 통해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is economical parking induction equipment is popularized by economic feasibility not only in large parking lot but also in small and medium sized parking lot. It can contribute to national energy savings by faster urban traffic circula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vehicles on the road searching for parking lots by notifying real-time parking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internet, mobile phone and road traffic information network display installed on the road.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may be provided through voice guidance.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이 개시하고자 하는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시되는 것으로서, 청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exemplarily describing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and the technical spirit to be claime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도 2 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주차 유도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of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일 실시형태에서 각 주차 공간 (26) 에는 차량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24) 와 차량의 점유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25) 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24) 는 주차 공간 (26) 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차량의 상부로부터 1 내지 2 미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 (24) 는 주차 공간 내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이 소정의 시간 동안 주차 공간에 머무르는 경우에 주차 공간이 점유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센서 (24) 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감지 영역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신호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특정의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each parking space 26 is provided with a sensor 24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occupied and a lamp 25 for indicating the occupancy state of the vehicle. The sensor 24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at a position 1 to 2 meters away from the top of the vehicle so as to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26. The sensor 24 may detect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space and generat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when the vehicle stays in the parking spac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nsor 24 may be, for example,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sensor 24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ensor as long as it can determine whether an object exists in the sensing area and display it as a signal.

또한, 각 주차 공간 (26) 에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25) 가 별도로 설치된다. 램프 (25) 는 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주차장 내를 이동중인 차량 안에서도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램프 (25) 는 주차 공간 (26) 의 상부에 설치되어 멀리서도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램프는 가시성이 좋으므로 운전자가 360도 방향 어디에서도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램프 (25) 는 해당하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램프의 색상을 통해 점유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주차 공간이 이미 차량에 의해 점유된 경우에는 적색으로, 해당 공간이 비점유 상태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주차 공간이 차량에 의해 점유된 경우에는 램프를 소등하고, 해당 공간이 비점유 상태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램프의 색상은 시각적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이면 적용 가 능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oreover, the lamp 25 which shows the occupied state of a parking space is separately provided in each parking space 26. The lamp 25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even in a vehicle entering or moving in the parking lot. For example, the lamp 25 is installed above the parking space 26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from a distance. In addition, the lamps have good visibility so the driver can identify them in any 360 degree direction. In addition, the lamp 25 may indicate the occupancy state through the color of the lamp so that the occupancy state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can be easily identified. For example, when the parking space is already occupied by the vehicle, the parking space may be displayed in red, or in green when the space is not occupied. In addition, the lamp may be turned off when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by the vehicle, and may be displayed in green when the space is not occupied. The color of the lamp is applicable as long as the color is easily visually identifiabl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따라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운전자는 해당 주차 공간에 도달하지 않고도 램프의 색상을 통해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램프는 주차장의 진입로에서부터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크고 분명하므로, 운전자는 이를 진입시 또는 이동시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river entering the parking lot can easily check the location of the unoccupied parking space through the color of the lamp without reaching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In addition, the ramp is large and clear enough to be recognized from the driveway of the parking lot,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it when entering or moving.

또한, 센서 (24) 와 램프 (25) 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주차 유도 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센서의 감지 기능과 램프의 표시 기능이 하나로 구성되는 주차 유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센서와 램프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설치비용의 2중 부담 및 배선이나 공간확보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sensor 24 and the lamp 25 may be provided as one parking guidance device without being separated. That is, by providing a parking induction device having a sensor detection function and a lamp display function as one, it solves the problem of double burden of installation cost and wiring or space securing that may occur when the sensor and the lamp are respectively installed. It may be.

