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876B1 - 발바닥 지지구 - Google Patents

발바닥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876B1
KR100927876B1 KR1020080006594A KR20080006594A KR100927876B1 KR 100927876 B1 KR100927876 B1 KR 100927876B1 KR 1020080006594 A KR1020080006594 A KR 1020080006594A KR 20080006594 A KR20080006594 A KR 20080006594A KR 100927876 B1 KR100927876 B1 KR 10092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sole
support
supporting
out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694A (ko
Inventor
김동건
김효준
박건욱
유재근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0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8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설치하여 발바닥의 장심과 아치가 긴밀하게 압박되도록 하므로써, 착지자세인 경우 아치를 지지하여 부하의 경감과 자세교정효과를 갖도록 하고, 착지자세가 아닌 경우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착화감을 높이도록 하는 발바닥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발바닥 지지구는 아치 서포팅부를 중심으로 아치 서포팅 외측단과 아치 서포팅 내측단의 연결면을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고 그리고 아치 서포팅 내측단의 높이를 아치 서포팅 외측단 보다 높게 형성하여 지면을 디딜 때 입체적인 발의 아치모양에 긴밀하게 접촉하여 보행시 하중을 분산시켜 피로감을 경감시키고 보행장애로 발생되는 아치구조의 교정이나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아치 서포팅부를 발바닥의 아치 위치로부터 앞 방향과 뒷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2~20mm 이동된 위치에 형성시키므로 보행 중 반복되는 발모양의 변화에도 발바닥의 아치와 발바닥 지지구의 아치 서포팅부가 장심과 아치를 긴밀하게 압박하여 발바닥의 지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장점이 있다.
발바닥 지지구, 아치 서포팅부, 프론트 스포팅부, 리어 서포팅부.

Description

발바닥 지지구{SOLE SUPPORTER}
본 발명은 발바닥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 설치하여 발바닥의 장심과 아치가 긴밀하게 압박되도록 하므로써, 착지자세인 경우 아치를 지지하여 부하의 경감과 자세교정효과를 갖도록 하고, 착지자세가 아닌 경우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착화감을 높이도록 하는 발바닥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질 또는 연질의 신발 깔창이 사용되고,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발바닥 지지구(보장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발바닥 지지구는 단순히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부분적인 지압효과는 부여하는 형태가 있고, 발바닥의 구조에 맞추어 형성되므로써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형태가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35783호(1999.02.01 공고) "쿳션 심재가 내입된 신발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창(1)의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고 수개의 통공(5)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융기부(3)가 돌설형성되고 양측단부는 일정각 도로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절곡형성된 보강심재(2)를 매설하여 발바닥의 요입부(4)를 받쳐주면서 보행시 발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바닥 지지구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발바닥 지지구는 적당한 강성과 함께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의 보행과 노동에도 발바닥에서 피로가 가장 많이 작용되는 아치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발바닥 지지구는 상반된 두 가지의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이와 같은 발바닥 지지구는 착지자세인 경우와 비착지자세인 경우의 효과가 서로 상반되게 작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착지자세인 경우 아치를 지지하여 부하의 경감과 자세교정효과를 갖도록 해야 하고, 착지자세가 아닌 경우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착화감을 높이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는 신발에 내입 또는 표면부착된 융기부의 좌, 우측단의 높이가 대칭이면서 위치가 착지자세에서 발바닥 아치의 정점과 일치되게 용천혈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보행 중 일정하게 반복되는 발의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착지자세에서 발의 아치 최고 요입부와 융기부가 긴밀하게 접촉되지 아니하여 부하의 경감과 자세교정에 문제점이 있고 그리고 착지자세가 아닌 경우에는 이물감으로 인해 착화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착지자세인 경우 아치를 지지하여 부하의 경감과 자세교정효과를 갖도록 하고, 착지자세가 아닌 경우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착화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발바닥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장기간의 사용에도 지속적으로 발바닥의 장심 및 아치를 긴밀하게 압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착지자세에서 아치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하중 분산을 통해 피로감을 경감시키고, 보행장애를 예방함과 동시에 보행장애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발바닥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바닥의 구조에 맞추어 형성되는 발바닥 지지구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아치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아치 서포팅부(20)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앞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 는 연결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프론트 서포팅부(30) 및;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뒷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42)를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뒷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포팅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는 상기 발바닥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외측단(26) 및,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발바닥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을 구비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와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의 연결면(22)은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이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를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바닥의 구조에 맞추어 형성되는 발바닥 지지구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아치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아치 