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592B1 -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 Google Patents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592B1
KR100923592B1 KR1020080131173A KR20080131173A KR100923592B1 KR 100923592 B1 KR100923592 B1 KR 100923592B1 KR 1020080131173 A KR1020080131173 A KR 1020080131173A KR 20080131173 A KR20080131173 A KR 20080131173A KR 100923592 B1 KR100923592 B1 KR 10092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formation
user
healthcar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유
Original Assignee
김광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유 filed Critical 김광유
Priority to KR102008013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외장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외장 GPS 수신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외장 GPS 수신기가 창작되면 헬스케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GPS 수신기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의 측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한 측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의 이동속도, 이동거리, 상기 이동에 따라 소모된 열량이 포함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외장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산출하므로, 이동단말의 사양정보에 구애받지 않고 현재 보급된 대부분의 이동단말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헬스케어 모듈, 외장 GPS 수신기, 운동정보, 헬스케어 서버

Description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of user by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PS 수신기를 통해 획득한 GPS 좌표 정보를 근거로 운동 시간, 소모 열량, 운동 거리 등이 포함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망과 모바일 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예전보다 더욱 빠르고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이동단말은 더욱 진화하여 종래의 다른 통신 기기들이 수행하는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이동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 GPS 좌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가 있다. 종래에는 차량 등에 부착된 특정 장치를 통해서만 위치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었지만, 지금은 GPS 수신기가 내장된 이동단말이 보급됨으로써 이동단말을 통하여서도 위치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게다가, 위치정보 서비스는 더욱 진화하여 각 도로의 교통 체증 정보까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한편, GPS 수신기를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와 결부하여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 중 하나가 GPS 좌표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산출하는 서비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22767호(명칭 :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 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거리 및 이동속도 등과 같은 단말기 사용자의 운동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16954호(명칭 : 달리기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GPS 좌표를 근거로 사용자의 주행정보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달리기 정보를 알려주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획득한 GPS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속도, 운동 거리 등을 산출하여 이동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들은 내장 GPS를 통해 GPS 좌표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방안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보급된 대부분의 이동단말들은 GPS 모듈을 탑재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개특허들은 GPS 모듈이 내장된 일부분의 이동단말에만 적용할 수 있을 뿐 대다수의 이동단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아울러, 상기 공개특허들은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운동시 소모되는 열량(칼로리)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장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달리기,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등의 운동 종목과 키, 몸무게 등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열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외장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외장 GPS 수신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외장 GPS 수신기가 창작되면 헬스케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c) 상기 장착된 GPS 수신기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의 측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한 측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의 이동속도, 이동거리, 상기 이동에 따라 소모된 열량이 포함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표시부와 스피커; 외부 장치가 장착되는 외부장치 연결부; 및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에 외장 GPS 수신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외장 GPS 수신기가 장착되면 헬스케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장착된 GPS 수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한 측위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속도, 이동거리, 상기 이동에 따라 소모된 열량이 포함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장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산출하므로, 이동단말의 사양정보에 구애받지 않고 현재 보급된 대부분의 이동단말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성별, 몸무게, 키 등의 정보와 선택된 운동 종목을 근거로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소모 열량을 산출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된 이동단말(200)과 사용자별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케어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단말(200)과 헬스케어 서버(300)는 이동통신망(50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500)은 기지국(BTS 또는 NodeB), 기지국제어기(BSC 또는 RNC), 교환기(MSC 또는 SGSN)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주지의 관용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단말(200)은 외장 GPS 수신기(100)가 탈착 가능한 무선통신 기기로서, 헬스케어 서버(300)에 접속하여 운동정보 제공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상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동단말(200)은 지도 데이터를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한편, 이동단말(200)은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면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함으로써 헬스케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하여 수신한 측위정보(즉, GPS 좌표정보)를 근거로 평균 이동속도, 이동거리, 현재 속도, 소모 열량 등을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200)은 상기 평균 이동속도, 이동거리, 현재 속도, 소모 열량 등이 포함된 운동정보를 헬스케어 서버(3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이동단말(200)과 외장 GPS 수신기(100)는 사용자의 운동에 방해되 지 않도록 거치 장비와 결합되어, 자전거의 핸들 앞부분에 거치되거나 사용자의 특정 부위(예컨대, 팔)에 부착된다.
