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805B1 -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805B1
KR100926805B1 KR1020090019241A KR20090019241A KR100926805B1 KR 100926805 B1 KR100926805 B1 KR 100926805B1 KR 1020090019241 A KR1020090019241 A KR 1020090019241A KR 20090019241 A KR20090019241 A KR 20090019241A KR 100926805 B1 KR100926805 B1 KR 10092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water
dehydration
inle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 택 김
Original Assignee
경 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 택 김 filed Critical 경 택 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거지 과정에서 수도압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의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는,
음식물쓰레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구(111)가 형성된 유입조(110)가 마련되고, 유입조(110) 내측에 절삭날(121)이 장착된 회전판(120)이 마련된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와;
중간부에 칸막이(211)가 형성되고 저면에 물유출관(212)이 형성된 저장조(210)가 마련되고, 저장조(210) 내측에 원판 형태의 회전체(220)가 마련되며, 저장조(210) 상단에 물유입관(231)과 분사노즐(232)을 구비하는 분리형 덮개(230)가 마련된 용수 저장부(200)와;
덮개(311) 중앙에 유입구(311a)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배수구(312)가 형성된 탈수조(310)가 마련되고, 탈수조(310) 내측에 여과망(320)이 마련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와;
판 형태로 된 고정플레이트(410)가 마련되고, 고정플레이트(410)의 중간에 제3원형풀리(421) 및 제4원형풀리(422)가 장착된 회전축(420)이 마련되며, 제3원형풀리(421) 일측에 누름판(425)에 의해 승하강되는 제5원형풀리(424)가 마련된 회전력 전달부(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수도압,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유입부, 유입조, 회전판, 절삭날, 용수 저장부, 저장조, 회전체, 덮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 탈수조, 여과망, 회전력 전달부, 고정플레이트, 회전축, 벨트, 분리수거

Description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 dewatering apparatus for food garbage }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거지 과정에서 수도압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의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이나 요식업소 등지에서는 조리과정이나 상차림 이후에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된다.
이때, 음식물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함께 소각하거나 매립하여 폐기처분 하는 경우 환경 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현대 사회에서는 애초 음식물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수거하도록 규제함으로써 분리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가공 처리하여 사료 또는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한편, 가정이나 요식업소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하는 과정에서 보통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운반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물기로 인한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나 요식업소에서는 임시방편적인 방법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는 것일 뿐 전용의 탈수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었기에 물기 제거 후에도 음식물쓰레기에는 여전히 다량의 물기가 남아있어 물기 제거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부 가정이나 요식업소에서는 물기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의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는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대다수는 탈수를 위하여 전기 모터 등의 부품을 사용하여 왔던바, 가동을 위해서는 전기 에너지 소비가 뒤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사용자들은 전기 에너지 소비 가 불필요한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를 요구하고 있으나, 현재 시중에서는 이와 같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킬만한 제품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설거지 과정에서 수도압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의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는,
싱크볼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되 일측에 음식물쓰레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입조가 마련되고, 유입조 내측에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삭날이 장착된 회전판이 마련된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되 중간부에 방사상으로 개방구가 구비된 칸막이가 형성되고 저면에 저장된 수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유출관이 형성된 원통형의 저장조가 마련되고, 저장조 내측에 방사상으로 날개를 구비하면서 상면 중심에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회전판 중심을 관통하며 제1원형풀리가 장착되는 중심축이 형성되고 중심축 둘레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회전체가 마련되며, 저장조 상단에 수도 배관의 연결을 위한 물유입관과 물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회전체의 날개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리형 덮개가 마련된 용수 저장부와;
상기 용수 저장부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개방이 자유롭도록 된 덮개를 갖는 것이되 덮개 중앙에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배출구로 이어지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외부로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탈수조가 마련되고, 탈수조 내측에 망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저면 중심에 탈수조 바닥면을 관통하며 제2원형풀리가 장착되는 중심축이 형성된 여과망이 마련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와;
