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005B1 -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005B1
KR100921005B1 KR1020080014146A KR20080014146A KR100921005B1 KR 100921005 B1 KR100921005 B1 KR 100921005B1 KR 1020080014146 A KR1020080014146 A KR 1020080014146A KR 20080014146 A KR20080014146 A KR 20080014146A KR 100921005 B1 KR100921005 B1 KR 10092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video
terminal
data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706A (ko
Inventor
류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1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0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00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CDMA 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영상 통화 요청을 전송한 발신 단말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제1 영상 채널을 설정하고, 영상 통화 요청에 포함된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해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제2 영상 채널을 설정하고, 제1 영상 채널 및 제2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여 저장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키 조작만을 이용하여 WCDMA 망에서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손쉽게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영상 통화 내용 또는 대용량의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 통화, 통화 내용 저장, WCDMA, 영상 채널

Description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Video Call Record at WCDMA Network}
본 발명은 WCDMA 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WCDMA 망에서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저장시키고,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다양한 컨텐츠가 양산됨에 따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 문자 메시지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 사용자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다른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다 보면, 중요한 약속, 스케줄, 계약 내용, 다른 사람의 전화번호 등 그 내용을 메모하거나 저장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현재, 음성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 이동 단말기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 버튼을 입력하면, 이동 단말기는 녹음 모드로 변경되고, 송수신되는 음성 통화 내용이 이동 단말기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여기서, 음성 통화 내용이 저장되는 도중 사용자는 키 조작을 통해 음성 통화 내용의 저장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통화 내용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호출 및 재생된다.
이와 같은 음성 통화 내용의 저장은 사용자가 직접 메모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중요한 내용을 원하는 기간 동안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자들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상용화됨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향상은 물론이며,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AOD, VOD 등)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화에 따른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빠른 송수신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비로소 영상 통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기 방식의 CDMA 2000 방식과, 비동기 방식의 WCDMA(Wideband CDMA)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10 Mbps의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WCDMA 방식이 2.4 Mbps의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CDMA 2000 방식에 비해,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이용하므로 우수한 통화 품질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WCDMA 망을 이용한 영상 통화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와는 달리, WCDMA 망을 이용한 영상 통화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 저장해야 할 내용 등이 발생하더라도, 통화 내용을 저장하지 못하고, 일일이 메모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영상 통화 내용을 이동 단말기에 저장하는 기술이 제안되더라도, 영상 통화 내용은 동영상 형태로 저장되어야 하므로, 이동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내부 메모리 공간의 크기 제약이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에서는 다수의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 공간을 크게 확보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 내부에 큰 메모리 모듈을 삽입하는 기술은 이동 단말기의 가격이 올라가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WCDMA 망을 이용한 영상 통화 서비스에 따라 발생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메모리 공간의 한계가 있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가 아닌, 이동 단말기 외부의 별도 공간에 저장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WCDMA 망에서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 및 제공하는 WCDMA 망의 서버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요청하는 기능 코드 및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가 포함된 영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발신 단말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통화를 위한 제1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c) 영상 통화 요청에 포함된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해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제2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제1 영상 채널 및 제2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데이터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 및 제공하는 WCDMA 망의 서버에서,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 단말로부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이나,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b) 제공 요청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호출하여, 데이터 채널 또는 영상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 (c)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거나, 이동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 중지 요청이 입력되면,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및 (d)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 설정된 데이터 채널 또는 영상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은 WCDMA 망에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 및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채널을 각각 설정하고,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여 저장하며,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의 영상 신호 제공 요청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전송 채널 또는 영상 채널을 통하여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통화 저장 서버; 영상 채널을 통해 발신 단말과 영상 통화 저장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발신 교환기; 영상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과 