헬스케어 서버(300)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이동단말(200)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또한, 헬스케어 서버(300)는 이동단말(200)로부터 운동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범용 컴퓨터(400) 또는 이동단말(200)로부터 운동 기록 조회를 요청받으면, 해당 사용자의 누적된 운동정보를 추출하여 월별, 주별, 일별 운동 기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정리하면, 이동단말(200)은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면, 헬스케어 모드를 활성화하여 운동 시간, 운동 거리, 소모 열량 등이 포함된 운동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뿐 아니라 그 운동정보를 헬스케어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헬스케어 서버(300)는 상기 운동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운동 조회 요청되면 상기 누적된 운동정보를 기초로 일별, 주기별 또는 월별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이동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20), 입력부(230), 카메라부(240), 송수화부(250), 표시부(260), 외부장치 연결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파일롯 채널, 방송 채널, 페이징 채널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망(500)과 통신한다.
메모리(22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며, 주소록, 스케줄, 이미지, 동영상, 메모, 문자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20)는 운동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구현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산출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저장한다.
입력부(230)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이동단말을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240)는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촬영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송수화부(250)는 송수화부(150)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표시부(260)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이동단말(200)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표시부(26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표시부(260)는 입력부(230)의 역할을 수행하여 제어부(280)로 조작 신호를 전달한다.
외부장치 연결부(270)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경우 그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특히, 외부장치 연결부(270)는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면, 상기 외장 GPS 수신기(100)에서 수신되는 측위정보를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제어부(280)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며, 입력부(230)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 는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처리결과를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특히, 제어부(280)는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면 활성화되는 헬스케어 모듈(281)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270)의 외부 장치 장착 여부를 감시하여, 외부장치 연결부(270)에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면, 헬스케어 모듈(281)을 활성화한다.
헬스케어 모듈(281)은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되면, 메모리(220)에 저장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현 측위정보에 해당하는 지도 데이터를 표시부(260)에 표시하고, 그 지도 데이터상에 이동단말(200)의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헬스케어 모듈(281)은 외장 GPS 수신기(100)에서 수신되는 측위정보를 토대로 이동단말(200)의 현재 속도, 평균 속도, 총 이동거리, 총 운동시간 등의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하고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아울러, 헬스케어 모듈(281)은 수신된 측위정보를 토대로, 표시부(260)에 표시된 지도 데이터와 그 지도 데이터상에 화살표 등으로 표시한 이동단말(200)의 위치정보를 갱신한다.
한편, 제어부(280)는 헬스케어 모듈(28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호 연결을 수신하면, 헬스케어 모듈(281)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전환하고 표시부(260)에 타인으로부터 통화가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송수화부(250)의 스피커에 통화 호출음을 출력한다. 이때, 백그라운드로 전환된 헬스케어 모듈(281)은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측위정보를 수신하여, 지속적으로 운동정보를 산출한다. 즉, 헬스케어 모듈(281)은 백그라운드로 전환되면, 활동을 중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운동정보를 표시부(260) 또 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기 호가 종료된 경우 헬스케어 모듈(281)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하여, 상기 헬스케어 모듈(281)에서 생성한 운동정보를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상기 백그라운드(background)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이동단말(200)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의미하며, 상기 포그라운드(foreground)는 처리 결과 또는 프로세스 진행 정보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한편, 백그라운드와 포그라운드가 경합된 경우, 구체적으로 이동단말(200)의 메모리, CPU 자원이 부족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포그라운드의 프로세스에 우선순위를 두어 그 포그라운드의 프로세스에 이동단말(200)의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GPS 수신기의 측위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외부장치 연결부(270)에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301). 다음으로, 제어부(280)는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270)에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면, 헬스케어 모듈(281)을 활성화한다(S303).
그러면, 활성화된 헬스케어 모듈(281)은 메모리(220)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동단말(200)을 헬스케어 모드로 전환시키고,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측위정보를 토대로 이동단말(200)의 현 위치를 산정한다(S305, S307). 그리고 헬스케어 모듈(281)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측위정보를 토 대로 이동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속도, 소모 열량, 이동거리, 운동시간 등을 산출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한다(S309).
