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415B1 - 유체 흐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흐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415B1
KR100929415B1 KR1020070084478A KR20070084478A KR100929415B1 KR 100929415 B1 KR100929415 B1 KR 100929415B1 KR 1020070084478 A KR1020070084478 A KR 1020070084478A KR 20070084478 A KR20070084478 A KR 20070084478A KR 100929415 B1 KR100929415 B1 KR 100929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path
flow
elastic diaphragm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064A (ko
Inventor
윤영수
Original Assignee
윤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수 filed Critical 윤영수
Priority to KR102007008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4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3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measured by means of a movable element, e.g. diaphragm, piston, Bourdon tube or flexible capsu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0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흐름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단이 순환관로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 및 제1유로의 중간에서 분기하여 순환관로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출되는 제2유로를 갖는 바디와, 바디의 제1유로 타단을 폐쇄하며 그 중심방향으로 작동구멍을 갖는 엔드캡과, 바디의 제1유로 타단과 엔드캡 간에 개재되는 탄성다이어프램과, 엔드캡의 작동구멍에 끼워져 선단이 탄성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프루브를 가지고 고정접점과 이격되도록 탄성다이어프램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는 검출스위치와, 바디의 제1유로에 삽입되어 유체의 흐름 여부에 따라 이동하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다이어프램을 변형시켜서 검출스위치의 가동접점을 밀어 고정접점과 접속시키는 검출코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체가 일정경로를 순환하면서 소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에서, 유체가 관로를 따라 순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그 감지결과에 따라 유체순환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각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불순환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유체, 흐름, 흐름감지, 검출스위치, 순환유체

Description

유체 흐름 감지장치{Device for sensing flow of fluid}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동작 중 냉각수를 필요로 하는 기계가공장치나 수족관 등과 같이 수온을 일정온도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각수의 순환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각종의 장치 등에서 유체의 흐름(순환) 여부를 감지하여 유체의 불순환(不循換)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유체 흐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송에는 관로(pipe line)가 이용되고 있으며, 자연적인 위치에너지를 활용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그 이송은 펌프에 의해 강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는 관로에 밸브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그 유량을 조절하거나 관로를 개폐하여 유량의 이송/차단을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나, 유체의 사용목적이나 유체이송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의 특성 등에 따라 단순하게 일정경로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소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와이어커팅머신(wire cutting machine), 사출성형기 등과 같은 기계가공장치는 가공 중 상당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충격에 의한 피가공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냉각수는 단순히 상온의 유체가 이용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확실한 냉각을 위해 별도의 냉각장치를 이용, 냉각수를 일정온도 이하로 강제 냉각시켜서 공급한다.
이때 사용되는 냉각수는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폐회로로 이루어진 일정한 순환라인을 따라 펌프에 의해 순환되면서 순환도중 냉각장치에 의해 적절히 냉각된다.
또한, 위와 같은 기계가공장치 외에도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0-0009260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활어(活魚)를 저장 보관하기 위한 활어조(일명 수족관)의 경우에도 수온을 활어의 생존에 적합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활어조의 물을 펌프로 순환시키면서 순환라인 중간에서 냉각장치로 물을 냉각시켜 공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계가공장치의 냉각수나 활어조내의 물은 펌프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온도센서를 통한 수온에 따라 냉각장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컨대 펌프의 고장으로 물(냉각수)의 순환장애, 특히 물이 순환되지 않는 경우 장치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펌프는 자체 결함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예컨대 냉각수에는 순환도중 여러 가지 불순물(가공 칩 등의 이물질)이 다량 포함될 수 있어 장시간 경과할 경우 펌프의 압송능력이 크게 떨어지거나 심한 경우 작동이 멈출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냉각수는 순환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냉각장치가 계속 작동하여 관로의 결빙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관로 결빙이 발생되면, 해빙의 조치를 취하더라도 대개는 관로의 파손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발하기 때문에 장치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각종 기계가공장치의 냉각수나 활어조장치 등에서와 같이 유체가 일정경로를 순환하면서 소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에서, 유체가 관로를 따라 순환(흐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라 유체순환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각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불순환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유체 흐름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관로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는 유체 흐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유체 흐름 감지장치는, 유체순환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장치에서 유체가 순환관로를 따라 이송(흐름)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체 흐름 감지장치로서,