영상 통화 저장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착신 교환기; 및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발신 교환기 및 영상 통화 저장 서버로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설정 또는 영상 통화 중의 간단한 키 조작만을 이용하여, WCDMA 망에서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손쉽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내용이 메모리 공간의 한계를 갖는 이동 단말기가 아닌 이동통신 시스템에 저장되므로, 다수의 영상 통화 내용을 동시에 저장시킬 수 있고, 긴 영상 통화로 생성되는 대용량의 영상 통화 내용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영상 통화 내용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저장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손, 분실 등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저장된 영상 통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영상 통화 내용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아닌 개인용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 약 없이 저장된 영상 통화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망의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은 발신 단말(100), 발신 기지국(110), 발신 교환기(12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0),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150), 패킷 관문 지 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160), 착신 교환기(170), 착신 기지국(180) 및 착신 단말(190)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100)은 발신 기지국(120) 및 발신 교환기(120)를 통해 착신 단말(190)로 영상 통화를 요청하고,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면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또한, 발신 단말(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을 위하여, 발신 교환기(120)로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때,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능 코드를 동봉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00)은 SGSN(150) 및 GGSN(160)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 접속하여,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발신 기지국(110)은 발신 단말(100)과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발신 단말(100)을 제어하고 음성/영상 통화를 위한 음성/영상 채널을 연결해주는 장치로서, 발신 단말(100)로부터 송출된 영상 통화 요청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발신 교환기(130)로 전송하고, 발신 교환기(130)를 통하여 제공되는 영상 통화 신호를 발신 단말(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발신 단말(100)로부터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호출 요청이 입력되면, 발신 단말(100)을 SGSN(150)으로 연결시키고, 영상 통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이나 영상 채널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신 교환기(120)는 통화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고, 영상 통화를 위한 채널을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 망과의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교환기(120)는 발신 기지국(110)으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HLR(130)을 통해 발신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HLR(130)을 통해 영상 통화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190)을 담당하는 착신 교환기(170)를 확인하여,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100)로부터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능 코드가 동봉된 영상 통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를 통해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와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HLR(130)은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또한, HLR(130)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와 연동하여 영상 통화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19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150)는 발신 교환기(130)로부터의 영상 통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착신 단말(190)의 위치 정보 및 착신 단말(190)이 위치한 지역을 담당하는 착신 교환기(190)의 정보를 발신 교환기(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발신 단말(100)이 사전에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설정하는 경우,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통하여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위한 기능 코드를 전송하지 않아도, 수행되는 모든 영상 통화 내용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HLR(130)은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통해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며,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호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발신 단말(100)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120)로부터 전달되는 호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교환기(120) 및 발신 단말(100)과의 사이에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호 접속 요청 메시지를 통해 착신 교환기(170) 및 착신 단말(190)을 호출하고, 호출된 착신 교환기(170) 및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의 내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SGSN(150)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SGSN(150)은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부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공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GGSN(160) 을 통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부터 요청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호출한 뒤,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GGSN(160)은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한다. 또한, GGSN(160)은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부터 호출된 영상 통화 데이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와 SGSN(150)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착신 교환기(170)는 발신 교환기(12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착신 기지국(18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발신 교환기(120) 및 착신 교환기(170) 사이에서 수행되는 영상 통화는 패킷 형태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발신 교환기(120) 및 착신 교환기(170)는 발신 기지국(110) 또는 착신 기지국(180)으로부터 전달되는 서킷 형태의 영상 신호를 패킷 형태로 변환하여 착신 기지국(180) 또는 발신 기지국(110)으로 전송하거나, 착신 기지국(180) 또는 발신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패킷 형태의 영상 신호를 서킷 형태로 변환하여, 발신 기지국(110) 또는 착신 기지국(180)으로부터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착신 기지국(180)은 착신 단말(190)의 전원 인가에 따른 위치 등록을 수행하며, 착신 교환기(170)를 통하여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착신 단말(19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저장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송수신 처리 모듈(210), 제어 모듈(220), 메모리 모듈(230) 및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을 포함한다.