구체적으로, 헬스케어 모듈(281)은 바로 직전의 이동단말(200)의 측위정보와 그 측위정보를 수신한 시각 그리고 현재 측정된 이동단말(200)의 측위정보와 현 시각을 토대로, 이동단말(200)의 현재 속도를 산출한다. 아울러, 헬스케어 모듈(281)은 S307 단계에서 측정한 최초 측위정보와 그 최초 측위정보를 수신한 시각을 참조하여 이동단말(200)의 이동거리와 운동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헬스케어 모듈(281)은 운동종목(도 6의 610 참조), 이동 거리 및 사용자 정보(도 11 참조)를 토대로, 소모 열량을 산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운동 설정 정보를 토대로 페이스 조절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헬스케어 모드로 전환한 이동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목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220)에 저장한다(S401). 즉, 활성화된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로부터 운동 종목, 운동목표 정보, 목표 페이스 정보 등의 목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220)에 저장한다(도 6 참조).
다음으로, 헬스케어 모듈(281)은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해 이동단말(200)의 측위정보를 수집하여, 그 측위정보를 근거로 이동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현재 속도, 이동거리 등의 운동정보를 산출한다(S403). 이어서, 헬스케어 모듈(281)은 산출된 현재 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페이스 정보보다 미달 또는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5). 바람직하게, 헬스케어 모듈(281)은 상기 산출된 현재 속도가 설정된 목표 페이스의 임계값에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0km/h로 페이스를 설정한 경우, 헬스케어 모듈(281)은 상기 30km/h에 대해 ±10%로 임계범위를 설정하고(즉, 27km/h 내지 33km/h), 현재 속도가 상기 임계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모듈(281)은 상기 현재 속도가 목표 페이스에 벗어나면, 목표 페이스의 미달 또는 초과 정보를 송수화부(25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S407). 예를 들어, 헬스케어 모듈(281)은 설정된 목표 페이스가 30km/h이고 현재 속도가 25km/h이면, "설정한 페이스보다 5km/h 미달된 속도입니다."라고 스피커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그 미달된 페이스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어서, 헬스케어 모듈(281)은 S403 단계로 되돌아가 이동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현재 속도가 목표 페이스에 벗어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제어부(280)는 헬스케어 모드 종료 신호가 입력부(230)에서 수신되면, 상기 헬스케어 모듈(281)을 비활성화하고 바탕화면을 표시부(260)에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 대기상태로 이동단말(200)을 전환한다.
한편, S401 단계에서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로부터 목표 거리, 목표 시간, 목표 열량의 입력받아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도 6의 620 참조). 이 경우,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의 이동거리가 상기 목표 거리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의 운동 시간이 목표 시간에 이른 경우, 또는 사용자가 운동하여 소모한 열량이 상기 목표 열량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 목표치가 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수화부(250)의 스피커에 출력한다. 이때, 헬스케어 모듈(281)은 운동종목 (도 6의 610 참조), 이동 거리 및 사용자 정보(도 11 참조)를 토대로, 소모 열량을 산출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모드가 활성화된 이동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모듈(281)이 탑재된 이동단말(200)의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외부장치 연결부(270)에 외장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면, 헬스케어 모듈(281)을 활성화하여 헬스케어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헬스케어 모듈(281)은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도 5의 (a)의 초기화면을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초기화면에서 『운동시작』 항목을 선택하면, 헬스케어 모듈(281)은 도 5의 (b) 화면을 표시부(260)에 표시하고,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해 수집된 이동단말(200)의 측위정보를 토대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운동시간(510), 현재속도(520), 평균속도(530), 최고속도(540), 소모열량(550), 운동거리(560) 및 현재 GPS 좌표(570)를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이때,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가 현재까지 운동한 총 누적거리를 합산하여 운동시간 창(510)에 표시할 수 있다.