서포팅부(20)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앞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 는 연결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프론트 서포팅부(30) 및;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뒷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42)를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뒷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포팅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는 상기 발바닥의 아치의 위치로부터 발바닥의 앞 방향과 뒷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2~20mm 이동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를 본 발명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신발의 내부 또는 표면에 설치되는 발바닥 지지구의 아치 서포팅부를 중심으로 아치 서포팅 외측단과 아치 서포팅 내측단의 연결면을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아치 서포팅 내측단의 높이를 아치 서포팅 외측단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착지자세인 경우입체적인 발의 아치모양에 긴밀하게 접촉하여 보행시 하중을 분산시켜 피로감을 경감시키며 보행장애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아치구조의 교정이나 또는 예방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아치 서포팅부를 발바닥의 아치 위치로부터 앞 방향 또는 뒷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2~20mm 이동된 위치에 형성시키므로 보행 중 반복되는 발모양의 변화에도 발바닥의 장심 및 아치를 발바닥 지지구의 아치 서포팅부와 긴밀하게 접 촉시켜 발바닥의 지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착지자세가 아닌 경우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착화감을 높이도록 하는는 것에 장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고,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구조에 맞추어 형성되는 발바닥 지지구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아치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아치 서포팅부(20)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앞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 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프론트 서포팅부(30) 및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뒷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42)를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바닥의 뒷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포팅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는 상기 발바닥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외측단(26) 및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발바닥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을 구비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과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의 연결면(22)은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이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는 신발의 내면 또는 표면에 설치하여 발바닥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발바닥의 장심 및 아치와 발바닥 지지구의 아치 서포팅부(20)가 신축되면서 긴밀하게 접촉되어 발바닥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행시 하중을 분산시켜 피로감을 경감시키며 보행장애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아치구조의 교정이나 또는 예방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지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상기 발바닥 지지구의 소재는 직물형태의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복합재를 이용한 프리프레그(prepreg)를 사용하거나, 합성섬유 또는 고무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상기 소재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다른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특별히 소재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프리프레그는 직물형태의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복합재를 아세톤에 세척하여 건조시킨 다음 디글리시딜 에테르(EGEBA)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40~60 중량%와 디아미노디페닐 메탄(DDM) 40~6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액에 10~15분 함침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디글리시딜 에테르(EGEBA)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와 디아미노디페닐 메탄(DDM) 40 중량% 미만일 경우나 또는 혼합액에 10분 이하를 함침시킬 경우에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복합재에 프리프레그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혼합액이 충분히 함침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디글리시딜 에테르(EGEBA)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와 디아미노디페닐 메탄(DDM)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나 또는 혼합액에 15분 이상을 함침시킬 경우에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어 도리어 프리프레그의 탄성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나이론, 폴리스타이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타이렌-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무는 천연고무, 부틸고무, 이소프렌고무,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불소고무 등의 발포체 또는 비발포체 고무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치 서포팅부(20)는 발바닥의 장심과 아치에 긴밀하게 안착될 수 있게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외측단(26)과 상기 아치 서포팅부 외측단(26)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발바닥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과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의 연결면(22)은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이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 보다 3~30mm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는 보행중 반복되는 발모양의 변화에도 발바닥 의 장심 및 아치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를 긴밀하게 접촉시켜 보행시 지압감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바닥 아치의 위치로부터 발바닥의 앞 방향과 뒷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2~20mm 이동된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프론트 서포팅부(30)는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앞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게 