일단이 순환관로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와, 이 제1유로의 중간에서 분기하여 순환관로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출되는 제2유로를 갖는 바디(body); 바디의 제1유로 타단을 폐쇄하며, 제1유로의 중심방향으로 작동구멍을 갖는 엔드캡(end cap); 바디의 제1유로 타단과 엔드캡 간에 개재되는 탄성다이어프램(elastic diaphragm); 엔드캡의 작동구멍에 끼워져 선단이 탄성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프루브(prove)를 가지고 고정접점과 이격되도록 탄성다이어프램 쪽으로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는 검출스위치; 바디의 제1유로에 삽입되어 유체의 흐름 여부에 따라 이동하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다이어프램을 변형시켜서 검출스위치의 가동접점을 밀어 고정접점과 접속시키는 검출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바디의 제1유로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검출코어를 수용하는 내부관이 더 구비되고, 이 내부관은 제1유로의 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대경부와, 이 대경부의 상단에서 제1유로의 지름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연장되면서 둘레에 복수의 유로구멍을 갖는 소경부로 이루어지며, 소경부는 제2유로의 유출방향 반대쪽으로 편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검출코어가 양자간에 압축코일스프링을 개재하여 서로 이격되는 2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유체 흐름 감지장치에 의하면, 유체가 일정경로를 순환하면서 소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에서, 유체가 관로를 따라 순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그 감지결과에 따라 유체순환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각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불순환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 흐름 감지장치는 순환관로에 직접 연결되므로 유체의 흐름여부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여 관로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유체순환구조를 채용한 제품(장치)의 동작의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유체 흐름 감지장치의 구체적인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체 흐름 감지장치는, 유체의 순환관로(P)에 연결되는 바디(10)와, 후술한 바디(10)의 제1유로(11) 상단을 폐쇄시키는 엔드캡(20)과, 바디의 제1유로(11) 상단과 엔드캡(2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다이어프램(30)과, 바디(10)의 제1유로(11)에 삽입되어 유체의 흐름 여부에 따라 승강하면서 탄성다이어프램(30)을 선택적으로 변형시키는 검출코어(40)와, 엔드캡(20)의 상측에서 탄성다이어프램(30)의 변형에 의해 작동되는 검출스위치(50) 및 바디(10)와 검출스위치(50)를 부착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base:60)로 구성된다.
바디(10)는 중심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이 순환관로(P)에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11)와, 이 제1유로(11)의 중간에서 제1유로(11)의 중심과 일정각도,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도록 분기되어 순환관로(P)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출되는 제2유로(12)를 갖는다.
바디(1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T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디(10)의 재질은 금속이든 경질 합성수지든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제1유로(11)의 양단 외주와 제2유로(12)의 선단부 외주에는 순환관로(P)와 소켓(socket:S) 등으로 연결하기 위한 나사(13)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바디(10)는 단독으로 순환관로(P)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예를 들어, U밴드(70) 등과 같은 결속수단에 의해서 베이스(60)에 스크루(screw:71)로 단단히 고정된다.
바디(10)는 단순히 공지의 T형 파이프로만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이 경우 제1유로(11)에 수용되어 승강하는 검출코어(40)가 커지고 그에 따라 제1유로(11)의 길이도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 바, 바람직기로는 제1유로(11)에 검출코어(40)를 수용하는 별도의 내부관(14)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후술하는 검출코어(40)의 설명에 상술되어 있다.
내부관(14)은 외경의 지름이 제1유로(11)의 지름에 대응되게 구성되어 제2유로(12)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유로(11)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대경부(大徑部:14a)와, 이 대경부(14a)의 상면에서 제1유로(1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외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면서 둘레에 복수 개(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유로구멍(15)을 일정각도(약 90°) 간격으로 갖는 소경부(小徑部:14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유로구멍(15)을 갖는 소경부(14b)는 유체가 제1유로(11)와 직교하는 제2유로(12)로 보다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중심이 대경부(14a)의 중심에 대해 일정간격 편심되어 소경부(14b)의 편심방향 쪽 외면이 대경부(14a)의 외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내부관(14)은 상단이 바디(10)의 제1유로(11) 상단과 일치하도록 조립된다.
