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964B1 -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 Google Patents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964B1
KR100926964B1 KR1020080083400A KR20080083400A KR100926964B1 KR 100926964 B1 KR100926964 B1 KR 100926964B1 KR 1020080083400 A KR1020080083400 A KR 1020080083400A KR 20080083400 A KR20080083400 A KR 20080083400A KR 100926964 B1 KR100926964 B1 KR 100926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ip
measuring
plate
tip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8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9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40Caliper-lik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40Caliper-like sensors
    • G01B2210/42Caliper-like sensors with one or more detectors on a single sid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with a backing surface of support or reference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late height of a ball bush is provided to measure the height of a plate by using a measurement tip and a measuring sensor which are link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tips.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late height of a ball bush includes a main body(100), a measurement assistant unit(200), and a measuring unit(300). The main body includes a measurement support(140). A plate is placed on the measurement support. The measurement assistant unit comprises the first contact tip(210) and the measurement tip(230) which is moved as being interworked with the first contact tip. A lower end of the first contact tip come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The measuring unit includes the second contact tip(310) and a measuring sensor(330) which is moved as being interworked with the first contact tip.

Description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본 발명은 볼 부쉬(Ball Bush)의 부품 중 하나인 플레이트(Plate)의 높이 측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레이트의 높이 측정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성과 측정 정밀도를 높인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Plate) which is one of the parts of the ball bush (Ball Bush), in particular,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to increase the workability and measurement accuracy by automating the plate height measurement work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볼 부쉬(Ball Bush)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직선운동베어링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내경이 3㎜인 미니어처(Miniature) 부쉬에서부터 내경이 150㎜의 제품까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상의 내경을 갖는 제품도 특수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ball bush is a linear motion rolling guid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and is not only very diverse, but also manufactured from a miniature bush having an inner diameter of 3 mm to a product having an inner diameter of 150 mm. In addition, products having a larger inner diameter are also specially manufactured and used.

상기와 같은 볼 부쉬는 최초 틈새의 조정이 용이하지 못한 표준형의 제품이 사용되었으나, 이후 틈새를 조정할 목적으로 베어링의 외통에 길이 방향으로 틈을 낸 틈새 조정형이 개발되어 사용되었고, 이후 길이가 긴축에서도 축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방형이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자동으로 조심기능을 갖는 자동조심형 볼 부쉬(Super Ball Bush)가 사용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ball bush was used as a standard product that was not easy to adjust the gap at first, but afterwards, a gap adjustment type was developed in which the gap of the bearing wa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gap. An open type was developed and used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shaft, and recently, an automatic watch ball (Super Ball Bush) having an automatic function has been used.

도 1은 자동조심형 볼 부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lf-aligning ball bush.

상기 자동조심형 볼 부쉬는 외통(11)과, 외통의 내부로 삽입되며 미도시된 다수개의 볼을 지지하는 리테이너(12)와, 상기 외통에 결합되어 볼들과 접촉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3)들과, 상기 외통과 리테이너에 결합되는 실(14) 및 캡(15)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elf-aligning ball bush is an outer cylinder 11, a retainer 12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balls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plates 13 coupled to the outer cylinder to contact the balls. And a seal 14 and a cap 15 engaged with the outer cylinder and the retainer.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자동조심형 볼 부쉬에서는 플레이트의 정밀도가 볼 부쉬의 정밀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1개의 볼 부쉬에는 대략 4~6개의 플레이트들이 사용되어 볼과 접촉하게 되며, 조립된 각각의 플레이트 높이가 일정하여야만 볼 부쉬 내경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내경의 치수 정밀도가 높을수록 볼 부쉬의 부하하중 균일에 따른 내구성 향상과 수명향상, 구름 운동시 저소음, 저마찰 주행에 따른 소음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lf-aligning ball bush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recision of the plate greatly affects the accuracy of the ball bush. More specifically, about 4 to 6 plates are used in one ball bush to be in contact with the ball, and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ball bush inner diameter is improved only when the height of each assembled plate is constant. The higher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inner diameter, the longer the durability and life expectancy according to the uniform load load of the ball bush, the low noise during rolling motion,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noise due to low friction running.

