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221B1 -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 Google Patents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221B1
KR100923221B1 KR1020070104887A KR20070104887A KR100923221B1 KR 100923221 B1 KR100923221 B1 KR 100923221B1 KR 1020070104887 A KR1020070104887 A KR 1020070104887A KR 20070104887 A KR20070104887 A KR 20070104887A KR 100923221 B1 KR100923221 B1 KR 100923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gas dispersion
dust
fil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318A (ko
Inventor
이현정
김용섭
Original Assignee
(주)세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0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2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82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by spray flush or jet flu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인입덕트(301)와,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설치된 여과포(303)와, 상기 여과포(303)에 연결된 블로우 튜브(305)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분진을 제거하는 탈진 장치(304)와,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를 통과하여 탈진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청정 공기 배출구(306) 및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에서 분리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30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여과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 하부 상기 인입 덕트(302)의 전면에 설치되며, 양 측면에 후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가스 분산부 측판(302a) 사이에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성되는 가스 분산부(3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분진의 재비산이 없어 여과포의 차압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 효율이 우수하고, 운전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여과 집진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초기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집진기, 여과, 타공판, 분산부

Description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Fitering Appartus with Baffling System}
본 발명은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인입덕트(301)와,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설치된 여과포(303)와, 상기 여과포(303)에 연결된 블로우 튜브(305)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분진을 제거하는 탈진 장치(304)와,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를 통과하여 탈진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청정 공기 배출구(306) 및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에서 분리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30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여과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 하부 상기 인입 덕트(302)의 전면에 설치되며, 양 측면에 후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가스 분산부 측판(302a) 사이에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성되는 가스 분산부(3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공장에서 조업중 배출되는 분진을 처리하기 위하여 여과 집진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분진을 포함한 오염된 공기가 여과 집진기로 유입되는 과정중 인입부의 빠른 유속 (18~24m/sec)을 갖는 분진이 여과 집진기 본체에서의 난류로 인하여 여과포에 충격을 주므로 여과포를 파손시키고 다량의 분진이 여과포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는 현상으로 여과속도를 낮추어 설계하여야 하고 포집된 분진의 탈진시 유입기류의 영향으로 재비산하는 현상 등으로 여과 집진기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가 없는 일반적 형태의 여과 집진기(100)에서는 도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스 인입구(101)로 유입된 분진을 포함한 공기는 여과포(102)에 걸러지고 청정공기는 청정공기 배출구 (105)로 배출되고 걸러진 분진은 탈진설비 (103)의 작동으로 블로우 튜브 (104)를 통하여 분사된 압축공기의 힘으로 여과 집진기의 하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의 일반적 형태의 여과 집진기(100)에서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입되는 분진이 유입공기의 난류로 인하여 여과포 말단부(106)중 "A"로 표시한 영역에 분진 충격을 주고 여과포(102)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분진을 탈진하여 집진기의 하부로 배출시 본체 내부의 유입가스 유속으로 탈진된 분진이 재비산하여 여과포에 재부착하는 현상을 반복하므로 여과포의 차압이 상승하게 됨으로 여과 집진기의 효율이 떨어지고 동력의 낭비를 가져오며 여과포의 손상을 초래하는 등 경제적 손실의 문제점이 있 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개선된 구조의 여과 집진기(200)가 제안되어 사용되었다. 상기 개선된 구조의 여과 집진기(200)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스 인입구(201)로 유입된 분진을 포함한 공기는 여과포(202)에 걸러지고 청정공기는 청정공기 배출구 (205)로 배출되고 걸러진 분진은 탈진설비 (203)의 작동으로 블로우 튜브 (204)를 통하여 분사된 압축공기의 힘으로 여과 집진기의 하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개선된 구조의 여과 집진기(200)의 경우 상기 일반적 형태의 여과 집진기(100)에서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였으나, 여전히 도 6에 "A"로 도시한 영역에 분진 충격과 분진의 집적도가 집중된다는 기존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으므로, 여과포의 차압이 상승하고 동력의 낭비를 가져오는 등 경제적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인입덕트(301)와,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설치된 여과포(303)와, 상기 여과포(303)에 연결된 블로우 튜브(305)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분진을 제거하는 탈진 장치(304)와,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를 통과하여 탈진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청정 공기 배출구(306) 및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에서 분리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30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여과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 하부 상기 인입 덕트(302)의 전면에 설치되며, 양 측면에 후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가스 분산부 측판(302a) 사이에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성되는 가스 분산부(3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을 제공하여, 여과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분진의 재비산이 없어 여과포의 차압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 효율이 우수하고, 운전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여과 집진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초기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는,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인입덕트(301)와,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설치된 여과포(303)와, 상기 여과포(303)에 연결된 블로우 튜브(305)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분진을 제거하는 탈진 장치(304)와,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를 통과하여 탈진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청정 공기 배출구(306) 및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에서 분리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30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여과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 하부 상기 인입 덕트(302)의 전면에 설치되며, 양 측면에 후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가스 분산부 측판(302a) 사이에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성되는 가스 분산부(3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가스 분산부(302)를 구성하며 다단으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의 최 외측에 상하의 폭이 더 넓은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하나의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와 