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465B1 - 조립식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조립식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465B1
KR100928465B1 KR1020070114006A KR20070114006A KR100928465B1 KR 100928465 B1 KR100928465 B1 KR 100928465B1 KR 1020070114006 A KR1020070114006 A KR 1020070114006A KR 20070114006 A KR20070114006 A KR 20070114006A KR 100928465 B1 KR100928465 B1 KR 10092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tificial
shape
prefabricated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911A (ko
Inventor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주) 금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성산업 filed Critical (주) 금성산업
Priority to KR102007011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4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조립식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해수 근교에서 직접 조립하여 바다속에 설치하는 것이며, 설치시 조류에 휩쓸리지 않고 저인망 어성의 그물에 걸리지 않도록 구조적인 안정성성을 가지며, 구조재 및 그 근방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켜 플랑크톤이 군집하고 해조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인공어초, 차단판, 인공서식부

Description

조립식 인공어초{Assembly-type man-created fishing reef}
본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조립식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해수 근교에서 직접 조립하여 바다속에 설치하는 것이며, 설치시 조류에 휩쓸리지 않고 저인망 어성의 그물에 걸리지 않도록 구조적인 안정성성을 가지며, 구조재 및 그 근방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켜 플랑크톤이 군집하고 해조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라 함은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인공적인 구조물이다. 인공어초는 최초 폐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지상구조물을 바다에 투하하여 서식공간을 조성한 것에서부터 서식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육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구조물로 설계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왔다. 인공어초를 만드는 재료도 다양하여 콘크리트, 세라믹, 강재 등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어류는 그 어종에 따라 인공어초와 전혀 상관없이 서식하는 체영형, 인공어 초의 근처를 회유하면서 서식하는 유영형, 인공어초의 사이사이를 다니거나 인공어초에 기대어 접촉하면서 서식하는 접촉형, 및 인공어초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서식하는 저서형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 일부 어종은 인공어초의 특정 공간 내에서 산란, 서식 및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들어, 각국의 배타적 조업구역 설정으로 연·근해 어장이 협소해짐은 물론이고 불법남획 등으로 어장의 어획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잡는 어업에서 점차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공어초는 대략 10∼50m 해역에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어류 등과 같은 해양생물의 안정적인 서식처 또는 은신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산란장의 역할도 한다.
인공어초는 그 구조 및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어초이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어초는 비중이 지나치게 커 연약지반에 설치될 경우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알칼리성 유해물질이 발생될 뿐 아니라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강재 어초는 복수의 강재가 일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대형의 인공어초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자체 비중이 크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 프레임만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어류와 같은 해양생물의 서식처 또는 은신처로서의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공어초의 내부가 공동화되어 해류를 효율적으로 차폐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빛을 차단하는 그늘 영역이 거의 없어, 해양생물의 안정적인 서식처 또는 은신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인공어초의 구조적 특징상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결국, 인공어초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콘크리트나 강재로 제작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운반수단을 이용해 바다로 가져오거나 바다 근교에서 제작할 수 있는 넓은 장소에서 직접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바다 근교에 제작장소 및 원자재의 수급에 따른 비용부담 및 이동비용 그리고 제작한 인공어초를 바다로 가져오기 위한 물류비의 증가로 인해 비용부담 및 공사기간의 증가로 인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인공어초 조립의 용이성, 인공어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양생물의 안정적인 서식처 또는 은신처를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인공어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조재의 일부구간을 폐쇄하여 구조재의 내부 및 그 근방에 조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온영역을 증대시켜 플랑크톤이 군집하고 해조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다단으로 쌓여지는 조립식 인공어초로서,
지주프레임에 의해 구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사방(四方)면은 격사상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상의 보조프레임은 일부가 차단판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바닥면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선프레임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수평프레임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 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방(四方)면에 설치되며, 수직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오면체형을 가지며, 바닥면의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층을 이루어 다수의 이격된 공간면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면에 교호되게 차단판이 형성되는 측면부재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면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육면(六面) 모두가 격자상의 보조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차단판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바닥면의 대각선프레임의 교차점인 중앙에서 상향 수직으로 상부면 중앙을 통과하여 상단부에 고리가 배치되어 있는 상측부재와
