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056B1 -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056B1
KR100925056B1 KR1020070085159A KR20070085159A KR100925056B1 KR 100925056 B1 KR100925056 B1 KR 100925056B1 KR 1020070085159 A KR1020070085159 A KR 1020070085159A KR 20070085159 A KR20070085159 A KR 20070085159A KR 100925056 B1 KR100925056 B1 KR 10092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data
memory
slo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412A (ko
Inventor
안승원
정석연
김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듀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듀,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듀
Priority to KR102007008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056B1/ko
Priority to US12/674,624 priority patent/US20110131256A1/en
Priority to PCT/KR2007/004302 priority patent/WO2009025407A1/en
Priority to AT07808095T priority patent/ATE541268T1/de
Priority to CN200780101308A priority patent/CN101849242A/zh
Priority to EP07808095A priority patent/EP2183704B1/en
Publication of KR2009002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emory System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 변환기가 개시된다. 메모리 카드 변환기는 주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연결부;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한 슬롯부; 및 슬롯부에 삽입된 각각의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을 주장치가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량이 작은 메모리 카드를 복수 개 사용하여 대용량의 메모리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모리 카드, 메모리 카드 리더기, 슬롯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 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Memory card changer, Method for reading or writing data in memory card changer}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메모리 카드 리더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메모리 카드 리더기는 주장치(100)와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입출력부(111) 및 메모리 카드 슬롯(112 내지 114)를 포함한다.
USB 입출력부(111)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 리더기(11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와 주장치(100)간에 데이터를 교환한다.
메모리 카드 슬롯(112 내지 114)에는 SD(Secure Digital)/MMC(MultiMedia Card)(112), MS(Memory Stick(113)) 및 CF(compact Flash)(114) 메모리 카드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메모리 카드 리더기(110)는 메모리 카드 슬롯(112 내지 114)에 삽입된 각각의 메모리 카드를 독립적인 이동식 저장매체로 인식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메모리 카드 리더기(110)는 메모리 카드의 저장공간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주장치(100)로부터 1.5기가 바이트(Giga byte)의 용량을 가지는 컨텐츠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리더기(11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려고 한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SD (112)의 개별 저장용량은 1 기가 바이트, MS(113)의 개별 저장용량은 0.5 기가 바이트, CF(114)의 개별 저장용량은 0.5기가 바이트라고 가정하자. 여기서, 메모리 카드 3개의 개별 저장용량을 합산한 통합 저장용량은 2 기가바이트로서 컨텐츠 데이터의 용량보다 크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메모리 카드 리더기(110)는 슬롯(112 내지 114)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독립적인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한다. 따라서, 압축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별도로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에 따라 분할한 경우에 한해서만 컨텐츠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저장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개 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용량이 작은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대용량의 메모리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File Allocation Table)를 이용하여 대용량 메모리로 인식할 수 있는 통합 FAT를 산출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장치(host device)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교환하는 연결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한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을 상기 주장치가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개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통합모드 또는 상기 개별 저장용량을 개별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독립모드 중 하나를 지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가 상기 개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쓰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슬롯부의 각각의 슬롯에 분할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슬롯부의 제 N 슬롯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N 슬롯에 삽입된 제 N(여기서, N은 미리 지정된 순번임)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의 미리 지정된 용량만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제 N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고, 중단된 이후의 데이터는 상기 슬롯부의 제 N+1 슬롯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상기 개별 저장용량이 큰 순서대로 지정되는 순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읽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분할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연결부로 전송하되,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때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가 분할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따라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부의 슬롯은 CF (Compact Flash), SM (Smart Media), MMC (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MS (Memory Stick), MS Duo (Memory Stick Duo), MS Pro Duo (Memory Stick Pro Duo), MG (MagicGate), Mini SD(Mini-Secure Digital), RS (RS-MultiMediaCard), T-Flash (Trans Flash), MS PRO (Memory Stick PRO true 4-bit) 및 SD (Secure Digital) 중 하나 이상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USB (Universal Serial Bus), SD (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및 