송수신 처리 모듈(210)은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하여, 송수신 처리 모듈(210)은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송수신 모듈(2110)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신호 송수신 모듈(2120)을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 송수신 모듈(2110)은 발신 교환기(120) 또는 착신 교환기(17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 호출 요청,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삭제 요청 등을 수신하거나, 수행되는 영상 통화에 대한 저장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 영상 통화 데이터의 삭제 완료 메시지 등을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신호 송수신 모듈(2110)은 발신 교환기(120) 또는 착신 교환기(170)로부터 각종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신호 수신 모듈(2112) 및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 송출할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20) 또는 착신 교환기(170)로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 송신 모듈(2114)을 포함한다.
영상 신호 송수신 모듈(2120)은 발신 교환기(120) 및 착신 교환기(17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상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220)로 전송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착신 교환기(170) 또는 발신 교환기(120)로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부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한 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 모듈(220)에 의해 호출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GGSN(16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 신호 송수신 모듈(2120)은 발신 교환기(120) 또는 착신 교환기(17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신호 수신 모듈(2122) 및 수신된 영상 신호를 착신 교환기(170) 또는 발신 교환기(120)로 전달하거나, 호출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GGSN(160)으로 전송하는 영상 신호 송신 모듈(2124)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220)은 송수신 처리 모듈(21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에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호출하는 등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 모듈(220)은 발신 교환기(120) 또는 착신 교환기(170)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신호 처리 모듈(2210) 및 영상 신호, 영상 통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 모듈(2220)을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 처리 모듈(2210)은 데이터 신호 송수신 모듈(2110)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즉, 데이터 신호 처리 모듈(2210)은 데이터 신호 수신 모듈(2112)로부터 입력되는 호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190)과의 영상 채널 설정과 관련된 협상을 처리한다. 또한, 영상 채널이 설정되면, 영상 통화에 대한 저장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메 시지를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로부터 호출하거나, 생성하여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GGSN(140)을 통한 영상 통화 데이터의 호출 요청 메시지나 삭제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따라,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호출하거나,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통화 데이터의 삭제 요청에 따라, 영상 통화 데이터가 삭제되면, 영상 통화 데이터의 삭제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한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 전송한다.
영상 신호 처리 모듈(2220)은 영상 신호 송수신 모듈(2120)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즉, 영상 신호 처리 모듈(2220)은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의 영상 통화가 수행됨에 따라, 영상 신호 수신 모듈(2122)을 통해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착신 단말(190) 또는 발신 단말(1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모리 모듈(230)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메모리 모듈(230)이 수신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우, 영상 신호가 곧바로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부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로부터 호출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영상 신호 송신 모듈(2124)을 통해 전송하는 역 할을 수행한다.
메모리 모듈(230)은 제어 모듈(220)에서 각종 데이터 신호, 영상 신호 및 영상 통화 데이터를 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부분이다. 메모리 모듈(230)은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에서 발생되는 영상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다가, 통화가 완료되는 시점에 하나의 영상 통화 데이터로 생성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모듈(230)에는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다.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은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에 송수신된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부터의 영상 통화 데이터 호출 요청이나 삭제 요청에 따라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호출하여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 제공하거나,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은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베이스(2420)와,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 호출, 삭제 등 영상 통화 데이터베이스(2420)의 영상 통화 데이터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24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240)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는 SGSN(150) 및 GGSN(160)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발신 단말(100)로 전달된다. 이 때,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저장된 영 상 통화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특정한 인터넷 주소를 갖는 웹 페이지를 운영할 수도 있으며, 웹 페이지 운영을 위한 웹 페이지 운영 모듈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에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영상 통화를 수행하려는 사용자는 발신 단말(100)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190)의 전화 번호(이하, '착신 번호'라 칭함)를 입력한다. 이 때,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특정 키 또는 기능 코드를 추가로 입력한다. 예로써, '*12', '#12' 등의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착신 번호만 입력하면,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서비스를 요청하는 기능 코드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발신 단말(100)에 자동 코드 입력을 사전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서비스를 요청하는 기능 코드 및 착신 번호가 발신 단말(100)에 입력되면, 발신 단말(100)은 기능 코드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 기지국(100)을 통해 발신 교환기(120)로 송출한다.