도 2는 종래 방법에 따라 플레이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Figure 2 is a photograph taken a state of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한편 종래에는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높이를 측정하였으나,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한 측정방식은 측정오차가 심하여 볼 부쉬의 조립 후 불량으로 인한 분해 및 재조립 그리고 재측정이 요구됨에 따라 조립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성의 저하와 함께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the height of the plate was measured using a micrometer, but th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micrometer has a severe measurement error. Of cour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along with the deterioration of work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볼 부쉬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that can automatically measure the height of the plate used in the ball bush.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높이 측정시 플레이트를 위치가 자동으로 정렬되도록 한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late is automatically aligned when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의 높이 측정시 결과를 디스플레이스를 통해 나타내줌으로써 치수에 따른 플레이트의 등급별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grade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dimensions by displaying the results when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는 피측정대상인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측정 받침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측정 받침대의 수직 상부에 배치되며 본체에 설치된 상부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여 플레이트의 상면에 하단부가 닿는 제1 콘택트 팁 및 상기 제1 콘택트 팁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측정팁을 구비하는 측정보조부; 및 상기 측정 받침대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에 설치된 하부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여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된 홈에 상단부가 닿는 제2 콘택트 팁 및 상기 제2 콘택트 팁과 연동하여 이동하되, 제1 콘택트 팁과 연동하여 이동한 측정 팁에 의해 반응하여 제1 콘택트 팁과 제2 콘택트 팁의 사이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높이를 검출하는 측정센서를 구비하는 측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problem for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defects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measuring base on which the plate to be measured is placed; A measurement auxiliary part disposed on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measuring pedestal and having a first contact tip which is moved by an upper cylind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which has a lower e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a measuring tip which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And a second contact tip disposed at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measuring base and moved by a lower cylind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second contact tip contacting an upper end of the groo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and the second contact tip, wherein the first contact tip is moved. And a measuring unit having a measuring sensor detecting a height of a plate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tip and the second contact tip in response to the measuring tip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tip.

한편, 상기 제2 콘택트 팁의 하부에는 제2 콘택트 팁이 상기 홈의 중심에 정렬될 수 있도록 제2 콘택트 팁을 홈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tip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 alignment guide block for movably supporting the second contact ti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so that the second contact tip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groove. Do.

한편, 상기 측정센서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asurement sensor may be configured as a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sensor.

한편, 상기 본체에는 제1 콘택트 팁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블록 및 상기 제2 콘택트 팁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guide block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act tip and a lower guide block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tact tip.

이때, 상기 상부 실린더와 제1 콘택트 팁 및 측정팁은 상부 브라켓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작동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은 상부 가이드블록에 지지되어 이동하며, 상기 하부 실린더와 제2 콘택트 팁 및 측정센서는 하부 브라켓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작동하며, 상기 하부 브라켓은 하부 가이드블록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upper cylinder and the first contact tip and the measuring ti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upper bracket, and the upper bracket is supported by the upper guide block and moves, and the lower cylinder and the second contact tip and the measuring sensor are lower Interconnected and operated by a bracket, the lower bracke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ove supported by the lower guide block.

한편, 상기 측정 받침대에는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안착홈 및 상기 제2 콘택트 팁이 측정 받침대를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게 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easuring pedestal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plate is placed and the second contact tip penetrates the measuring pedestal into a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받침대에 놓인 플레이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제1 콘택트 팁과 제2 콘택트 팁이 밀착되도록 이동하였을 때, 제1 콘택트 팁과 제2 콘택트 팁과 연동하여 이동한 측정팁과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한 수작업 방식에 비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측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hen the first contact tip and the second contact tip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plate placed on the measuring pedestal, the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and the second contact tip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using a measuring tip and a measuring sens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as well a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compared to the manual method using a conventional micrometer.

더욱이 제2 콘택트 팁이 플레이트의 홈에 밀착될 때, 제2 콘택트 팁이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에 의하여 홈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홈이 중심에 제2 콘택트 팁이 자동으로 정렬됨으로써 측정시 발생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Furthermore, when the second contact t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plate, the second contact tip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by the alignment guide block so that the groove is automatically aligned so that the second contact tip is aligned at the center to generate the measurement. The error can be reduced.