지면으로부터 3~35도 상향으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리어 서포팅부(40)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뒷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게 지면으로부터 3~35도 상향으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뒷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바닥 지지구는 상기 프론트 서포팅부(30)에서 하중을 많이 받으며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프론트 서포팅부(30)의 다른 위치보다 경도가 높은 제 1 보강편(50)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리어 서포팅부(40)에서 하중을 많이 받는 발 뒷꿈치가 놓여지는 위치에 상기 리어 서포팅부(40)의 다른 위치보다 경도가 높은 제 2 보강편(52)을 구비하여 발의 하중이 발바닥 지지구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 1 보강편(50)과 제 2 보강편(52)의 소재로는 프론트 서포팅부(30)와 리어 서포팅부(40)의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것으로서, 합성수지, 고무, 금속, 목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상기 소재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다른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특별히 소재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나이론, 폴리스타이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타이렌-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무는 천연고무, 부틸고무, 이소프렌고무,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불소고무 등의 발포체 또는 비발포체 고무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바닥 지지구는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로 돌출형성되고 45~170도(θ1)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하부에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상기 아치 서포 팅부(20)를 중심으로 각각 라운드로 형성된 연결면(32, 42)을 통해 상방향으로 45~170도(θ2, θ3)로 경사지게 절곡시켜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프론트 서포팅부(30)와 발바닥의 뒷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포팅부(40)를 형성시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행시 착지의 동작에 따라 인체의 하중에 의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작용이 수행된다. 그리고 프론트 서포팅부(30)와 리어 서포팅부(40)는 하중에 의해 아래로 향하면서 돌출 형성된 아치 서포팅부(20) 부분을 더욱 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아치 서포팅부(20)의 아래 빈 공간에는 발포 또는 비발포의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보행작동시에는 착지자세 전의 형태로 바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바닥 지지구는 착지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아치 서포팅부(20)의 복원력에 의해 발바닥의 장심에 가해지는 자극이 제거되고, 착지시에는 상기 프론트 서포팅부(30)와 리어 서포팅부(40)가 하중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되어 인체의 무게 중심을 받치면서 자연스럽게 이동시키므로서 인체의 체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장시간 보행시에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발바닥 지지구에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발바닥 지지구에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은 발바닥의 장심과 아치가 안착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형성되는 아치 서포팅부(20)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를 중심으로 각각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발바닥 지지구가 착지자세가 아닌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탄성적으로 상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유지하고, 발바닥 지지구가 착지자세인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유연하게 변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바닥 지지구는 보행중 중간입각기 동작 즉, 발바닥이 지면에 닺는 동작일 경우에는 발의 하중이 발바닥 지지구에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중을 가장 많이 받은 제 1 보강편(50) 부분과 제 2 보강편(52) 부분을 신발의 미드솔 소재에 비해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시킴으로써, 보행중 발바닥 지지구와 발바닥의 장심 및 아치부분이 밀접하게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도 발의 하중이 발바닥의 지지구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바닥 지지구를 신발의 내부 또는 표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발을 신발의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아치 서포팅부(20)에 발바닥의 장심과 아치가 긴밀하게 안착 지지되고 그리고 보행중 중간입각기 동작에서는 하중이 가장 많이 전달되는 발바닥 앞부분과 발뒤꿈치 부분을 압착하게 되어 아치 서포팅부(20)를 더욱 돌출형성시켜 아치구조의 정점인 용천혈을 압박하고 그리고 보행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면서 발바닥의 장심과 아치를 지지해주므로 보행시 지속적인 지압과 하중을 분산시켜 피로감을 경감시키고 보행장애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아치구조의 교정이나 또는 예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 져서는 아니된다.
1. 발바닥 지지구의 제조
(실시예 1)
직물형태의 탄소섬유를 아세톤에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디글리시딜 에테르(EGEBA)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50 중량%와 디아미노 디페닐 메탄(DDM) 5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액에 10분간 함침시켜 프리프레그를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2겹으로 적층시켜 열압착기를 이용하여 진공분위기 하에서 50기압, 110℃에서 성형하여 발바닥 지지구를 제조하였다. 이때 발바닥 지지구의 아치 스포팅부는 120도의 각도로 가공하고, 아치 스포팅부를 중심으로 프론트 서포팅부는 지면에서 15도 상향각으로 형성되며, 리어 스포팅부는 지면에서 5도 상향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발바닥 지지구를 제조하되, 발의 하중이 발바닥 지지구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도 8의 4,5,6번)이 놓여지는 부분과 발 뒷꿈치가 놓여지는 부분에 발바닥 안착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 경도가 높은 폴리프로필렌의 소재를 삽입시켜 발바닥 지지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치 보강 부재와 지압형의 보조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통상의 운동화를 비교예로 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발바닥 지지구의 소재는 ABS수지이고, 발바닥 지지구의 아치 서포팅부의 각도는 160도로 형성하고, 그리고 아치 스포팅부를 중심으로 아치 서포팅 내, 외측단의 높이가 대칭이면서 위치가 착지자세에서 발바닥 아치의 정점과 일치되게 용천혈 아래에 위치하도록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바닥 지지구를 제조하되, 발바닥 지지구의 소재는 EVA를 사용하고 그리고 아치 스포팅부를 중심으로 프론트 서포팅부와 리어 스포팅부는 종래의 비탄성 지압보조제와 같이 지면과 동일하게 평면으로 제조하였다.