상기 용수 저장부와 음식물쓰레기 탈수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용수 저장부의 저장조 하단과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탈수조 사이에 판 형태로 된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고, 고정플레이트의 중간 상면에 용수 저장부의 회전체 중심축에 장착되는 제1원형풀리와 벨트로써 연결되는 제3원형풀리 및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여과망 중심축에 장착되는 제2원형풀리와 벨트로써 연결되는 제4원형풀리가 장착된 회전축이 마련되며, 제3원형풀리 일측에 누름판에 의해 승하강되는 제5원형풀리가 마련된 회전력 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는 설거지용수를 수도전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용수 저장부의 덮개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돗물의 수도압에 의해 용수 저장부의 회전체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 회전이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여과망으로 전달되어 여과망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어서, 설거지 과정에서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음식물쓰레기 유입조를 거쳐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여과망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간편하고 신속하게 물기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바,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행해지는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의 내구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용수 저장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회전력 전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가 싱크대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는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와, 용수 저장부(200)와,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와, 회전력 전달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는 싱크볼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되 일측에 음식물쓰레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구(111)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입조(110)가 마련된 것이고, 유입조(110) 내측에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삭날(121)이 장착된 회전판(120)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에서 유입조(110)는 상단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에서 유입조(110)의 상단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가 됨으로써 유입조(110) 내측에 회전판(120)이 내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입조(110)의 배출구(111)에는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탈수조(310)로 이어지는 배관(111a)이 연결됨으로써 유입조(110)의 배출구(111)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탈수조(31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수 저장부(200)는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되 중간부에 방사상으로 개방구(211c)가 구비된 칸막이(211)가 형성되고 저면에 저장된 수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유출관(212)이 형성된 원통형의 저장조(210)가 마련된 것이고, 저장조(210) 내측에 방사상으로 날개(221)를 구비하면서 상면 중심에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의 회전판(120) 중심을 관통하며 제1원형풀리(223)가 장착되는 중심축(222)이 형성되고 중심축(222) 둘레에 통공(224)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회전체(220)가 마련된 것이며, 저장조(210) 상단에 수도 배관의 연결을 위한 물유입관(231)과 물유입관(231)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회전체(220)의 날개(221)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232)을 구비하는 분리형 덮개(230)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용수 저장부(200)에서 저장조(210)의 칸막이(211) 중심에는 베어링(211b)이 장착된 홀(2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조(210)의 칸막이(211) 중앙부에 베어링(211b)이 장착된 홀(211a)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체(220)의 중심축(222) 하단을 베어링(211b)이 장착된 홀(211a)에 삽입할 수 있게 되는바, 회전체(220)를 칸막이(211) 상부에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수 저장부(200)에서 덮개(230)는 저장조(210)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30)가 저장조(210)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저장조(210) 내에서 수위가 상승할 때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수 저장부(200)의 저장조(210)에 형성된 물유출관(212)을 통해 유출되는 수돗물은 설거지 과정에서 설거지용수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물유출관(212)과 싱크대 (500)의 수도전(520) 사이에 배관(212a)이 이어짐으로써 물유출관(212)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이 수도전(520)의 개방에 의해 설거지용수로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는 용수 저장부(200)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개방이 자유롭도록 된 덮개(311)를 갖는 것이되 덮개(311) 중앙에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의 배출구(111)로 이어지는 유입구(311a)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외부로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312)가 형성된 원통형의 탈수조(310)가 마련된 것이고, 탈수조(310) 내측에 망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저면 중심에 탈수조(310) 바닥면을 관통하며 제2원형풀리(322)가 장착되는 중심축(321)이 형성된 여과망(320)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에서 탈수조(310)의 배수구(312)상에는 하수관으로 이어지는 배관(312a)이 연결된다.