상기 상측부재 사방면에 설치되며, 보조프레임으로 형성된 수직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오면체형을 가지며, 바닥면의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층을 이루어 다수의 이격된 공간면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면에 교호되게 차단판이 형성되는 제2측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공하는 조립식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상측부재가 사방(四方)측면으로 바둑판 모양을 형성하여 다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1층부재와,
상기 1층부재 상부면과 동일한 구조로 피라미드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상향설치되는 조립식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베이스부의 육면(六面)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선프레임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인공어초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조립식 인공어초 내부에 인공서식부를 설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의해 강제 조립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며, 차단판을 설치함으로서 해류의 흐름을 완만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인공어초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적층구조에 따른 상하부공간에 수온차에 의해 서식하는 어종이 다종의 어류가 서식할 수 있으며, 조류의 방향에 관계없이 어떠한 위치에서도 물돌이 현상이 일어나는 부분이 인공어초 외측에 다면으로 존재하여 어류 및 해조류의 서식에 매우 유리한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인공어초 외측부에 상하 좌우방향으로 교호로 차단판이 막혀 있기 때문에 그늘 영역을 형성하여 해양생물의 안정적인 서식처 또는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공서식부를 통해 자연과 유사한 생활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다단으로 쌓여지는 조립식 인공어초(100)로서,
지지프레임(201)에 의해 구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사방(四方)면은 격자상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20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02)은 일부가 차단판(203a)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바닥면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선프레임(204a)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수평프레임(205)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부(200);와,
상기 베이스부(200) 사방(四方)면에 설치되며, 보조프레임(211)으로 형성된 수직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오면체형을 가지며, 바닥면의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층을 이루어 다수의 이격된 공간 면(21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면(212)에 교호되게 차단판(213a)이 형성되는 제1측면부재(210);와,
상기 베이스부(200) 상부면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육면(六面) 모두가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21)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차단판(223a)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200) 바닥면의 대각선프레임(204a)의 교차점인 중앙에서 상향 수직으로 상부면 중앙을 통과하는 지주프레임(206)과 연결되어 상단부에 고리(224)가 배치되어 있는 상측부재(220);와,
상기 상측부재(220) 사방면에 설치되며, 보조프레임(231)으로 형성된 수직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오면체형을 가지며, 바닥면의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층을 이루어 다수의 이격된 공간면(23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면(232)에 교호되게 차단판(233a)이 형성되는 제2측면부재(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공하는 공지된 조립식 인공어초(이하, '인공어초'라 칭함)(1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0)의 사방(四方)면은, 격자상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202)으로 구성되고, 도 4와 같이 상기 격자상의 보조프레 임(202)은 일부가 차단판(203a)에 의하여 막혀 있어서, 어류들이 그 내부로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단판(203a)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교호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0)는 육면체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공어초를 구성하는 베이스부(200)의 사방(四方)면은, 각각 사각의 지지프레임(201)에 의하여 구분되어 다수의 격자형 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01)은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차단판(203a)에 의하여 막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차단판(203a)은 사방(四方)면의 각각 일면이 균등하게 분리된 격자상의 전후 좌우방향으로 교호로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는, 하부에 베이스부(200)와, 베이스부(200) 측면에 측면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부(200) 상부로 상측부재(220)가 구비되는 다단 형태의 인공어초(100)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어초(100)는 강제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베이스부(200)의 철재로 만들어지는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02)과 상기 보조프레임(202) 상에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차단판(203a)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부재(220) 및 제12측면부재(210, 230))가 형성하는 것은 조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측부재(220) 및 제12측면부재(210, 230)가 형성됨에 따라 작업중인 어구 또는 폐어구가 상기 상측부재(220) 및 제12측면부재(210, 230)에서 