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408B1 - 생강 저장용 수평굴 - Google Patents

생강 저장용 수평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408B1
KR100923408B1 KR1020090068786A KR20090068786A KR100923408B1 KR 100923408 B1 KR100923408 B1 KR 100923408B1 KR 1020090068786 A KR1020090068786 A KR 1020090068786A KR 20090068786 A KR20090068786 A KR 20090068786A KR 100923408 B1 KR100923408 B1 KR 10092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ginger
oyster
roof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박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철 filed Critical 박병철
Priority to KR102009006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저장용 수평굴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은 철근콘크리트로 벽으로 설치되어 입구로 사용되는 방화문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과 이어져 안쪽은 조립식 패널로 측벽과 지붕을 형성하며, 바닥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작업실; 상기 작업실보다 작은 크기로 이어져 지반 아래까지 매설된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으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을 일정한 두께로 성토한 후 다지며, 바닥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통로; 상기 통로보다 큰 크기로 이어져 입구에 방화문이 설치되고, 지반 아래까지 매설된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으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 및 후벽을 일정한 두께로 성토한 후 다지며, 바닥은 흙으로 다진 저장실; 상기 통로 및 저장실의 철근콘크리트 측벽의 상하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안쪽은 통로 및 저장실 내로 이어지면서 바깥쪽은 성토한 흙과 접해 있도록 한 온습 유지관; 및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내부와 연통하도록 한 복수개의 무동력 흡출기;로 이루어져, 종래 토굴과 유사한 환경조건에 의해 장기간의 저장이 가능하고 작업이 편리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생강, 토굴, 저장굴, 작업실, 통로, 저장실, 무동력 흡출기, 온습 유지관