탈수조(310)의 배수구(312)상에 하수관으로 이어지는 배관(312a)이 연결됨으로써 탈수조(310)의 배수구(312)로부터 배출되는 설거지용수와 음식물쓰레기로부터제거된 물기는 하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400)은 용수 저장부(200)와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용수 저장부(200)의 저장조(210) 하단과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탈수조(310) 사이에 판 형태로 된 고정플레이트(410)가 마련된 것이고, 고정플레이트(410)의 중간 상면에 용수 저장부(200)의 회전체(220) 중심축(222)에 장착되는 제1원형풀리(223)와 벨트(423)로써 연결되는 제3원형풀리(421) 및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여과망(320) 중심축(321)에 장착되는 제2원형풀리(322)와 벨트(423)로써 연결되는 제4원형풀리(422)가 장착된 회전축(420)이 마련된 것이며, 제3원형풀리(421) 일측에 누름판(425)에 의해 승하강되는 제5원형풀리(424)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력 전달부(400)에서 제3원형풀리(421)는 회전축(420)상에서 공회전하는 상체(421a)와 회전축(420)과 함께 회전하는 하체(421b)로 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회전력 전달부(400)에서 제3원형풀리(421)가 회전축(420)상에서 공회전하는 상체(421a)와 회전축(420)과 함께 회전하는 하체(421b)로 된 것임으로써 제3원형풀리(421)에 연결되는 벨트(423)를 상체(421a) 또는 하체(421b)와 접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 회전축(4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력 전달부(400)에서 누름판(425)의 승하강은 스프링(425a)의 탄성 작용에 의한 것일 뿐 특별한 구조의 것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500)에 설치되어 설거지 과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용수 저장부(200)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용수 저장부(200)에서는 수도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저장하게 된다.
용수 저장부(200)의 덮개(2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 배관으로부터 이어지는 물유입관(231)이 마련되어 있는바, 물유입관(231)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저장조(210) 내부에서 분사노즐(232)을 통해 분사된 후 칸막이(211)의 개방구(211c)를 통해 하부로 흘러 저장조(210) 내부에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저장조(210) 내부에 저장되는 수돗물은 수위가 상승하며 가압되는데, 가압상태가 진행되어 저장조(210) 내부압이 물유입관(231)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의 수도압과 동일한 상태가 될 경우 물유입관(231)을 통한 수돗물의 유입은 자연적으로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용수 저장부(200)에서는 저장된 수돗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설거지용수로서 공급하게 된다.
용수 저장부(200)의 저장조(2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12a)을 통해 싱크대(500)의 수도전(520)으로 이어지는 물유출관(212)이 마련되어 있는바, 저장조(210) 내에 수돗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싱크대(500)의 수도전(520)을 개방하게 되면 저장조(210) 내부압에 의해 저장된 수돗물이 물유출관(212)을 거쳐 수도전(520)으로 배출되므로 설거지에 소요되는 설거지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저장조(210)로부터의 설거지용수 공급 과정에서 저장조(210) 내부압은 물유입관(231)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의 수도압에 비해 떨어지게 되는데, 저장조(210) 내부압이 떨어질 경우 물유입관(231)을 통해 설거지용수를 공급한 만큼의 수돗물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저장조(210)로부터 수도전(520)으로 연속하여 설거지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용수 저장부(200)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체(2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 저장부(200)의 덮개(230)에 구비되는 물유입관(231) 하단은 분사노즐(232)로 연결된 것이고, 분사노즐(232)은 선단이 회전체(220)의 날개(221)를 향하도록 된 것인 바, 분사노즐(232)에서 분사된 수돗물은 회전체(220)의 날개(221)를 연속하여 타격하게 되므로 저장조(210)의 칸막이(2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체(2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체(220)의 중심축(222) 상단에는 제1원형풀리(223)가 장착되어 있는바, 회전체(220) 회전에 의해 제1원형풀리(223) 또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체(220)는 일단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분사노즐(232)로부터 물 분사가 중단되더라도 관성에 의해 상당시간 회전을 지속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에서는 설거지 과정에서 싱크볼(510)의 배수구로 배출 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게 된다.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의 유입조(110) 내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121)이 장착된 회전판(120)이 마련되어 있는바, 회전판(120) 회전에 따르는 절삭날(121)의 절삭에 의해 유입조(110)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판(120)의 회전은 용수 저장부(200)에서의 회전체(220) 회전에 의한 것으로, 회전판(120)이 용수 저장부(200)의 회전체(220)에 형성된 중심축(222)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용수 저장부(200)에서의 회전체(220) 회전에 의해 회전판(1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에서 회전판(120)의 회전에 의해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는 유입조(110)의 배출구(111)로부터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탈수조(310)로 이어지는 배관(111a)을 통해 설거지용수와 함께 