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888B1 -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888B1
KR100928888B1 KR1020070113582A KR20070113582A KR100928888B1 KR 100928888 B1 KR100928888 B1 KR 100928888B1 KR 1020070113582 A KR1020070113582 A KR 1020070113582A KR 20070113582 A KR20070113582 A KR 20070113582A KR 100928888 B1 KR100928888 B1 KR 10092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ultimedia
call connection
cal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643A (ko
Inventor
박세호
김영찬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스피커의 출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됨에 따라 스피커의 높은 출력 레벨로 인하여 발신자가 깜짝 놀랄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통화연결 컨텐츠,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 방법{TERMINAL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 및 음성을 통화연결 중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나아가,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한편, 최근 통신 단말기의 착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음이 상대방 발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 전화기에서 링백톤(RBT: Ring Back Tone)을 대체하여 들리도록 하는 음성형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음성형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착신자가 지정한 음원을 발신자에게 제공한다는 서비스 개념으로, 기 존의 통화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통화연결음, 예컨대 "뚜우 뚜우"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이고 새소리, 물소리 등을 비롯하여 미리 녹음해 둔 자신의 목소리까지도 음성형 통화연결음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음성형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발신자는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링백톤을 청취하는 대신 착신자가 지정한 음원의 소리를 청취함으로써 청각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와는 별개로 페이징(Paging) 수신 시에 발신자가 지정한 애칭 등의 텍스트 정보를 착신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발신자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발신자 정보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발신자는 자신의 애칭 등과 같이 착신자에게 표시하고자 하는 발신자 정보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받는다.
근래에는 통신망과 단말기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 등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련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며, 가입자들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음성형 통화연결음 서비스와 발신자 정보 서비스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추세를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써 통화연결음 서비스와 발신자 정보 서비스에 있어서도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접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의 과제가 부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새로운 기술 개발의 과제에 의한 연구 개발의 노력으로부터 산출된 것으로서,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통화연결 중에 제공하는 서비스와 발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페이징 수신 시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착신자 또는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 및 음성을 통화연결 중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는, 착신 또는 발신 호의 처리 도중에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착신 또는 발신 호의 처리 도중에 구동되어 상기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가 상기 호의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상기 호의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구분 정보에 의거해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향에 대하여 상기 스피커로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되 상기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보다 상기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를 저출력으로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구분 정보는 다운로드한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함께 전송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착신 또는 발신 호의 처리 도중에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가 상기 호의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상기 호의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구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향에 대하여 스피커로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되 상기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보다 상기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를 저출력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구분 정보는 다운로드한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함께 전송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 및 음성을 통화연 결 중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 특히 발신자 지정에 의거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와 착신자 지정에 의거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때에 스피커의 출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됨에 따라 스피커의 높은 출력 레벨로 인하여 발신자가 깜짝 놀랄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서비스는 물론이고 유선 통신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통신 서비스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 및 음성을 통화연결 컨텐츠로 제공하는 서비스, 즉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교환기 쪽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전송하기보다는 단말기에 전용 플레이어를 탑재한 후에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통신망의 자원운용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며, 전용 플레이어는 발신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착신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모두 재생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단말기의 코스트(cost)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단말기에 탑재된 전용 플레이어가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영상은 액정표시창 등과 같은 영상표시수단을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음성은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의 출력 모드는 "귀에 대고 통화하는 환경 모드"와 "귀에 대지 않고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를 가진다.
이러한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대부분의 단말기는 음성통화를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음성통화는 유선전화이래 현재까지 귀에 수화기를 대고 듣는 것이기 때문에 단말기의 통화중 음량, 송출방향 등도 그 환경에 접합하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발신할 때 제공되는 통화연결음 음원과 통화중 말에서부터 제공되는 안내방송(예로서, 전원이 꺼져 있습니다, 해외 사용중인 고객에게 통화료가 부과됩니다 등), 상대방의 음성을 포함하여 모든 음성/음향을 수화기를 귀에 대고 사용한다는 가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계에 의한 단말기의 출력 모드가 "귀에 대고 통화하는 환경 모드"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 단말기는 게임 VM(Virtual Machine), MP3(MPEG Audio Layer-3)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기능을 갖게 되는데, 보통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서 발생하는 음향은 기존의 음성통화와는 환경을 달리하여 귀에 대고 듣는 상태가 아니라 화면을 보거나 주머니에 넣은 상태 등에서 음성/음향을 출력하여 원거리의 "귀"에 도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상 이런 경우 단말기는 음성통화시 통신망의 교환기 쪽에서 전달되는 통화음성, 통화연결음 등의 출력과 구분하여 스피커의 출력 레벨을 높여 준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의한 단말기의 출력모드가 "귀에 대지 않고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인 것이다.