도 3 에서는 이와 같이 센서와 램프의 기능을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 (31) 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3 exemplarily shows a parking guidance device 31 including the functions of a sensor and a lamp as described above.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센서부 (33) 를 구비하고 센서부 (33) 의 주변 케이싱은 발광부 (32) 를 구비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장치 (31) 는 각 주차 공간 (26) 에 설치되어 각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감지하고 나아가 주차 공간의 점유여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주차 공간에 주차되는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부 (33) 를 통해 차량의 점유 상태를 감지하고, 그 점유 상태를 발광부 (32) 를 통해 나타낼 수도 있다. 이때, 센서 케이싱 전체를 발광부 (32) 로 만들어 360도 어떠한 방향의 먼 거리에서도 쉽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발광부의 시각적 인식력을 높일 수도 있다. 이 와 같이 두 가지 기능, 즉 센싱기능과 표시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하는 주차 유도 장치 (31) 를 적용시킴으로써, 센서 (24) 및 램프 (25) 간의 신호전달, 배선 체계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may include a sensor portion 33 and the peripheral casing of the sensor portion 33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32.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may be installed in each parking space 26 to detect the occupancy state of each parking space and further display and display whether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to detect the occupancy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unit 33, and indicate the occupancy state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32. have. In this case, the entire sensor casing may be made of the light emitting part 32 so that the sensor casing may be easily viewed at a distance of 360 degrees in any direction, thereby improving visual recognition power of the light emitting part. By applying the parking induction device 31 which implements two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function and the display function as one device,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sensor 24 and the lamp 25, the wiring system, and the like are more efficiently performed. Can manage

또한,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센서와 램프의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주차 공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바, 복합적인 MIS 주차 정보 시스템에 의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설치를 줄이거나 제거하여 시스템 설치가 부담스러운 중소형 주차장의 경우에도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오디오 출력부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주차 상태가 확인되면, 해당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 차량 밖으로 나오는 경우에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구역 번호, 주차 요금 등과 같은 주차 관련 정보들을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를 주차 유도 장치 (31) 에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can easily identify the parking space by using the functions of the sensor and the lamp. The system installation burden is reduced by eliminating or eliminating th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displays by the complex MIS parking information system. Even small and medium sized parking lots can be installed easily.
In addi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When the parking state is confirm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the audio output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by voice. For example, when a driver leaves a vehicle after parking the vehicle, the driver may provide voice-related parking information such as a parking area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and a parking fee. By providing the audio output unit integrally with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can be made easier.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 유도 장치 (31) 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parking guidance system may use only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display device.

주차 유도 장치 (31) 를 사용하여 주차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주차 유도 장치 (31) 자체의 발광부만으로도 비어 있는 주차 공간을 명확하게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MIS 주차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같은 고가의 설비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소형의 주차장과 같이 설치비용에 제약이 많은 경우에는 주차 유도 장치 (31) 만을 설치함으로써, 설치 비용의 절감 및 효과적인 주차 유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Whe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is used to guide parking, an empty parking space can be clearly displayed to the driver only by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itself, such as a complex MIS park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Does not require expensive equipment. Therefore, when installation costs are limited, such as small and medium sized parking lots, by installing only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ive parking guidance effect can be exerted.

또한, 주차 유도 장치 (31) 와 함께 종합적인 주차 안내를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진입로에는 현재 층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21) 는 현재 층의 주차 공간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층 외의 다른 층의 주차 공간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이 진입하기 이전에 현재 층의 주차 공간 상태를 확인하여 운전자가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차장 내의 각 교차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23) 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교차로의 디스플레이 장치 (22, 23) 는 각각의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주차 공간들의 점유 상태를 표시한다. 점유 상태의 표시는 예를 들어, 각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주차 가능 공간의 수를 나타내거나, 주차 가능 공간의 위치를 도면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display means for comprehensive parking guidance together with the parking guidance device 31.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21 which displays the parking state of the current floor may be installed in the driveway of the vehicle. The display apparatus 21 can display the parking space status of the current floor, and can also display the parking space status of other floors other than the current floor. Therefore, before the vehicle enters, the driver checks the parking space state of the current floor so that the driver can select whether to enter. In addition, display devices 22 and 23 may be installed at each intersection in the parking lot. The display devices 22 and 23 of the intersection display the occupancy state of the parking spaces existing in the respective travel directions. The display of the occupied state may indicate, for example,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existing in each travel direction, or may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parking space by using the drawing.

따라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진입 방향에 존재하는 주차 공간의 수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특히, 각 주차 공간에 설치되는 램프의 신호, 예를 들어, 비점유를 나타내는 녹색의 신호를 통해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구체적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river can roughly check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present in the entry direc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in particular, occupies through a signal of a lamp installed in each parking space, for example, a green signal indicating non-occupancy.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unused parking space can be visually confirmed.