또한,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나타내줌으로써 측정결과에 따른 제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measurement results on the display it is easy to separate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피측정대상인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te to be measured.

본 발명이 측정대상으로 하는 플레이트 높이란 플레이트(13)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16)의 정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상단부까지의 거리(T)를 의미하는 것이다.The plate height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means the distance T from the apex of the groove 1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13 to the upper end of the plat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측정장치의 사시도를,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측정장치의 정면도를,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측정장치의 측면도를, 도 7은 도 6의 'A'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measuring device shown in FIG. 4, FIG. 6 is a side view of the measuring device shown in FIG. 6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A' s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측정장치는 측정센서(330)와 측정팁(230)을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게 본체(100)와 측정보조부(200) 및 측정부(300)로 구분될 수 있다.Heigh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height of the plate using the measuring sensor 330 and the measuring tip 230, the main body 100 and the measurement assistant 200 And the measuring unit 300.

상기 본체(100)는 측정보조부(200)와 측정부(300)를 지지하는 것으로,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된 기둥(120)과, 상기 기둥(12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130)과, 상기 베이스판(110)과 지지판(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둥(120)에 설치되어 피측정대상인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측정 받침대(140)로 구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100 supports the measurement auxiliary unit 200 and the measurement unit 300, a base plate 110 placed on the floor, a pillar 120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base plate 110, and A measuring base on which the plate to be measured is placed on the pillar 12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plate 110 and the supporting plate 130 in a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20. It consists of 140.

한편 상기 측정 받침대(140)는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안착홈(141)이 상면에 형성되고 있고, 또 후술될 제2 콘택트 팁(310)이 측정 받침대(140)를 관통하여 플레이트(13)의 홈(16)으로 삽입되게 하는 관통홀(142)이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ing pedestal 140 has a seating groove 141 in which a plate having an elongated shape is plac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contact tip 31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the measuring pedestal 140. The through hole 14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6 of the (13).

상기 측정보조부(200)는 플레이트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팁(230)을 플레이트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콘택트 팁(210)과, 상부 실린더(220)와, 측정팁(23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measuring aid 200 is for moving the measuring tip 230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plate, the first contact tip 210, the upper cylinder 220, and the measurement Tip 230.

상기 제1 콘택트 팁(21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형상으로써, 측정 받침대(14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부 실린더(22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레이트의 상면에 하단부가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contact tip 210 is a bar-shape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sposed to be locat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measuring pedestal 140, moved vertically by the upper cylinder 2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It is configured to reach the bottom.

상기 상부 실린더(220)는 제1 콘택트 팁(21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체(100)의 지지판(130)에 설치되어 제1 콘택트 팁(210)을 수직방향으로 이 동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상부 실린더(220)는 미도시된 동력원(유압펌프 또는 컴프레서)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cylinder 220 is to move the first contact tip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130 of the main body 100 to move the first contact tip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course, the upper cylinder 22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hydraulic pump or compressor) not shown.

상기 측정팁(23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형상으로써, 제1 콘택트 팁(210)의 이웃한 위치에서 제1 콘택트 팁(210)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measuring tip 230 is a bar-shap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210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first contact tip 210.

상기와 같이 상부 실린더(22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콘택트 팁(210)과 측정팁(230)이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실린더(220)와 제1 콘택트 팁(210) 및 측정팁(230)은 상부 브라켓(24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measurement tip 230 moving upward and downward by the upper cylinder 220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cylinder 220 and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measurement. The tip 230 is interconnected by an upper bracket 240.

한편 플레이트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 콘택트 팁(210)의 안정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에는 제1 콘택트 팁(21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블록(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ensure stable movement of the first contact tip 210 in direct contact with the plate, the main guide 100 further includes an upper guide block 250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act tip 210. Can be.

상기 상부 가이드블록(250)은 가이드(251)와 상기 가이드(251)를 따라 이동하는 블록(252)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LM 가이드와 같은 직선운동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guide block 250 may be composed of a linear motion bearing such as a known LM guide consisting of a guide 251 and a block 252 moving along the guide 251.