헬스케어 모듈(281)은 초기화면에서 『목표/페이스』 항목이 선택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목 선택창(610), 운동목표 설정창(620) 및 목표 페이스 설정창(630)을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그리고 헬스케어 모듈(281)은 종목 선택창(6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전거, 인라인, 조깅 또는 걷기 중 어느 한 종목 을 선택받는다. 아울러, 헬스케어 모듈(281)은 운동목표 설정창(620)과 목표 페이스 설정창(630)을 통해, 운동 시간 목표, 운동 거리 목표, 운동 열량 목표 및 목표 페이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헬스케어 모듈(281)은 초기화면에서 『기록보기』 항목이 선택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목별 기록보기창(710) 및 날짜별 기록보기창(720)을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이때, 헬스케어 모듈(281)은 종목별 기록보기창(710)에서 특정 종목이 선택되면, 그 종목으로 수행된 운동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도 7의 (c)는 인라인 스케이팅에 대한 누적 운동기록을 나타내는 화면으로서, 헬스케어 모듈(281)은 누적된 인라인 스케이팅의 운동정보에서 최고 속도, 최고평균속도, 총 누적 주행거리, 당일 평균 속도, 당일 주행거리, 당일 소모열량 등을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또한, 헬스케어 모듈(281)은 날짜별 기록보기창(720)에서 특정 날짜가 선택되면, 그 날짜에 수행된 운동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도 7의 (d)는 2008년 12월 15일에 수행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헬스케어 모듈(281)은 2008년 12월 15일에 수행된 운동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한편,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종목별 운동기록 또는 특정 날짜별 운동기록을 삭제하거나 헬스케어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케어 모듈(281)은 종목별 또는 날짜별 운동기록을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230)에 "*" 키가 입력되면 현재 표시된 운동 기록을 삭제할 수 있으며, "#" 키가 입력되면 현 표시된 운동 기록을 헬스케어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모듈(281)은 초기화면에서 『환경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환경설정창을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상기 각 환경설정창에 대한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안내창(810)에는 반환점 도달, 목표 운동량 도달 등의 이벤트가 발생시 그 이벤트 경보음을 송수화부(25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정 값이 입력된다. 그리고 페이스조절음성창(820)에는 현재 속도가 설정된 목표 페이스(도 6의 630 참조)에 벗어난 경우, 목표 페이스의 미달 또는 초과 정보를 송수화부(25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정 값이 입력된다. 또한, 음성안내 간격창(830)에는 상기 음성안내창(810) 및 페이스조절음성창(820)에 설정된 음성 출력 정보를 일정 간격으로 출력하기 위한 시간 값이 입력되고, 기록 자동전송창(840)에는 현재 산출된 운동정보를 헬스케어 서버(300)로 자동 전송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값이 입력된다. 아울러, LCD 항상 켜짐창(850)에는 표시부(260)가 일정 시간 후에 비활성화되어 화면에 운동정보가 출력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지 위한 설정 값이 입력된다. 즉, 헬스케어 모듈(281)은 상기 LCD 항상 켜짐(850)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입력부(230)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표시부(260)를 비활성화(off)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활성화(on)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운동정보를 표시부(260)를 통해 확인 가능하게 한다. 또한, 폴더 닫음허용창(860)에는 폴더가 닫히는 경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중단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값이 입력된다. 즉, 폴더 닫음허용(860)이 ON으로 설정된 경우, 헬스케어 모듈(281)은 폴더 또는 슬라이더가 닫혀도 비활성화(즉, 중단)되지 않고 지속 적으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표시부(260)에 그 운동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중 통화허용창(870)에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호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정 값이 입력된다. 부연하면, 제어부(280)는 상기 사용중 통화허용(870)이 온(on)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호를 수신하게 되면 헬스케어 모듈(281)을 백그라운드로 전환하고 상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부(260)에 출력한다. 이때, 헬스케어 모듈(281)은 활동을 중단하지 않고,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하여 수신한 측위정보를 근거로 지속적으로 운동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기 호가 종료된 경우, 헬스케어 모듈(281)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하여, 상기 헬스케어 모듈(281)에서 생성한 운동정보를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반면, 제어부(280)는 사용중 통화허용(870)이 오프(off)로 설정된 상태에서 헬스케어 모듈(281)이 활성화되면, 이후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호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헬스케어 모듈(281)은 초기화면 메뉴에서 『위치지정/등록』 항목이 선택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창(910), 설명창(920) 및 경보창(930)을 표시부(260)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도 9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로부터 좌표창(910)에 특정 위치의 좌표 정보, 설명창(920)에 상기 좌표의 설명 정보 그리고 경보창(930)에 경보음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후,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상기 설정된 좌표에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하여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 다.