도 4 는 본 출원의 주차 유도 장치가 적용되는 각 주차 공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parking space to which 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각 주차 공간의 상부에는 센서부 및 360도 방향의 가시성이 높은 발광부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 (41a 내지 41c) 가 차량의 루프 중앙에 대응하도록 설치 될 수도 있다.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구역의 주차 유도 장치 (41a 및 41c) 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구역의 주차 유도 장치 (41b) 는 녹색으로 표시된다. 차량이 빠져나가면 적색의 주차 유도 장치는 녹색으로 변하여 주차가능 공간임을 표시한다. 주차 유도 장치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램프의 빛을 식별하기 쉬운 위치라면 가능한 것으로서, 도 4 에 개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Parking guidance devices 41a to 41c including a sensor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having high visibility in a 360 degree direction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each parking sp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oof center of the vehicle. Parking guidance devices 41a and 41c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re displayed in red, and parking guidance devices 41b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are displayed in green. When the vehicle exits, the red parking guidance device turns green to indicate that the parking space is available. The specific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arking induction apparatus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and may be a position in which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is easy to identify the light of the lamp, and is not limited to the form disclosed in FIG. 4.

도 5 는 주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각 주차 공간의 센서부 (51) 는 주차 공간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램프부 (52) 와 제어부 (53) 에 각각 전송한다. 램프부 (52) 는 비점유 상태에서는 녹색을 표시하고 있고, 센서부 (51) 로부터 점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적색 신호를 표시한다. 제어부 (53) 는 각각의 센서부 (51) 로부터 점유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데이터 처리한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 (53) 는 주차장의 개별 층의 각각의 주차 공간의 자동차 점유 상태 또는 주차장 전체 층 각각의 주차 공간의 자동차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53) 에서는 각각의 주차 공간에 대한 시간대별 주차 상태, 일, 월, 연별 주차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고, 이에 대한 통계 자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sensor unit 51 of each parking space transmits a signal on whether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to the lamp unit 52 and the control unit 53, respectively. The lamp unit 52 displays green in the non-occupancy state, and displays a red signal when the occupancy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unit 51. The control unit 53 receives the occupation status signal from each sensor unit 51 and processes the data. Through this, the controller 53 may record information on the car occupancy state of each parking space of each floor of the parking lot or the car occupancy state of each parking space of the entire parking lot floo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3 may check the parking status by time zone, the day, month, and yearly parking status for each parking space, and may use statistical data on the parking status.

또한, 제어부 (53) 는 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점유 상태 신호를 종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54) 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각 디스플레이 장치 (54) 의 위치에 따라 그 디스플레이 장치 (54) 가 표시하고자 하는 주차 공간들의 점유 상태 신호를 종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 (54) 를 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53 may aggregate the occupancy status signals input from each sensor and transmit them to the display apparatus 54. That is, the occupancy status signals of the parking spaces to be displayed by the display apparatus 54 may be aggregated and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54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display apparatus 54.

주차 유도 장치와 제어부 사이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일 수도 있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와 제어부 사이의 통신은 단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양방향 통신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주차 유도 장치에 자체 진단 명령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장치는 제어부의 자체 진단 명령어에 따라 주차 유도 장치의 센서부, 발광부, 또는 송수신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복수의 주차 유도 장치 각각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 발광부, 또는 송수신부 중 어느 부분이 오작동 또는 고장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mmunication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self diagnosis command to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may diagnose whether the sensor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or the transceiver of 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is normally operated according to a self-diagnosis command of the controller,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Therefor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lurality of parking induction apparatuses normally operate, and more specifically, determine whether any part of the sensor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or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is malfunctioning or malfunctioning.

주차 유도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각 주차 공간은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스피커에서는 음성 또는 그 밖의 오디오 출력을 통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스피커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각 주차 공간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주차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번호, 해당 주차 공간이 장애인 우선 주차 공간임을 안내하는 정보 등이 될 수도 있고, 주차와 관련되는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어, '주차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또는 '여기는 장애인 주차구역입니다' 와 같은 음성안내, 또는 해당 주차장의 주차 요금 등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정보들일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는 관리실의 마이크와 연결될 수도 있어, 관리실로부터의 전달사항을 출력할 수도 있다.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정보는 이외에도 광범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each parking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The speaker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through voice or other audio outpu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peaker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each parking space, for example, an area numbe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arking space is a disabled first parking space, or the like. Gener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example, voice prompts such as 'Please check the parking location', or 'This is a disabled parking area', or the parking fee of the parking lot. It may be. In addition, the speaker may be connected to the microphone of the management room, it may output the transmission from the management room. The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speaker can include a wide range of contents in addition to the above,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contents.