한편 상기 상부 가이드블록(250)과 제1 콘택트 팁(210)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나, 제1 콘택트 팁(210)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측정팁(230)의 안정된 이동을 위해서는 제1 콘택트 팁(210)과 측정팁(230)을 연결하는 상부 브라켓(240)을 상부 가이드블록(250)과 연결함으로써 상부 브라켓(240)이 상부 가이드블록(250)에 의하여 지지된 채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lthough the upper guide block 250 and the first contact tip 2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contact tip 210 may be used to stably move the measuring tip 230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210. By connecting the upper bracket 240 connecting the upper bracket 240 and the measuring tip 230 and the upper guide block 25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ov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upper guide block 250.

상기 측정부(300)는 플레이트(13)의 하부에 구비된 홈(16)에 대응하는 위치로 측정센서(330)를 이동시키되, 측정팁(230)에 의해 측정센서(330)가 반응하도록 하여 플레이트(13)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으로, 제2 콘택트 팁(310)과, 하부 실린더(320)와, 측정센서(330)로 구성되어 있다.The measuring unit 300 moves the measuring sensor 33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6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3, so that the measuring sensor 330 reacts by the measuring tip 230 The height of the plate 13 is detected, and is comprised by the 2nd contact tip 310, the lower cylinder 320, and the measuring sensor 330. As shown in FIG.

상기 제2 콘택트 팁(31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형상으로써, 상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3)의 홈(16)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콘택트 팁(310)은 측정 받침대(140)의 수직 하부에서 제1 콘택트 팁(210)과 대칭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며, 하부 실린더(32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레이트(13)의 홈(16)에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a bar-shape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6 of the plate (13). 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disposed to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contact tip 210 at the vertical bottom of the measuring pedestal 140, and moved vertically by the lower cylinder 320 to The upper e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6.

상기 하부 실린더(320)는 제2 콘택트 팁(31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체(100)의 베이스판(110)에 설치되어 제2 콘택트 팁(31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하부 실린더(320)는 미도시된 동력원(유압펌프 또는 컴프레서)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cylinder 320 moves the second contact tip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of the main body 100 to move the second contact tip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course, the lower cylinder 32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hydraulic pump or compressor) not shown.

상기 측정센서(330)는 측정팁(230)에 의해 반응하여 제1 콘택트 팁(210)과 제2 콘택트 팁(310)의 사이에 위치한 플레이트(13)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으로, 제2 콘택트 팁(310)의 이웃한 위치에서 제2 콘택트 팁(310)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측정센서(330)는 측정팁(230)에 의하여 반응할 수 있도록 측정팁(230)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asuring sensor 330 detects the height of the plate 13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in response to the measuring tip 230, and the second contact tip. It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contact tip 310 at the adjacent position of (310). The measuring sensor 33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measuring tip 230 to react by the measuring tip 230.

한편 상기 측정센서(330)는 제2 콘택트 팁(310)과 연동하여 이동한 후, 제1 콘택트 팁(210)과 연동하여 이동한 측정팁(230)에 의해 반응하여 플레이트(13)의 높이를 측정하게 되며, 이처럼 측정팁(230)에 의해 반응하여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로는 공지의 변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 4 내지 도 6에는 공지의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센서로 측정센서(330)가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처럼 측정센서(330)가 LVDT 센서로 구성될 경우, 측정센서(330)의 상단부가 측정팁(230)에 의해 눌려지면서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검출하게 된다.Meanwhile, the measuring sensor 33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ntact tip 310 and then reacts with the measuring tip 230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210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plate 13. 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130 in response to the measuring tip 230, a known displacement sensor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Figure 4 to 6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at the measurement sensor 330 is configured by a known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sensor, the measurement sensor 33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VDT sensor is configured, the upper end of the measuring sensor 330 is pressed by the measuring tip 230 to detect the height of the plate 130.

상기와 같이 하부 실린더(32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콘택트 팁(310)과 측정센서(330)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실린더(320)와 제2 콘택트 팁(310) 및 측정센서(330)는 하부 브라켓(34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the second contact tip 310 and the measurement sensor 330 moving upward and downward by the lower cylinder 320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lower cylinder 32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and the measurement. The sensors 330 are interconnected by the lower bracket 340.

