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861B1 - 스탠딩형 연마기 - Google Patents

스탠딩형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861B1
KR100927861B1 KR1020090046839A KR20090046839A KR100927861B1 KR 100927861 B1 KR100927861 B1 KR 100927861B1 KR 1020090046839 A KR1020090046839 A KR 1020090046839A KR 20090046839 A KR20090046839 A KR 20090046839A KR 100927861 B1 KR100927861 B1 KR 10092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dust
flexible
coupled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영
Original Assignee
이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영 filed Critical 이일영
Priority to KR102009004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 B24B7/18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for walls and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딩형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피연마면을 연마하는 연마기에 있어서, 피연마면에 밀착시켜 연마를 수행하는 연마수단과 이동가능하며 상기 연마수단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연마수단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할 수 있는 집진기가 내설된 구동집진수단과 외력에 의해 휘어지며 양단이 각각 상기 연마수단과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연마수단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플렉시블 전달수단과 일측이 상기 연마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집진기와 결합되어 상기 연마수단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집진기에 전달하는 분진전달수단;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일어 선 상태에서 상기 분진전달수단을 파지하고 상기 연마수단을 피연마면에 밀착시켜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구동모터와 집진기가 연마수단과 별도로 구비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연마수단이 종래에 비해 매우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으로 본 발명을 파지한 상태로 바닥이나 벽체 및 천장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진을 깨끗하게 집진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46839
연마, 패드, 휠, 모터, 집진, 플렉시블, 분진, 튜브, 케이블, 샤프트

Description

스탠딩형 연마기{Standing type grinder}
본 발명은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서서, 바닥, 벽 또는 천장의 표면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스탠딩형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가 수직 구조물 등 높은 곳의 표면에 도장작업과 같은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표면을 연마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표면 연마작업은 발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고가의 사다리차와 같은 장비를 동원하여 표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거나 용접부위를 매끈하게 다듬거나 부식부위를 제거하는 작업으로서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손에 들고 직접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한다.
그러나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벽체나 수직 구조물 등의 표면을 작업하는데는 높이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발판을 설치하는 등의 높이 보완작업이 선행되어 많은 시간과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핸드 그라인더는 소형이기 때문에 강력한 연마를 필요로 하는 피연마면의 경우 그라인더의 용량이 낮아 원하는 연마품질을 얻을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용량이 큰 모터를 사용하게 되면 중량이 증가해서 작업자가 들 수 없게 된다.
또 바닥을 연마하는 연마기의 경우도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연마기 자체의 중량이 커서 이동하면서 연마작업을 하기에는 작업의 피로강도가 컸다.
또한, 연마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이 사방으로 날려 작업환경이 매우 좋지 못하게 되어 작업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손에 들기에 적절하고 이동이 자유로우며 바닥뿐 아니라 벽체, 천장과 같이 높은 곳의 표면에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스탠딩형 연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스탠딩형 연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 구동되는 연마휠과, 복수개가 한 조를 이루어 상기 연마휠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장착되는 패드다발, 상기 연마휠에 장착되어 상기 패드다발과 일체를 이루면서 피연마면과 접촉하며 상기 패드다발을 지지하는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플레이트 표면에 형성되어 피연마면과 접촉하여 연마하는 연마돌물로 구성되는 연마패드와, 상기 연마패드와 연마휠을 커버하면서 분진의 비산을 차단하는 휠커버로 이루어져 피연마면을 연마하는 연마수단;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가능한 무빙프레임과, 상기 무빙프레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무빙프레임 내에서 사방으로 일정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프레임 상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힌지결합되는 짐벌부재와, 상기 무빙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수단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기로 이루어지는 구동집진수단; 일측이 상기 연마휠에 결합되어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제1플렉시블축부와, 일측이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와 연결되는 하드축부와, 일측이 상기 하드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제2플렉시블축부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연마휠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전달수단; 일측이 상기 휠커버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고 중공관 형상을 가지는 몸체과, 상기 연마수단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몸체 내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연마수단과 상기 몸체를 연통시키는 연결관과, 상기 몸체와 상기 집진기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유도된 분진을 상기 집진기로 흡입하는 분진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분진전달수단;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일어 선 상태에서 상기 몸체을 파지하고 상기 연마패드를 피연마면에 