발신 교환기(120)는 기능 코드, 착신 번호 및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이하, '발신 번호'라 칭함)가 포함된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310), HLR(130)을 통해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 영상 통화를 위한 채널 설정을 요청한다.
채널 설정을 요청받은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채널을 설정하고(S320),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도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채널을 설정한다(S330).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와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190)의 사이에 영상 채널이 각각 설정됨에 따라,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를 이용한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의 영상 통화가 수행된다.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녹화한다(S340).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의 영상 통화가 종료되면(S350),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각각 생성된 영상 채널을 해제하고(S360), 녹화된 영상 통화 내용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생성한 뒤, 영상 통화 데이터베이스(2420)에 저장한다(S370).
이와 같은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을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을 통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을 위한,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내에서의 신호 흐름도이다.
영상 통화를 수행하려는 사용자가 발신 단말(100)을 이용하여 착신 번호 및 기능 코드를 입력하면, 발신 단말(100)은 기능 코드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 기지국(100)을 통해 발신 교환기(120)로 송출한다.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120)는 HLR(130)로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190)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초기 감지 메시지(IDP: Initial Detection Point)를 전송한다. 이 때, HLR(130)로 전송되는 초기 감지 메시지에는 영상 통화 요청 신호를 통해 수신한 기능 코드, 착신 번호 및 발신 번호를 포함한다(S404).
HLR(130)은 초기 감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교환기(120)로 전달한다. 이 때, 전달되는 초기 감지 응답 메시지는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의 라우팅을 위한 그룹 식별 번호(RN: Routing Number)를 포함한다(S406).
그룹 식별 번호가 포함된 초기 감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120)는 확인된 그룹 식별 번호를 갖는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 영상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요청 메시지(IAM: 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한다. 이 때,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 저장되는 호 접속 요청 메시지에는 가입자 정보가 포함된다(S408).
영상 통화 서버(140)는 수신된 호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호 접속 요청 응답 메시지(ACM: Acknowledge Message)를 생성하여 발신 교환기(120)로 전송한 후(S410), 호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성공적인 등록에 따른 호 진행을 요청하는 호 진행 메시지(CPG: Call ProGress message)를 생성하여 발신 교환기(120)로 전송한다. 이 때, 발신 교환기(120)는 수신된 호 진행 메시지를 발신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S412).
호 진행 메시지에 따라, 영상 통화 서버(140)와 발신 교환기(120) 및 발신 단말(100)은 영상 통화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및 영상의 코덱을 결정하기 위한 협상을 수행한다. 영상 통화를 위한 프로토콜 협상은 국제전기통신 표준화부문(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규격에 따라 'H.245 협상'으로 불린다(S414).
영상 통화 서버(140)와 발신 교환기(120) 및 발신 단말(100) 사이에 H.245 협상이 완료되면,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통화 호가 송수신될 영상 채널이 생성된다(S416).
영상 통화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과의 사이에 영상 채널이 생성되면, 생성된 영상 채널을 통해 영상 통화가 실행됨과 동시에, 영상 통화 내용이 녹음 및 저장됨을 알리는 안내 멘트를 생성하여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418).
영상 통화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로 안내 멘트를 전송함과 동시에, 착신 교환기(170)로 영상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한다. 착신 교환기(170)로 전송된 호 접속 요청 메시지는 착신 단말(190)로 전달된다(S420).
호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190)은 호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호 접속 요청 응답 메시지(ACM)를 생성하여 착신 교환기(170)를 통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 때, 착신 단말(190)에는 영상 통화를 위한 착신음이 울리기 시작한다(S422).