또한, 스피커는 음성 정보의 제공 이외의 시간에는 음악이나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may perform a function of a general speaker that provides music or guide broadcasting at a time other than providing voice information.

스피커를 통한 음성신호는 해당 주차 공간에 설치된 주차 유도 장치의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받아 제공된다. 즉, 센서부로부터 주차 공간의 점유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하면, 이는 스피커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스피커의 제어부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스피커를 통한 정보의 제공은 램프 빛의 색상의 변화와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고, 램프 빛의 색상 변화 후, 소정의 시간 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차량의 주차를 완료하고 소정의 시간 후에 차량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스피커는 운전자가 차량 밖으로 나오는 시간에 맞춰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센서가 차량의 주차를 확인하는 신호를 스피커 제어부에 전송하는 경우, 스피커 제어부에서는 차량이 정지한 후 운전자가 차량 밖으로 나올 때까지의 일반적인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그 시간 간격 후에 음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나오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신호로 음성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speaker is provided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That is, when a signal indicating the occupancy of the parking space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speaker, and the controller of the speaker controls to provide a voice signal through the speake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speaker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with the change in the color of the lamp light,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hange in the color of the lamp light. For example, the driver may leave the vehicl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parking the vehicle, and the speaker may provide vo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driver leaves the vehicle. When the sensor transmits a signal confirming the parking of the vehicle to the speaker control unit, the speaker control unit may provide voice information after that time interval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time interval from when the vehicle stops until the driver comes out of the vehicle. have. In addition, the driver may detect the movement coming from the vehicle and provide voice information as a signal.

스피커는 주차 유도 장치와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센서부, 발광부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의 주차 유도 장치에 센서, 램프, 스피커를 구비함으로써 공간 활용 및 관리에 보다 효율적일 수도 있다. The speake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parking induction apparatus, or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parking in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sensor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By providing sensors, lamps and speakers in one parking guidance device, it may be more efficient in space utilization and management.

도 6 은 각 주차 공간에서 진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process that proceeds in each parking space.

시작 단계 (600) 에서는 주차 공간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이고 램프의 색은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In the starting step 600, it is assumed that the parking space is not occupied and the color of the lamp is lit green.

단계 (602) 에서는 센서부를 통해 해당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판단한다.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의 판단은 센서부가 감지영역에 존재하는 물체를 소정 시간 이상 감지하는 경우에 점유로 판단한다. 주차 공간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02) 의 센서부를 통한 감지 단계로 돌아가고, 주차 공간의 점유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604) 로 진행한다. 이때, 센서부는 주차 공간의 점유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부는 각 센서부로부터의 주차 공간 관련 신호를 수집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In step 602, the occupancy state of the parking space is determined through the sensor unit. The determination of the occupancy state of the parking space is determined as occupancy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an object present in the detec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f the parking space is not occupi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ensing step through the sensor unit of step 60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proceeds to step 604.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transmit the occupancy signal of the parking space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collect the parking space related signal from each sensor unit and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means.

단계 (604) 에서는 센서부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발광부가 수신하여 램프의 색을 적색으로 변경시킨다. 단계 (604) 와 동시에 또는, 단계 (604) 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 후에 단계 (606) 으로 진행한다. In step 604, the light emitting unit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and changes the color of the lamp to red. At the same time as step 604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step 604, step 606 is reached.

단계 (606) 에서는 주차 공간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음성신호는 해당 주차구역에 관한 정보 또는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일반적 정보일 수도 있다. In step 606, a voice signal is provided through a speaker provided in the parking space. The voice signal provided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or general information that may be provided to the driver.

단계 (608) 에서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판단한다. 점유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608) 의 센서를 통한 감지 단계로 돌아가고, 점유 상태가 아닌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610) 으로 진행한다. 이때, 센서부는 주차 공간의 점유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부는 각 센서부로부터의 주차 공간 관련 신호를 수집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In step 608, the occupancy state of the parking space is determ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n the occupied state, the process returns to the sensing step through the sensor in step 608,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occupied state, it proceeds to step 610.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transmit the occupancy signal of the parking space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collect the parking space related signal from each sensor unit and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means.

