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635B1 -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635B1
KR100925635B1 KR1020070071952A KR20070071952A KR100925635B1 KR 100925635 B1 KR100925635 B1 KR 100925635B1 KR 1020070071952 A KR1020070071952 A KR 1020070071952A KR 20070071952 A KR20070071952 A KR 20070071952A KR 100925635 B1 KR100925635 B1 KR 100925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746A (ko
Inventor
김진용
조태식
양성태
박경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6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각 객체와 대응하고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태그, 객체정보를 리딩한 것을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단말, 각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고, 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으로 형성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각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해당 객체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리딩하여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함에 따라, 추출한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건물의 층까지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
Figure R1020070071952
GPS, RFID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A LOCATION BASED SERVICE BY MEANS OF A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각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해당 객체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리딩하여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함에 따라, 추출한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파수 식별 기법(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RFID)은 객체에 초소형 칩을 부착하여 객체 및 주변 환경정보를 주파수로 전송하고 처리하는 일종의 비접촉식 식별기술로써, 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RFID 태그(이하, '근거리 통신태그'라 함), 안테나, 리더기 등으로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태그는 소정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리더기와 임의의 주파수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한다. 리더기는 통신이 가능한 거리내에 근거리 통신태그가 감지되면, 근거리 통신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연결된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태그는 수 밀리미더에서 신용카드 크기까지 그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데, 크게 수동형과 능동형으로 구분된다. 능동형 태그는 내부 배터리로 구현되는 반면, 수동형 태그는 이를 읽는 리더기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특징이다.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무접촉, 비가시(non-line-of sight) 방식이라는 것이며, 실제 구현이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추적, 관리가 필요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물류/배송이나 교통 카드 등과 같이 그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 나아가, 정보 통신에 대한 기술발달로 인하여 각종 통신 네트워크가 결합하고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정보 인프라를 활용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인터넷 간의 연결을 통해 무수히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해당 사용자 간에 용이하게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가 상업화되고 있으며, 더 진화된 서비스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기는 유선 망을 경유하는 유선 단말기와는 달리,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서 임의의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사용되는 단말기이다. 이런 단말기의 위치는 해당 단말기가 위치하는 통신 영역을 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기의 위치와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확인된다. 이러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단말기의 사용자 및 이동 통신망을 관리하 는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비를 이용하거나, 주기적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발생하여 특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획득되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호출 단말기의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접속하고, 여러 단계로 설정된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거치며, 사용자가 피호출 단말기의 위치정보 파악이 필요할 경우마다 위치정보 제공서비스에 접속하여 피호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이러한 GPS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반, 운송 등의 서비스를 대행해주는 각종 호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예로써는 운전을 대신해주는 대리운전, 승객이 희망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운송해주는 콜택시 서비스, 물건을 배달해주는 택배 혹은 퀵서비스, 꽃배달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호출 서비스들의 운영을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고객이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업점으로 전화를 걸어서 서비스를 희망하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전달함에 따라, 호출 서비스 영업점에서는 해당 영업점에 속한 직원이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단말로 서비스 요청이 있음을 알려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호출 서비스 중에서 콜택시 서비스를 일례로 하여 종래의 콜택시 운영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콜택시 운영시스템에서는 고객과 콜센터가 유 무선망을 통해 연결되고, 콜센터와 서비스 제공단말을 소지한 차량기사 간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기반 시스템상에서 고객이 차량이 필요하게 되어 콜센터로 전화를 하면, 콜센터에서 계속적을 대기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전화를 받아 대응하게 된다. 이후, 고객과 오퍼레이터 사이의 통화를 통해 고객이 현재의 위치를 밝히거나, 고객의 단말 위치정보를 통해 고객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가 고객과의 통화가 종료된 이후 서비스 제공단말을 구비하고 있는 콜택시로 전화를 하여 차량기상와 통화를 하면서 고객의 위치를 통보하면, 차량기사는 이를 접수하여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콜택시 운영시스템은 오퍼레이터가 콜택시를 임의로 선택하여 고객과 연결함으로써, 고객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콜택시를 정확히 선택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고객의 입장에서도 신속한 이동을 위하여 호출한 콜택시를 제시간에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콜택시 운영 시스템은 오퍼레이턱가 일일이 고객 및 차량기사와 일일이 통화하여 고객과 차량기사 간의 서비스 연결을 수동 실행함에 따라, 콜센터에 24시간 지속 대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력낭비로 인하여 콜센터 유지경비가 증가하고, 더불어 이를 이용하는 고객도 과다한 호출 서비스 요금을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GPS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고객의 단말 위치정보를 파악한다고 하더라도 고객이 위치한 건물의 층까지도 구분할 정도의 정확도가 떨어짐에 따라, 상기 콜택시 운영시스템과 더불어 더욱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창출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고객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각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해당 객체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리딩하여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함에 따라, 추출한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객체와 대응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태그, 단말 내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정보를 리딩한 후, 상기 객체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기 저장중인 GPS 좌표정보들 중에서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연동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으로 형성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연 동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각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해당 객체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리딩하여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함에 따라, 추출한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건물의 층까지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위치인식이 정확하며, 이에 