Description

생강 저장용 수평굴{LEVEL CAVE FOR STORING OF GINGER}
본 발명은 생강 저장용 수평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서로 이어져 수평으로 설치되는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로 이루어지고 철근콘크리트로 구성한 상기 통로 및 저장실의 바깥쪽을 성토하여 다진 후 온습 유지관에 의해 상기 통로 및 저장실과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생강 저장용 굴로써 자연상태의 토굴인 수직굴과 비슷한 환경조건으로 되는 것에 의해 생강의 저장 및 관리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생강 저장용 수평굴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음식의 양념, 향료나 약재로 사용되는 생강은 흙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저장하기 때문에 손상되거나 연한 조직을 통하여 토양미생물이 침입하기 쉬워 온도, 습도, 환기 등 환경이 맞지 않으면 부패가 잘된다. 따라서 갓 수확한 생강을 온도 25℃, 습도 95% 정도 되는 곳에서 3일 정도 큐어링(curing)하면 일반 저장한 것보다 부패율을 감소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강의 장기간 저장을 위해 한국식품개발연구원에서 생강의 저장 시설 개발에 관하여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
- 온도는 10∼15℃ 범위 내를 유지하고,
- 상대습도가 90% 이하의 조건에서는 곰팡이에 의한 부패가 발생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상대습도는 93%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 저장기간 중 발아율과 부패율의 감소를 위해서는 온도 25℃, 습도 93%에서 3일간 큐어링 처리 후 저장하는 것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생강 저장시설로써 종래에는 대부분 수직으로 4∼5m 내려간 후 수평으로 3∼8m 정도의 저장굴이 3∼5개의 분기된 굴로 구성된 수직굴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토굴로써 수직굴인 종래 생강 저장용 수직굴의 규격으로 보통 출입구인 수직통로는 붕괴 등의 문제로 폭은 1∼1.5m 정도로 좁고, 분기된 수평굴의 높이는 1.7∼2m 정도이며, 토굴 1개소만 10∼15톤 정도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을 가지고 있다.
생강 토굴저장은 경험적으로 대개 온도 13℃, 습도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15℃ 이상 계속 유지될 때는 발아되고 10℃ 이하에서는 부패한다. 저장방법은 산물로 적재한 채 흙이나, 부직포 또는 비닐 등으로 덮어서 장기 저장하는 방법으로 인위적인 저장관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며, 토굴저장시 부패율이 5개월 내에 10∼50%로 상당히 높을 뿐만 아니라 출하시기의 선택이나 작업상의 번거로움 등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즉, 입구가 4∼5m 높이로 이루어지고 각 공간도 협소하여 지하로 어렵게 형 성되는 수직굴이기 때문에 생강의 저장 또는 반출작업을 위해 입구로 들어갈 때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고, 토굴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어두워 작업을 할 때에는 항상 손전등과 같은 조명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많은 작업자를 동시에 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작업인원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경제적인 문제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연저장의 한 방법으로 생강을 토굴에 저장하다 보면 토굴 내의 일정공간에 있는 생강이 부패하여 부패 산물로써 각종 가스가 나오게 되는데 이는 공업적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체이기는 하나 밀폐된 공간 내에서 이러한 가스들이 밀집된다면 인체에 유해하다.
즉, 생강 부패시 발생되는 주요 기체는 수소, 탄산가스, 메탄가스 등이 있는데 이러한 가스가 인체에 무해 혹은 직접 유해하기도 하나, 일단 종래 생강 저장용 수직굴에서와 같이 밀폐된 토굴 속에 밀집되게 되면 저장고 속에서의 생강 채굴 작업시 산소의 결핍으로 인체 내의 호흡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특히, 메탄가스는 질식사 원인 가스의 대표적인 가스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유해가스에 의해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질식사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어, 종래 생강저장용 수직굴은 저장된 생강의 반출 및 처리를 하는 작업자가 수직굴로 들어가는 것을 꺼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생강을 저장하는 굴로 계속 사용하기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생강을 저장하기 위한 토굴인 수직굴과 유사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서로 이어지는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을 구성한 후, 철근콘크리트로 된 상기 통로 및 저장실을 일정한 두께로 성토하고 다져 토굴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통로 및 저장실의 측벽으로 안쪽은 내부와 연통하면서 바깥쪽은 성토한 흙과 접하는 온습 유지관을 설치하고, 무동력 흡출기를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마치 토굴과 같은 환경조건을 가짐과 동시에 수평굴로써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생강을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만들어 주고, 생강의 부패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가스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적은 인원의 작업자로도 생강의 저장 및 반출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생강 저장용 수평굴을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의 바깥면을 방수처리하여 물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로 된 통로 및 저장실의 내벽에 일정두께의 스티로폼을 부착하여 콘크리트의 독기(毒氣)가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생강 저장용 수평굴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통로 및 저장실과 바깥에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예기치 않은 폭우 등으로 인해 통로 및 저장실에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생강 저장용 수평굴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어느 때이던지 항상 생강의 처리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에 조명기구를 설치한 생강 저장용 수평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생강 저장용 수평굴은, 전면은 철근콘크리트로 벽으로 설치되어 입구로 사용되는 방화문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과 이어져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 안쪽은 조립식 패널로 측벽과 지붕을 형성하며, 바닥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작업실; 상기 작업실보다 작은 크기로 이어져 지반 아래까지 매설된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으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을 일정한 두께로 성토한 후 다지며, 바닥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통로; 상기 통로보다 큰 크기로 이어져 입구에 방화문이 설치되고, 지반 아래까지 