한편 플레이트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 콘택트 팁(310)의 안정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에는 제2 콘택트 팁(31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블록(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ensure stable movement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in direct contact with the plate, the lower guide block 3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Can be.

상기 하부 가이드블록(350)은 가이드(351)와 상기 가이드(351)를 따라 이동하는 블록(352)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LM 가이드와 같은 직선운동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guide block 350 may be configured as a linear motion bearing such as a known LM guide consisting of a guide 351 and a block 352 moving along the guide 351.

한편 상기 하부 가이드블록(350)과 제2 콘택트 팁(310)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나, 제2 콘택트 팁(310)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측정센서(330)의 안정된 이동을 위해서는 제2 콘택트 팁(310)과 측정센서(330)를 연결하는 하부 브라켓(340)을 하부 가이드블록(350)과 연결함으로써 하부 브라켓(340)이 하부 가이드블록(350)에 의하여 지지된 채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lower guide block 35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second contact tip 310 may be used to stably move the measurement sensor 330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ntact tip 31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lower bracket 340 to mov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lower guide block 350 by connecting the lower bracket 340 connecting the lower sensor block 340 and the measuring sensor 330 with the lower guide block 35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콘택트 팁이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에 의하여 지지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tip is supported by the alignment guide bloc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플레이트(13)의 높이 측정시 플레이트(13)의 홈(16)으로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 콘택트 팁(310)의 경우, 자신의 중심과 홈(16)의 중심이 일치하여야만 정확한 플레이트의 높이 측정이 가능하므로, 측정 받침대(140)에 놓여진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제2 콘택트 팁(31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2 콘택트 팁(310)의 하부에는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360)이 더 구비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in which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6 of the plate 13 when the height of the plate 13 is measured, the center of the groove and the groove 16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must coincide to accurately measure the height of the plate. Since this is possible, the alignment guide block 360 is further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tact tip 3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ate placed on the measuring base 140. It is provided.

상기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360)은 가이드(361)와 상기 가이드(361)를 따라 이동하는 블록(362)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LM 가이드와 같은 직선운동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콘택트 팁(310)과 하부 브라켓(3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콘택트 팁(310)을 홈(16)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The alignment guide block 360 may be formed of a linear motion bearing such as a known LM guide consisting of a guide 361 and a block 362 moving along the guide 361, and the second contact tip ( It is installed between the 310 and the lower bracket 340 to support the second contact tip 310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16).

한편 상기 측정센서(330)로부터 검출되는 값을 수치로써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40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400)에는 측정센서(330)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 및 측정센서(330)로부터 나오는 전기신호를 수치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이처럼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회로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splay 400 for displaying the value detected from the measuring sensor 330 as a numerical value, such display 400 includes an amplification circuit for amplifying a signal from the measuring sensor 330 and A circui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measuring sensor 330 into a numerical value is built in. As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for amplify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numerical value is a well-known technique that is generally us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의 높이를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측정센서(330)는 LVDT 센서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다.The process of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using the plate height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measuring sensor 330 is composed of an LVDT sensor.

본 발명의 높이 측정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블록 게이지(Block Gauge)를 측정 받침대(140)에 놓고, 상부 실린더(220)와 하부 실린더(320)를 작동하여 제1 콘택트 팁(210)과 제2 콘택트 팁(310)이 블록 게이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블록 게이지 외에 별도의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정밀계측이 이루어진 마스터 게이지(Master Gauge)가 사용될 수도 있다.In order to use the height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block gauge is placed on the measuring pedestal 140, and the upper cylinder 220 and the lower cylinder 320 are operated to operate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The contact tip 310 is mov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gauge.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block gauge may be used a master gauge (Master Gauge) made of precise measurement using a separate measurement equipment.

한편, 측정팁(230)과 측정센서(330)는 제1 콘택트 팁(210) 및 제2 콘택트 팁(310)과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블록 게이지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호 근접하게 이동하게 되며, 이때 측정팁(230)에 의하여 측정센서(330)의 상단부가 눌려지면서 측정센서(330)가 반응하여 블록 게이지의 높이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전기신호를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수치화되어 나타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ing tip 230 and the measuring sensor 330 is moved in close proximity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 gauge by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measuring sensor 330 is pressed by the measuring tip 230 and the measuring sensor 330 reacts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 gauge, and the electrical signal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400. It will appear numerically.