또한, 헬스케어 모듈(281)은 초기화면 메뉴에서 『위치 사진찍기』 항목이 선택되면, 카메라부(240)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1010)를 표시부(260)에 표시하고,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해 획득된 현 이동단말(200)의 측위정보(1020)를 표시부(260)에 나타낸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사진찍기에 따른 이동단말(200)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케어 모듈(281)은 카메라부(240)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 이미지(1010)와 외장 GPS 수신기(100)를 통해 측정된 이동단말(200)의 측위정보(1020)를 표시부(260)에 표시한다. 이때,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진 촬영 버튼이 조작되면, 현 화면에 표시된 피사체 이미지(1010)와 이동단말(200)의 측위정보(1020)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한편, 헬스케어 모듈(281)은 초기화면 메뉴에서 『사용자 정보』가 선택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창을 표시부(260)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도 11의 (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헬스케어 모듈(281)은 사용자의 성별, 몸무게, 키에 대한 요청하는 창(1110, 1120, 1130)을 표시부(260)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이후, 헬스케어 모듈(281)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운동 종목에 근거하여 운동시 소모되는 열량을 산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버에서 누적된 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헬스케어 서버(300)는 헬스케어 모듈(281)이 탑재된 이동단말(200)로부터 이동단말(2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운동정보를 수신한다(S1201). 이때, 헬스케어 서버(300)는 이동단말(200)의 환경 설정값(도 8의 840 참조)에 따라 자동으로 운동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도 7의 (c)와 (d) 참조) 운동정보를 이동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서버(300)는 수신한 운동정보를 상기 이동단말(200)의 식별번호에 대응시켜 누적하여 저장한다(S1203).
헬스케어 서버(300)는 범용 컴퓨터(400)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포함된 로그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1205). 그러면, 헬스케어 서버(300)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하면 인증 성공 메시지를 범용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1207, S1209). 이어서, 헬스케어 서버(300)는 로그인 성공한 범용 컴퓨터(400)로부터 운동정보를 요청받는다(S1211). 그러면, 헬스케어 서버(300)는 로그인된 ID와 패스워드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이동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그 식별정보를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추출한다(S1213). 즉, 헬스케어 서버(300)는 회원 가입시 입력받은 이동단말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로그인된 ID와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그 식별번호에 근거하여 운동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서버(300)는 상기 추출한 운동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 또는 종목별로 데이터로 가공하여 범용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1215, S1217). 상기 운동정보는 운동 종목, 운동 거리, 평균 속도, 최고 속도, 운동 시간, 소모열량 등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된 데이터는 도표 양식의 마크업 언어 형태이거나 그래픽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헬스케어 서버(300)는 특정 커뮤니티를 통해 제공받거나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운동 지도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운동지도는 지도상에 반환점 등의 특정 위치 지점이 표시된 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한강 둔치의 특정 10km 구간이 운동 지도가 될 수 있으며 그 운동 지도에는 제 1 지점, 제 2 지점, 집결지 위치, 반환점 위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런 운동 지도를 저장하는 헬스케어 서버(300)는 이동단말(200)로 운동지도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단말(200)은 해당 운동지도를 수신하여, 그 운동지도상 표시된 지점에 사용자가 도달하게 되면, 그 위치 정보에 도달하였음을 송수화부(25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장 GPS 수신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성별, 몸무게, 키 등의 정보와 선택된 운동 종목을 근거로 보다 정확한 소모 열량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환점 정보, 페이스 초과 또는 미달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은 헬스케어 서버(3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취합함으로써, 인터넷(600)을 통한 운동정보 조회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 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이동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GPS 수신기의 측위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운동 설정 정보를 토대로 페이스 조절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모드가 활성화된 이동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버에서 누적된 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Claims (16)

  1. 이동단말에서 외장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외장 GPS 수신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외장 GPS 수신기가 창작되면 서비스 대기 모드에서 헬스케어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
    (c) 상기 장착된 GPS 수신기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의 측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한 측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의 이동속도, 이동거리, 상기 이동에 따라 소모된 열량이 포함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e)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헬스케어 모드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전환시키고 통화 연결 모드를 활성화하여 통화 호출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
    (g) 연결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자와의 호를 연결하고, 호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통화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헬스케어 모드를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장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입력 좌표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입력받은 좌표에 도달하면 도달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목표 페이스를 설정받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의 속도가 상기 목표 페이스에 벗어나면, 목표 페이스 미달 또는 초과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운동 목표량을 설정받는 단계;
    상기 산출된 운동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량이 운동 목표량에 도달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운동 목표량에 도달되면, 목표량 도달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키, 몸무게 및 성별이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운동종목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소모된 열량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운동종목에 근거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정보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산출된 운동정보를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수신한 운동정보를 기초로 일정 기간별 운동 기록을 도표로 가공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헬스케어 모드 전환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정보 제공 방법.