따라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와 대응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태그, 상기 객체정보를 리딩한 것을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연동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으로 형성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며,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객체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포맷을 기 저장중인 객체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판별하고, 판별결과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LBS 플랫폼 및 상기 안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 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 센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호출 요청과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호출 요청에 응답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에 브로드케스팅되는 가상 콜백번호에 대해 최우선 응답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단말을 판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판별결과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단말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판별결과를 토대로 상기 LBS 플랫폼 및 상기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형성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접수완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을 범주로 1차 브로드케스팅하고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에 속한 서비스 제공단말로부터 관련 콜백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의 범주를 확대하여 콜백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브로드케스팅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이동경로 안내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LBS 플랫폼 및 상기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요청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의해 착신 지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하는 서비스 지점별로 구현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지점에서 실행하는 이벤트 메뉴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제공하여 응모결과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응모결과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방법은, (가) 서비스 요청단말이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와 대응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태그와 근거리 통신 실행하여 상기 객체정보를 리딩하는 단계, (나) 상기 객체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서비스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와 대응하여 기 저장중인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GPS 좌표정보를 통해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라)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연동하는 서비스 연동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으로 형성되는 안내 메시지를 형성하며,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호출 요청과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호출 요청에 응답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에 브로드케스팅되는 가상 콜백번호에 대해 최우선 응답하는 상기 서비 스 제공단말을 판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마-2)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판별결과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단말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2) 단계는 상기 판별결과를 토대로 형성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접수완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이동경로 안내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마-2)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요청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의해 착신 지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하는 서비스 지점별로 구현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지점에서 실행하는 이벤트 메뉴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제공하여 응모결과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마-2)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응모결과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응하여 부착되며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근거리 통신태그(100), 단말 내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1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정보를 리딩하고 서비스 메뉴창을 활성화하여 상기 객체정보를 토대로 하는 소정의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단말(200), 사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의 서비스 설정사항을 셋팅한 후,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의 서비스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기 저장중인 GPS 좌표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토대로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GPS 좌표정보로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이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400)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는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연동하여 객체의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으로 형성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 련한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서버(5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은 서비스 요청단말(200)이 서비스 실행요청하며 제공하는 객체정보에 대한 데이터 포맷을 기 저장중인 객체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판별하며, 이러한 판별결과를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로 전달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로 하여금 상기 객체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플랫폼(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50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를 통해 형성된 객체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신청한 사용자 또는 서비스 신청한 사용자와 관련한 상대방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LBS 플랫폼(510), 및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의 서비스 실행요청에 의해 형성되는 다양한 안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구현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 센터(5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500)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더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기 위해, 상기 다양한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부가적으로 지원하면서 관련한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 센터(5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센터(5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영역에 위치한 객체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객체로의 이동경로 안내를 지원하기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할 경우, 먼저 서비스 요청단말(200)이 상기 객체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100)를 리딩하여 근거리 통신태그(100) 내에 저장 된 객체정보를 취득한다(S100).
이후, 서비스 요청단말(200)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메뉴를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서비스 메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400)와 접속하여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서비스 설정사항들을 셋팅하며, 상기 취득한 객체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로 전달한다(S102).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각각의 객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하여 관리하며,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를 토대로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S102 단계에서, 서비스 요청단말(200)은 인근에 위치한 객체를 추가적으로 리딩하여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S104).