아울러, 단말기의 통상적인 출력 특성을 살펴보면 통신망을 통해 교환기나 서버에서 보내져 수신되는 음성/음향은 "귀에 대고 통화하는 환경 모드"로 출력되고, 게임이나 음악 파일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성/음향은 "귀에 대지 않고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로 출력된다. 따라서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Wireless)나 국내 표준 단말 플랫폼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출력을 발생시킬 경우에는 "귀에 대지 않고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로 출력된다. 즉 교환기 음원은 "귀에 대고 통화하는 환경 모드"로 출력 경로가 결정되고, 기타 음원은 "귀에 대지 않고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로 출력 경로가 결정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음성형 통화연결음은 교환기 쪽에서 재생되어 단말기로 전송되기에 단말기에서 "귀에 대고 통화하는 환경 모드"로 출력되므로 발신자가 발신 직후에 단말기(수화기)를 귀에 밀착시키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통화연결 컨텐츠로 제공할 때에 단말기에 탑재한 전용 플레이어가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도록 구현하면 단말기의 출력 경로가 "귀에 대지 않고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로 결정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데 발신자가 발신 직후에 단말기(수화기)를 귀에 밀착시키게 되면 스피커의 높은 출력 레벨로 인하여 깜짝 놀랄 수 있는 등의 불편함이 예상된다. 이는 발신자 입장에서는 착신자가 음성형 통화연결음을 설정한 상태인지 아니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를 설정한 상태인지를 분별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스피커의 출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에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가 포팅된 단말기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는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가입 및 등록 관련 절차를 처리하거나, 착신 음성 호 또는 발신 음성 호 처리 도중 데이터 호 설정을 하는 동작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도시 생략됨)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COMO사의 i-Mod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하는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02), 디스플레이부(104), 프로그램 저장부(106), 모드 상태 저장부(108), 카메라부(110), 제어부(112), 디지털 신호 처리부(114), 베이스밴드 변환부(116), RF 신호 처리부(118), 안테나(120), 스피커(122), 마이크로폰(124) 등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02)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설정을 위해 상대방과 서비스 대상, 컨텐츠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키 입력부(102)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4)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 설정을 위한 메뉴 항목 및 상대방의 화면으로 서비스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06)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플래시 메모리에는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 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등이 저장되어 있고 이들 프로그램은 RAM으로 로딩(Loading)되어 구동된다.
또한, 프로그램 저장부(10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등록/수정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는 WIPI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 및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교환기로부터 컨텐츠 주소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토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데,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지 아니면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구분 정보 또는 음성 출력 방향을 나타내는 출력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스피커(122)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 상태에 따라 스피커(122)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로서,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발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발신대기 상태)이므로 스피커(122)의 출력을 "귀에 대고 통화하는 환경 모드"로 제어하여 발신자가 놀라지 않을 정도의 낮은 출력 레벨로 재생하며,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착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착신벨 재생 상태)이므로 스피커(122)의 출력을 "귀에 대지 않고 멀티 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로 제어하여 주머니 등에 넣은 상태 등에서 음성/음향을 높은 출력 레벨로 재생하여 원거리의 "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108)는 키 입력부(102)에 의해 선택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예컨대, 0, 1, 2,...)로 저장한다. 즉, 제어부(11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대기 모드, 발신 모드, 검색 모드, 통화 모드, 일반 착신 모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발신 모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착신 모드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108)를 갱신한다. 아울러 모드 상태 저장부(108)는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시에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로 출력할 때에 각각의 모드에 맞추어진 출력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출력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02)를 통해 직접 입력한 정보에 의거하여 설정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 상태에 따라 설정된다.