착신 단말(190)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위한 착신을 허용하면, 착신 단말(190)은 호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호 연결 응답 메시지(ANM: Answer Message)를 생성한 후, 착신 교환기(170)로 전송한다. 착신 교환기(170)로 전송된 호 연결 응답 메시지는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 전달된다(S424).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호 연결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착신 교환기(170) 및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음성 및 영상 코덱의 결정을 위한 H.245 협상을 수행한다(S426). H.245 협상이 완료됨에 따라, 영상 통화 서버(140)와 착신 교환기(170) 및 착신 단말(180) 사이에는 영상 통화 호가 송수신될 영상 채널이 생성된다.
이 때, 영상 통화 서버(140)는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영상 채널이 생성되면, 영상 통화 내용이 녹음 및 저장됨을 알리는 안내 멘트를 생성하여 착신 단말(190)로 전송할 수도 있다(S428).
S416 단계 및 S428 단계를 통하여, 발신 단말(100)과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와 착신 단말(190) 사이에 각각의 영상 채널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된 영상 채널을 통하여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에 영상 통화가 수행된다(S430). 이 때,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19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는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의 영상 신호 송수신 모듈(2120)을 통해 전달되며,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여 메모리 모듈(230)에 임시로 저장한다(S432).
발신 단말(100)이나 착신 단말(190)로부터 영상 통화의 종료 요청이 입력되 면(S434),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과의 사이에 형성된 영상 채널 및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형성된 영상 채널을 각각 해제한다(S436).
그리고, 메모리 모듈(230)에 저장된 영상 신호로부터 하나의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생성한 뒤, 영상 통화 데이터베이스(2420)에 저장한다(S438).
이와 같이 영상 통화 데이터베이스(2420)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는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의 요청에 따라 호출 및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 저장 서버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의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로 접속하여,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다.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SGSN(150) 및 GGSN(160)을 통해 영상 통화 데이터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510),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호출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채널을 설정한다. 이 때,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영상 통화 데이터의 스트리밍 전송을 위하여,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가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과 H.245 협상을 수행하여, 영상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S520).
그리고,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이 영상 통화 데이터 제공 요청 신호를 통해 제공 요청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영상 통화 데이터베이스(2420)로부터 호출한다. 이 때, 날짜, 파일명 등을 통해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의 사용자가 직접 제공을 원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영상 통화 데이터 제공 요청 신호를 통해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과 관련된 모든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호출을 원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S530).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영상 통화 데이터가 호출되면,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생성된 데이터 전송 채널 또는 영상 채널을 통해, 호출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S540).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거나,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 중지가 요청되면,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한다(S550).
이 때, 사용자는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을 통해 영상 통화 데이터의 삭제 요청이 입력되면(S560), 영상 통화 데이터베이스(2420)로부터 삭제 요청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삭제한다(S570).
영상 통화 데이터 전송 또는 영상 통화 데이터 삭제 등 영상 통화 데이터 관련 작업이 종료되면, 영상 통화 저장 서버(140)는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과의 사이에 생성된 데이터 전송 채널 또는 영상 채널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WCDMA 망에서 수행되는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 말(190) 사이의 영상 통화 내용을 영상 통화 데이터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19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망의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저장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내용 저장을 위한,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내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 저장 서버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15)

  1.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 및 제공하는 WCDMA 망의 서버에서, 상기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요청하는 기능 코드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가 포함된 영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통화를 위한 제1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영상 통화 요청에 포함된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제2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영상 채널 및 상기 제2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알리는 안내 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영상 통화 요청에 포함된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c2) 상기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하여, 상기 제2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3)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의 저장을 알리는 안내 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제1 영상 채널 및 상기 제2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는 단계;
    (d2)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의 영상 통화 종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3) 영상 통화의 종료가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상 채널 및 상기 제2 영상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 및
    (d4) 상기 녹화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방법.
  7.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 및 제공하는 WCDMA 망의 서버에서,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이나,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공 요청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 또는 영상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거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 중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 설정된 데이터 채널 또는 영상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 제공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한 삭제 요청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 요청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 제공 방법.