더 나아가,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상기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하며 서비스 연동서버(500)와 연동하여 객체의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도상에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과정을 거친다. 이후로,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에 의해 설정된 상대방 단말 또는 서비스 요청단말(200)로 상기 과정을 거쳐 형성된 이동경로 안내를 실행하기 위한 안내메시지를 전달한다(S106).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안내메시지를 서비스 요청단말(200)에 의해 설정된 상대방 단말인 것으로 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객체와 상대방 단말이 위치한 곳 간의 거리가 예정된 거리(예를 들면, 1 킬로미터) 이내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의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도보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대방 단말이 GPS 단말일 경우에는 해당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지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S108), 상기 상대방 단말이 GPS 기능이 없는 일반 이동통신 단말일 경우에는 해당 객체가 위치하는 개략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정보를 제공한 후(S110), 상기 상대방 단말의 추가적인 주변정보 입력을 통해 상기 객체의 GPS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상세한 지도정보를 제공하게 된다(S112).
한편, 객체와 상대방 단말이 위치한 곳 간의 거리가 예정된 거리(예를 들면, 1 킬로미터) 이상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의 사용자가 도보로 객체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교통정보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서비스 연동서버(500)와 연동하여 해당 객체로 상대방 단말의 사용자가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며(S114), 이후 상기 객체에 대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예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과 동일하다(S116).
더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연동서버(500)에 구비되는 이벤트 센터(530)가 소정의 영역에 위치한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콜택시 호출 서비스 또는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 등과 같이 호출 요청과 관련된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할 경우, 서비스 요청단말(200)이 상기 객체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100)를 리딩하여 근거리 통신태그(100) 내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취득한다(S200).
이후, 서비스 요청단말(200)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메뉴를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서비스 메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400)와 접속하여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서비스 설정사항들을 셋팅하며, 상기 취득한 객체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각각의 객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하여 관리하며,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를 토대로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서비스 연동서버(500)와 연동하여 서비스 설정완료로 형성되는 접수완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로 전달한다(S202).
이후로,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서비스 연동서버(50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호출 요청에 응답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단말(600)을 선정하기 위한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을 설정하고,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에 브로드케스팅되는 가상 콜백번호에 대해 최우선 응답하는 서비스 제공단말(600)을 판별하며, 이러한 판별결과를 토대로 하는 안내 메시지를 형성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로 전달한다(S204).
상기 S204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400)가 서비스 제공단말(600)과 서비스 요청단말(200) 간의 직접적인 통화 호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도 상기 콜택시 호출 서비스에서 구현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S300 내지 S304).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요청단말(200)이 소정의 위치에 있는 서비스 지점 내의 객체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100)를 리딩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지점에서 실행하는 이벤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서비스 연동서버(500)에 구비되는 이벤트 센터(530)를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상기 서비스 지점과 관련한 음식점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로 하여 상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우도, 서비스 요청단말(200)이 상기 객체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100)를 리딩하여 근거리 통신태그(100) 내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을 거친다(S400). 이후, 서비스 요청단말(200)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메뉴를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서비스 메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400)와 접속하여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서비스 설정사항들을 셋팅하며, 상기 취득한 객체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각각의 객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하여 관리하며,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를 토대로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서비스 연동서버(500)와 연동하여 서비스 설정완료로 형성되는 접수완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로 전달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접수완료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상기 서비스 지점과 관련한 음식점 정보를 함께 서비스 요청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S402).