한편, 도5에는 내부관(14)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소경부(14b)가 대경부(14a)와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T형 바디(10)의 제1유로(11)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엔드캡(20)의 작동구멍(21)이 그 회전중심에 형성될 수 있어 조임 정도에 관계없이 후술한 검출스위치(50)의 프루브(54)가 항시 작동구멍(21)내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엔드캡(20)은 탄성다이어프램(30)을 개재하여 바디(10)의 제1유로(11) 상단 외주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바디(10)의 제1유로(11)를 외부와 기밀상태로 차폐시킨다.
엔드캡(20)에는 제1유로(11), 바람직하기로는 제1유로(11)에 조립된 내부관(14)의 소경부(14b)와 동심을 이루도록 작동구멍(2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이 작동구멍(21)의 하단 모서리, 즉 탄성다이어프램(30)에 접촉하는 작동구멍(21)의 모서리는 검출코어(40)의 상승에 의한 탄성다이어프램(30)의 용이한 변형을 허용하도록 라운드 또는 모떼기 처리된다.
탄성다이어프램(30)은 엔드캡(20)과 함께 바디(10)의 제1유로(11) 상단을 기밀하게 차폐시킴과 동시에 유압에 의한 검출코어(40)의 상승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예를 들어 일정두께의 고무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코어(40)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ball)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볼의 경우 유체에 의한 이동이 원활함은 물론이고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임의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되어 내부관(14)의 내주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검출코어(40)는 내부관(14)의 유체 유입구 부근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걸림핀(42)에 의해 내부관(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한편, 검출코어(40)는 1개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양자간에 압축코일스프링(41)을 개재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검출코어(40)의 수효는 바디(10)의 제1유로(11) 길이, 정확히는 제2유로(12) 상측에 위치하는 제1유로(11)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바디(10)가 내부관(14) 없이 단독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검출코어(40)를 1개만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디(10)가 내부관(14)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제2유로(1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그 유로구멍(15)의 상측 길이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기 쉬운 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탄성다이어프램(30)의 변형을 위해 2개의 검출코어(40)가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검출코어(40)는 순환관로(P)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다이어프램(30)을 변형시키게 되는데, 여러 요인에 의해 유체의 압력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 경우 검출코어(40)가 탄성다이어프램(30)을 충분히 변형시키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후술하는 검출스위치(50)의 프루브(54)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해 검출불량이 야기될 수 있는 바, 유체의 압력변화에 관계없이 탄성다이어프램(30)을 항상 충분히 변형시킬 수 있도록 2개의 검출코어(40)를 양자간에 압축코일스프링(41)을 개재하여 구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압축코일스프링(41)의 탄성은 탄성다이어프램(30)의 탄성보다 크 고, 순환 유체의 최소압력(작동 중 발생되는 압력변동의 최소치)보다 작게 구성함과 함께, 압축코일스프링(41)의 변형 전 2개의 검출코어(40)의 양 끝간 길이가 내부관(14)의 상단에서 유로구멍(15)간의 거리보다 일정길이 길게 구성함으로써 유체의 순환 중에는 압축코일스프링(41)이 일정량 압축된 상태로 있게 한다.
검출스위치(50)는 엔드캡(20)의 상측에 근접되도록 베이스(60)에 스크루(61)로 단단히 체결된다. 검출스위치(50)는 하우징(housing:51)의 내부에 고정접점(52)과 가동접점(53)을 갖는다.