한편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표시되는 값과 측정된 블록 게이지의 높이값에 차이가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된 값을 블록 게이지의 높이값으로 수정함으로써 측정센서(330)의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일예로 3mm의 높이값을 갖는 블록 게이지를 측정하였을 때, 측정값으로 3.002mm의 값이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되었다면,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된 값을 3.000mm으로 수정함으로써 측정센서(330)의 오차값을 보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400 and the height value of the measured block gauge, the error of the measuring sensor 330 is corrected by correcting the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400 to the height value of the block gauge. do. For example, when a block gauge having a height value of 3 mm is measured, if a value of 3.002 m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400 as a measured value, the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400 is corrected to 3.000 mm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measuring sensor 330. The error value is corrected.

상기와 같이 측정센서(330)의 세팅이 완료되면, 피측정대상인 플레이트를 측정 받침대(140)에 구비된 안착홈(141)에 안착시키게 된다.When the setting of the measuring sensor 33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plate to be measured is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141 provided in the measuring pedestal 140.

이후 상부 실린더(220)와 하부 실린더(320)를 작동하여 제1 콘택트 팁(210)과 제2 콘택트 팁(310)을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방향이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1 콘택트 팁(210)과 제2 콘택트 팁(310)의 이동은 제1 콘택트 팁(210)의 하단부가 플레이트의 상면에 닿고, 제2 콘택트 팁(310)의 상단부가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Thereafter, the upper cylinder 220 and the lower cylinder 320 are operated to move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in a direction close to the plate.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act tip 21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plate. Until it is done.

한편 제2 콘택트 팁(310)의 상단부는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13)의 홈(16) 또한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홈(16)의 중심과 제2 콘택트 팁(31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2 콘택트 팁(310)은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360)에 의하여 홈(16)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홈(16)의 중심과 제2 콘택트 팁(310)의 중심이 자연스럽게 정렬된다. 이러한 제2 콘택트 팁(310)의 이동은 하부 실린더(320)가 제2 콘택트 팁(310)을 밀어올리는 힘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spherical and the groove 16 of the plate 13 is also semi-circular, the center of the groove 16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do not coincide. Otherwise, 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16 by the alignment guide block 360 so that the center of the groove 16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are naturally aligned. do.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made by the force that the lower cylinder 320 pushes up the second contact tip 310.

한편 제1 콘택트 팁(210)과 제2 콘택트 팁(310)의 이동시, 상부 브라켓(240)과 하부 브라켓(340)에 의하여 제1 콘택트 팁(210) 및 제2 콘택트 팁(310)과 각각 연결된 측정팁(230) 및 측정센서(33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측정센서(330)의 상단부가 측정팁(230)에 의하여 플레이트(13)의 높이만큼 눌려짐으로써 플레이트(13)의 높이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기신호를 디스플레이(400)가 전달받아 수치화하여 나타내게 된다.Meanwhile, when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are moved,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are connected by the upper bracket 240 and the lower bracket 340, respectively. The movement of the measuring tip 230 and the measuring sensor 330 is made, and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measuring sensor 330 is pressed by the height of the plate 13 by the measuring tip 230, there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plate 13. I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400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is numerically represented.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나타나는 측정값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등급 별로 구분하게 되며, 이는 볼 부쉬에 사용되는 스틸볼의 경우, 1㎛ 단위의 등급별 생산이 가능하므로, 측정값에 따라 구분된 플레이트의 등급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스틸볼을 선택하여 볼 부쉬를 조립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late is divided by grade using the measured valu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400. In the case of the steel ball used for the ball bush, the grade can be produced in units of 1 μm, and thus the divid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The ball bush is assembled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size steel ball for the grade of the plat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 은 자동조심형 볼 부쉬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lf-aligning ball bush,

도 2 는 종래 방법에 따라 플레이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Figure 2 is a photograph taken a state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도 3 은 피측정대상인 플레이트의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of a plate to be measured;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측정장치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측정장치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measuring apparatus shown in FIG. 4;

도 6 도 4에 도시된 측정장치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the measuring device shown in FIG.

