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784A - 아치형 중창 - Google Patents

아치형 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784A
KR20180093784A KR1020170152456A KR20170152456A KR20180093784A KR 20180093784 A KR20180093784 A KR 20180093784A KR 1020170152456 A KR1020170152456 A KR 1020170152456A KR 20170152456 A KR20170152456 A KR 20170152456A KR 20180093784 A KR20180093784 A KR 2018009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sole
base layer
lay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102017015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784A/ko
Publication of KR2018009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치형 중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은 상부보강층과 하부보강층 사이에 배치되며,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로 구성된 베이스층 및 상기 아치부를 구성하는 내측 사이드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사이드의 외측으로 사선방향 및 라운드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받쳐 지지하는 아치서포트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아치서포트부를 통해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함으로써, 보행시 발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고, 신체의 건강한 자세를 유지하여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다리교정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치형 중창{ARCH TYPE MID-SOLE}
본 발명은 아치형 중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겉창(밑창)과 안창 사이에 샌드위치형태로 개재되어 신발창을 구성하기 위한 아치형 중창에 관한 것이다.
중창은 겉창(밑창)과 안창 사이에 한 겹을 덧붙여 댄 것으로서, 신발창을 튼튼하게 하고, 신발의 형상을 결정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신발창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닿는 겉창(Out-sole)과 착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안창(In-sole) 및 상기 겉창과 안창 사이에 샌드위치형태로 개재되는 중창(Mid-sol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창의 하부에 허리쇠(Shank)를 부착함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신발창은 성별 또는 용도에 따라 그 형태를 다르게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창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공통적인 사항으로서, 통상 텍션으로 지칭되는 베이스판의 후방하부에 허리쇠가 구비되도록 하부보강재가 접착되고, 후방상부에 상부보강재가 접착되어 일체화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보강재와 하부보강재는 통상 아대로 지칭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베이스판에는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용 패드가 접착 또는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비되고 있다.
한편, 신발창을 구성하는 중창은 전면부를 통해 발가락을 지지하고, 후면부를 통해 뒤꿈치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중간부를 통해 발볼과 발바닥의 외측 아치(Lateral longitudinal arch)를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발바닥의 내측 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는 통상 안창을 통해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안창은 겉창과 중창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보행시 쿠션감 정도만을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안창을 통해 제공하는 쿠션감은 촉감 측면에서 좋을 수 있으나 보행시 내측 아치에 눌려 압착되므로, 이로 인해 몸의 균형이 흔들리거나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안짱다리를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9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함으로써, 보행시 내측 아치의 형태유지를 통해 발의 균형을 잡아주고, 피로감을 줄이면서 나아가 다리교정효과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아치형 중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은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로 구성되며, 섬유재질이나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후면부 및 아치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일체화되며, 섬유재질이나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된 상부보강층;
상기 베이스층의 전면부와 발볼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부보강층과 중첩되며, 베이스층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층;
상기 아치부를 구성하는 내측 사이드에 형성되고,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발바닥의 내측 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와 동일한 곡률(Curvature)을 이루도록 상기 내측 사이드의 외측으로 사선방향 및 라운드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받쳐 지지하는 아치서포트부; 및
상기 베이스층과의 사이에 허리쇠(Shank)가 개재되며, 내측 사이드를 경계로 아치부의 하부 및 후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체화되며, 섬유재질이나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된 하부보강층;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층은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이중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아치서포트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치서포트부를 보강하는 보조아치서포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중창은 하이힐용일 수 있으나 숙녀화와 신사화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아치서포트부를 통해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함에 따라 보행시 내측 아치의 형태유지를 통해 발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고, 신체의 건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피로감을 줄이면서 나아가 다리교정효과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아치형 중창이 적용된 신발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판매증진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의 베이스층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의 베이스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의 조립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1)은 일반적으로 텍션으로 지칭되는 베이스층(1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10)은 예컨대 섬유재질,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하게 되며, 도 2를 기준으로 도면상 우측부터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11),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12),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13)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14)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층(10)은 통상 아대로 지칭되는 상부보강층(20)과 하부보강층(30) 사이에 배치되어 예컨대, 접착 등의 방법으로 상기 상부보강층(20) 및 하부보강층(30)과 일체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1)은 전체적으로 볼 때, 상부보강층(20)과 하부보강층(30) 사이에 베이스층(10)이 샌드위치형태로 개재된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1)은 도면상 하이힐용을 나타내 보이고 있고,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에서도 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숙녀화와 신사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베이스층(10)은 아치부(13)를 구성하는 내측 사이드(13a)에 형성되어 발바닥의 내측 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를 받쳐 지지하는 아치서포트부(15)를 포함한다.
즉 발바닥의 아치는 내측 아치와 외측 아치(Lateral longitudinal arch)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아치는 평발을 제외하고 통상 홈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 내측 아치를 통해 몸의 무게를 분산시켜주고, 충격을 흡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아치가 변형되면, 즉 정상적인 내측 아치의 형태보다 높거나(요족) 낮으면(평발) 보행시 발바닥의 통증이 발생하거나 발의 균형이 흐트러지고, 피로감이 상승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안짱다리 등을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아치서포트부(15)는 이러한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치부(13)를 구성하는 내측 사이드(13a)의 외측으로 사선방향 및 라운드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아치서포트부(15)는 발바닥의 내측 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Curvature)을 이루도록 라운드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예컨대, 발 사이즈에 따른 평균적인 내측 아치의 곡률을 산출하여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곡률 값은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발바닥의 내측 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아치서포트부(15)가 보행시 내측 아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함으로써, 그 형태유지를 통해 발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고, 신체의 건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피로감을 줄이면서 나아가 다리교정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1)은 베이스층(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보강층(20)에 보조아치서포트부(21)를 형성하여 아치서포트부(15)와 함께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아치서포트부(21)는 신발의 구조상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밖에 없는 아치서포트부(15)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상기 아치서포트부(15)의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아치서포트부(21)와 아치서포트부(15)가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이중으로 지지함으로써, 보행시 내측 아치의 형태를 유지하는데에도 용이한 측면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보강층(20)은 베이스층(10)의 후면부(14) 및 아치부(13)의 상부에 형성되어 예컨대, 접착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될 수 있고,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으나, 이는 하이힐용에 한정된 구성으로서, 신발의 종류에 따라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보강층(20) 및 하부보강층(30)은 섬유재질,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보강층(30)은 아치부(13)의 내측 사이드(13a)를 경계로 상기 아치부(13)의 하부 및 후면부(14)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베이스층(10)과의 사이에 허리쇠(31)가 개재토록 하게 된다.
즉 하부보강층(30)은 상부보강층(20)과 달리 아치서포트부(15)에 해당하는 구성요소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부가할 수도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허리쇠(31)는 신발의 척추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보행시 하중이 집중되는 발바닥의 뒤꿈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하게 된다. 다만, 상기 허리쇠(31)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하 생략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치형 중창(1)은 쿠션층(40)을 포함한다. 상기 쿠션층(40)은 베이스층(10)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인 예컨대, 우레탄이나 스펀지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층(10)의 전면부(10a)와 발볼부(10b)의 상부에 형성하되, 일단이 상부보강층(20)과 중첩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다만,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이힐용에 한정된 구성으로서, 신발의 종류에 따라 베이스층(10)의 상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 천 등을 덧대어 형성되는 보호층(5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시 강한 충격이 우선 전달되는 전면부(11)와 발볼부(12)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보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증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중창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아치형 중창 10 - 베이스층
11 - 전면부 12 - 발볼부
13 - 아치부 13a - 내측 사이드
14 - 후면부 15 - 아치서포트부
20 - 상부보강층 21 - 보조아치서포트
30 - 하부보강층 31 - 허리쇠
40 - 쿠션층 50 - 보호층

