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058B1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058B1
KR100927058B1 KR1020080108113A KR20080108113A KR100927058B1 KR 100927058 B1 KR100927058 B1 KR 100927058B1 KR 1020080108113 A KR1020080108113 A KR 1020080108113A KR 20080108113 A KR20080108113 A KR 20080108113A KR 100927058 B1 KR100927058 B1 KR 100927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ception
mobile phone
us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330A (ko
Inventor
조동성
Original Assignee
조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성 filed Critical 조동성
Priority to KR102008010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05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사용자가 신속하게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는 휴대폰이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폰의 몸체에는 그 중간부에 상부 및 하부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모드 변환 버튼 또는 충격 감지부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모드 변환 버튼 또는 충격 감지부와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휴대폰의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상기 모드 변환 버튼 또는 충격 감지부로부터 모드변환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모드를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시킨다. 이에 의하면, 휴대폰을 호주머니나 핸드백 또는 가방으로부터 다른 물품들로부터 구별하여 쉽게 찾을 수 있고, 또한 찾은 휴대폰에서 수신모드를 빠르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므로, 빠른 시간내에 곤란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수신모드, 모드변환, 몸체, 오목부, 파지부

Description

휴대폰{A PORTABLE 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신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수신모드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크게 분류하자면 벨소리모드, 진동모드, 무음모드(매너모드) 등으로 분류된다. 이 세가지 기본모드에서, 벨소리후 진동모드, 진동 후 벨소리 모드, 램프표시 무음모드, 램프표시없는 무음모드 등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휴대폰의 수신모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수신 대기 상태에서, 키패드상의 소정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수신모드 변경메뉴를 단계적으로 찾아가서 모드변경을 해야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에서 벨소리모드에서 진동모드 또는 무음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잊은 채, 공공장소나 음악회, 또는 회의나 공식석상 등에서 벨소리가 발생되면, 사용자는 상기 벨소리를 끄거나 모드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기 때문에 매우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휴대폰의 수신 상태에서 키패드상의 소정 버튼을 누르는 경우 벨소리가 아예 꺼지는 방법이 소개된다. 그러나, 보통 사용자는 휴대폰을 손에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호주머니나 핸드백에 넣고 다니므로, 휴대폰을 찾는 시간이 상당히 걸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남성의 경우보다 여성의 경우에 더 많이 발생되는데, 왜냐하면 남성의 경우 보통 상의나 하의의 호주머니에 휴대폰을 넣고 다니므로 비교적 휴대폰을 찾기에 용이하지만, 여성의 경우는 보통 핸드백이나 가방에 넣고 다니기 때문에, 핸드백이나 가방 내부에 손을 집어넣어 휴대폰을 찾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의 소형화, 슬림화 경향으로 인해 여성의 휴대 용품이나 다른 전자제품, 예를 들면 화장품 케이스, 지갑, 명함 케이스, MP3 등과 혼동되기 쉽고, 또한 그러한 물건들로부터 휴대폰을 규별하여 찾기도 쉽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설령 핸드백이나 가방에서 꺼낸다 하더라도 꺼내는 과정에서 벨소리가 더 크게 나고, 또한 모드변경에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전자제품에 익숙치 않은 나이 많은 노인 등에게 더 심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호주머니나 핸드백 또는 가방에 있는 휴대폰을 다른 물건들로부터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찾은 휴대폰을 호주머니나 핸드백 또는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 신속하게 수신모드 변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휴대폰은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신모드로써 벨소리모드 및 비벨소리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중간부에 상부 및 하부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오목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설치된 모드 변환 버튼; 및, 상기 모드 변환 버튼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폰의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드 변환 버튼으로부터 모드변환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모드를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파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변환 버튼은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 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직선 또는 곡선 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비벨소리모드에서 다시 벨소리모드로 자동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일정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모드 중 설정된 소정의 수신모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현재 설정된 수신모드를 동작시켜 상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드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휴대폰은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신모드로써 벨소리모드 및 비벨소리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중간부에 상부 또는 하부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오목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목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출력신호를 송출하는 충격 감지부; 및, 상기 충격 감지부와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폰의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상기 충격 감지부로부터 충격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모드를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파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 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감지부는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직선 또는 곡선 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비벨소리모드에서 다시 벨소리모드로 자동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일정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모드 중 설정된 소정의 수신모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현재 설정된 수신모드를 동작시켜 상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드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 의하면, 휴대폰을 호주머니나 핸드백 또는 가방으로부터 다른 물품들로부터 구별하여 쉽게 찾을 수 있고, 또한 찾은 휴대폰에서 수신모드를 빠르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므로, 빠른 시간내에 곤란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의 몸체(100)는 중간부에 상부(120) 또는 하부(130)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110)가 형성된다. 