탈수조(310)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회전력 전달부(400)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 서 회전력 전달부(400)에서는 용수 저장부(200)에서의 회전체(220) 회전력을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으로 전달하여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여과망(320)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력 전달부(400)의 회전축(420)상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 저장부(200)의 제1원형풀리(223)와 벨트(423)로써 연결되는 제3원형풀리(421)와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제2원형풀리(322)와 벨트(423)로써 연결되는 제4원형풀리(422)가 마련되어 있는바, 용수 저장부(200)의 회전체(22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1원형풀리(223)의 회전은 제3원형풀리(421)로 전해지게 되고 제3원형풀리(42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420)의 회전은 제4원형풀리(422)로 전해져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제2원형풀리(322)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용수 저장부(200)의 회전체(220) 회전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여과망(320)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력 전달부(400)의 제3원형풀리(421)는 회전축(420)에서 공회전하는 상체(421a)와 회전축(420)과 함께 회전하는 하체(421b)로 된 것이어서 하체(421b)에 벨트(423)가 연결될 경우에만 회전축(420)이 회전하게 되므로 여과망(320)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설거지용수 공급은 중단되었으나 회전판이 관성에 의해 회전하는 상태에서 누름판(425)을 눌러 제1원형풀리(223)와 제3원형풀리(421) 사이에서 벨트(423)를 물고 있는 제5원형풀리(424)를 하강시켜 제3원형풀리(421)의 하체(421b)에 벨트가 연결되도록 하면, 회전력 전달부(400)의 회전축(420) 회전에 의해 여과망(32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에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에서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에서 탈수조(310)의 덮개(31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11a)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의 배출구(111)와 이어지는 유입구(311a)가 마련되어 있고, 탈수조(310) 내에는 여과망(320)이 마련되어 있는바, 음식물쓰레기 유입부(100)의 배출구(111)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탈수조(310) 내의 여과망(320)에 수거된다.
이때, 여과망(320)은 중심축(321) 하단의 제2원형풀리(322)가 회전력 전달부(400)의 제3원형풀리(421)와 벨트(423)로써 연결되어 있어 용수 저장부(200)의 회전체(220) 회전에 의해 고속 회전하게 되므로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간편하고 신속하게 물기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A)는 용수 저장부(200)에서의 수도압에 의한 회전체(220) 회전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탈수부(300)의 여과망(320)을 고속 회전시켜 설거지 과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별도의 에너지 소모 없이 진행되는 음식물쓰레기 탈수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분리 수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의 내구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용수 저장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회전력 전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에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가 싱크대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쓰레기 유입부 110 : 유입조
111 : 배출구 111a : 배관
120 : 회전판 121 : 절삭날
200 : 용수 저장부 210 : 저장조
211 : 칸막이 211a : 홀
211b : 베어링 212 : 물유출관
212a : 배관 220 : 회전체
221 : 날개 222 : 중심축
223 : 제1원형풀리 224 : 통공
230 : 덮개 231 : 물유입관
232 : 분사노즐 300 : 음식물쓰레기 탈수부
310 : 탈수조 311 : 덮개
311a : 유입구 312 : 배수구
312a : 배관 320 : 여과망
321 : 중심축 322 : 제2원형풀리
400 : 회전력 전달부 410 : 고정플레이트
420 : 회전축 421 : 제3원형풀리
421a : 상체 421b : 하체
422 : 제4원형풀리 423 : 벨트
424 : 제5원형풀리 425 : 누름판
425a : 스프링 500 : 싱크대
510 : 싱크볼 520 : 수도전
A :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Claims (5)

  1. 싱크볼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되 일측에 음식물쓰레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입조가 마련되고, 유입조 내측에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삭날이 장착된 회전판이 마련된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되 중간부에 방사상으로 개방구가 구비된 칸막이가 형성되고 저면에 저장된 수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유출관이 형성된 원통형의 저장조가 마련되고, 저장조 내측에 방사상으로 날개를 구비하면서 상면 중심에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회전판 중심을 관통하며 제1원형풀리가 장착되는 중심축이 형성되고 중심축 둘레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회전체가 마련되며, 저장조 상단에 수도 배관의 연결을 위한 물유입관과 물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회전체의 날개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리형 덮개가 마련된 용수 저장부와;
