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992B1 -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992B1
KR100927992B1 KR1020090077489A KR20090077489A KR100927992B1 KR 100927992 B1 KR100927992 B1 KR 100927992B1 KR 1020090077489 A KR1020090077489 A KR 1020090077489A KR 20090077489 A KR20090077489 A KR 20090077489A KR 100927992 B1 KR100927992 B1 KR 100927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nection
pressure
pipe
communica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상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상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9007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충압을 완화하기 위한 밸브를 상수도관과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설치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연결구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수충격이 발생시 개폐구의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연통관을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을 통해 일정량의 유체를 배출하여 수충압 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수도관과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상수도관이 삽입연결되는 연결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홈부와 연결홈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관로가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연결관로와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통관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관의 입구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관의 출구측에 상기 연통관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통관의 내경 경계부에 단턱이 마련된 이음관; 수충압에 의해 연통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통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연결관에 삽입연결되는 연결축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면에 복수개의 연결홈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축의 상부에 상기 삽입홈에서 삽입되어 걸림을 이루는 연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복수개의 배수홈이 마련된 개폐구; 상기 개폐구가 연통관을 긴밀히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과 단턱 사이에 설치된 밀폐링; 상기 연통관의 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연통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유출공과 축결합공이 마련된 마감캡; 상기 개폐구가 연통관을 폐쇄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개폐구를 강제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연통관을 강제로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축결합공에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되며, 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제어축 및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수되는 고압의 상수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축에 축결합된 반구형상의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77489
수충압, 상수도, 밸브, 탄성스프링