매설된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으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 및 후벽을 일정한 두께로 성토한 후 다지며, 바닥은 흙으로 다진 저장실; 상기 통로 및 저장실의 철근콘크리트 측벽의 상하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안쪽은 통로 및 저장실 내로 이어지면서 바깥쪽은 성토한 흙과 접해 있도록 한 온습 유지관; 및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내부와 연통하도록 한 복수개의 무동력 흡출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의 바깥쪽에서 차례로 적층되는 콜타르층 과 방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와 저장실의 공간을 형성하는 철근콘크리트 내벽과 지붕 안쪽에 일정한 두께로 부착된 스티로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장실 바닥의 사방으로 서로 연결되어 매설되는 유공관; 및 상기 저장실의 외부에서 상기 유공관과 연결관으로 이어져 설치되는 집수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 내의 지붕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용 수평굴에 의하면, 생강의 장기간 저장이 가능한 토굴인 종래 수직굴과 유사한 환경조건을 가지는 수평굴로 이루어짐으로써 생강을 저장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 줄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종래의 생강 저장용 수직굴 이상의 장기간의 저장도 가능하고, 종래 생강 저장용 수직굴에 비해 생강의 저장 및 반출작업이 적은 인원으로도 편안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져 노동력이 절감되며, 언제든지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 무동력 흡출기에 의해 생강이 부패하면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수시로 배출해주기 때문에, 종래 생강 저장용 수직굴에서와 같이 상기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사고의 우려를 완전하게 불식시켜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생강 저장용 수직굴에서와 같이 어렵게 지하로 굴을 파서 형성할 필요 없이 지상에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 생강 저장용 수직굴보다 더 나은 생강저장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강 저장용 수평굴은 작업실(1), 통로(2), 저장실(3), 온습 유지관(4) 및 무동력 흡출기(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작업실(1)은 전면이 철근콘크리트 벽으로 되어 가운데에 갑종의 방화문(6a)이 설치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과 이어지는 양측벽과 지붕은 조립식 패널로 구성하여 폭 6m×길이 5m×높이 2.6m(최대 높이 4.1m)의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방화문(6a)의 상단부에는 캐노피(7)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발판(8)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실(1)의 바닥은 와이어메쉬가 내부에 들어간 200mm 두 께의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상기 통로(2)는 상기 작업실(1)의 후면에서 더 작은 크기로 이어지되, 지반 아래에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 측벽과 지붕을 100mm 두께의 철근콘크리트로 타설하여 폭 3m×길이 6m×높이 2.2m(최대 높이 3m)의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통로(2)는 바닥은 와이어메쉬가 내부에 들어간 200mm 두께의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상기 저장실(3)은 상기 통로(2)의 후면에서 더 큰 크기로 이어져 입구에 방화문(6b)을 설치하되, 지반 아래에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 측변과 후벽 및 지붕을 100mm 두께의 철근콘크리트로 타설하여 폭 4.5m×길이 10m×높이 2.2m(최대 높이 3m)의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저장실(3)의 바닥은 흙으로 다진다.
상기 통로(2)와 저장실(3)은 바깥쪽에 폭 10∼12m×길이 18∼20m×높이 4∼5m의 규격으로 성토하여 다짐으로써 상기 통로와 저장실(3)이 마치 토굴(9) 속에 있는 것처럼 만든다.
상기 온습 유지관(4)은 상기 철근콘크리트로 된 상기 통로(2)와 저장실(3)의 측벽에 50mm의 PVC파이프를 관통하여 설치하되, 상기 측벽의 상하로 길이방향을 따라 약 750mm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온습유지관(4)의 안쪽은 상기 통로(2)와 저장실(3)과 연통하도록 하고, 바깥쪽은 토굴(9)의 흙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토굴의 기운이 통로(2)와 저장실(3) 안으로 전해지도록 한다.
상기 무동력 흡출기(5)는 상기 저장실(3)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토굴(9) 상부로 솟아오르도록 복수개 설치되는데, 팬이 내장된 형태로 되어 있는 상기 무동력 흡출기(5)는 바람에 의해 수시로 팬이 돌아가면서 저장 실(3) 내의 환기는 물론 생강의 부패에 의해 발생하는 저장실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작업실(1)의 조립식 패널 바깥면과 성토하기 전의 통로(2) 및 저장실(3)의 철근콘크리트 바깥면에는 성토한 흙에 함유된 습기나 폭우로 인한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작업을 위해 콜타르를 도포하고 비닐을 씌워 적층시킴으로써 콜타를층과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 상기 통로(2) 및 저장실(3) 내의 벽면과 상부 면에는 50mm의 스티로폼(10)을 부착하여 통로(2) 및 저장실(3)을 구성하는 철근콘크리트로부터 발생하는 독기(毒氣)가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람직하게는 성토한 흙의 기운만 상기 온습 유지관(4)에 의해 안쪽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폭우로 인해 상기 저장실(3) 안쪽으로 빗물 등이 침투하게 되면, 생강의 저장조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배수시설로써 상기 저장실(3)의 벽면 쪽 바닥 내에 유공관(11)을 매설하고 저장실(3)의 바깥쪽에 집수정(12)을 설치한 후 상기 유공관(11)과 집수정(12)을 연결관(13)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저장실(3)의 바닥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경우 상기 유공관(11)과 연결관(13)을 통해 집수정(12)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생강 저장용 수평굴은 사방으로 막혀 있어 내부가 항상 어둡기 때문에 어느 때라도 생강의 처리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실(1)과 통로(2) 및 저장실(3) 내의 지붕에 조명기구로써 조명등(1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강은 보통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수확하여 상기한 큐어링(curing)의 과정 을 거친 후 저장을 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생강 저장용 수평굴에 저장을 하게 되면, 종래 토굴과 같은 유사한 환경조건으로 조성되는 것에 의해 보통은 겨울을 거쳐 종자화시키는 봄까지 저장이 가능해지며, 저장기간 동안의 온도 및 습도 조건을 보면 작업실(1)의 온도는 5℃, 통로(2)의 온도는 9∼10℃, 저장실(3)의 온도는 13∼15℃(특히 겨울철에는 13℃ 유지), 습도는 90∼95%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저장용 수평굴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실 2 : 통로
3 : 저장실 4 : 온습 유지관
5 : 무동력 흡출기 6a,6b : 방화문
7 : 캐노피 8 : 발판
9 : 토굴 10 : 스티로폼
11 : 유공관 12 : 집수정
13 : 연결관 14 : 조명등