조류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구 등이 본 발명의 인공어초(100)에 걸리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측면부재(210, 230)를 수직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오면체구조를 가짐으로서 완만한 기울기가 형성되어 해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회유성 어종의 서식 환경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부재(230)의 설치함에 있어 제1측면부재(210)의 크기에 축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230) 및 상측부재(220)의 내부는 소정의 서식 공간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230) 및 상측부재(220)는, 격자상으로 골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보조프레임(202, 211, 231, 221)을 용접 또는 볼트너트체결방식 등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프레임(202)에 의하여 격자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230) 및 상측부재(2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고, 이러한 공간은 실질적으로 인공어초로써 어류의 서식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230) 및 상측부재(220)의 격자상의 표면에는 부분적으로 차단판(203a, 213a, 233a, 223a)이 부착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230) 및 상측부재(220)는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차단판(203a, 213a, 233a, 223a)에 의하여, 부분적으로는 개구되어 있고, 이러한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어류가 상기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및 상측부재(22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한 어류의 서식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상기 격자상으로 배열된 보조프레임(202, 211, 221, 231)에 부착되는 차단판(203a, 213a, 223a, 233a)은, 상기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230) 및 상측부재(220)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03a, 213a, 223a, 233a)은 상하 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교호로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판(203a, 213a, 223a, 233a)은, 상기 베이스부(200), 제12측면부재(210) 및 상측부재(220)의 내부에 일정한 음영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적당한 그늘과 차단구조 하에서 어류들이 모이는 서식지 확보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수평프레임(205)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0) 내부에 인공어초(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어류의 산란장 역할을 하는 인공서식부(500)를 상기 수평프레임(205)에 매달아 체결되게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서식부(500)로는 구(球)형의 망상구조로 형성된 구(球)형망상체(510)가 수직의 다단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공한다.
상기 구형망상체(510)가 수직의 다단으로 형성됨에 있어서, 원통형의 망상체를 균등하게 분할하여 상기 분할되는 일정지점에 구(球)형망상체(510)들이 서로 이격되 게 형성되도록 클립(511)을 이용하여 체결되게 하여 수직의 다단 구(球)형망상체(510)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도 8의 도면을 살펴보면 구형 망상체(510) 내부에 자연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상기 구(球)형망상체(510) 내부에 자연석, 세라믹조성물, 생(生)나무 중 택일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류의 산란처 및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면체의 망상구조로 형성된 육면(六面)망상체(520a)를 가지며, 상기 육면(六面)망상체(520a)를 수직의 다단으로 설치하기 위해 4개의 수직지지봉(521)이 사각을 이루며, 도 11과 같이 상기 수직의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의 대각선 방향으로 안착대(522)가 교차되게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대(522)에 육면(六面)망상체(520a)를 안착시켜 설치되는 인공서식부(5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망상구조로 형성된 원통형 망상체(520b)가 상기 육면(六面)망상체(520a)의 체결구조와 같이 구비되는 것을 제공하는 인공서식부(5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육면(六面)망상체(520a) 및 원통형 망상체(520b) 내부에 자연석, 세라믹조성물, 생(生)나무 중 택일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류의 산란처 및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망상체의 구조는 도 10의 사각 와이어메쉬(525a) 또는 도 13에 도시된 육각메탈리스(525b) 중 택일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망상체와는 달리 도 14와 같이 생(生)나무(530)를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부면 수평프레임(205)에 고정하여 인공서식부(5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生)나무(530)를 설치함으로서 해초류, 산호초 및 갑각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생(生)나무(530)는 나무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540)을 4개의 수직봉(541)에 관통되어 수직형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540)을 설치함으로서 해초류, 산호초 및 갑각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5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540)의 형상은 중앙에 관통구(542)가 다수 형성되며, 사방(四方)측면은 요입홈(543)과 돌출봉(544)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540)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540)의 형상이 상기 서술한 형상에 한정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설계변경에 의해 구조적인 모양이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0) 내부에 설치하는 상기에 서술한 구조에 따른 인공서식부(500)를 상측부재(22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내부 구조에 따라 인공서식부(500)의 구조가 치수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2)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상측부재(220-1)가 사방(四方)측면으로 바둑판 모양을 형성하여 다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1층부재(300)와,
상기 1층부재(300) 상부면과 동일한 구조로 피라미드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상향설치되는 조립식 인공어초(100)를 제공한다.