    상기 용수 저장부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개방이 자유롭도록 된 덮개를 갖는 것이되 덮개 중앙에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배출구로 이어지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외부로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탈수조가 마련되고, 탈수조 내측에 망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저면 중심에 탈수조 바닥면을 관통하며 제2원형풀리가 장착되는 중심축이 형성된 여과망이 마련된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와;
    상기 용수 저장부와 음식물쓰레기 탈수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용수 저 장부의 저장조 하단과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탈수조 사이에 판 형태로 된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고, 고정플레이트의 중간 상면에 용수 저장부의 회전체 중심축에 장착되는 제1원형풀리와 벨트로써 연결되는 제3원형풀리 및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여과망 중심축에 장착되는 제2원형풀리와 벨트로써 연결되는 제4원형풀리가 장착된 회전축이 마련되며, 제3원형풀리 일측에 누름판에 의해 승하강되는 제5원형풀리가 마련된 회전력 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유입부의 유입조에 형성된 배출구에는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탈수조로 이어지는 배관이 연결되어 유입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탈수조로 유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저장부의 저장조에 형성된 물유출관과 싱크대의 수도전 사이에 배관이 이어짐으로써 물유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이 수도전의 개방에 의해 설거지용수로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탈수부의 탈수조에 형성된 배수구상에는 하수관으로 이어지는 배관이 연결됨으로써 탈수조의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설거지용수와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제거된 물기가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제3원형풀리는 회전축상에서 공회전하는 상체와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하체로 되어 제3원형풀리와 접하는 벨트를 상체 또는 하체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20090019241A 2008-06-19 2009-03-06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0926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8751 2008-06-19
KR1020080058751 2008-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805B1 true KR100926805B1 (ko) 2009-11-12

Family

ID=4156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241A KR100926805B1 (ko) 2008-06-19 2009-03-06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12B1 (ko) 2011-09-21 2013-11-28 (주)씨큐브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2973240A (zh) * 2021-04-15 2021-06-18 菏泽学院 一种畜禽粪水发酵液的浓缩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218A (ja) 1997-02-27 1998-09-08 Fuji Giken Kk 生ごみ処理機
KR20030082582A (ko) * 2001-02-14 2003-10-22 인라이트 코오포레이션 유기폐기물의 분쇄 및 탈수장치
KR20040087743A (ko) * 2003-04-08 2004-10-15 이삼주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90919Y1 (ko) 2005-04-27 2005-07-28 홍석표 음식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218A (ja) 1997-02-27 1998-09-08 Fuji Giken Kk 生ごみ処理機
KR20030082582A (ko) * 2001-02-14 2003-10-22 인라이트 코오포레이션 유기폐기물의 분쇄 및 탈수장치
KR20040087743A (ko) * 2003-04-08 2004-10-15 이삼주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90919Y1 (ko) 2005-04-27 2005-07-28 홍석표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12B1 (ko) 2011-09-21 2013-11-28 (주)씨큐브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2973240A (zh) * 2021-04-15 2021-06-18 菏泽学院 一种畜禽粪水发酵液的浓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0963659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8325656A (zh) 一种具有环保功能的垃圾处理装置
KR2015001720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26805B1 (ko) 수도압을 이용한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CN206090741U (zh) 厨房垃圾滤干器
KR20110053644A (ko) 디스포저
KR101291524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8800B1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20110002603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1307487U (zh) 一种餐厨垃圾脱水设备
CN214701490U (zh) 一种垃圾处理器
CN214133293U (zh) 厨余垃圾处理装置
KR102302487B1 (ko) 음식물처리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CN210261443U (zh) 一种高效节水资源循环利用系统
US20090272830A1 (en) kitchen wastes disposing system
CN203044100U (zh) 智能卫生巾处理机
CN112761224A (zh) 一种移动式厕所用粪水资源化处理的排污系统
KR1012273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217247177U (zh) 一种渣水分离装置及清洗机
CN219149453U (zh) 一种用于餐厨中转废水中和处理的过滤设备
CN217289762U (zh) 一种餐厨垃圾浆料快速脱水机
CN109138082A (zh) 一种用于厨卫环境下的垃圾处理装置
KR200230907Y1 (ko) 자동 취반기의 쌀 세정장치
CN218610984U (zh) 一种嵌入式智能垃圾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