도 7 은 도 6의 'A'부 상세도,FIG. 7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A' of FIG. 6;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콘택트 팁이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에 의하여 지지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tip is supported by the guide block for alig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3) : 플레이트 (16) : 홈(13): Plate 16: groove

(100) : 본체 (140) : 측정 받침대100: main body 140: measuring base

(141) : 안착홈 (142) : 관통홀(141): seating groove (142): through hole

(200) : 측정보조부 (210) : 제1 콘택트 팁200: measuring assistant 210: first contact tip

(220) : 상부 실린더 (230) : 측정팁220: upper cylinder 230: measuring tip

(240) : 상부 브라켓 (250) : 상부 가이드블록(240): upper bracket 250: upper guide block

(300) : 측정부 (310) : 제2 콘택트 팁300: measuring unit 310: second contact tip

(320) : 하부 실린더 (330) : 측정센서(320): lower cylinder 330: measuring sensor

(340) : 하부 브라켓 (350) : 하부 가이드블록(340): Lower bracket 350: Lower guide block

(360) :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 (400) : 디스플레이(360): Positioning guide block (400): Display

Claims (7)

피측정대상인 플레이트(13)가 놓여지는 측정 받침대(140)가 구비된 본체(100);A main body 100 provided with a measuring pedestal 140 on which a plate 13 to be measured is placed; 상기 측정 받침대(140)의 수직 상부에 배치되며 본체(100)에 설치된 상부 실린더(220)에 의해 이동하여 플레이트(13)의 상면에 하단부가 닿는 제1 콘택트 팁(210) 및 상기 제1 콘택트 팁(210)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측정팁(230)을 구비하는 측정보조부(200); 및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first contact tip which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measuring pedestal 140 and moved by the upper cylinder 2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to reach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3. A measurement assistant 200 having a measurement tip 230 moving in association with 210; And 상기 측정 받침대(140)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100)에 설치된 하부 실린더(320)에 의해 이동하여 플레이트(13)의 하단부에 구비된 홈(16)에 상단부가 닿는 제2 콘택트 팁(310) 및 상기 제2 콘택트 팁(310)과 연동하여 이동하되, 제1 콘택트 팁(210)과 연동하여 이동한 측정팁(230)에 의해 반응하여 제1 콘택트 팁(210)과 제2 콘택트 팁(310)의 사이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높이를 검출하는 측정센서(330)를 구비하는 측정부(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The second contact tip 310 disposed in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measuring pedestal 140 and moved by the lower cylinder 3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to reach the groove 16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13.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second contact tip 210 in response to the measurement tip 230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ontact tip 210. Ball bushing plate height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measuring unit 300 having a measuring sensor 330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plate located between the 31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콘택트 팁(310)의 하부에는 제2 콘택트 팁(310)이 상기 홈(16)의 중심에 정렬될 수 있도록 제2 콘택트 팁(310)을 홈(16)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위치정렬용 가이드블록(3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Under the second contact tip 310, the second contact tip 310 is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16 so that the second contact tip 310 can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groove 16. Positioning device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ball b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block for positioning alignment 360 is further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정센서(330)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The measuring sensor 330 is a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00)에는 제1 콘택트 팁(21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블록(250) 및 상기 제2 콘택트 팁(31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블록(3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The main body 100 further includes an upper guide block 250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a lower guide block 350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tact tip 310.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상부 실린더(220)와 제1 콘택트 팁(210) 및 측정팁(230)은 상부 브라켓(24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작동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240)은 상부 가이드블록(250)에 지지되어 이동하며,The upper cylinder 220 and the first contact tip 210 and the measuring tip 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bracket 240, the upper bracket 240 is supported by the upper guide block 250 Moving around, 상기 하부 실린더(320)와 제2 콘택트 팁(310) 및 측정센서(330)는 하부 브라 켓(34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작동하고, 상기 하부 브라켓(340)은 하부 가이드블록(350)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The lower cylinder 320, the second contact tip 310, and the measuring sensor 3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wer bracket 340, and the lower bracket 340 is supported by the lower guide block 350.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정 받침대(140)에는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안착홈(141) 및 상기 제2 콘택트 팁(310)이 측정 받침대(140)를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게 하는 관통홀(14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The measuring pedestal 140 has a through hole 142 through which the mounting groove 141 on which the plate is placed and the second contact tip 310 penetrate the measuring pedestal 140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Plate h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ball bus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정센서(330)로부터 검출되는 값을 수치로써 나타내는 디스플레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부쉬의 플레이트 높이 측정장치.And a display 400 for displaying the value detected from the measuring sensor 330 as a numerical value.
KR1020080083400A 2008-08-26 2008-08-26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KR100926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00A KR100926964B1 (en) 2008-08-26 2008-08-26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00A KR100926964B1 (en) 2008-08-26 2008-08-26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964B1 true KR100926964B1 (en) 2009-11-17