Claims (5)

  1. 전면은 철근콘크리트로 벽으로 설치되어 입구로 사용되는 방화문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과 이어져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 안쪽은 조립식 패널로 측벽과 지붕을 형성하며, 바닥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작업실;
    상기 작업실보다 작은 크기로 이어져 지반 아래까지 매설된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으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을 일정한 두께로 성토한 후 다지며, 바닥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통로;
    상기 통로보다 큰 크기로 이어져 입구에 방화문이 설치되고, 지반 아래까지 매설된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으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 측벽과 지붕 및 후벽을 일정한 두께로 성토한 후 다지며, 바닥은 흙으로 다진 저장실;
    상기 통로 및 저장실의 철근콘크리트 측벽의 상하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안쪽은 통로 및 저장실 내로 이어지면서 바깥쪽은 성토한 흙과 접해 있도록 한 온습 유지관; 및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내부와 연통하도록 한 복수개의 무동력 흡출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용 수평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의 바깥쪽에서 차례로 적층되는 콜타르층과 방수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용 수평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와 저장실의 공간을 형성하는 철근콘크리트 내벽과 지붕 안쪽에 일정한 두께로 부착된 스티로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용 수평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바닥의 사방으로 서로 연결되어 매설되는 유공관; 및
    상기 저장실의 외부에서 상기 유공관과 연결관으로 이어져 설치되는 집수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용 수평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과 통로 및 저장실 내의 지붕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용 수평굴.
KR1020090068786A 2009-07-28 2009-07-28 생강 저장용 수평굴 KR10092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86A KR100923408B1 (ko) 2009-07-28 2009-07-28 생강 저장용 수평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86A KR100923408B1 (ko) 2009-07-28 2009-07-28 생강 저장용 수평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408B1 true KR100923408B1 (ko) 2009-10-23

Family

ID=4156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786A KR100923408B1 (ko) 2009-07-28 2009-07-28 생강 저장용 수평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609B1 (ko) 2011-03-17 2012-11-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무안황토명품고구마클러스터사업단 농산물 저장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85A (ko) * 2000-08-31 2002-03-07 김영구 곡물저장을 위한 원적외선 참숯로
KR100628342B1 (ko) 2006-07-03 2006-09-27 주식회사 아이파워 주류 발효 및 숙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85A (ko) * 2000-08-31 2002-03-07 김영구 곡물저장을 위한 원적외선 참숯로
KR100628342B1 (ko) 2006-07-03 2006-09-27 주식회사 아이파워 주류 발효 및 숙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609B1 (ko) 2011-03-17 2012-11-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무안황토명품고구마클러스터사업단 농산물 저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2597B (zh) 维护成本较低的生态建筑的工作方法
JP5750608B2 (ja) 津波避難用装置
KR101479400B1 (ko) 다목적 온실 돔
WO2017177918A1 (zh) 城市森林高层别墅
JP4862355B2 (ja) 災害対策装置
CN203194215U (zh) 减震防风式日光温室
KR100923408B1 (ko) 생강 저장용 수평굴
CN104164892A (zh) 一种电缆隧道多功能检查井
KR101030731B1 (ko) 건축 구조물의 벽면 녹화 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CN214995365U (zh) 一种改进的屋面排气结构
CN106468106B (zh) 一种洞窟酒店
CN204370766U (zh) 一种景观风井及建筑
CN210094152U (zh) 一种双层综合式大棚
EP2213801A1 (en) A structural element for vertical partition walls of adjoining inner and outer environments, said partition walls being made green by plant species
CN203834484U (zh) 一种多功能保护笼
CN207211161U (zh) 建筑结构
CN1040485A (zh) 活动顶面水气逆循环果蔬贮藏保鲜库及其保鲜法
JP2004248550A (ja) 壁面緑化装置および壁面緑化方法
CN215817395U (zh) 电缆横管与电缆沟连接结构
CN214462167U (zh) 地埋式风井
CN211745793U (zh)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结构
CN216238793U (zh) 一种工业和消防水池与泵房集约化布置结构
CN217523380U (zh) 一种雨水可回收的蔬菜种植大棚
CN209073065U (zh) 一种多用途半球形智能充气大棚
GB2439737A (en) Rainwater coll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