T-Flash (Trans Flash)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장치(host device)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교환하는 연결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한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각각의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 (File Allocation Table)를 이용하여 상기 주장치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저장용량을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FAT를 이용하여 통합 FAT를 산출하고, 상기 주장치가 상기 메모리 카드를 상기 통합 FAT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로 인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별 FAT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통합모드 또는 상기 개별 FAT를 개별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독립모드 중 하나를 지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가 상기 개별 FAT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쓰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쓰기 명령에 따라 장기 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슬롯부의 각각의 슬롯에 분할 전송하되, 상기 쓰기 명령은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F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읽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읽기 명령에 따라 상기 슬롯부의 삽입된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연결부로 출력하되, 상기 읽기 명령은 상기 데이터가 독출될 F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슬롯부의 각 슬롯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통합모드로 지정된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따라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부의 슬롯은 CF (Compact Flash), SM (Smart Media), MMC (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MS (Memory Stick), MS Duo (Memory Stick Duo), MS Pro Duo (Memory Stick Pro Duo), MG (MagicGate), Mini SD(Mini-Secure Digital), RS (RS-MultiMediaCard), T-Flash (Trans Flash), MS PRO (Memory Stick PRO true 4-bit) 및 SD (Secure Digital) 중 하나 이상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USB (Universal Serial Bus), SD (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및 T-Flash (Trans Flash)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N(여기서, N은 미리 지정된 순번임) 메모리 카드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의 미리 지정된 용량만큼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제 N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중단된 이후의 데이터를 제 N+1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 및 상기 (c)단계는 상기 메모리 카드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전송방식이 변환된 후,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상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이 큰 순서대로 지정되는 순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장치(host device)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File Allocation Table)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개별 FAT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이 통합적으로 인식되는 통합 FAT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통합 FAT를 상기 주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쓰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쓰기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쓰기 명령은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FAT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메모리 카드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전송방식이 변환된 후,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분할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메 모리 카드에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가 분할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독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장치(host device)로부터 수신되는 독출 요청 명령에 따라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독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독출 요청 신호는 상기 데이터가 독출될 FAT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FAT 정보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카드에 미리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생성된 통합 FAT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독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는 저장용량이 작은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대용량의 메모리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는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File Allocation Table)를 이용하여 대용량 메모리로 인식할 수 있는 통합 FAT 를 산출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용량이 작은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로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주장치(100)는 도 1의 주장치(100)를 일관되게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2와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는 연결부(210), 스위치(220), 제어부(230), 변환부(240) 및 슬롯부(250)를 포함한다.
연결부(210)는 주장치(100)와 메모리 카드교환기(200)간의 데이터를 교환한다. 연결부(210)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주장치(100)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10)는 USB (Universal Serial Bus), SD (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및 T-Flash (Trans Flash)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결부는 USB 방식을 이용하여 주장치(100)와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슬롯부(250)는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동시에 착탈될 수 있는 복수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롯부(250)에는 CF (Compact Flash), SM (Smart Media), MMC (MultiMedia Card), xD (xD-Picture Card), MS (Memory Stick), MG(MagicGate), DUO (Memory Stick Duo), DUO (Memory Stick Pro Duo), Mini (Mini-Secure Digital), RS (RS-MultiMediaCard), T-Flash(Trans Flash), PRO (Memory Stick PRO ture 4-bit) 및 SD (Secure Digital) 중 하나 이상의 타입의 메모리 카드가 복수개 착탈될 수 있다.