이러한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서비스 요청단말(200)의 사용자가 운영하는 개인홈피 또는 웹 저장서버에 상기 음식점 정보를 저장 관리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S404),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이 상기 서비스 지점과 관련한 소정의 음식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식점에서 실행하는 이벤트를 선택한 후, 이에 대한 이벤트 응모를 실행하는 과정을 거쳐 그 응모 결과가 형성되면 형성된 응모 결과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200)로 전달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현된다(S406).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각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태그정보로 기 저장하고, 이러한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이 일실시 예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이 다른 실시 예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이 또 다른 실시 예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이 또 다른 실시 예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근거리 통신태그 200 : 서비스 요청단말
300 : 근거리 통신 플랫폼 400 : 애플리케이션 서버
500 : 서비스 연동서버 510 : LBS 플랫폼
520 : 메시지 센터 530 : 이벤트 센터
600 : 서비스 제공단말

Claims (16)

  1.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와 대응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태그;
    상기 객체정보를 리딩한 것을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GPS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연동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으로 형성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며,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LBS 플랫폼; 및
    상기 안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 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 센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호출 요청과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호출 요청에 응답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에 브로드케스팅되는 가상 콜백번호에 대해 최우선 응답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단말을 판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객체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포맷을 기 저장중인 객체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판별하고, 판별결과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근거리 통 신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판별결과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단말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판별결과를 토대로 상기 LBS 플랫폼 및 상기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형성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접수완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을 범주로 1차 브로드케스팅하고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에 속한 서비스 제공단말로부터 관련 콜백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의 범주를 확대하여 콜백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브로드케스팅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이동경로 안내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LBS 플랫폼 및 상기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요청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의해 착신 지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센터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하는 서비스 지점별로 구현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지점에서 실행하는 이벤트 메뉴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제공하여 응모결과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응모결과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12. (가) 서비스 요청단말이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와 대응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태그와 근거리 통신 실행하여 상기 객체정보를 리딩하는 단계;
    (나) 상기 객체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서비스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와 대응하여 기 저장중인 GPS 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GPS 좌표정보를 통해 상기 객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라)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제어 프로세싱을 통해 연동하는 서비스 연동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실행으로 형성되는 안내 메시지를 형성하며,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호출 요청과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호출 요청에 응답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브로드케스팅 셀 구역에 브로드케스팅되는 가상 콜백번호에 대해 최우선 응답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단말을 판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마-2)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판별결과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단말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2) 단계는
    상기 판별결과를 토대로 형성되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접수완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는 이동경로 안내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연동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마-2)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요청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의해 착신 지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위치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유저 기반의 지 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하는 서비스 지점별로 구현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지점에서 실행하는 이벤트 메뉴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에 제공하여 응모결과를 형성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마-2)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응모결과를 상기 서비스 요청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방법.
KR1020070071952A 2007-07-18 2007-07-18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KR100925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952A KR100925635B1 (ko) 2007-07-18 2007-07-18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952A KR100925635B1 (ko) 2007-07-18 2007-07-18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46A KR20090008746A (ko) 2009-01-22
KR100925635B1 true KR100925635B1 (ko) 2009-11-06

Family

ID=4048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952A KR100925635B1 (ko) 2007-07-18 2007-07-18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6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401A (ko) * 2005-05-20 2006-11-24 주식회사 유비스티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34506A (ko) * 2005-06-23 2006-12-28 신권 무선인식태그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맞춤형 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401A (ko) * 2005-05-20 2006-11-24 주식회사 유비스티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34506A (ko) * 2005-06-23 2006-12-28 신권 무선인식태그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맞춤형 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46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171B2 (en) Vehicle occupant response system
KR101667606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광고방법
US8588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code
KR100985838B1 (ko) 휴대단말장치 및 기록미디어
KR101162373B1 (ko) 개인별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101979136B1 (ko)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
CN101803412A (zh) 提供基于位置的紧急和服务呼叫以及库存信息的系统、装置和方法
US20100216432A1 (en) Wireless device for receiving calls to automatically transmit messages of current device location
WO2010023819A1 (ja) 車載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車載機器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61206A (ko) 이동 단말간 목적지 도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68466A1 (en) Beacon service method, device and server
JP2005346634A (ja)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配車プログラム
KR101183681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KR101262347B1 (ko) 엔에프씨 기반의 맞춤형 피오아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0925635B1 (ko)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KR20050121188A (ko)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
KR100514699B1 (ko) Gps용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방법및 그 시스템
JP5239592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JP3943553B2 (ja) 最適データ提供装置および最適データ提供方法
US8335523B2 (en) Electronic entity and microcircuit card for electronic entity
KR101431754B1 (ko) 광고 정보 중개 방법 및 그 장치
US90642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items in a facility
KR101754817B1 (ko) Cpns 환경에서 단말 인식 및 접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15171B1 (ko) 차량 항법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제공방법
KR101421088B1 (ko) 위치영역 기반 개인화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단말, usim 위치 서버 및 콘텐츠 제공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