카메라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사진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컨트롤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카메라 모듈은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타입의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CCP: Camera Control Processor)의 제어를 통해서 피사체에 대한 정지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 컨트롤 프로세서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 카메라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 예를 들어 줌(Zoom) 기능, 플래시(Flash) 기능, 정지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1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등록/수정 및 디스플레이 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12)는 키 입력부(102)를 통하여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114)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4)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와 음성 데이터(Speech Data)를 주고받으며,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는 RF 신호 처리부(118)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114), 스피커(122), 마이크로폰(124)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118)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118)의 전력을 제어(POWER)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118)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118)는 안테나(12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122)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24)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 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착신자 지정에 의거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02)를 통해 전화 번호 등의 숫자가 입력되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호가 발생하면 이를 무선 접속망을 통해 전달받은 발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응답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발신 교환기는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교환기에게 호 접속을 요청하면 착신 교환기는 무선 접속망을 통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페이징을 송출한다.
여기서,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 기 저장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활성 상태를 확인하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가 활성 상태로 확인되면 홈 위치 등록기의 프로파일 정보에 의거하여 무선 접속망을 통해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게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을 지시하면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컨 텐츠 주소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 지시 및 컨텐츠 주소 정보는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RF 신호 처리부(118)를 통해 제어부(112)로 수신되며(S201), 제어부(112)는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203).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발신 음성 호 처리 도중 데이터 호 설정을 하는 동작을 통해 컨텐츠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S205).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함께 전송된 컨텐츠 구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인지를 판단(S207)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 상태가 발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발신대기 상태)인지 아니면 착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착신벨 재생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아울러,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현재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하고, 현재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로 판단되거나 발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발신대기 상태)로 판단되기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한 다(S211).
이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발신 직후에 단말기(수화기)를 귀에 밀착시키더라도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음성이 고출력으로 재생되지 않기에 높은 출력 레벨로 인하여 깜짝 놀랄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된다.
다음으로, 발신자 지정에 의거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화 번호 등의 숫자가 입력되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의 호가 발생하면 이를 무선 접속망을 통해 전달받은 발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응답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발신 교환기는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교환기에게 호 접속을 요청하면 착신 교환기는 무선 접속망을 통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게 페이징을 송출한다.
여기서,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 기 저장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활성 상태를 확인하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가 활성 상태로 확인되면 홈 위치 등록기의 프로파일 정보에 의거하여 무선 접속망을 통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게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을 지시하면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컨텐츠 주소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 지시 및 컨텐츠 주소 정보는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RF 신호 처리부(118)를 통해 제어부(112)로 수신되며(S201), 제어부(112)는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203).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착신 음성 호 처리 도중 데이터 호 설정을 하는 동작을 통해 컨텐츠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S205).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함께 전송된 컨텐츠 구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인지를 판단(S207)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 상태가 발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발신대기 상태)인지 아니면 착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착신벨 재생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아울러,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현재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하고, 현재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로 판단되거나 착신 동작 모드 상태(음성통화 착신벨 재생 상태)로 판단되기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 생한다(S209).
이로써,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스피커(122)로 출력되는 높은 출력 레벨의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착신자 지정에 의거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키 입력부(102)의 메뉴 선택 버튼을 통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설정 기능을 선택한 후에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시에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출력 설정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출력 설정 정보는 모드 상태 저장부(108)에 저장된다.
이후,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02)를 통해 전화 번호 등의 숫자가 입력되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호가 발생하면 이를 무선 접속망을 통해 전달받은 발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응답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발신 교환기는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교환기에게 호 접속을 요청하면 착신 교환기는 무선 접속망을 통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페이징을 송출한다.