변환부(240)는 연결부(210)와 슬롯부(250)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연결부(210)는 USB 방식으로 주장치(1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슬롯부(250)는 SD 방식으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240)는 연결부(210)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에 따른 전송방식에서 SD 인터페이스에 따른 전송방식으로 변환하여 슬롯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220)는 슬롯부(25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통합모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독립모드 중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스위치는 슬롯부(25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슬롯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주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방법에 의하여 각 슬롯에 순차적으로 분할 전송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각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분할 저장된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방법에 의하여 연결부(210)를 통하여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슬롯부(250)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File Allocation Table)를 이용하여 통합 FAT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산출된 통합 FAT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대용량 메모리 카 드로 인식되도록 제어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통합 FAT를 이용하여 주장치(100)로부터 독출 요청 신호에 따라 통합 FAT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까지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 데이터 저장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가 주장치(100)로부터 데이터의 저장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의 스위치(220)가 통합모드로 지정되고, 슬롯부(250)에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다고 가정한다.
단계 S320에서 제어부(230)는 슬롯부(25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S330에서 제어부(230)는 추출된 개별 저장용량을 합산하여 통합 저장용량을 산출하고, 이를 주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주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저장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통합 저장용량을 가지는 하나의 메모리 카드로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제어부(230)는 주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N 슬롯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단계 S320에서 추출한 개별 저장용량을 이용하여 개별 저장용량이 큰 순서대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슬롯에 대하여 순번을 지정하거나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과 상관없이 슬롯에 대하여 순번을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30)가 데이터를 N(여기서, N은 자연수로서 미리 지정된 슬롯의 순번임) 슬롯으로 저장하기 전, 변환부(240)는 데이터를 N 슬롯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데이터 전송방식을 변환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제어부(230)는 제 N 슬롯에 삽입된 제 N 메모리 카드에 제 N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의 미리 지정된 용량만큼 데이터가 저장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그 결과, 데이터가 저장되었다면, 제어부는 제 N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단계 S3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60에서 제어부(230)는 제 N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제 N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 N 분할 정보는 이후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 N 분할정보는 데이터가 분할된 순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N 분할정보는 데이터가 중단된 시점의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N 분할 정보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가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단계 S360에서 제어부(230)는 N을 1만큼 증가하여 단계 S340으로 진행한다. 즉, 제어부(230)는 제 N 슬롯 다음 순번의 슬롯인 제 N+1 슬롯에 대하여 중단된 이후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제 N+1 슬롯에 대하여 단계 S340 및 단계 S350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단계 S350에서 개별 저장용량의 미리 지정된 용량만큼 입력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 제 N 슬롯의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데이터의 저장과정이 종료되며, 도 3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어부(230)는 데이터의 저장과정이 종료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분할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에 의해 살펴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310에서 제 1 내지 제 3 슬롯에 각각 개별 저장용량이 1 기가 바이트, 1 기가바이트, 0.5 기가바이트인 제 1 내지 제 3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단계 S320에서 제어부(230)는 개별 저장용량을 추출하고, 단계 S330에서 통합 저장용량이 2.5 기가바이트라는 것을 산출한다. 그 후 제어부(230)는 산출된 통합 저장용량에 관한 정보를 주장치(100)로 전송하고, 주장치(100)는 제 1 내지 제 3 메모리 카드를 2.5 기가바이트의 통합 저장용량을 가지는 하나의 대용량 메모리 카드로 인식한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의 용량에 상관없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순번이 정해지고, 개별 저장용량의 100%까지 데이터가 저장된다고 가정하고 단계 S340 내지 단계 S360을 살펴본다.