즉,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224)가 연결된 지주프레임(206)을 제외한 상측부재(220)의 동일한 형상으로 도 17과 도 18의 형상과 같이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육면(六面) 모두가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21-1)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차단판(223a-1)에 의하여 막혀 있는 상측부재(220-1)가 사방(四方)측면으로 바둑판 모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상측부재(220-1)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1층부재(300)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부재(220-1)와 같은 형상으로 다수개 구성된 상기 1층부재(300) 상부면에 상기 다수의 상측부재가 연결된 1층부재와 동일한 바둑판 형상으로 피라미드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상향설치되는 조립식 인공어초(100)를 제공한다.
도 17 및 도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에 사용되는 상측부재(220-1)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육면(六面) 모두가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21-1)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차단판(223a-1)에 의하여 막혀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상측부재(220-1)가 제공된다.
도 19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인공서식부 형태를 실시예 2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베이스부(200)와 같은 베이스부(200-1)의 육면(六面)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선프레임(204b)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인공어초(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에서 살펴보면, 상기 실시예 3의 베이스부(200-1)는 지지프레임(201-1)에 의 해 구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육면체 형상의 측면 육면(六面)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선프레임(204b)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인공어초(100)를 구성한다.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된 공간부에 상하 좌우방향으로 교호하게 차단판(203b)(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1 내지 도 2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인공서식부(500) 형태를 실시예 3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1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1에 조립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1 구성중 베이스부의 측면 육면(六面) 골격구성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베이스부에 차단판 설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1 구성중 제1측면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1 구성중 상측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1 구성중 제2측면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망상체를 이용한 인공서식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1에 구형망상체를 설치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육면 망상체를 이용한 인공서식부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면 망상체를 제거한 수직지지봉과 안착대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망상체를 이용한 인공서식부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육각 메탈리스에 의해 제조된 육면 망상체를 이용한 인공서식부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나무를 이용한 인공 서식부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인공서식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2 구성중 상측부재의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2 구성중 상측부재의 조립 분리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2에 구형 망상체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3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3에 구형 망상체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3에 생나무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3에 육면 망상체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3에 원통형 망상체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3에 콘크리트 블록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4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4의 조립 분리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4의 평면 조립 구성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4의 구성중 날개부재의 조립 분 리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4에 구형 망상체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어초의 실시예 4에 생나무의 인공서식부를 설치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조립식 인공어초 100 베이스부 200, 200-1 지지프레임 201, 201-1 보조프레임 202 차단판 203a, 203b 대각선프레임 204a, 204b 수평프레임 205 지주프레임 206 제1측면부재 210 보조프레임 211 공간면 212 차단판 213a 상측부재 220, 220-1 보조프레임 221, 221-1 차단판 223a, 223a-1 고리 224 제2측면부재 230 보조프레임 231 공간면 232 차단판 233a 1층부재 300 날개부재 400 지지프레임 401 차단판 402 고정프레임 410 지주프레임 420 고리 421 인공서식부 500 구형망상체 510 클립 511 육면망상체 520a 원통형망상체 520b 수직지지봉 521 안착대 522 와이어 메쉬 525a 육각 메탈리스 525b 생나무 530 콘크리트 블록 540 수직봉 541 관통구 542 요입홈 543 돌출봉 544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지지프레임(201)에 의해 구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사방(四方)면은 격사상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20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02)은 일부가 차단판(203a)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바닥면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선프레임(204a)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수평프레임((205)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부(200);와, 상기 베이스부(200) 