일반적인 휴대폰의 몸체는 보통 직사각형으로써, 상부, 중간부, 하부의 폭이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휴대폰 몸체(100)의 중간부에 형성된 오목부(110)는 상부 또는 하부보다 폭이 작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 타입은 폴더형인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의 타입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bar)형, 슬라이드형, 회전 슬라이드형 등 몸체(100)의 중간부에 오목부(110)가 형성되는 다양한 타입의 휴대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오목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파지부(112), 상부(120)와 파지부(112)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14), 하부(130)와 파지부(112)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116)를 구비한다. 따라서, 파지부(112)의 폭은 제일 작으며, 제1연결부(114) 및 제2연결부(116)는 그 폭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파지부(112), 제1연결부(114), 제2연결부(116)가 특정 형상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연결부(114) 및 제2연결부(116)가 직선형일수도 있고 곡선형일 수도 있으며, 파지부(112) 역시 직선형이거 나 곡선형일 수도 있다. 그러나, 파지부(112)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므로 곡선형보다는 직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몸체(100)의 중간부에 오목부(11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폰(10)이 다른 물품과 같이 있을 때 다른 물품과 구별하여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른 물품과 구별하여 쉽게 찾는다는 의미는, 시각으로서 찾는 것이 아니라 손의 촉각으로서 찾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호주머니나 특히 핸드백 또는 가방에서 휴대폰이 다른 물품, 예를 들면 화장품 케이스, 지갑, 명함 케이스, MP3 등과 같이 있을 경우, 손의 감각으로 휴대폰을 다른 물품들로부터 쉽게 구별하여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목부(110)의 외부면 중 일 측면, 특히 파지부(112)의 일 측면에는 모드 변환 버튼(140)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공장소나 음악회, 또는 회의나 공식석상 등에서 벨소리가 발생되면, 사용자는 오목부(110)가 형성된 몸체(100)로 인해 휴대폰(10)을 쉽게 찾아내고, 오목부(110) 중 특히 파지부(112)에 설치된 모드 변환 버튼(140)을 누름으로써, 벨소리를 끄거나 벨소리모드를 비벨소리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구체적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요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은 상술한 모드 변환 버튼(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50)와,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메모리부(160) 및 모드 동작부(170)를 포함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폰은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안테나를 통해 수신신호가 온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신모드로써 벨소리모드 및 비벨소리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벨소리모드는 벨소리모드 이외의 모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크게 진동모드, 램프 무음모드, 무음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60)에는 설정된 수신모드가 저장된다. 수신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휴대폰(10)의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사용자가 상기 모드 변환 버튼(140)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150)는 모드변환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수신모드를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시키도록 모드 동작부(170)에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비벨소리모드는 진동모드와, 무음모드를 포함하나, 진동모드도 일정 진동소리를 발생하므로 무음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동작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모드를 변환시킨다. 즉,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현재 설정된 수신모드를 동작시켜 상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동작부(170)는 벨소리모드인 경우에는 스피커를 동작시키는 수신음 발생부와,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진동발생수단을 동작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램프 무음모드인 경우에는 LED 램프등을 동작시키는 발광부 등을 포 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비벨소리모드에서 다시 상기 벨소리모드로 자동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가 종래와 같이 키패드상의 일정 버튼을 조작하여 수신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으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일일이 전환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일정시간은 너무 짧은 경우 공공장소에 계속 있는데 반복적으로 벨소리가 울리게 되므로 좋지 않고, 너무 긴 경우 공공장소에서 벗어난 상태인데도 전화가 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일정시간은 회의나, 음악회, 영화 등이 완료되는 시간인 대략 2~3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이 앞선 실시예의 휴대폰과 다른 점은, 몸체(100) 오목부(110)의 파지부(112)에 모드 변환 버튼(140)을 설치하는 대신에 충격 감지부(180)를 설치한 것이다.
충격 감지부(180)는 파지부(112)에 사용자가 일정 압력을 가하는 경우, 충격감지신호를 제어부(150)에 송출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50)는 모드 동작부(17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설정된 수신모드를 변환시키도록 한다. 상기 충격 감지부(180)는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소정 압력에 의한 경우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의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폰(10)의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사용자가 상기 충격 감지부(180)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누르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 모드변환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수신모드를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특히 무음모드)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 의하면, 휴대폰의 몸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휴대폰을 다른 물품들과 구별해서 쉽게 찾을 수 있고, 또한 오목부에 모드 변환 버튼 또는 충격 감지부가 설치되어 버튼을 누르거나 일정 압력을 가하여 누르게 되면,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속하게 벨소리모드를 다른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폰의 요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형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폰의 요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100 : 몸체
110 : 오목부 112 : 파지부
114 : 제1연결부 116 : 제2연결부
120 : 상부 130 : 하부
140 : 모드변환버튼 150 : 제어부
160 : 메모리부 170 : 모드 동작부
180 : 충격 감지부