Family

ID=4160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400A KR100926964B1 (en) 2008-08-26 2008-08-26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96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188B1 (en) 2010-12-13 2012-1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Height Of Object Using Displacement Sensor
KR101271891B1 (en) 2011-11-29 2013-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striker displacement of automobile
KR20140137562A (en)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Jig for Measuring of Battery Thickness and Method for Measuring of Battery Thickness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608A (en) 1984-01-31 1985-08-21 Taiho Kogyo Co Ltd Method and instrument for measuring wall thickness
JPH01257201A (en) * 1988-04-07 1989-10-13 Daido Metal Co Lt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plate-shaped product
KR0143747B1 (en) * 1994-12-30 1998-07-15 석진철 Device for measuring thickness of coating film
KR20050000313A (en) * 2003-06-23 2005-01-03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세이미쯔 Measuring he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608A (en) 1984-01-31 1985-08-21 Taiho Kogyo Co Ltd Method and instrument for measuring wall thickness
JPH01257201A (en) * 1988-04-07 1989-10-13 Daido Metal Co Lt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plate-shaped product
KR0143747B1 (en) * 1994-12-30 1998-07-15 석진철 Device for measuring thickness of coating film
KR20050000313A (en) * 2003-06-23 2005-01-03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세이미쯔 Measuring hea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188B1 (en) 2010-12-13 2012-1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Height Of Object Using Displacement Sensor
KR101271891B1 (en) 2011-11-29 2013-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striker displacement of automobile
KR20140137562A (en)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Jig for Measuring of Battery Thickness and Method for Measuring of Battery Thickness Using the Same
KR101596263B1 (en) * 2013-05-23 2016-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Jig for Measuring of Battery Thickness and Method for Measuring of Battery Thicknes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1194A (en) Static stiffness test apparatus for air bearing
KR100926964B1 (en) Measuring device for plate of ball bush
CN105043331A (en) Diameter measuring sorter of tapered roller
CN210221354U (en) Micro test force friction force measuring structure and strain part thereof
US201202469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ylinders
CN102081024A (en) Compression displacement test unit
CN209342079U (en) A kind of tobacco fill value instrument range unit
KR100933210B1 (en) Outer groove measuring device of slide rail
CN108020139A (en) A kind of bridge machinery field hinge seam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CN102639956A (en) Probe measuring device
CN105783814A (en) System for axially detecting outer ring of automobile hub bearing
CN100405033C (en) Strain type force sensor for multiple components
CN101135552B (en) Large diameter pivoting support rollaway diameter measurement lever comparison device
CN104697776A (en) Gas spring detecting table
CN107860283A (en) A kind of location structure of automobile hanging structure pieces position detecting tool
KR20140000334U (en) Apparatus for measuring wear
CN208860513U (en) A kind of spring force value test machine
CN207215157U (en) Extra-miniature bearing steel ball matches foreign steamer measurement apparatus
CN207050698U (en) Extra-miniature bearing steel ball matches lubrication groove measurement apparatus
CN211696190U (en) Ring groove diameter gauge with meter
CN205642327U (en) Automobile wheel hub bearing inner race axial detecting system reciprocates device
KR20160118427A (en) Apparatus for Indentation Test
CN211262150U (en) Pipe fitting external diameter measuring device
JP2601383Y2 (en) Unbalanced load measuring device for coil spring
CN217325537U (en) Building foundation static load test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