사방(四方)면에 설치되며, 보조프레임(211)으로 형성된 수직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오면체형을 가지며, 바닥면의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층을 이루어 다수의 이격된 공간면(21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면에 교호되게 차단판(213a)이 형성되는 제1측면부재(210);와, 상기 베이스부(200) 상부면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육면(六面) 모두가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21)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차단판(223a)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200) 바닥면의 대각선프레임(204a)의 교차점인 중앙에서 상향 수직으로 상부면 중앙을 통과하는 지주프레임(206)과 연결되어 상단부에 고리(224)가 배치되어 있는 상측부재(220);와, 상기 상측부재(220) 상부면에 설치되며, 보조프레임(231)으로 형성된 수직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오면체형을 가지며, 바닥면의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층을 이루어 다수의 이격된 공간면(23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면에 교호되게 차단판(233a)이 형성되는 제2측면부재(230);로 구성되어 다단으로 쌓여지는 공지된 조립식 인공어초(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0-1)의 육면(六面)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대각선프레임(204b)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0)의 사방(四方)면은, 격자상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202)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02)에 차단판(203a)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교호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재(220)의 육면(六面)은, 격자상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221)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상의 보조프레임(221)에 차단판(223a-1)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교호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0) 및 상측부재(220) 내부에 구(球)형의 망상구조로 형성된 구(球)형망상체(510)가 수직의 다단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인공서식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0) 및 상측부재(220) 내부에 육면체의 망상구조로 형성된 육면(六面)망상체(520a)를 가지며, 상기 육면(六面)망상체(520a)를 수직의 다단으로 설치하기 위해 4개의 수직지지봉(521)이 사각을 이루며, 상기 수직의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의 대각선 방향으로 안착대(522)가 교차되게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대(522)에 육면(六面)망상체(520a)를 안착시켜 설치되는 인공서식부(500)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六面)망상체(520a)를 대체하여 원통형 망상체(520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9.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의 구조가 사각 와이어메쉬(525a) 또는 육각메탈리스(525b) 중 택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10.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 내부에 자연석, 세라믹조성물 및 생(生)나무 중 택일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어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114006A 2007-11-08 2007-11-08 조립식 인공어초 KR10092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06A KR100928465B1 (ko) 2007-11-08 2007-11-08 조립식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06A KR100928465B1 (ko) 2007-11-08 2007-11-08 조립식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11A KR20090047911A (ko) 2009-05-13
KR100928465B1 true KR100928465B1 (ko) 2009-11-25

Family

ID=4085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06A KR100928465B1 (ko) 2007-11-08 2007-11-08 조립식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95B1 (ko) * 2018-05-11 2019-02-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탑재형 트라이포드 인공어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683B1 (ko) * 2017-12-29 2018-07-20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56Y1 (ko) * 2003-12-15 2004-03-12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56Y1 (ko) * 2003-12-15 2004-03-12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인공어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95B1 (ko) * 2018-05-11 2019-02-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탑재형 트라이포드 인공어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11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0950657B1 (ko) 인공어초
JP4247238B2 (ja) 人工魚礁
KR101213624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200386996Y1 (ko) 간벌목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0928465B1 (ko) 조립식 인공어초
JP4851762B2 (ja) 栽培養殖漁業用魚礁
KR101716651B1 (ko) 저인망 어업 방지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KR200381941Y1 (ko) 증식용 강제어초
KR100606590B1 (ko) 피라미드형 인공어초
KR100996879B1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JP2001346476A (ja) 餌料培養礁を備えた人工魚礁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1871829B1 (ko) 사각 돔형 강제어초
KR101841956B1 (ko) 터널형 강제어초
KR101243195B1 (ko) 중량림베이스가 구비된 팔각십자계단형 인공어초
KR101050994B1 (ko) 다목적용 참나무 어초
KR101011766B1 (ko) 다면체 인공어초
KR200369962Y1 (ko)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200361510Y1 (ko) 어류용 복합어초
KR101686856B1 (ko) 복합형어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35773Y1 (ko) 어패류용 세라믹 인공어초
AU2012100285A4 (en) Steel Hexagonal Frame Reef
KR200271905Y1 (ko) 피라미드형 강제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