여기서,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 기 저장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활성 상태를 확인하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가 활성 상태로 확인되면 홈 위치 등록기의 프로파일 정보에 의거하여 무선 접속망을 통해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게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을 지시하면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컨텐츠 주소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 지시 및 컨텐츠 주소 정보는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RF 신호 처리부(118)를 통해 제어부(112)로 수신되며(S301), 제어부(112)는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303).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발신 음성 호 처리 도중 데이터 호 설정을 하는 동작을 통해 컨텐츠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S305).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모드 상태 저장부(108)에 저장된 출력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시에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307).
아울러,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현재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하고, 단계 S307에서 확인한 출력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하거나(S311)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한다(S309).
이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출력 설정 정보를 저출력 쪽으로 설정하여 두었을 경우에는 발신 직후에 단말기(수화기)를 귀에 밀착시키더라도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음성이 낮은 출력 레벨로 출력되기에 높은 출력 레벨로 인하여 깜짝 놀랄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된다. 그리고 출력 설정 정보를 고출력 쪽으로 설정하여 두었을 경우에는 스피커(122)를 통해 높은 출력 레벨의 음성이 출력되더라도 자신이 이미 인지하고 있으므로 발신 직후에 단말기(수화기)를 귀에 밀착시키지 않게 되므로 높은 출력 레벨로 인하여 깜짝 놀랄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된다.
다음으로, 발신자 지정에 의거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키 입력부(102)의 메뉴 선택 버튼을 통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설정 기능을 선택한 후에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시에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를 나타 내는 출력 설정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출력 설정 정보는 모드 상태 저장부(108)에 저장된다.
이후,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02)를 통해 전화 번호 등의 숫자가 입력되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호가 발생하면 이를 무선 접속망을 통해 전달받은 발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라우팅 정보를 응답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발신 교환기는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교환기에게 호 접속을 요청하면 착신 교환기는 무선 접속망을 통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페이징을 송출한다.
여기서, 착신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에 기 저장된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활성 상태를 확인하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가 활성 상태로 확인되면 홈 위치 등록기의 프로파일 정보에 의거하여 무선 접속망을 통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게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을 지시하면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컨텐츠 주소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수행 지시 및 컨텐츠 주소 정보는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RF 신호 처리부(118)를 통해 제어부(112)로 수신되며(S301), 제어부(112)는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 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303).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착신 음성 호 처리 도중 데이터 호 설정을 하는 동작을 통해 컨텐츠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S305).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모드 상태 저장부(108)에 저장된 출력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시에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307).
아울러,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현재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하고, 단계 S307에서 확인한 출력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하거나(S311)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한다(S309).
이로써,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출력 설정 정보를 저출력 쪽으로 설정하여 두었을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음성이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되지 않기에 높은 출력 레벨로 인하여 깜짝 놀랄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된다. 그리고 출력 설정 정보를 고출력 쪽으로 설정하여 두었을 경우에는 스피커(122)를 통해 높은 출력 레벨의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결합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단계 S401 내지 S405는 제 1 실시예의 단계 S201 내지 S205 또는 제 2 실시예의 단계 S301 내지 S305에 대응하기에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단계 S407에서는 제 2 실시예의 단계 S307과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모드 상태 저장부(108)에 저장된 출력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 시에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단계 S411에서는 출력 설정 정보에 따라 제 2 실시예의 단계 S309 또는 S311을 수행한다.
