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586B1 -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 Google Patents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586B1
KR100920586B1 KR1020070140714A KR20070140714A KR100920586B1 KR 100920586 B1 KR100920586 B1 KR 100920586B1 KR 1020070140714 A KR1020070140714 A KR 1020070140714A KR 20070140714 A KR20070140714 A KR 20070140714A KR 100920586 B1 KR100920586 B1 KR 10092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onversion circuit
power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561A (ko
Inventor
문건우
김동중
이강현
이우진
김돈식
김종필
허태원
이동욱
봉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5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전원과 DC 블러킹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위상에 따라 스위칭을 제어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입력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1 출력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공진용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시에 발생하는 직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 캐패시터를 갖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와,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2 출력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출력 직류 전원단에 전달하는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와, 상기 공진용 인덕터의 전류와 상기 직류 차단 캐패시터에 충방전되는 전압 간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터리브드(Interleaved), LLC, 공진(Resonant)

Description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INTERLEAVED TYPE CONVERTER}
본 발명은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진용 인덕터의 전류와 DC 블러킹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간의 위상차에 따라 스위칭을 제어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기 및 프로세서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전원장치의 저전압 대전류의 출력 특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스위칭 손실이 없고 높은 효율, 높은 주파수와 높은 전력밀도를 갖는 공진형 컨버터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원장치의 제조가격을 줄일 수 있으면서 비교적 중대형 이상의 출력에서 효율적 운전이 가능한 회로방식 중의 하나인 LLC 공진형 풀 브릿지(Full Bridge) 컨버터는 소프트 스위칭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위칭 손실이 적고, 변압기와 주요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의 실효 값이 작기 때문에 고효율 운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LLC 공진형 풀 브리지 컨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LLC 공진형 풀 브리지 컨버터는 입력 전원 (Vin)을 4개의 스위치(M1, M2, M3, M4)를 통해 스위칭하며 이때, 인덕터(Lr)의 인덕턴스, 변압기(Np, Ns1, Ns2)의 자화 인덕턴스 및 캐패시터(Cr)의 캐패시턴스에 따른 공진주파수에 따라 공진한다. 스위칭된 전원은 변압기(Np, Ns1, Ns2)의 권선비 및 후단 처리부(Lsk1,Lsk2,S1,S2)에 따라 전압 레벨이 변환되어 출력 캐패시터(Co)를 통해 출력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LLC 공진형 풀 브리지 컨버터에서는 풀 브리지 본연의 방식에 의해 출력 전원에 과도한 리플(Ripple) 전압이 발생하며, 상술한 리플 전압을 억제하기 위해 출력 캐패시터(Co)를 십수개 정도를 채용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LLC 공진형 풀 브리지 컨버터는 리플 전압 억제를 위해 십수개 정도의 다수의 출력 캐패시터를 채용하므로 출력 캐패시터의 소자 수만큼 회로 면적이 낭비되고 제품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용 인덕터의 전류와 DC 블러킹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간의 위상차에 따라 스위칭을 제어하여 출력 전원의 리플 전압을 억제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입력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1 출력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공진용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시에 발생하는 직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 캐패시터를 갖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와,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2 출력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출력 직류 전원단에 전달하는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와, 상기 공진용 인덕터의 전류와 상기 직류 차단 캐패시터에 충방전되는 전압 간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과 상기 직류 차단 캐패시터에 충방전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비교 결과를 반전한 반전 비교 결과를 전달하는 비교기와,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와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반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회로는 상기 스위칭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을 상보적으로 스위칭하는 적어도 둘의 스위치를 갖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1 스위칭부로부터의 스위칭된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입력 직류 전원단에 병렬 연결되고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를 갖는 하프 브리지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진용 인덕터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간의 연결점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공진용 인덕터의 인덕턴스와 상기 제1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와 상기 직류 차단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에 따라 공진하는 LLC 공진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회로는 상기 스위칭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을 상보적으로 스위칭하는 적어도 둘의 스위치를 갖는 제2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의 스위칭된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상기 제2 출력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입력 직류 전원단에 병렬 연결되고 서로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스위치를 갖는 하프 브리지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간의 연결점에 직렬 연결된 공진용 인덕터와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의 스위칭시에 발생되는 직류를 차단하는 다른 하나의 직류 차단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와 상기 제2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와 상기 다른 하나의 직류 차단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에 따라 공진하는 LLC 공진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진용 인덕터의 전류와 DC 블러킹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간의 위상차에 따라 