주장치(100)로부터 1.7 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수신한 메모리 카드변환기(200)가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1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제 1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며, 제 1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제 1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는 나머지 데이터, 즉 0.7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제 2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제 2 메모리 카드의 사용되지 않은 용량 0.3 기가바이트와 제 3 메모리 카드를 다른 데이터 저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통합모드를 지정하는 스위치(220)가 각각의 슬롯에 구비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 경우 카드 변환기(220)는 스위치(2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통합모드로 지정된 슬롯과 독립모드로 지정된 슬롯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10 슬롯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제 1 내지 제 7 슬롯의 스위치가 통합모드로 지정되었다고 가정하자. 또한, 제 8 내지 제 10 스위치가 독립모드로 지정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3의 단계 S310 내지 S360은 제 1 내지 제 7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즉, 주장치(100)는 제 1 내지 제 7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만을 통합된 하나의 대용량 메모리 카드로 인식한다. 그리고, 주장치(100)는 제 8 내지 제 10 내지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는 독립적인 별개의 메모리 카드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220)가 통합모드를 지정된 후, 제어부(230)는 슬롯부(25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교체가 되거나, 새로운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거나, 기존의 메모리 카드가 제거되는 등의 경우 앞서 설명한 데이터 저장과정을 초기화한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슬롯에 제 1 내지 제 3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고, 이를 통합된 대용량 메모리 카드로 주장치(100)가 인식하고 있는데, 제 4 슬롯에 제 4 메모리 카드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제 4 슬롯에 제 4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고,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에 대하여 통합 모드에 따른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0를 재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장치(100)는 제 1 내지 제 3 메모리 카드를 통합된 대용량 메모리 카드로 인식하게 된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카드 변환기(200)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 데이터 독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스위치(220)는 통합모드로 지정되어 있으 며, 하나 이상의 슬롯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하, 제 1내지 제 5 슬롯에 각각 제 1내지 제 5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고, 제 1 내지 제 5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제 1 내지 제 5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일부 데이터들을 각각 제1 내지 제 5 분할 데이터라고 가정한다.
단계 S420에서 제어부(230)는 제 1 내지 제 5 메모리 카드로부터 제 1 내지 제 5 분할 정보를 추출하고, 제 1 내지 제 5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5 분할 데이터의 순서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원본 데이터가 제 1 메모리 카드부터 제 5 메모리 카드에 순차적으로 분할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230)는 제 1 내지 제 5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되기 전의 원본 데이터가 제 1 메모리 카드부터 제 5 메모리 카드에 순차적으로 분할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430에서 제어부(230)는 제 1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제 1 분할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부(210)를 통하여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변환부(240)가 주장치(100)로 전송될 데이터를 연결부(210)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420에서 원본 데이터가 제 1 메모리 카드, 제2 메모리 카드, 제 5 메모리 카드, 제 4 메모리 카드 및 제 3 메모리 카드 순으로 분할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 1 내지 제 5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데이터가 제 1 메모리 카드, 제2 메모리 카드, 제 5 메모리 카드, 제 4 메모리 카드 및 제 3 메모리 카드 순으로 분할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430에서 제어 부(230)는 제 1 메모리 카드, 제2 메모리 카드, 제 5 메모리 카드, 제 4 메모리 카드 및 제 3 메모리 카드 순서로 각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분할 데이터를 연결부(210)를 통해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통합 FAT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방법 및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6는 제어부(230)가 통합 FAT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필요한 경우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가 주장치(100)로부터 데이터의 저장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의 스위치(220)가 통합모드로 지정되고, 슬롯부(250)에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다고 가정한다.
이어서, 단계 S520에서 제어부(230)는 슬롯부(25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S530에서 제어부(230)는 개별 FAT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FAT를 산출하고, 이를 주장치(100)로 전송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도 4의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을 상세히 설명한 다.
예를 들어, 슬롯부(250)는 USB 슬롯(451), SD 슬롯(542), MS(453) 및 CF 슬롯(454)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슬롯에 제 1 내지 제 4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고,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의 FAT를 각각 FAT1(661), FAT2(662), FAT3(663) 및 FAT4(664)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의 FAT(661 내지 664) 를 추출하여 통합 FAT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의 개별 용량정보를 산출하여, 개별 용량이 큰 순위부터 파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통합 FAT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의 인터페이스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미리 지정되어 있고,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빠른 메모리 카드에 저장이 될 수 있도록 통합 FAT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산출된 통합 FAT를 연결부(210)를 통하여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장치(100)는 수신된 통합 FAT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통합 FAT를 가지는 하나의 대용량 메모리 카드로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주장치가(100)가 인식하는 대용량 메모리 카드의 통합 저장용량은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의 합 일 수 있다.