밀착시켜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는 일측이 상기 연마수단에 결합되는 유연한 제1케이블축과, 상기 제1케이블축을 보호하도록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제1튜 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축부는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에 연결되는 샤프트와, 양단이 상기 분진전달수단 상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플렉시블축부는 일측이 상기 하드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유연한 제2케이블축과, 상기 하드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블축을 보호하도록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제2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상에 상기 구동집진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는 구동모터와 집진기가 연마수단과 별도로 구비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연마수단이 종래에 비해 매우 가 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으로 본 발명을 파지한 상태로 바닥이나 벽체 및 천장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진을 깨끗하게 집진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축을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 연마수단을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방향을 전환하여도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며 특히 구동모터에 짐벌부재가 구비되어 플렉시블축의 과도한 휘어짐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연마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연마를 직접 수행하는 연마수단(100)과, 상기 연마수단(100)을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구동집진수단(200)과, 상기 연마수단(100)과 구동집진수단(200)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되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전달수단(300) 및 상기 연마수단(1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구동집진수단(200)으로 전달하는 분진전달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연마수단(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연마수단(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휠(110), 연마패드(120), 휠커버(1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3은 본 발명의 연마휠과 연마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을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마휠(110)은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가지면서 후술하는 제1플렉시블축부(310)의 제1케이블축(312)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휠(110)에는 피연마면에 밀착되어 연마를 수행하는 연마패드(120)가 부착되는데, 상기 연마패드(120)는 복수개가 한 조로 이루어져 다수 조가 상기 연마휠(110)에 방사상으로 장착되는 패드다발(122)과, 상기 패드다발(122)을 지지하는 탄성플레이트(124) 및 상기 탄성플레이트(124) 표면에 형성되는 연마돌물(126)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다발(122)은 복수개의 패드(122a)가 한 조를 이루어 상기 연마휠(110)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플레이트(124)는 상기 연마휠(110)에 장착되어 상기 패드다발(122)과 일체를 이루면서 피연마면과 접촉하며 상기 패드다발(1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도 3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상기 패드다발(122) 중 일부에 장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패드다발(122) 각각에 모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플레이트(124)는 바람직하게는 양측이 원호 형상으로 굴곡된 금속재의 판스프링으로서, 작업자가 피연마면에 상기 패드다발(122) 및 탄성플 레이트(124)를 가압 접촉하여 연마를 실시한 후에도 상기 패드다발(122) 및 탄성플레이트(124)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드다발(122)에는 도 3의 확대부와 같이 상기 탄성플레이트(124)가 장착된 반대측에 지지패드(128)를 장착하여 상기 패드다발(122) 각각을 받침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패드(128)는 상기 연마휠(110) 상에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패드다발(1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패드(128)는 상기 패드(122a) 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우며 내구성이나 탄성이 높은 재질을 채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돌물(126)은 상기 탄성플레이트(124) 표면에 형성되어 피연마면과 접촉하여 연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연마돌물(126)은 연마분말을 접착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탄성플레이트(124) 표면을 요철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마분말은 다이아몬드 분말과 같이 경도가 매우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마휠(110) 상측에는 이격된 상태로 휠커버(130)가 결합되는데, 상기 휠커버(130)는 원형 용기형상으로 상기 연마휠(110)과 연마패드(12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마패드(120)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이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참고로, 상기 연마패드(120)는 상기 연마휠(110)에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팬과 같은 기능을 하여 발생하는 분진이 흩어지지 않고 자체적으로 흡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은 구동집진수단(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집진수단(200)은 무빙프레임(210), 구동모터(220), 짐벌부재(230), 집진기(240)로 구성된다.
상기 무빙프레임(210)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닥에 바퀴(212)가 구비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차 형상을 가지면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구동모터(220)와 집진기(240)가 내설되는데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무빙프레임(210)은 상기 바퀴가 없는 형태로 구성되어 바닥에 고정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벽이나 천장에 걸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멜빵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멘 상태로 휴대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220)는 상기 무빙프레임(210) 내에 설치되되, 상기 짐벌부재(230)에 의해 상기 무빙프레임(210)과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220)는 속도조절이 가능하도록 AC 모터가 적절할 것이다.