2. 측정방법 및 평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발바닥 지지구를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중 발가락 들림기, 발뒤축 들림기, 중앙입각기, 발뒤축 접지기 동작에서 도 8에 도시된 보행동작시 위치별 각 부분에 가해지는 족저압력과 보행동작에 따른 아치부위의 족저압력을 족저압력 측정장치(RsSc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보행동작시 위치별 각 부분에 가해지는 족저압력 측정결과 (단위 : N/cm2)
보행동작 위 치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발가락 들림기 1 52 52 53 52 53
2 51 50 51 50 51
3 50 50 50 50 50
발뒤축 들림기 4 53 56 68 55 68
5 52 55 66 54 65
6 55 60 62 56 60
중간입각기 7 65 68 25 61 54
8 66 70 27 63 55
발뒤축접지기 9 56 60 53 55 52
10 52 58 52 53 52
보행동작에 따른 아치부위의 족저압력 측정결과 (단위 : N/cm2)
보행동작 발가락 들림기 중간입각기 발뒤축 들림기 발뒤축접지기
위치 7 8 7 8 7 8 7 8
실시예1 7 8 65 66 10 12 11 13
실시예2 7 9 68 70 14 15 13 16
비교예1 5 8 25 27 8 10 10 11
비교예2 30 29 61 63 36 38 38 40
비교예3 27 29 54 55 30 32 35 36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을 종합한 결과, 상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발바닥 지지구의 아치 스포팅부가 120도로 형성되고, 아치 스포팅부를 중심으로 프론트 스포팅부의 말단을 지면에서 15도 상향 형성되며, 리어 스포팅부의 말단은 지면에서 5도 상향 형성되어 보행중 중간입각기 동작에서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충격을 흡수함으로 아치부의 지압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다른 보행동작에서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됨으로 감각 역치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하중을 많이 받는 발가락이 놓여지는 부분과 발 뒷꿈치가 놓여지는 부분의 소재를 다른 부분에 비해 경도가 높은 폴리프로필렌의 소재를 사용하여 경도를 보정함으로써, 보행시 실시예 1의 경우보다 아치부의 감각 역치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발의 하중을 지지구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아치부의 지압효과를 더욱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발바닥 아치부에 아치 보강재가 삽입되지 않음에 따라 중간입각기 동작에서 아치보강 효과가 없어 장시간 보행시 아치부의 처짐이 발생하고 그리고 아치부에 지압효과도 그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아치 스포팅부를 중심으로 아치 서포팅 내, 외측단의 높이가 대칭이면서 위치가 착지자세에서 발바닥 아치의 정점과 일치되게 용천혈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보행중 중간입각기 동작에서 무게중심은 이동시키지만 발바닥의 장심과 긴밀한 접촉이 어려워 아치부의 지압효과가 떨어지고, 그리고 다른 보행동작에서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감각 역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종래의 고정형 아치지압 보강재와 동일한 모양이지만 지지구의 경도 및 탄성복원력의 저하로 중간입각기 동작에서 낮은 지압효과를 가진다. 또한 아치 서포팅부의 탄성력 저하 및 변형의 어려움으로 인해 다른 보행 동작중에 낮은 복원력으로 이물감을 크게 느끼게 되어 감각 역치가 높아져 지압효과가 저하되고 보행시에 피로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기술을 종합해 보면, 아치부에 하중을 많이 받는 중간입각기 동작에서는 아치부를 지지하고, 그 외 동작에서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불필요한 자극을 줄임으로써, 편안한 착화감을 주고 효율적으로 아치부를 지지 및 지압하는 실시예 1 및 2의 발바닥 지지구의 경우에는 비교예 1~3에 비해 운동, 보행 및 노동시 하중을 분산시켜 피로감을 경감시키고, 보행장애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아치구조의 교정이나 또는 예방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아치구조의 정점인 용천혈을 압박하여 장시간 보행시에도 지속적인 지압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에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지구에 하중을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보행 중 발가락 들림기, 중앙입각기, 발뒤축 들림기, 발뒤축 접지기 동작을 나타낸 이미지 사진;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보행동작시 위치별 각 부분에 가해지는 족저압력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0 : 아치 서포팅부 22 : 아치 서포팅 외측단
24 : 아치 서포팅 내측단 26 : 연결면
30 : 프론트 서포팅부 32 : 연결면
40 : 리어 서포팅부 42 : 연결면
50 : 제 1 보강편 52 : 제 2 보강편

Claims (8)

  1. 발바닥의 구조에 맞추어 형성되는 발바닥 지지구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아치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아치 서포팅부(20)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앞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프론트 서포팅부(30) 및;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뒷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42)를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뒷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포팅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는 상기 발바닥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외측단(26) 및,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발바닥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을 구비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와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의 연결면(22)은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이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은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보다 3~30mm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서포팅부(30)는 발가락이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보강편(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어 서포팅부(40)는 발 뒷꿈치가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보강편(52)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보강편(50)과 제 2 보강편(52)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 프론트 서포팅부(30) 및 리어 서포팅부(40)보다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편(50)과 제 2 보강편(52) 부분의 소재는 합성수지, 고무, 금속, 목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5. 