상기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의 상하 말단부에는 상기 인입 덕트(301) 방향으로 휘어진 말단 경사부(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7매 적층되어 구성되고, 최 외각에 하나의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가 설치 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인입 덕트(301)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가스 분산부 측판(302a)의 중심축이 45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입부의 빠른 유속 (18~24m/sec)을 갖는 분진을 포함하는 흐름이, 여과포의 하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감소된 유속을 가지는 흐름으로 분산되어, 여과포를 파손시키는 분진에 의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여과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다량의 분진이 여과포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여과속도를 낮추어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포집된 분진의 탈진시 유입기류의 영향으로 재비산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우수하고, 운전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여과 집진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초기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는, 도 7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집진기 본체(310), 여과할 공기 또는 가스가 인입되는 인입 덕트(301), 분진을 거르는 여과포(303), 청정공기가 배출되는 청정공기 배출구(306), 여과포에 걸러진 분진을 자동 탈진하는 탈진장치(304), 탈진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309)와, 여과 집진기로 유입된 분진을 포함한 오염된 공기를 여과 집진기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가스 분산부(302)로 구성된다.
먼저, 집진기 본체(3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집진기 본체(3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여과 집진기를 구성하는 기본 규조체의 기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크기는 몇 ㎥~몇백㎥사이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집진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그 제작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집진기능이 가능한 경우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물리적인 부피와 무게는 물론 제작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입덕트(301)에 관하여 설명한다.상기 인입덕트(30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며 분진 등 오염물질이 포함된 기체가 인입된다.
다음으로 여과포(303)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여과포(30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설치되며, 인입된 기체에서 분진 등 오염물질을 여과하여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여과된 분진 등은 상기 여과포(303)의 외부 표면에 누적되어 쌓여 있다가, 후술할 탈진장치(304)의 작동에 의하여 탈진되어 후술할 분진 배출구(309)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탈진 장치(304)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탈진 장치(30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밸브 등의 작동에 의해 주기적 또는 분진의 누적도에 따라 상기 여과포(303)에 연결된 블로우 튜브(305)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분진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으로, 청정 공기 배출구(306)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청정 공기 배출구(306)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를 통과하여 탈진된 청정 공기가 배출된다.
다음으로, 분진 배출구(309)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진 배출구(30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탈진 장치(304)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여과포(303)에서 분리된 분진을 배출한다.
상술한 집진기 본체(310), 인입 덕트(301), 여과포(303), 청정공기 배출구(306), 탈진장치(304), 분진 배출구(309)를 구성하고 작동시키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에 속하는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가스 분산부(302)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 하부 상기 인입 덕트(302)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 측면에 후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가스 분산부 측판(302a) 사이에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가스 분산부(302)를 구성하며 다단으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의 최 외측에 상하의 폭이 더 넓은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하나의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가스의 분산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산부(302)의 상기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와 상기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은 그 각각의 상하 말단부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인입 덕트(301) 방향으로 휘어진 말단 경사부(312)가 형성되어 분산된 가스가 상기 여과포(303)의 하부 전체로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7매 적층되어 구성되고, 최 외각에 하나의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인입 덕트(301)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가스 분산부 측판(302a)의 중심축이 45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입 덕트(301)를 통하여 분진 등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집진기 본체(3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렇게 인입된 오염된 공기는 가스 분산부(302)를 구성하는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과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의 타공(311)을 통과하고 말단 경사부(312)에 의해 진행 방향에 영향을 받으며 도9 및 도 10에 인입가스의 흐름방향(308)의 화살표의 크기와 방향으로 표시한 인입가스의 유속과 방향을 도시한 것과 같이 인입부의 빠른 유속 (18~24m/sec)을 갖는 분진을 포함하는 흐름이, 여과포(303)의 하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감소된 유속을 가지는 흐름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여과포를 파손시키는 분진에 의한 충격을 방지하고, 다량의 분진이 여과포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여과속도를 낮추어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포집된 분진의 탈진시 유입기류의 영향으로 재비산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기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 집진기의 측면구성도
도 2: 기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 집진기의 정면구성도
도 3: 기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 집진기의 분진 군집도 모식도
도 4: 기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 집진기의 측면구성도
도 5: 기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 집진기의 정면구성도
도 6: 기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 집진기의 분진 군집도 모식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측면구성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정면구성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가스 인입부 측면 상세도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가스 인입부 정면 상세도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분산부 구성도
도 1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 측면 및 정면 구성도
도 1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의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 측면 및 정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0: 일반적 형태의 여과 집진기
101: 종래의 여과 집진기 가스 인입구
102: 여과포
103: 탈진장치 104: 블로우 튜브
105: 청정공기 배출구 106: 여과포 말단부
107: 인입가스의 흐름방향
200: 개선된 구조의 여과 집진기
201: 종래의 일부 개선된 여과 집진기 가스 인입구
202: 여과포 203: 탈진장치
204: 블로우 튜브 205: 청정공기 배출구
206: 여과포 말단부 207: 인입가스의 흐름방향
300: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301: 인입덕트 302: :가스 분산부
302a: 가스 분산부 측판 302b: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
302c: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2
303: 여과포 304: 탈진장치
305: 블로우 튜브 306: 청정공기 배출구
307: 여과포 말단부 308: 인입가스의 흐름방향
310: 집진기 본체 311: 타공
312: 말단 경사부