상기 짐벌부재(230)는 상기 구동모터(220)가 사방으로 자유롭게 일정각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공지된 것이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링(232)과 외측링(234)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링(232)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220)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내측링(232)의 외부는 상기 외측링(234)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외측링(234)은 상기 무빙프레임(210) 상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외측링(234)에 대해 상기 내측링(232)은 양단을 기준으로 회전하 며 상기 내측링(232)에 대해 상기 구동모터(220)는 상기 내측링(232)의 회전방향에 수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20)는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이것은 연마작업 중에 후술하는 제2플렉시블축부(330)가 상기 구동모터(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랜덤하게 움직이므로 방향이 변경되어도 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모터(220)가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상기 제2플렉시블축부(330)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무빙프레임(210) 내에는 상기 집진기(2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집진기(240)는 내부의 진공장치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분진을 회수하여 모으는 것이다.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구조와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렉시블 전달수단(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플렉시블 전달수단(300)은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력을 상기 연마수단(100)의 연마휠(110)에 전달하여 상기 연마휠(11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전달수단(300)이 직선 형태의 일반적인 축 형상이 아니라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것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선 상태로 손으로 들고다니면서 용이하게 바닥, 벽 또는 천장을 연마할 수 있는 포터블(portable) 타입이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워야 하므로 상기 구동모터(220)를 별도로 구비하여 작업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20)와 상기 연마수단(100)을 연결하는 축은 직선 축이 아니라 상기 연마수단(100)의 위치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축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 전달수단(300)은 상기 연마수단(100)에 직접 결합되는 제1플 렉시블축부(310)와,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310)에 연결되는 하드축부(320), 그리고 상기 하드축부(320)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되는 제2플렉시블축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휠(110)에 직접 결합되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휘어질 수 있는 케이블 형상의 제1케이블축(312)과, 상기 제1케이블축(312)을 보호하도록 외부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제1튜브(3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드축부(320)는 상기 제1케이블축(312)에 축연결부재(340)에 의해 연결되고 직선축 형상의 샤프트(322)와, 상기 샤프트(322)를 보호하도록 외부를 감싸는 보호케이스(324)로 구성되는데, 상기 샤프트(322)는 단단한(rigid) 재질로 이루어져 휘어지지 않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한 재질도 가능하며 상기 보호케이스(324)는 후술하는 몸체(4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322)와 보호케이스(324)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322)가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가능하게 하는 링 형상의 스페이서(326)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플렉시블축부(330)는 일단이 상기 샤프트(322)에 축연결부재(340)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모터(22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유연한 재질을 가지는 제2케이블축(332)과, 상기 제2케이블축(332)을 보호하도록 외부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제2튜브(334)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분진전달수단(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분진전달수단(400)은 지지부재(410)와, 몸체(420)와, 연결관(430)과, 분진배출관(44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410)는 봉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연마수단(100)의 휠커버(130)와 힌지결합하여 상기 연마수단(100)이 상기 지지부재(410)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20)는 중공관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부재(410)의 타단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상기 하드축부(320)의 보호케이스(324)는 상기 몸체(420)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몸체(420)와 상기 연마수단(100)의 휠커버(130)는 상기 연결관(430)에 의해 상호 연통되므로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이 상기 연결관(430)을 통해 상기 몸체(420) 내부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430)은 다수 번 접혀져 신축가능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관(430)이 신축가능해야 상기 휠커버(130)가 상기 지지부재(410)에 대하여 회전할 때 연결길이를 보상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진배출관(440)은 상기 몸체(420)의 단부에 유도된 분진을 상기 집진기(240)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분진배출관(440)은 일반적인 튜브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몸체(4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기(240)의 입구 측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420)를 손으로 파지하고 들 수 있도록 상기 몸체(420)의 일측에 손잡이(450)가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상기 몸체(420)의 일 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 고리와 같이 'ㄴ'자 형상을 이루는 받침구(4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구(422) 단부에 상기 분진배출관(44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50) 하부에는 스위치(460)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집진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50)를 파지하면서 상기 스위치(460)를 손가락으로 눌러 전원의 on-off 및 구동모터 속도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450)를 손으로 파지하고 상측으로 든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46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220)와 집진기(240)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케이블축(332)이 회전하면서 그것에 연결된 상기 샤프트(322)가 회전하며 그것에 연결된 상기 제1케이블축(312)이 회전하면서 그것에 결합된 상기 연마휠(110)이 회전함으로써 피연마면에 밀착된 상기 연마패드(120)가 피연마면 상에서 회전하면서 연마를 시작한다.
이때, 상기 연마패드(120)와 피연마면 사이의 마찰로 마모된 분진들은 상기 휠커버(13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상기 연결관(430)을 통해 상기 몸체(420)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분진배출관(440)을 통해 상기 집진기(240)로 집진된다.