  9. 표시부와 스피커;
    외부 장치가 장착되는 외부장치 연결부; 및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에 외장 GPS 수신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외장 GPS 수신기가 장착되면 서비스 대기 모드에서 헬스케어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장착된 GPS 수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한 측위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속도, 이동거리, 상기 이동에 따라 소모된 열량이 포함된 운동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통화 연결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헬스케어 모드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전환시켜 호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호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헬스케어 모드를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복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외장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표에 도달하면, 도달 경보음을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목표 페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속도가 상기 목표 페이스에 벗어나면, 목표 페이스 미달 또는 초과 경보음을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동 목표량을 저장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이 운동 목표량에 도달하면 목표량 도달 경보음을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 몸무게 및 성별이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운동종목을 저장하고, 상기 소모된 열량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운동종목에 근거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운동정보를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헬스케어 모드 전환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KR1020080131173A 2008-12-22 2008-12-22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10092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173A KR100923592B1 (ko) 2008-12-22 2008-12-22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173A KR100923592B1 (ko) 2008-12-22 2008-12-22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592B1 true KR100923592B1 (ko) 2009-10-23

Family

ID=4156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173A KR100923592B1 (ko) 2008-12-22 2008-12-22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01B1 (ko) * 2013-06-04 2015-03-04 홍윤경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하는 단말기,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00619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235A (ko) * 2001-11-22 2003-05-2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피에스 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8788A (ko) * 2002-02-18 2003-08-25 김종관 Gps수신을 이용한 운동량 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개인 운동관리 서비스방법
KR20050016931A (ko) * 2003-08-05 2005-02-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운동량 분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7773A (ko) * 2008-08-21 2008-10-01 테크온팜 주식회사 다기능 운동량측정기를 이용한 운동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235A (ko) * 2001-11-22 2003-05-2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피에스 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8788A (ko) * 2002-02-18 2003-08-25 김종관 Gps수신을 이용한 운동량 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개인 운동관리 서비스방법
KR20050016931A (ko) * 2003-08-05 2005-02-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운동량 분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7773A (ko) * 2008-08-21 2008-10-01 테크온팜 주식회사 다기능 운동량측정기를 이용한 운동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01B1 (ko) * 2013-06-04 2015-03-04 홍윤경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하는 단말기,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00619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46325B1 (ko) * 2015-06-24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4969B (zh) 目的地点推荐方法及装置
US20060256008A1 (en) Pointing interface for person-to-person information exchange
US20170124837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wearable device
JP6084243B2 (ja) 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CN107024221B (zh) 导航路线制定方法及装置
WO2017116080A1 (ko) 스마트폰의 비콘정보와 사진정보와 지도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자동인식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5042002A (ja) 方法、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10945489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CN110210045B (zh) 目标区域的人数估算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1120740A (ja) ジョギング支援装置、ジョギング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13654A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
US201802473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CN105159676B (zh) 进度条的加载方法、装置和系统
KR20130071755A (ko) 사용자 행동의 예측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단말
KR100923592B1 (ko) Gps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EP1836954B1 (en) Method for training an athlete
CN101821588A (zh) 位置服务
KR200200816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03250A (ko) 수신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10171922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라이프 로그 기반의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378811B2 (ja) 走行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端末装置
JP2010187284A (ja) 生活見守りシステム、生活見守りサーバ、携帯端末、生活見守り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982677B1 (ko)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JP2016157384A (ja) 混雑度予測装置及び混雑度予測方法
KR101681926B1 (ko) 경추 자세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