Claims (5)

  1.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인입덕트(301)와,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설치된 여과포(303)와, 상기 여과포(303)에 연결된 블로우 튜브(305)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분진을 제거하는 탈진 장치(304)와,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를 통과하여 탈진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청정 공기 배출구(306) 및 상기 집진기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303)에서 분리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30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여과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 하부 상기 인입 덕트(302)의 전면에 설치되며, 양 측면에 후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가스 분산부 측판(302a) 사이에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성되는 가스 분산부(30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3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가스 분산부(302)를 구성하며 다단으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의 최 외측에 상하의 폭이 더 넓은 다수의 타공(311)이 형성된 타공판 형상의 하나의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 플(302c)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3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와 상기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의 상하 말단부에는 상기 인입 덕트(301) 방향으로 휘어진 말단 경사부(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3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b)이 7매 적층되어 구성되고, 최 외각에 하나의 광폭 가스 분산부 가이드 배플(302c)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3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산부(302)는, 상기 인입 덕트(301)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가 스 분산부 측판(302a)의 중심축이 45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300).
KR1020070104887A 2007-10-18 2007-10-18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KR100923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87A KR100923221B1 (ko) 2007-10-18 2007-10-18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87A KR100923221B1 (ko) 2007-10-18 2007-10-18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18A KR20090039318A (ko) 2009-04-22
KR100923221B1 true KR100923221B1 (ko) 2009-10-23

Family

ID=4076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887A KR100923221B1 (ko) 2007-10-18 2007-10-18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81B1 (ko) * 2011-09-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장치
CN109202281A (zh) * 2018-11-22 2019-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装置、激光切割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467B1 (ko) * 2015-10-14 2016-12-23 주식회사 이에스엔지니어링 분산부를 구비하는 사이클론형 백필터 집진기
KR102044991B1 (ko) * 2018-05-24 2019-11-14 주식회사 포스코 백필터를 이용한 집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811A (ja) * 1999-07-07 2001-01-23 Aiho Kogyo Kk 集塵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811A (ja) * 1999-07-07 2001-01-23 Aiho Kogyo Kk 集塵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81B1 (ko) * 2011-09-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장치
CN109202281A (zh) * 2018-11-22 2019-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装置、激光切割机
CN109202281B (zh) * 2018-11-22 2021-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装置、激光切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18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656B2 (en) Air filter assembly having non-cylindrical filter elements, for filtering air with particulate matter
US6387162B1 (en) Air filter assembly having non-cylindrical filter elements, for filtering air with particulate matter
WO2008067453A2 (en) System configuration of pulsed cleaned panel-style filter elements and methods
KR100923221B1 (ko) 다단 타공판형 가스 분산부를 구비한 고효율 여과 집진기
EP3733260A1 (en) Filter systems with dirty air chamber spacer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0975492A (zh) 一种自动除尘设备
CN109173715B (zh) 脱硝除尘一体化除尘器
US4430100A (en) Side stream separation system for mechanical collecto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CN210814369U (zh) 一种净气反吹气箱内滤袋式除尘器
WO2002002206A2 (en) Air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air having particulate matter
CN107837609A (zh) 使用多级直流旋风分离器组合阵列的除尘装置及方法
CN212262754U (zh) 一种除尘装置
CN212141796U (zh) 除尘设备及干选系统
CN209735145U (zh) 惯性除尘器
KR100803989B1 (ko) 스트립 그라인더 미스트오일집진기의 오일흄 포집 제거장치
CN102847404A (zh) 一种除尘器
CN209752438U (zh) 一种组合式脉冲滤筒除尘器
CN208878100U (zh) 气箱脉冲袋式除尘器
KR200405164Y1 (ko) 집진기용 가교 현상 방지 백 필터 장치
CN217746370U (zh) 一种旋风过滤一体式净化器
CN215842313U (zh) 布袋除尘器
CN211116833U (zh) 一种集尘器和分子泵
CN211864175U (zh) 一种湿式除尘器的除水雾装置
CN211133297U (zh) 一种新型耐用自洁脉冲除尘器
CN219539711U (zh) 一种钢铁熔炉的烟气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