Claims (8)

  1.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신모드로써 벨소리모드 및 비벨소리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중간부에 상부 및 하부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오목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설치된 모드 변환 버튼; 및,
    상기 모드 변환 버튼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폰의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드 변환 버튼으로부터 모드변환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모드를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목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파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변환 버튼은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파지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직선 또는 곡선 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고, 상기 파지부는 직선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에 조작없이 상기 비벨소리모드에서 다시 벨소리모드로 자동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일정시간은 2 내지 3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드 중 설정된 소정의 수신모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현재 설정된 수신모드를 동작시켜 상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드 동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동작부는 벨소리모드인 경우에는 스피커를 동작시키는 수신음 발생부,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진동발생수단을 동작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램프 무음모드인 경우에는 LED 램프등을 동작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5.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신모드로써 벨소리모드 및 비벨소리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중간부에 상부 또는 하부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오목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목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출력신호를 송출하는 충격 감지부; 및,
    상기 충격 감지부와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폰의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상기 충격 감지부로부터 충격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모드를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목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파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감지부는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파지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직선 또는 곡선 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고, 상기 파지부는 직선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모드가 벨소리모드에서 비벨소리모드로 변환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에 조작없이 상기 비벨소리모드에서 다시 벨소리모드로 자동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일정시간은 2 내지 3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드 중 설정된 소정의 수신모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현재 설정된 수신모드를 동작시켜 상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드 동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동작부는 벨소리모드인 경우에는 스피커를 동작시키는 수신음 발생부,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진동발생수단을 동작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램프 무음모드인 경우에는 LED 램프등을 동작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1020080108113A 2008-10-31 2008-10-31 휴대폰 KR100927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113A KR100927058B1 (ko) 2008-10-31 2008-10-31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113A KR100927058B1 (ko) 2008-10-31 2008-10-31 휴대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178A Division KR20080098831A (ko) 2007-05-07 2007-05-07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30A KR20080107330A (ko) 2008-12-10
KR100927058B1 true KR100927058B1 (ko) 2009-11-13

Family

ID=4036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113A KR100927058B1 (ko) 2008-10-31 2008-10-31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0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10B1 (ko) * 1998-12-10 2003-03-10 김태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및
KR20040042988A (ko) * 2002-11-15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27191A (ko) * 2005-09-06 2007-03-0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10B1 (ko) * 1998-12-10 2003-03-10 김태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및
KR20040042988A (ko) * 2002-11-15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27191A (ko) * 2005-09-06 2007-03-0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30A (ko)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616A (en) Hand held telephone set with separable keyboard
CN203850854U (zh) 实现移动设备防丢功能的移动电源
US20060068851A1 (en) Accesso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822396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制御方法
CN104978834B (zh) 一种防止物品丢失的提醒器和方法
US200900361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Headset Receptacle
US8421607B2 (en) Personal alert device
JP2006345016A (ja) 非接触icカード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27058B1 (ko) 휴대폰
US7580509B2 (en) Telephone hook switch using non-contact capacitive sensor and telephone using the same
KR20080098831A (ko) 휴대폰
JP200624404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付属装置
KR101237366B1 (ko) 다기능 유에스비
US8335546B2 (en) Portable telephone with connection indicator
JPH07143550A (ja) 携帯電話装置
KR20100003896U (ko) 휴대폰 위치를 손쉽게 찾는 장치와 동작 방법
KR100938649B1 (ko) 휴대폰 충전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탈부착 알림 장치
JP2005311918A (ja) 携帯端末機器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200401789Y1 (ko) 거리이격 감지장치가 장착된 핸드폰
KR20110107302A (ko) 휴대폰 위치를 손쉽게 찾는 장치와 동작 방법
CN207650498U (zh) 多功能蓝牙太阳眼镜
KR20110008633A (ko) 휴대폰 착신신호 감지장치
KR20070036755A (ko) 노크센서와 그 노크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3145965U (ja) セキュリティカード
KR200283291Y1 (ko) 클립형 지갑분실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