발바닥의 구조에 맞추어 형성되는 발바닥 지지구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5~50mm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아치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아치 서포팅부(20)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앞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32)을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프론트 서포팅부(30) 및;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뒷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연결면(42)를 통해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써, 상기 발바닥의 뒷부분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포팅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는 상기 발바닥의 아치의 위치로부터 발바닥의 앞 방향과 뒷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2~20mm 이동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서포팅부(20)는 상기 발바닥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외측단(26) 및,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발바닥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을 구비하되,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과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의 연결면(22)은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치 서포팅 내측단(24)은 상기 아치 서포팅 외측단(26)보다 3~30mm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서포팅부(30)는 발가락이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보강편(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어 서포팅부(40)는 발 뒷꿈치가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보강편(52)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보강편(50)과 제 2 보강편(52)은 상기 아치 서포팅부(20), 프론트 서포팅부(30) 및 리어 서포팅부(40)보다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편(50)과 제 2 보강편(52) 부분의 소재는 합성수지, 고무, 금속, 목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지구.
KR1020080006594A 2008-01-22 2008-01-22 발바닥 지지구 KR10092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94A KR100927876B1 (ko) 2008-01-22 2008-01-22 발바닥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94A KR100927876B1 (ko) 2008-01-22 2008-01-22 발바닥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94A KR20090080694A (ko) 2009-07-27
KR100927876B1 true KR100927876B1 (ko) 2009-11-25

Family

ID=4129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594A KR100927876B1 (ko) 2008-01-22 2008-01-22 발바닥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8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875B1 (ko) * 2005-12-28 2006-05-02 박종화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신발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875B1 (ko) * 2005-12-28 2006-05-02 박종화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신발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94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353B2 (en) Energy return sole
JP2010017514A (ja) 履き物及び内部構造体及び足部矯正方法
CN108113117A (zh) 一种内外足弓独立支撑的鞋垫及其制备方法
CN205512680U (zh) 一种避震减压缓冲鞋垫
US20110314692A1 (en) Open-toe footwear base member system
US20160316852A1 (en) Heel Suspend Footbed With Pronation Adapting Mechanism
RU2524894C2 (ru) Обувь для здоровь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CN110464078B (zh) 一种儿童扁平足矫正鞋及其制作工艺
KR100927876B1 (ko) 발바닥 지지구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KR101059393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20180093784A (ko) 아치형 중창
KR102271497B1 (ko) 신발용 인솔
CN206852164U (zh) 一种矫正扁平足的多功能鞋垫
CN207940398U (zh) 一种内外足弓独立支撑的鞋垫
KR20160050595A (ko) 신발깔창
CN201263431Y (zh)
KR200461630Y1 (ko) 중창 내부에 보행압력완충부가 형성된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0979261B1 (ko) 스포츠 런닝 슈즈
KR200384325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CN220832106U (zh) 一种分压式主动支撑的3d打印定制鞋垫
JP3208661U (ja) 足袋用中敷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