그러나, 단계 S407의 판단 결과로서 출력 설정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등 무설정 상태로 확인되면 제 1 실시예의 단계 S207과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함께 전송된 컨텐츠 구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인지를 판단하며,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단계 S209와 같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고출력으로 재생하거나(S413), 제 1 실시예의 단계 S211과 같이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성(음향)을 스피커(122)를 통해 저출력으로 재생한다(S415).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예로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SVD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가 포팅된 단말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WCDMA에서의 다중 접속(multi-access) 등과 같이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모두 가능한 단말기라면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첫 호에서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하더라도 써킷 음성통화가 종료되자마자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해 두었다가 이후 통화시 사용하려는 컨텐츠가 이미 다운로드된 것이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스피커의 출력 레벨 모드를 "귀에 대고 통화하는 환경 모드(저출력 모드)"와 "귀에 대지 않고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환경 모드(고출력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저출력용 내부 스피커와 고출력용 외부 스피커를 채용하여 그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된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착신 또는 발신 동작 모드 상태를 확인하거나 출력 설정 정보 및/또는 컨텐츠 구분 정보를 확인하여 스피커로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이 단말 및/또는 컨텐츠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스 피커로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역할을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12)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2)는 단말의 착신 또는 발신 동작 모드 상태를 항상 인지할 수 있으므로 현재 인지된 동작 모드 상태에 따라 스피커(122)의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호의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호의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구분 정보를 직접 확인하거나 음성 출력 방향을 나타내는 출력 설정 정보를 직접 확인한 후에 확인된 정보에 따라 스피커(122)의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CDMA망, W-CDMA망, HSDPA망, GSM망 등은 물론이고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02 : 키 입력부
104 : 디스플레이부 106 : 프로그램 저장부
108 : 모드 상태 저장부 112 : 제어부
122 : 스피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착신 또는 발신 호의 처리 도중에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착신 또는 발신 호의 처리 도중에 구동되어 상기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가 상기 호의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상기 호의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구분 정보에 의거해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향에 대하여 상기 스피커로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되 상기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보다 상기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를 저출력으로 재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구분 정보는 다운로드한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함께 전송되는 것
    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착신 또는 발신 호의 처리 도중에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가 상기 호의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 아니면 상기 호의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구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향에 대하여 스피커로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되 상기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보다 상기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를 저출력으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구분 정보는 다운로드한 상기 멀티미디어형 통화연결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거나 함께 전송되는 것
    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113582A 2007-11-08 2007-11-08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KR10092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82A KR100928888B1 (ko) 2007-11-08 2007-11-08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82A KR100928888B1 (ko) 2007-11-08 2007-11-08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643A KR20090047643A (ko) 2009-05-13
KR100928888B1 true KR100928888B1 (ko) 2009-11-30

Family

ID=4085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582A KR100928888B1 (ko) 2007-11-08 2007-11-08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7636B (zh) * 2020-08-27 2024-02-23 大众问问(北京)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车辆的用户发音模拟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557A (ko) * 2003-10-13 2005-04-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111113A (ko) * 2005-04-22 2006-10-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100658206B1 (ko) 2006-01-10 2006-12-15 주식회사 팬택 Svd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 중 컨텐츠를 전송 및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032886A (ko) * 2005-09-20 2007-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557A (ko) * 2003-10-13 2005-04-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111113A (ko) * 2005-04-22 2006-10-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20070032886A (ko) * 2005-09-20 2007-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658206B1 (ko) 2006-01-10 2006-12-15 주식회사 팬택 Svd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 중 컨텐츠를 전송 및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643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429B2 (en)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P1833234A1 (en) A method and a terminal unit for calling terminal to control personalizing information
EP36412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JP2009531919A (ja) 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通話機能を提供する電子機器およびサービス
CN101427555B (zh) 用于使呼叫建立时段个性化的方法和系统
JP2009531918A (ja) 個人用の呼の保留を有する電子機器
KR20100118936A (ko) 음성 통화 중 인스턴트 오더블을 확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28888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KR100654186B1 (ko) 이미지콜 서비스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제어 방법
KR100911504B1 (ko)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위한 단말기, 서버 및시스템과 그 방법
KR20060108988A (ko) 플랫폼 계층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US20110053563A1 (en) Portable handsfree device with local voicemail service for use with a mobile terminal
KR100652179B1 (ko) 이미지콜 서비스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511686A (zh) 一种录音方法和耳机设备
US81999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 media signal
KR20070058140A (ko) 특수효과를 이용한 화상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JP3251274B2 (ja) 通信端末装置、保留メロディ送出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050067865A (ko) 통화와 함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KR100723721B1 (ko)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95749B1 (ko) 휴대 단말기의 화상통화 실행 방법
JP2007508760A (ja) 携帯通信装置におけるmmsを利用したイベント通知
JP2007124679A (ja) 個人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通話背景音提供方法
KR2006006018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대기음 제공 방법
KR10107168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대기음을 송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953898B1 (ko) 통화연결음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교환기 및 시스템과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