만일, 상기 연마수단(100)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혹은 높은 곳에서 낮 은 곳으로 이동할 때 상기 휠커버(130)가 상기 지지부재(410)에 대하여 회전하므로 상기 연마패드(120)를 피연마면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손으로 파지하여 천장에도 밀착시켜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연마를 수행할 때도 상기 연마수단(100)을 이동해야 하므로 상기 구동집진수단(200)도 함께 이동가능할 뿐 아니라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플렉시블 전달수단(300)이 휘어질 수 있으므로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력이 잘 전달된다.
더욱이, 상기 구동모터(220)도 사방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므로 상기 제2플렉시블축부(330)의 과도한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마수단이 구동모터 및 집진기와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플렉시블한 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와 달리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선 상태로 들고 바닥이나 벽, 천장을 용이하게 연마작업 할 수 있으며 타 지점으로 이동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핵심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연마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마휠과 연마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연마수단 110 : 연마휠
120 : 연마패드 122 : 패드다발
124 : 탄성플레이트 126 : 연마돌물
130 : 휠커버
200 : 구동집진수단 210 : 무빙프레임
212 : 바퀴 220 : 구동모터
230 : 짐벌부재 240 : 집진기
300 : 플렉시블 전달수단 310 : 제1플렉시블축부
312 : 제1케이블축 314 : 제1튜브
320 : 하드축부 322 : 샤프트
324 : 보호케이스 330 : 제2플렉시블축부
332 : 제2케이블축 334 : 제2튜브
340 : 축연결부재
400 : 분진전달수단 410 : 지지부재
420 : 몸체 430 : 연결관
440 : 분진배출관 450 : 손잡이
460 : 스위치

Claims (10)

  1. 피연마면을 연마하는 연마기에 있어서,
    회전 구동되는 연마휠(110)과, 복수개가 한 조를 이루어 상기 연마휠(110)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장착되는 패드다발(122), 상기 연마휠(110)에 장착되어 상기 패드다발(122)과 일체를 이루면서 피연마면과 접촉하며 상기 패드다발(122)을 지지하는 탄성플레이트(124) 및 상기 탄성플레이트(124) 표면에 형성되어 피연마면과 접촉하여 연마하는 연마돌물(126)로 구성되는 연마패드(120)와, 상기 연마패드(120)와 연마휠(110)을 커버하면서 분진의 비산을 차단하는 휠커버(130)로 이루어져 피연마면을 연마하는 연마수단(100);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가능한 무빙프레임(210)과, 상기 무빙프레임(2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가 상기 무빙프레임(210) 내에서 사방으로 일정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프레임(210) 상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220)가 힌지결합되는 짐벌부재(230)와, 상기 무빙프레임(2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수단(1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기(240)로 이루어지는 구동집진수단(200);
    일측이 상기 연마휠(110)에 결합되어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제1플렉시블축부(310)와, 일측이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310)와 연결되는 하드축부(320)와, 일측이 상기 하드축부(3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22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제2플렉시블축부(330)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력을 상기 연마휠(110)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전달수단(300);
    일측이 상기 휠커버(130)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재(410)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고 중공관 형상을 가지는 몸체(420)과, 상기 연마수단(1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몸체(420) 내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연마수단(100)과 상기 몸체(420)를 연통시키는 연결관(430)과, 상기 몸체(420)와 상기 집진기(240)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420) 내부에 유도된 분진을 상기 집진기(240)로 흡입하는 분진배출관(440)으로 이루어지는 분진전달수단(400);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일어 선 상태에서 상기 몸체(420)을 파지하고 상기 연마패드(120)를 피연마면에 밀착시켜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연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310)는,
    일측이 상기 연마수단(100)에 결합되는 유연한 제1케이블축(312)과, 상기 제1케이블축(312)을 보호하도록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제1튜브(3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연마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축부(320)는,
    상기 제1플렉시블축부(310)에 연결되는 샤프트(322)와, 양단이 상기 분진전달수단(400) 상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322)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보호케이스(3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연마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렉시블축부(330)는,
    일측이 상기 하드축부(3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220)에 결합되는 유연한 제2케이블축(332)과, 상기 하드축부(320)에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블축(332)을 보호하도록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제2튜브(3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연마기.