다시 도 5을 참조하면, 단계 S540에서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는 주장치(100)로부터 데이터 쓰기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하는 데이터를 쓰기 명령 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분할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쓰기 명령 신 호는 데이터가 저장될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쓰기 명령 신호는 데이터가 저장될 메모리 카드 및 그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공간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쓰기 명령 신호에 포함되는 FAT 정보에 따른 메모리 카드 및 그 메모리 카드내의 저장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저장위치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추출된 저장위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변환부(240)가 해당하는 슬롯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변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510에서, 제 1 내지 제 4 슬롯에 각각 개별 저장용량이 1 기가 바이트, 0.5 기가바이트, 0.5 기가바이트, 0.3 기가바이트인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단계 S520에서 제어부(230)는 개별 FAT를 산출하고, 단계 530에서 개별 FAT를 이용하여 통합 FAT를 산출하고, 그 통합 FAT를 주장치(100)로 전송한다. 그 결과 주장치(100)는 제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를 2.3 기가바이트의 통합 저장용량을 가지는 하나의 메모리 카드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40에서 주장치(100)로부터 카드 변환기(220)에 전송되는 쓰기 명령 신호에 포함되는 FAT 정보에 따라, 카드 변환기(22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카드에 분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메모리 카드를 통합모드, 제 4 메모리 카드를 독립모 드로 사용하는 경우, 주장치(10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제1 내지 제 3 메모리 카드를 하나의 대용량 메모리 카드로, 제 4 메모리 카드는 별개의 메모리 카드로 인식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의 데이터 독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스위치(220)는 통합모드로 지정되어 있으며, 슬롯부(250)에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어서, 단계 S720에서 제어부(230)는 연결부(210)를 통하여 주장치(100)로부터 독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730에서 제어부(230)는 독출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주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독출 요청 신호는 데이터를 독출한 FAT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FAT 정보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통합적으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생성된 통합 FAT를 이용하여 주장치(100)에서 생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장치(100)는 통합 FAT를 이용하여 복수개 의 메모리 카드를 대용량을 가지는 하나의 메모리 카드로 인식한다. 그리고, 대용량 저장공간 중 빈 공간정보를 추출한 후 빈공간 정보와 함께 저장할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기(200)로 전송한다.여기서, 빈 공간 정보는 FAT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메모리 카드 리더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 저장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6은 제어부(230)가 통합 FAT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변환기(200)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장치 200 : 메모리 카드 변환기
210 : 연결부 220 : 스위치
230 : 제어부 240 : 변환부
250 : 슬롯부

Claims (25)

  1. 주장치(host device)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교환하는 연결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한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을 상기 주장치가 통합적으로 인식하거나 통합적 및 개별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통합모드 또는 상기 개별 저장용량을 개별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독립모드 중 하나를 지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가 상기 개별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쓰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슬롯부의 각각의 슬롯에 분할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슬롯부의 제 N 슬롯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N 슬롯에 삽입된 제 N(여기서, N은 미리 지정된 순번임)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의 미리 지정된 용량만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제 N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고,
    중단된 이후의 데이터는 상기 슬롯부의 제 N+1 슬롯으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상기 개별 저장용량이 큰 순서대로 지정되는 순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읽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분할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연결부로 전송하되,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때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가 분할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따라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의 슬롯은 CF (Compact Flash), SM (Smart Media), MMC (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MS (Memory Stick), MS Duo (Memory Stick Duo), MS Pro Duo (Memory Stick Pro Duo), MG (MagicGate), Mini SD(Mini-Secure Digital), RS (RS-MultiMediaCard), T-Flash (Trans Flash), MS PRO (Memory Stick PRO true 4-bit) 및 SD (Secure Digital) 중 하나 이상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USB (Universal Serial Bus), SD (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및 T-Flash (Trans Flash)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0. 주장치(host device)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교환하는 연결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한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에 삽입된 각각의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 (File Allocation Table)를 이용하여 상기 주장치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저장용량을 통합적으로 인식하거나 통합적 및 개별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FAT를 이용하여 통합 FAT를 산출하고,