가동접점(53)은 엔드캡(20)의 작동구멍(21)에 삽입되어 그 선단(하단)이 탄성다이어프램(30)에 접촉하는 프루브(54)를 하우징(51)의 외부로 돌출되게 가지며, 스프링(55)에 의해 고정접점(52)과 이격되도록 하방(탄성다이어프램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이러한 검출스위치(50)는 검출한 감지신호를 유체순환구조를 갖는 장치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하여 해당 장치의 제어부가 그 동작여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릴레이를 개재하여 해당 장치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유체 흐름 감지장치의 작동에 대해 도4a 및 도4b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4a는 유체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바디(10)가 수직으 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코어(4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그 내부관(14)의 하단부에서 걸림핀(42)에 걸려 있게 된다.
이 경우 검출스위치(50)는 아무런 신호도 송출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장치의 제어부가 정지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스위치가 차단되어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를 경우에는, 바디(10)의 제1유로(11) 하부로 유입된 유체의 이송압력에 의해 내부관(14)의 하부에 위치하던 검출코어(40)가 상승하여 하측 검출코어(40)가 그 소경부(14b) 둘레에 형성된 유로구멍(15)들을 지나 내부관(1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관(14)의 유로구멍(15)들이 개방되어 유체가 제2유로(12)를 통해 빠져나감으로써 유체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2개의 검출코어(40) 중 상부의 검출코어(40)는 바디(10)의 제1유로(11)와 내부관(14)의 상단을 밀폐하고 있는 탄성다이어프램(3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는데, 2개의 검출코어(40) 사이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41)의 탄성이 탄성다이어프램(30)의 탄성보다 크므로 검출코어(40)가 탄성다이어프램(3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다이어프램(30)의 중앙부위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된다.
그러면, 탄성다이어프램(3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던 프루브(54)가 검출코어(40)의 상승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프루브(54)의 상단에 구비된 검출스위치(50)의 가동접점(53)이 스프링(55)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여 고정접점(52)과 접속된다.
따라서, 검출스위치(50)가 통전(ON)되어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게 되고, 이 검출스위치(50)의 통전에 따라 유체순환구조를 갖는 장치의 제어부나 스위치는 장치의 작동을 허용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코일스프링(41)이 변형되기 전 2개의 검출코어(40) 양 끝간의 길이가 내부관(14)의 상단에서 유로구멍(15)간의 길이보다 크고 압축코일스프링(41)의 탄성이 유체의 이송압력보다 작은 바, 검출코어(40)가 유체의 이송압력에 의해 상승할 때 하부 검출코어(40)는 압축코일스프링(41)을 일정길이만큼 압축시키면서 상승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검출코어(40)는 유체의 이송압력에 압축코일스프링(41)의 탄성이 더해진 힘으로 탄성다이어프램(30)을 강하게 밀어 변형시키게 됨으로써 프루브(54)를 확실히 상승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체에 압력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압축코일스프링(41)에 저장된 탄력에 의해 항상 탄성다이어프램(30)을 충분히 변형 유지시킬 수 있어 유체의 흐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5에는 유체순환구조를 채용하는 장치의 일례로서 활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유체 흐름 감지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활어조(C)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로(P)와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M)의 이상으로 유체가 순환되지 않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검 출스위치(50)의 통전신호가 없으므로 냉각장치(E)의 작동을 중지시켜 결빙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유체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면 내부관(14)의 상부로 상승한 검출코어(40)에 의해 검출스위치(50)가 통전됨으로써 냉각장치(E)의 가동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활어조(C)의 물의 흐름(순환)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냉각장치(E)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여러 요인에 의한 유체의 불순환으로 발생되는 결빙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5에서, 나머지 부호 F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디(10)의 제1유로(11)가 상하방향으로 놓이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바람직한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유로(11)가 수평 또는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유체 흐름 감지장치는 예를 들어, 와이어커팅머신, 사출성형기 등의 각종 기계가공장치에서의 냉각수 순환구조나 또는 활어조장치와 같이 수온유지를 위해 물을 순환 냉각시키는 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그에 따라 장치의 구동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외에도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 흐름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유체 흐름 감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3은 도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 유체 흐름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5는 본 발명의 내부관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 유체 흐름 감지장치가 활어조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디 11: 제1유로