  9. 삭제
  10. 제 1 항,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20)의 일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50)와 상기 손잡이(450) 상에 상기 구동집진수단(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4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연마기.
KR1020090046839A 2009-05-28 2009-05-28 스탠딩형 연마기 KR10092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39A KR100927861B1 (ko) 2009-05-28 2009-05-28 스탠딩형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39A KR100927861B1 (ko) 2009-05-28 2009-05-28 스탠딩형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861B1 true KR100927861B1 (ko) 2009-11-30

Family

ID=4160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839A KR100927861B1 (ko) 2009-05-28 2009-05-28 스탠딩형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798A (ko) * 2014-01-20 2015-07-29 이일영 휴대형 사이클론 집진 연마장치
CN106346324A (zh) * 2014-08-28 2017-01-25 胡妍 一种散尘水磨石打磨机
KR102520331B1 (ko) * 2022-07-08 2023-04-11 성지훈 분진 비산방지 기능을 가진 벽면 면삭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757A (ja) * 1995-02-16 1996-10-01 Porter Cable Corp 電動研磨機
KR100261131B1 (ko) * 1997-04-16 2002-11-30 김학철 집진식 샌더기
KR200385273Y1 (ko) * 2005-03-15 2005-05-25 이석재 텐숀지지제가 연마제를 지지한 연마휠
US20080201877A1 (en) 2007-02-22 2008-08-28 Flex-Elektrowerkzeuge Gmbh Hand-held cleaning/poli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757A (ja) * 1995-02-16 1996-10-01 Porter Cable Corp 電動研磨機
KR100261131B1 (ko) * 1997-04-16 2002-11-30 김학철 집진식 샌더기
KR200385273Y1 (ko) * 2005-03-15 2005-05-25 이석재 텐숀지지제가 연마제를 지지한 연마휠
US20080201877A1 (en) 2007-02-22 2008-08-28 Flex-Elektrowerkzeuge Gmbh Hand-held cleaning/polishing machin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798A (ko) * 2014-01-20 2015-07-29 이일영 휴대형 사이클론 집진 연마장치
KR101581871B1 (ko) 2014-01-20 2015-12-31 이일영 휴대형 사이클론 집진 연마장치
CN106346324A (zh) * 2014-08-28 2017-01-25 胡妍 一种散尘水磨石打磨机
CN106553101A (zh) * 2014-08-28 2017-04-05 胡妍 散尘水磨石打磨机
CN106346324B (zh) * 2014-08-28 2020-10-13 乐清市风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散尘水磨石打磨机
CN106553101B (zh) * 2014-08-28 2020-10-16 乐清市风杰电子科技有限公司 散尘水磨石打磨机
KR102520331B1 (ko) * 2022-07-08 2023-04-11 성지훈 분진 비산방지 기능을 가진 벽면 면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9996B1 (en) Vacuum sander
CA1312471C (en) Drywall sander
US8480457B2 (en) Surface preparation apparatus
CN102773778B (zh) 可调节角度的墙面打磨机
KR100927861B1 (ko) 스탠딩형 연마기
KR20120132405A (ko) 핸드헬드 머신
KR20090041421A (ko) 안락한 파지부를 가진 휴대용 오비탈 연마 공구
KR20140100713A (ko) 전동식 연마장치
ES2327237T3 (es) Pulidora.
CN208884934U (zh) 腻子电动刮打两用装置
KR20110004186U (ko) 집진 효율을 높인 바닥 연삭기
KR20040059615A (ko)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KR20130002643A (ko) 싸이클론을 활용한 포터블 진공집진 스탠딩 그라인더
KR100406324B1 (ko) 대리석 연마장치
CN110962008A (zh) 一种防尘减震式机械配件打磨机
KR101602577B1 (ko) 에어 집진 스위핑 장치
KR101277135B1 (ko) 바닥 연삭기
JP3181759U (ja) 研磨機
EP1293296A2 (en) Portable grinding or polishing apparatus for removing scratches on different types of surfaces, as glas, stone, plastic etc
KR101954667B1 (ko) 핸들형 자동 연마기
CN110026842A (zh) 一种土木工程用环保多功能施工装置
CN216228425U (zh) 一种墙面打磨装置
CN109176246B (zh) 一种建筑施工石材打磨装置
US20230277026A1 (en) Tool for Treating Overhead Surfaces
CN211161122U (zh) 一种便于维护的锯床用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