    상기 주장치가 상기 메모리 카드를 상기 통합 FAT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로 인식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FAT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통합모드 또는 상기 개별 FAT를 개별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독립모드 중 하나를 지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가 상기 개별 FAT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쓰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쓰기 명령에 따라 장기 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슬롯부의 각각의 슬롯에 분할 전송하되,
    상기 쓰기 명령은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FAT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드가 지정된 후 상기 주장치로부터 읽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읽기 명령에 따라 상기 슬롯부의 삽입된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연결부로 출력하되,
    상기 읽기 명령은 상기 데이터가 독출될 FAT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을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슬롯부의 각 슬롯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통합모드로 지정된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따라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롯부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메모리 카드 변환기.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의 슬롯은
    CF (Compact Flash), SM (Smart Media), MMC (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MS (Memory Stick), MS Duo (Memory Stick Duo), MS Pro Duo (Memory Stick Pro Duo), MG (MagicGate), Mini SD(Mini-Secure Digital), RS (RS- MultiMediaCard), T-Flash (Trans Flash), MS PRO (Memory Stick PRO true 4-bit) 및 SD (Secure Digital) 중 하나 이상의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USB (Universal Serial Bus), SD (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xD-Picture Card) 및 T-Flash (Trans Flash)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
  19.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N(여기서, N은 미리 지정된 순번임) 메모리 카드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의 미리 지정된 용량만큼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제 N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N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중단된 이후의 데이터를 제 N+1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 함하되,
    상기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를 반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상기 (c)단계는
    상기 메모리 카드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전송방식이 변환된 후,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상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이 큰 순서대로 지정되는 순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22. 주장치(host device)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FAT(File Allocation Table)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개별 FAT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의 개별 저장용량이 통합적으로 인식되는 통합 FAT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통합 FAT를 상기 주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쓰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쓰기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쓰기 명령은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FAT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메모리 카드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전송방식이 변환된 후,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24.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분할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가 분할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독출 방법.
  25. 주장치(host device)로부터 수신되는 독출 요청 명령에 따라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 삽입된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독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독출 요청 신호는 상기 데이터가 독출될 FAT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FAT 정보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카드에 미리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생성된 통합 FAT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변환기의 데이터 독출 방법.
KR1020070085159A 2007-08-23 2007-08-23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KR10092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159A KR100925056B1 (ko) 2007-08-23 2007-08-23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US12/674,624 US20110131256A1 (en) 2007-08-23 2007-09-06 Memory card changer, method for reading or writing data in memory card changer
PCT/KR2007/004302 WO2009025407A1 (en) 2007-08-23 2007-09-06 Memory card changer, method for reading or writing data in memory card changer
AT07808095T ATE541268T1 (de) 2007-08-23 2007-09-06 Speicherkartenwechsler, verfahren zum lesen oder schreiben von daten in einem speicherkartenwechsler
CN200780101308A CN101849242A (zh) 2007-08-23 2007-09-06 存储卡转换器及读/写存储卡转换器中数据的方法