Claims (2)

  1.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로 구성되며, 섬유재질이나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후면부 및 아치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일체화되며, 섬유재질이나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된 상부보강층;
    상기 베이스층의 전면부와 발볼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부보강층과 중첩되며, 베이스층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층;
    상기 아치부를 구성하는 내측 사이드에 형성되고,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발바닥의 내측 아치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도록 상기 내측 사이드의 외측으로 사선방향 및 라운드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받쳐 지지하는 아치서포트부; 및
    상기 베이스층과의 사이에 허리쇠가 개재되며, 내측 사이드를 경계로 아치부의 하부 및 후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체화되며, 섬유재질이나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강성재질을 압착하여 형성된 하부보강층;
    을 포함하는 아치형 중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층은 발바닥의 내측 아치를 이중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아치서포트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치서포트부를 보강하는 보조아치서포트;
    를 포함하는 아치형 중창.
KR1020170152456A 2017-11-15 2017-11-15 아치형 중창 KR20180093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56A KR20180093784A (ko) 2017-11-15 2017-11-15 아치형 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56A KR20180093784A (ko) 2017-11-15 2017-11-15 아치형 중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522 Division 2017-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784A true KR20180093784A (ko) 2018-08-22

Family

ID=6345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456A KR20180093784A (ko) 2017-11-15 2017-11-15 아치형 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7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473B1 (ko) * 2020-11-26 2021-05-24 주식회사 와이앤씨 무지외반증이나 잘못된 보행자세를 가지는 신체의 교정기능을 가지는 신발 및 이를 위한 중창
WO2021157986A1 (ko) * 2020-02-03 2021-08-12 뉴스텝 주식회사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955U (ko) 2009-03-04 2010-09-15 최희창 내구성 향상을 위한 판상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중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955U (ko) 2009-03-04 2010-09-15 최희창 내구성 향상을 위한 판상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중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986A1 (ko) * 2020-02-03 2021-08-12 뉴스텝 주식회사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KR102255473B1 (ko) * 2020-11-26 2021-05-24 주식회사 와이앤씨 무지외반증이나 잘못된 보행자세를 가지는 신체의 교정기능을 가지는 신발 및 이를 위한 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075B2 (en) Orthotic device for open shoes
US6510626B1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US10624416B2 (en) Footwear and the manufacture thereof
US10631592B2 (en) Article of footwear
US10433615B2 (en)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US20150335102A1 (en) Shoe sole adjustment pad
AU2015220984B2 (en) Improved shoe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WO2016178638A1 (en) Footwear structured with force absorption, distribution, absolute cushion, and foot-printing mechanism
US20180042336A1 (en) Cushion pad
KR20180093784A (ko) 아치형 중창
KR102090974B1 (ko) 개인 맞춤형 신발
US20130061496A1 (en) Footwear support structures
US20100307024A1 (en) Pressure-Reducing Device
KR200462766Y1 (ko) 구두 중창용 허리쇠
JP2023138921A (ja) 衝撃吸収層の構造を有する靴底
KR20080105649A (ko) 신발용 중창 및 허리쇠
US10349701B2 (en) Footwear having a sole formed with a cavity receiving a highly viscous gel
KR20140003454U (ko) 여성 구두 중창용 보강편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CN208259166U (zh) 一种具有双高弹力量平衡软垫的鞋底结构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20160050595A (ko) 신발깔창
CN214072051U (zh) 鞋中底
JP6829917B1 (ja) 履物の底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