단계 (610) 에서는 램프의 색을 녹색으로 변경시키고 단계 (602) 로 돌아간다. 단계 (602) 에서는 상술한 프로세스를 반복하게 된다. Step 610 changes the color of the lamp to green and returns to step 602. In step 602,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일의 주차장에 있어서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과 달리,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 수를 주차장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주차장 외부의 운전자가 주차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Unlike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guides a vehicle to an unoccupied parking space in a single parking lot, the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ransmits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f a plurality of parking lots to a user located outside the parking lot, so that the driver outside the parking lot is allowed. It is a system to induce access to the parking lot where the parking space is secured.

본 출원이 개시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주차장, 복수의 주차장들로부터 각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서버, 및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An embodiment of the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king lots,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collecting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lot from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and a terminal receiving parking information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It may be.

복수의 주차장 각각의 주차 정보의 수집은 상술한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주차 유도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주차장은 복수의 주차 공간을 구비하고, 각각의 주차 공간에는 그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센서는 해당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차장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때, 센서는 상술한 주차 유도 장치 (31) 일 수도 있다. 각 주차장의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여 해당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교통 정보 서버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되는 주차 정보는 주차장의 위치, 주차장의 명칭, 주차 가능한 차량수, 현재 주차되어 있는 차량수, 현재 주차 가능한 차량수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이 외의 해당 주차장에 대한 정보 등이 송신될 수도 있다. 이때, 교통 정보 서버와 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Collection of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may be mad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arking guidance system and 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That is, each parking lo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nd each parking space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occupancy state of the parking space. Each sensor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occupancy state of the parking space to the controller of the parking lot. In this case, the sensor may be the above-described parking guidance device 31. The controller of each parking lot generates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by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s and transmits the parking information to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For example, the parking information transmitted may be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the name of the parking lot,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the number of vehicles that are currently parked,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and the like. May be In this case,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may be mad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교통 정보 서버는 복수의 주차장들로부터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여 종합하고 이들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receives and aggregates parking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and sends thes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도 7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차 정보가 지도 상에 표시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parking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exemplarily illustrates a form in which park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map.

단말기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들 외의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접속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정 접속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a terminal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navigation device, a computer, a mobile phone, or the like, and various other terminals may be used, and the connection method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and is limited to a specific connection method. It doesn't happen.

도 7 의 단말기 (71) 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지역의 지도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도는 도로 정보, 그 지역에 위치하는 건물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을 제공하는데, 도 7 에서는 주차 정보 (72) 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상에 주차장의 위치가 P 와 같은 문자로 표시되고 이와 함께 해당 주차장의 정보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The terminal 71 of FIG. 7 shows a map of the area requested by the user. In general, the map provides roa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located in the area,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FIG. 7 further provides parking information 72.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may be displayed on the map by a letter such as P, an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운전자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을 통하여 목적지 또는 현재 위치 근처의 주차장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 차량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즉, 내비게이션에는 도로 정보와 함께 목적지의 근처, 또는 현재 위치의 근처에 위치하는 주차장의 정보가 표시된다. 주차장 정보의 표시는 내비게이션의 지도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음성으로 또는 영상과 음성 모두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의 인터넷상을 통해 나타내는 지도 서비스에서 주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교통 정보 서버는 인터넷 지도 서비스에 주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인터넷 지도 서비스의 이용시에 해당 지역의 주차장 및 주차 가능 차량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폰을 통하여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휴대폰을 통하여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하는 지역 또는 요청하는 지역 근처에 위치하는 주차장 및 주차 가능 차량수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river may check the locations of the parking lots near the destination or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navigation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may check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in real time. That is, in the navigation, the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located near the destination or near the current position is displayed along with the road information. The display of the parking lo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 map of the navigation, or may be displayed by voice or through both image and voic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parking information in the map service indicated through the Internet of the computer. That is,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provides parking information to the Internet map service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may check the number of parking lots and available parking vehicles in the area when the Internet map service is used. In addition, park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phon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such as the parking lot and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located near the current location or the requested area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through the mobile phone.

도 8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차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기 (82, 83) 를 도로 표지판 (81) 에 설치한 형태를 도시한다. 단말기 (82, 83) 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주차장 방향 및 명칭, 주차가능공간/주차전체공간 (84, 85)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parking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hows a form in which road signs 81 are provided with terminals 82 and 83 indicating parking information. The terminals 82 and 83 display the parking information via the display means, for example, may display the parking lot direction and name, the parking available space / whole parking space 84, 85, and the like.