  10. WCDMA 망에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채널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의 영상 신호 제공 요청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전송 채널 또는 상기 영상 채널을 통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통화 저장 서버;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영상 통화 저장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발신 교환기;
    상기 영상 채널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과 상기 영상 통화 저장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착신 교환기; 및
    상기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발신 교환기 및 상기 영상 통화 저장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저장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신 처리 모듈;
    상기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
    상기 영상 채널의 설정을 위한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하며,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의 생성,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호출 및 삭제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영상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영상 신호를 임시로 저장한 후,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사이의 영상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임시로 저장된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처리 모듈은,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한 호출 요청 신호, 삭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저장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나,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삭제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데이터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영상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신호 송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영상 통화 저장 서버에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
    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15. 삭제
KR1020080014146A 2008-02-15 2008-02-15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092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46A KR100921005B1 (ko) 2008-02-15 2008-02-15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46A KR100921005B1 (ko) 2008-02-15 2008-02-15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06A KR20090088706A (ko) 2009-08-20
KR100921005B1 true KR100921005B1 (ko) 2009-10-09

Family

ID=4120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46A KR100921005B1 (ko) 2008-02-15 2008-02-15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023B1 (ko) * 2009-09-18 2010-03-05 (주)언이언 동영상 정보의 업로드 및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KR101029195B1 (ko) * 2009-12-11 2011-04-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수의 사용자 기반의 다중 영상통화 서버 및 그 방법
CN101854356A (zh) * 2010-05-04 2010-10-06 华为终端有限公司 终端呼叫的视频录像方法、视频数据发送方法及可视终端
KR101707214B1 (ko) * 2010-08-16 2017-02-28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통화에 기반한 영상 앨범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210A (ko) * 2003-04-25 2004-11-03 정용준 통화 내역 저장 장치 및 방법
JP2006074538A (ja) 2004-09-03 2006-03-16 Casio Comput Co Ltd 無線通信端末
KR100645527B1 (ko) 2005-12-23 2006-11-15 주식회사 팬택 화상 통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070014922A (ko) * 2005-07-28 2007-02-01 (주)티아이스퀘어 W-cdma망에서 동영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210A (ko) * 2003-04-25 2004-11-03 정용준 통화 내역 저장 장치 및 방법
JP2006074538A (ja) 2004-09-03 2006-03-16 Casio Comput Co Ltd 無線通信端末
KR20070014922A (ko) * 2005-07-28 2007-02-01 (주)티아이스퀘어 W-cdma망에서 동영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45527B1 (ko) 2005-12-23 2006-11-15 주식회사 팬택 화상 통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06A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439B1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20070067927A (ko) 음성 통화 중에 콘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
CN101540870A (zh) 视频通话业务的实现方法
KR100921005B1 (ko) Wcdma망에서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 및시스템
CN103703798A (zh) 广告插入方法、设备及系统
US201003092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video messages
CN100499722C (zh) 实现电话向计算机网络即时通信终端发信息的装置和方法
CN101106594A (zh) 识别主叫的系统、方法及终端
CN102055961A (zh) 被叫方可视终端监控方法及视频监控系统
KR100819328B1 (ko) H.323 프로토콜과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폰의호처리 장치 및 방법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KR100729580B1 (ko) IVR 기능을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전화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서비스망 및 그 부가 서비스 방법
CN108882060A (zh) 一种公共电话互拨方法、装置、系统、以及存储介质
CN100397932C (zh) 一种利用移动通信终端的画面控制照片的发送方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109673A (ja) 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装置、ケーブルモデム、通信装置の制御方法
CN102668487B (zh) 一种媒体网关实现呼叫的方法及系统
KR20090095061A (ko) 통화 호 자동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0854406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60144B1 (ko) 모바일 패킷망을 이용한 영상 블로그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855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67168B1 (ko) 통신망에서 실시간 메시지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29547A (ja) 録画方法、録画システム、再生方法及び再生システム
KR100596003B1 (ko) 할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ip교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