Description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Pressure relief vavle}
본 발명은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충압을 완화하기 위한 밸브를 상수도관과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설치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연결구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수충격이 발생시 개폐구의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연통관을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을 통해 일정량의 유체를 배출하여 수충압 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의 펌핑설비는 정지하고 있는 펌프를 가동시키거나 정상운전중 정전등으로 인하여 갑자기 동력을 잃게 될 때 혹은 밸브의 개도를 급격히 변화시킬때 그 순간 관로내의 유속이 급격히 변하면서 압력도 크게 상승하거나 강하하게 되어 유체 과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관로내의 갑작스런 유속변화로 압력이 상류단과 하류단 사이를 오가면서 최고 압력은 펌프 토출측에 걸리게 되고 최저압력은 관로 현상에 따라 부압이 발생하여 포화 증기압 이하로 떨어져 증기공동이 형성되며 결국 수주 분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관로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관로에 좌굴이 일어날 수 있고 증기공동으로 부닐되었던 수주가 재결합할 때 높은 압력이 유발되어 송수관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격현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수충압 완화를 위한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수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방법으로는 스탠드파이프(Stand pipe)식과 에어챔버(Air Chamber)식이 있는데, 상기 스탠드파이프식은 송수관의 높이만큼 파이프를 세어 수압을 흡수하는 방식이며, 상기 에어챔버식은 큰 에어탱크를 설비하고 공기압을 수압과 동일하게 맞추고 수충압을 흡수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수격현상 방지를 위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스탠드 파이프를 세울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이 있어야 하고, 큰 에어탱크로 설비해야 하는 면적의 마련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했다.
둘째, 관로 내에 별도의 수충압 완화를 위한 장치를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설치시의 어려움 및 높은 제작비용과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충압을 완화하기 위한 밸브를 상수도관과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설치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연결구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수충격이 발생시 개폐구의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연통관을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을 통해 일정량의 유체를 배출하여 수충압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충압에 의한 유체의 배출시 보호캡을 통해 고압의 유체가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과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상수도관이 삽입연결되는 연결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홈부와 연결홈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관로가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연결관로와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통관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관의 입구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관의 출구측에 상기 연통관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통관의 내경 경계부에 단턱이 마련된 이음관;
수충압에 의해 연통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통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연결관에 삽입연결되는 연결축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면에 복수개의 연결홈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축의 상부에 상기 삽입홈에서 삽입되어 걸림을 이루는 연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복수개의 배수홈이 마련된 개폐구;
상기 개폐구가 연통관을 긴밀히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과 단턱 사이에 설치된 밀폐링;
상기 연통관의 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연통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유출공과 축결합공이 마련된 마감캡;
상기 개폐구가 연통관을 폐쇄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개폐구를 강제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연통관을 강제로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축결합공에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되며, 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제어축 및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수되는 고압의 상수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축에 축결합된 반구형상의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충압을 완화하기 위한 밸브를 상수도관과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설치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연결구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수충격이 발생시 개폐구의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연통관을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통관 을 통해 일정량의 유체를 배출하여 수충압 완화를 이루어 관로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압에 의한 유체의 배출시 보호캡을 통해 고압의 유체가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는 이음관(110), 개폐구(120), 밀폐링(130), 마감캡(140), 탄성스프링(150), 제어축(160) 및 보호캡(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음관(110)은 상수도관(1)과 상수도관(1) 사이에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상수도관(1)이 삽입연결되는 연결홈부(111)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홈부(111)와 연결홈부(111)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관로(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관(110)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관로(113)와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통관(115)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관(115)의 입구측에 걸림턱(117)이 형성 되며, 상기 연통관(115)의 출구측에 상기 연통관(115)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삽입홈(118)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118)과 연통관(115)의 내경 경계부에 단턱(119)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개폐구(120)는 상기 연통관(11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연통관(115)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상기 개폐구(120)는 그 하부에 상기 연통관(115)에 삽입연결되는 연결축(12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축(121)의 외면에 복수개의 연결홈(123)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축(121)의 상부에 상기 삽입홈(118)에서 삽입되어 걸림을 이루는 연결편(125)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125)의 외면에 복수개의 배수홈(127)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개폐구(120)는 그 하단이 상기 걸림턱(117)에 걸림을 이루며, 그 상단의 연결편(125)이 단턱(119)에 걸림을 이룬다.
한편, 상기 밀폐링(130)은 상기 개폐구(120)와 연통관(115) 사이를 긴밀히 밀폐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밀폐링(130)은 상기 연결편(125)과 단턱(119)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편(125)이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단턱(119)에 맞닿을 때, 상기 밀폐링(130)은 맞닿는 부위를 긴밀히 밀폐한다.
한편, 상기 마감캡(140)은 상기 연통관(115)의 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마감캡(140)은 연통관(115)에 볼트너트 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되 며, 상기 마감캡(14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유출공(141)과 축결합공(143)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공(141)과 축결합공(143)은 상기 삽입홈(118)과 연통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150)은 상기 개폐구(120)가 연통관(115)을 폐쇄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50)은 상기 삽입홈(118)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력은 상수도관(1)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평균적인 압력에 대해 개폐구(120)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고 연통관(115) 내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축(160)은 상기 개폐구(120)를 강제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연통관(115)을 강제로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어축(160)은 상기 축결합공(143)에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되며, 그 단부에 손잡이(161)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150)에 의한 개폐구(120)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할경우 제어축(160)을 통해 개폐구(120)를 강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호캡(170)은 상기 유출공(141)을 통해 배수되는 고압의 상수가 외부로 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보호캡(170)은 제어축(160)의 외면에 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캡(170)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 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는 수충압을 완화하기 위한 밸브를 상수도관과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설치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연결구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수충격이 발생시 개폐구의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연통관을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을 통해 일정량의 유체를 배출하여 수충압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수도관(1)에 수충압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개폐구(120)는 그 하단이 상기 걸림턱(117)에 걸림을 이루며, 그 상단의 연결편(125)이 상기 단턱(119)에 걸림을 이룬다.
이때, 상기 연결축(121)의 연결홈(123)은 단턱(119)과 맞닿아 있는 연결편(125)에 의해 차단되어 상수도관(1)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삽입홈(118)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120)를 이용한 연통관(115)의 차단은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수도관(1)에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력보다 더 강한 고압의 수충압이 발생할 경우, 발생한 고압의 수충압은 개폐구(120)에 작용하여 탄성스프링(150)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개폐구(1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에, 상기 개폐구(1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연통관(115)을 통해 유 입된 유체는 연결홈(123) 및 배수홈(127)을 따라 삽입홈(118)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삽입홈(118)으로 유입된 유체는 유출공(1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출공(1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유체는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보호캡(170)을 통해 방향 변환하여 상수도관(1) 측으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력이 약화되거나, 단턱(119)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연결편(125)을 이용한 연통관(115)의 폐쇄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본 발명의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축(160)을 이용하여 개폐구(120)을 강제로 가압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는 상수도관의 연결구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수충격이 발생시 개폐구의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연통관을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을 통해 일정량의 유체를 배출하여 수충압완화를 이룰 수 있으며,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수도관 110 : 이음관
120 : 개폐구 130 : 밀폐링
140 : 마감캡 150 : 탄성스프링
160 : 제어축 170 : 보호캡

Claims (1)