도 8 의 단말기는 공중에게 주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도로 안내 표지판에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주차 정보 제공만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표지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도로 운전 중에도 해당 지역 근처의 주차장의 위치 및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주차 가능한 주차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다. The terminal of FIG. 8 is a terminal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to the public, and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o a road guide sign or may be installed in a sign provided independently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Therefore, the vehicle driver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near the area and whether the parking lot is available in real time even while driving on the road, thereby more efficiently finding the parking lot available for parking.

또한,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실시예에 개시된 일부 구성의 변형, 치환, 부가 및 그들의 조합이 가능 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도입되는 청구범위들은 본 출원이 개시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모든 변형, 치환, 부가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recognize that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combinations of some of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appended claims are to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combinations thereof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은 종래의 주차유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arking guidance system.

도 2 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주차 유도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2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for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도 3 은 센서와 램프의 기능을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3 shows an exemplary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ing the functions of a sensor and a lamp.

도 4 는 본 출원의 주차 유도 장치가 적용되는 각 주차 공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4 exemplarily shows each parking space to which the parking in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도 5 는 주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도 6 은 각 주차 공간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process in each parking space.

도 7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FIG.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parking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IG.

도 8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parking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laims (18)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로서, A parking guidance device for inducing parking of a vehicle in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발광부; 및 A light emitting unit displaying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된 구역의 주차 구역 정보, 주차 요금 정보, 장애인 주차면 여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주차 공간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하고,Whe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the vehicle includes one or more of parking zone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disabled parking surface of the parked area. An audio output unit for providing audio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고,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to display the parking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주차 공간에 주차가 완료되는 때에, 상기 주차 공간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유도 장치.And the audio output unit provides voic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when the parking is completed in the parking sp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발광부는, 360 도 방향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주차 유도 장치. And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arking guide device is displayed so as to be distinguishable in a 360 degre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차 유도 장치 외부의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unit outside the parking guidance device,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의 제어부로 전송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to the external control unit via the transceiv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의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외부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induction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the external control unit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to diagnose whethe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broken, and transmits the diagnosis result to the external control unit.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송수신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차 유도 장치와 상기 외부의 제어부를 연결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parking guide device and the external control unit via a wireless network, parking guidanc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부인, 주차 유도 장치.The sensor unit is a parking guidance device, ultrasonic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태양전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주차 유도 장 치.The parking induction device is powered by a solar cell, a parking induction device.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A parking guidance system for inducing parking of a vehicle in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발광부; 및A light emitting unit displaying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오디오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포함하고, A parking induction device having an audio output means,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여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고,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to display the parking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to induce parking of the vehicle,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오디오 출력수단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주차 공간에 주차가 완료되는 때에, 상기 차량이 주차된 구역의 주차 구역 정보, 주차 요금 정보, 장애인 주차면 여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주차 공간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When the audio output means of the parking induction apparatus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confirms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when parking is completed in the parking space, parking is performed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 parking guidance system for providing voice information for the parking space, including one or more of zone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a disabled parking surface is available.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A parking guidance system for inducing parking of a vehicle in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주차 유도 장치; 및 A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nd a light emitting unit display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오디오 출력수단을 포함하고,An audio output means,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여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고,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to display the parking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to induce parking of the vehicle,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은 상기 주차 유도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주차 공간에 주차가 완료되는 때에, 상기 차량이 주차된 구역의 주차 구역 정보, 주차 요금 정보, 장애인 주차면 여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주차 공간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When the audio output means receives a signal from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confirms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when parking is completed in the parking space, parking zone information and parking fee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 parking guidance system for providing voic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disabled parking.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발광부는, 360 도 방향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And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dentifiable in a 360 degree direction.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각각의 상기 주차 유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And 상기 제어부로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들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고,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based on the signal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차량의 이동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경로의 진행방향에 따라 존재하는 주차 공간들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The display means is one or more is installed along the movement route of the vehicle, parking guidance system for displaying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existing parking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vement route. 복수의 주차장에 대한 종합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A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comprehensive parking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arking lots, 상기 복수의 주차장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주차장 각각의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청구범위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주차 유도 시스템;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claim 9 or 10,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and collecting park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상기 복수의 주차 유도 시스템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차장 각각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교통 정보 서버; 및A traffic information server that receives park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systems; And 상기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A terminal for receiving park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복수의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주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기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장에 대한 주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collects parking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the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systems and provides the collected park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o that the parking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al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컴퓨터 또는 휴대폰인,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The terminal is a navigation, computer or mobile phone,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단말기는,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거나,On the map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to display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arking,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through a voice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or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고 음성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displaying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 on the map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and provides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 through a voice.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단말기는, 도로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 중에서 상기 도로 주변에 위치하는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The terminal is a display means provided on the road, the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displaying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located around the road among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기존의 교통안내 표지판에 설치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The display means is installed in the existing traffic information sign, par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복수의 주차 유도 시스템, 상기 교통 정보 서버, 및 상기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And said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systems, said traffic information server, and said terminal communicate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KR1020080090039A 2008-09-11 2008-09-11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KR100930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039A KR100930477B1 (en) 2008-09-11 2008-09-11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039A KR100930477B1 (en) 2008-09-11 2008-09-11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729A KR20080096729A (en) 2008-11-03
KR100930477B1 true KR100930477B1 (en) 2009-12-09