12: 제2유로 13: 나사
14: 내부관 14a: 대경부
14b: 소경부 15: 유로구멍
20: 엔드캡 21: 작동구멍
30: 탄성다이어프램 40: 검출코어
41: 압축코일스프링 42: 걸림핀
50: 검출스위치 51: 하우징
52: 고정접점 53: 가동접점
54: 프루브 55: 스프링
60: 베이스 61: 고정나사
70: U밴드 71: 고정나사
P: 관로 S: 연결소켓

Claims (5)

  1. 유체순환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장치에서 유체가 순환관로를 따라 이송(흐름)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체 흐름 감지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순환관로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와, 이 제1유로의 중간에서 분기하여 상기 순환관로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유출되는 제2유로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제1유로 타단을 폐쇄하며, 제1유로의 중심방향으로 작동구멍을 갖는 엔드캡;
    상기 바디의 제1유로 타단과 엔드캡 간에 개재되는 탄성다이어프램;
    상기 엔드캡의 작동구멍에 끼워져 선단이 상기 탄성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프루브를 가지고, 고정접점과 이격되도록 상기 탄성다이어프램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는 검출스위치;
    상기 바디의 제1유로에 삽입되어 유체의 흐름 여부에 따라 이동하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다이어프램을 변형시켜서 검출스위치의 가동접점을 밀어 고정접점과 접속시키는 검출코어;
    상기 제1유로의 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대경부와, 이 대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유로의 지름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연장되면서 둘레에 복수의 유로구멍을 갖는 소경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검출코어를 수용하고, 상기 바디의 제1유로에 기밀하게 삽입되는 내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감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소경부가 그 대경부에 대해 상기 제2유로의 유출방향 반대쪽으로 편심되게 위치되어, 그 편심방향 쪽 외면이 상기 대경부의 외면과 동일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코어가 양자간에 압축코일스프링을 개재하여 서로 이격되는 2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T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감지장치.
KR1020070084478A 2007-08-22 2007-08-22 유체 흐름 감지장치 KR100929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478A KR100929415B1 (ko) 2007-08-22 2007-08-22 유체 흐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478A KR100929415B1 (ko) 2007-08-22 2007-08-22 유체 흐름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64A KR20090020064A (ko) 2009-02-26
KR100929415B1 true KR100929415B1 (ko) 2009-12-03

Family

ID=4068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478A KR100929415B1 (ko) 2007-08-22 2007-08-22 유체 흐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607B1 (ko) * 2017-02-24 2019-03-07 이동민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KR102062747B1 (ko) * 2017-09-05 2020-01-06 이동민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64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9096B (zh) 水泵自动控制装置
KR100929415B1 (ko) 유체 흐름 감지장치
KR101686591B1 (ko) 오링 삽입 장치
AU2017204631A1 (en) Liquid Gas System
US78214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parts in an assembly fixture
KR20160119132A (ko)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의 서버 트레이
KR200417688Y1 (ko) 수분지시계가 일체로 형성된 볼밸브
CN107763422B (zh) 一种油流开关及带有其的制冷系统的润滑系统
US20020185363A1 (en) In-line flow switch using magnetic forces
CN105605021B (zh) 阀组以及阀组的入口模块
US9587973B2 (en) Fluid reservoir level detection system
US20200224679A1 (en) State determination device of liquid pumping apparatus, and liquid pumping apparatus
KR101056147B1 (ko)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JP7001435B2 (ja)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
JP2008208965A (ja) 逆止弁およびポンプ装置
JP2007220897A (ja) ベローズポンプ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処理装置
CN209387101U (zh) 一种智能水位报警器检测装置
KR101374262B1 (ko) 열교환기의 스케일 생성방지 기능을 갖는 오일 온도조절 시스템
US5103859A (en) Float chamber
KR101708425B1 (ko) 슬림 매트용 역류 방지캡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2309684B1 (ko)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KR100831999B1 (ko) 무격막식 압력탱크장치
US10500595B2 (en)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 filters
KR101077059B1 (ko) 블래더 파손 감지 기능을 갖는 격막식 압력탱크를 이용한 배관 시스템
CN218916793U (zh) 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