  1. 상수도관(1)과 상수도관(1) 사이에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상수도관(1)이 삽입연결되는 연결홈부(111)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홈부(111)와 연결홈부(111)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관로(113)가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연결관로(113)와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통관(115)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관(115)의 입구측에 걸림턱(117)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관(115)의 출구측에 상기 연통관(115)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삽입홈(118)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118)과 연통관(115)의 내경 경계부에 단턱(119)이 마련된 이음관(110);
    수충압에 의해 연통관(11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통관(115)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연통관(115)에 삽입연결되는 연결축(12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축(121)의 외면에 복수개의 연결홈(123)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축(121)의 상부에 상기 삽입홈(118)에서 삽입되어 걸림을 이루는 연결편(125)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125)의 외면에 복수개의 배수홈(127)이 마련된 개폐구(120);
    상기 개폐구(120)가 연통관(115)을 긴밀히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125)과 단턱(119) 사이에 설치된 밀폐링(130);
    상기 연통관(115)의 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연통관(115)의 단부에 체결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유출공(141)과 축결합공(143)이 마련된 마감캡(140);
    상기 개폐구(120)가 연통관(115)을 폐쇄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18)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스프링(150);
    상기 개폐구(120)를 강제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연통관(115)을 강제로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축결합공(143)에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되며, 단부에 손잡이(161)가 마련된 제어축(160) 및
    상기 유출공(141)을 통해 배수되는 고압의 상수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축(160)에 축결합된 반구형상의 보호캡(1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 개선장치.
KR1020090077489A 2009-08-21 2009-08-21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 KR10092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89A KR100927992B1 (ko) 2009-08-21 2009-08-21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89A KR100927992B1 (ko) 2009-08-21 2009-08-21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992B1 true KR100927992B1 (ko) 2009-11-24

Family

ID=4160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89A KR100927992B1 (ko) 2009-08-21 2009-08-21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9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8326A (zh) * 2011-03-09 2011-07-20 曹玉升 具有防冻功能的管道堵漏装置
CN105805479A (zh) * 2014-12-31 2016-07-2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可泄压堵头
CN106090523A (zh) * 2016-08-05 2016-11-0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基于弹簧振子系统的管道压力脉动衰减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549A (ja) * 1992-02-19 1993-09-07 Toshiba Corp 主蒸気隔離弁
KR940003915B1 (ko) * 1989-11-29 1994-05-09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수격완충장치
JPH08326941A (ja) * 1995-05-26 1996-1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力調整弁
JPH1089537A (ja) 1996-09-11 1998-04-10 Mooen Japan Kk 衝撃力緩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915B1 (ko) * 1989-11-29 1994-05-09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수격완충장치
JPH05231549A (ja) * 1992-02-19 1993-09-07 Toshiba Corp 主蒸気隔離弁
JPH08326941A (ja) * 1995-05-26 1996-1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力調整弁
JPH1089537A (ja) 1996-09-11 1998-04-10 Mooen Japan Kk 衝撃力緩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8326A (zh) * 2011-03-09 2011-07-20 曹玉升 具有防冻功能的管道堵漏装置
CN105805479A (zh) * 2014-12-31 2016-07-2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可泄压堵头
CN106090523A (zh) * 2016-08-05 2016-11-0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基于弹簧振子系统的管道压力脉动衰减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638B2 (en) Excess flow shutoff
EP1756454B1 (en) Flow control valve
CA2765562C (en) Dual-purpose fluid control valve
US20110132904A1 (en) Thermal expansion/surge reduction water tank
KR100927992B1 (ko) 상수도용 압송관로 수충압 완화를 위한 밸브개선장치
RU2765853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101272079B1 (ko) 밸브 접합관
US9709182B2 (en) Non chattering pressure relief valve
CN103759069A (zh) 一种防气蚀大压差可调减压阀
KR20180050061A (ko) 시동 공기 밸브
KR101309376B1 (ko) 스티프한 유체 시스템상에서 과도 압력 스파이크를제거하기 위한 장치
MX2007010263A (es) Valvula vacuorreguladora de doble seguridad de drenaje automatico.
CN104358902A (zh) 一种压力保险阀
JP5960582B2 (ja) 工作機械及びモータポンプユニット
JP5688269B2 (ja) オリフィス付チェッキ弁
KR10169593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글로브 밸브
CN109695754B (zh) 一种液压进油阀
CN218913323U (zh) 适用于铸件的多通道溢流阀总成
KR20190002761U (ko) 소방설비 배관의 청소구 밸브 일체형 수격방지기
CN103423241A (zh) 一体式逻辑流量阻断控制方法及其装置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CN213809044U (zh) 倒流防止器
CN217130432U (zh) 一种倒流防止器
KR200334612Y1 (ko) 파이롯트 밸브 작동형 안전밸브 구조
KR101036141B1 (ko)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