Family

ID=4028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039A KR100930477B1 (en) 2008-09-11 2008-09-11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47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364A (en) 2015-02-03 2016-08-11 장성민 Parking tracker
KR20170000112A (en) 2015-06-23 2017-01-02 (주)모가씨앤디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control machine with basing placement
KR20180108306A (en)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메인시스 Parking Guidance System,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72684B2 (en) 2015-06-29 2024-04-30 Eco Parking Technologies, Llc Lighting fixture data hubs and systems and methods to use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24B1 (en) * 2011-03-10 2012-06-26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by parking guidance System
CN105513363A (en) * 2016-02-04 2016-04-20 郑州职业技术学院 Intelligent guiding system for parking lot
KR101961429B1 (en) * 2016-10-14 2019-07-17 (주)티아이에스 정보통신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CN108470465A (en) * 2018-03-14 2018-08-3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Parking lot intelligent guidance system
KR102202328B1 (en) * 2020-03-27 2021-01-12 차성환 Parking detection senso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451Y1 (en) * 2006-09-08 2006-12-21 에이앤디테크놀러지(주) Parking guidance device
KR20070033179A (en) * 2005-09-21 2007-03-26 주식회사 케이티 Total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70035782A (en) * 2005-09-28 2007-04-02 안라연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ensor network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179A (en) * 2005-09-21 2007-03-26 주식회사 케이티 Total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70035782A (en) * 2005-09-28 2007-04-02 안라연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ensor network and system thereof
KR200434451Y1 (en) * 2006-09-08 2006-12-21 에이앤디테크놀러지(주) Parking guidanc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364A (en) 2015-02-03 2016-08-11 장성민 Parking tracker
KR20170000112A (en) 2015-06-23 2017-01-02 (주)모가씨앤디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control machine with basing placement
US11972684B2 (en) 2015-06-29 2024-04-30 Eco Parking Technologies, Llc Lighting fixture data hubs and systems and methods to use the same
KR20180108306A (en)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메인시스 Parking Guidance System,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729A (en) 200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477B1 (en)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US9761136B2 (en) Methods and software for managing vehicle priority in a self-organizing traffic control system
CN101540112B (en) Parking position guidance system and parking position guidance method
CN103745616B (en) Truck system is sought in a kind of garage stall navigation
CN202394383U (en) Intelligent perception system for passenger transpor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4157164A (en) Parking guidance system
CN105096653A (en) Parking guidance method and parking guidance system
JP2008146652A (en) Intelligent parking guide device and method
KR20100018636A (en) Parking guidance man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58708B1 (en)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CN107886756B (en) Intelligent guiding method for parking path in yard
KR100697320B1 (en)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40008966A (en) Parking sharing system for maximum use of parking spaces
KR201700704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king guidance using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CN107230376B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110003888A (en) Parking guiding system using zigbee and method thereof
CN211015903U (e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100074747A (en) Park managing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
JP2002150467A (en) Detection method for traffic conditions
KR200448715Y1 (en) Elevator for informing of a location of parked vehicle
KR100470605B1 (en) Traffic information sensing method using gps
CN213042453U (en) Parking guidance system in parking lot based on visual identification technology
JP4301603B2 (en) How to provide car parking information
KR101754180B1 (en) Wireless car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LPWAN
TW202217736A (en) Dynamic dispatch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