EP07808095A EP2183704B1 (en) 2007-08-23 2007-09-06 Memory card changer, method for reading or writing data in memory card 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159A KR100925056B1 (ko) 2007-08-23 2007-08-23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412A KR20090020412A (ko) 2009-02-26
KR100925056B1 true KR100925056B1 (ko) 2009-11-03

Family

ID=4037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159A KR100925056B1 (ko) 2007-08-23 2007-08-23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31256A1 (ko)
EP (1) EP2183704B1 (ko)
KR (1) KR100925056B1 (ko)
CN (1) CN101849242A (ko)
AT (1) ATE541268T1 (ko)
WO (1) WO2009025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1457A (zh) * 2010-12-20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合并u盘存储空间的系统及方法
CN102568572B (zh) * 2010-12-24 2015-09-02 群联电子股份有限公司 数据存储装置、其堆栈方法与数据存储装置组合体
CN102736859A (zh) * 2011-04-08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存储卡控制系统及方法
CN102890618B (zh) * 2011-07-19 2016-02-17 杭州华澜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带分区管理的存储扩展设备
CN103207979A (zh) * 2012-01-11 2013-07-17 王秋松 储存设备的读取装置
KR102081167B1 (ko) * 2012-11-13 2020-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111A (ja) * 1994-02-23 1995-09-05 Asahi Optical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制御装置
US20030084221A1 (en) 2000-07-06 2003-05-01 Jones Larry Lawso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KR20050108723A (ko) * 2004-05-13 2005-11-17 원정호 메모리카드 저장장치
JP2006119954A (ja) 2004-10-22 2006-05-11 Renesas Technology Corp メモリカードシステムおよびメモリカード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638B1 (en) * 2000-07-06 2002-08-20 Onspec Electronic, Inc.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US6916208B2 (en) * 2003-11-26 2005-07-12 Phison Electronics Corp. Memory card reader for electronic devices
US7184264B2 (en) * 2004-09-23 2007-02-27 Imation Corp. Connectable memory devices to provide expandable memory
JP4111397B2 (ja) * 2005-06-24 2008-07-02 Kddi株式会社 テスト項目選択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テスト項目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憶媒体
US7613857B2 (en) * 2007-03-30 2009-11-03 Sandisk Corporation Memory device with a built-in memory array and a connector for a removable memory device
JP4665008B2 (ja) * 2008-03-31 2011-04-0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20100205341A1 (en) * 2009-02-11 2010-08-12 Singim International Corp. Card recognition method for micro sd adap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111A (ja) * 1994-02-23 1995-09-05 Asahi Optical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制御装置
US20030084221A1 (en) 2000-07-06 2003-05-01 Jones Larry Lawso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KR20050108723A (ko) * 2004-05-13 2005-11-17 원정호 메모리카드 저장장치
JP2006119954A (ja) 2004-10-22 2006-05-11 Renesas Technology Corp メモリカードシステムおよびメモリ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3704A4 (en) 2010-11-17
EP2183704B1 (en) 2012-01-11
EP2183704A1 (en) 2010-05-12
ATE541268T1 (de) 2012-01-15
US20110131256A1 (en) 2011-06-02
CN101849242A (zh) 2010-09-29
WO2009025407A1 (en) 2009-02-26
KR20090020412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056B1 (ko)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KR101157171B1 (ko) 스마트카드를 위한 저장 시스템 및 그 저장시스템에서 파일생성관리방법
CN101971152B (zh) 提供器件参数
US7007127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interface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a computer system
CN104991737B (zh) 一种基于存储卡阵列架构的硬盘实现方法
US8856422B2 (en) Memory card controller, memory card adaptor and memory card drive
KR101833464B1 (ko) 디스크 장치와 외부 저장 매체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KR100878905B1 (ko) 메모리 카드 변환기, 메모리 카드 변환기에서 데이터를저장 또는 독출하는 방법
US20040030830A1 (en) Storage medium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adaptor
US20060095660A1 (en) Media storage apparatus, cache segment switching method of media storage apparatus, and media storage system
EP1770538B1 (en) SCSI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eripher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3218300A (zh) 数据处理方法、存储器控制器与存储器储存装置
CN101419572B (zh) 嵌入式设备中大容量Nandflash存储空间的共享方法
CN101587427B (zh) 一种通过扩展sd/mmc协议实现数码设备对存储卡控制的方法
KR100547789B1 (ko) 내부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교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20130009536A (ko) 메모리 제어 장치 및 방법
US7930458B2 (en) USB memory card reader having memory card identification
JP2006146466A (ja) 記録媒体及びファイルシステム管理方法
JP2004062347A (ja) Usbデバイスおよびusbシステム
JP2007026005A (ja) Usbストレージ機器
US20100274828A1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Area Allocation Method for File System, and Computer Product
KR100952132B1 (ko)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다중디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928715B2 (ja) Icカード
CN116483280B (zh) 固件存储方法、固件查找方法、设备及介质
CN110462598B (zh) 信息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