스위칭을 제어하여 출력 전원의 리플 전압을 억제함으로써 불필요한 회로면적 및 제작 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100)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는 적어도 둘의 스위치를 갖는 하프 브리지(Half-Bridge) 타입 또는 4개의 스위치를 갖는 풀 브리지(Full-Bridge) 타입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으며, 회로내의 소자에 의한 인덕턴스 및 캐패시턴스에 따라 공진하는 LLC 공진 타입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으며 하프 브리지 LLC 공진 타입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도 적어도 둘의 스위치를 갖는 하프 브리지(Half-Bridge) 타입 또는 4개의 스위치를 갖는 풀 브리지(Full-Bridge) 타입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으며, 회로내의 소자에 의한 인덕턴스 및 캐패시턴스에 따라 공진하는 LLC 공진 타입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으며 하프 브리지 LLC 공진 타입 직류/직류 변환 회로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 및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 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는 상술한 하프 브리지 방식에 해당하는 입력 직류 전원(Vin)단에 병렬 연결되고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M1, M2)와 상술한 LLC 공진 방식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M1,M2)의 연결점에 직렬 연결된 제1 공진용 인덕터(Lr), 접지에 연결된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을 갖는 제1 스위칭부(111)와 제1 스위칭부(111)로부터의 스위칭된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변환하는 트랜스포머(Np, Ns1, Ns2)와 변환된 전원을 각각 처리하여 제1 출력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덕터(Lks1, Lks2) 및 스위치(S1, S2)를 갖는 제1 변압부(112)를 포함한다. 트랜스포머(Np, Ns1, Ns2)에 의한 자화 인덕턴스(LM)는 상술한 LLC 공진 방식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는 상술한 하프 브리지 방식에 해당하는 입력 직류 전원(Vin)단에 병렬 연결되고 서로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스위치(M1', M2')와 상술한 LLC 공진 방식에 해당하는 제3 및 제4 스위치(M1',M2')의 연결점에 직렬 연결된 제2 공진용 인덕터(Lr'), 접지에 연결된 제2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을 갖는 제2 스위칭부(121)와 제2 스위칭부(121)로부터의 스위칭된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변환하는 트랜스포머(Np', Ns1', Ns2')와 변환된 전원을 각각 처리하여 제2 출력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덕터(Lks1', Lks2') 및 스위치(S1', S2')를 갖는 제2 변압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출력 직류 전원은 상기 제1 출력 직류 전원과 통합되어 출력된다. 트랜스포머(Np', Ns1', Ns2')에 의한 자화 인덕턴스(LM') 또한 상술한 LLC 공진 방식에 사용된다.
제어부(130)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의 제1 및 제2 스위치(M1, M2)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와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3 및 제4 스위치(M1',M2')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는 입력 직류 전원(Vin)의 전압 레벨과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에 충방전되는 전압 레벨(Vcr)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생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입력 직류 전원(Vin)의 전압 레벨과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에 충방전되는 전압 레벨(Vcr)을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 저항(R1 내지 R4), 분할된 입력 직류 전원(Vin)의 전압 레벨과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에 충방전되는 전압 레벨(Vcr)를 비교하는 비교 유닛(U1) 및 비교 유닛(U1)으로부터의 비교 결과를 반전하는 반전 유닛(In1)을 갖는 비교기(131)와,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 및 비교기(131)로부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기(13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주요 부분의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에서 LLC 공진 방시에 적용되는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의 전압(Vcr)을 검출하여,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의 전압(Vcr)이 입력 직류 전원(Vin)의 전압 레벨의 1/2보다 크게 되면 제3 스위치(M1')를 턴 온 시키고, 입력 직류 전원(Vin)의 전압 레벨의 1/2보다 작게 되면 제4 스위치(M2')를 턴 온 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와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1 및 제2 출력 직류 전원의 전류는 90도의 위상차가 생기게 되어 출력 캐패시터(Co)를 통한 출력 전류는 기존보다 훨씬 감소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의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의 전압(Vcr)과 제1 공진용 인덕터(Lr)과 자화인덕터(LM)에 흐르는 전류(ILr, ILM)와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2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의 전압(Vcr')과 제2 공진용 인덕터(Lr')과 자화인덕터(LM')에 흐르는 전류(ILr', ILM') 및 제 출력 직류 전원과 제2 출력 직류 전원이 통합된 출력전류(iRCT)를 나타낸다.
각 상태별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명될 수 있다.
제1 모드(t0∼t1)에서는 t0에서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치(M1)이 턴 온된다. 이때, 제4 스위치(M2')는 턴 온 되어 있으므로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 및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1 및 제2 출력 직류 전원은 출력된다.
제2 모드(t1∼t2)에서는 제1 스위치(M1)이 턴 온되어있고 제2 스위치(M2)는 오프 상태이다. 이때,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의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의 전압(Vcr)이 입력 직류 전원(Vin)의 전압의 1/2보다 커지게 될 때, 제어부는 제3 스위치(M1')를 턴온 시키는 제3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3 스위 ㅊ칭 신호에 따라 제3 스위치(M1')이 턴 온되어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 및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1 및 제2 출력 직류 전원은 출력된다.
제3 모드(t2∼t3)에서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의 제1 스위치(M1)이 턴 오프 되고, 제2 스위치(M2)가 턴 온 된다.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3 스위치(M1')는 턴온 되어 있다. 즉 이 구간도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1 및 제2 출력 직류 전원은 출력된다.
제4 모드 (t3∼t4)는 제4 스위치(M4')는 턴 온 되고 제1 스위치(M1)는 턴 오프 상태이다. 이 구간에서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의 제1 직류 차단 캐패시터(Cr)의 전압(Vcr)이 입력 직류 전원(Vin)의 전압의 1/2보다 작아지게 될 때, 제어부(130)는 제4 스위치(M2')를 턴 온시키는 제4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4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4 스위치(M2')가 턴 온되어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와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제1 및 제2 출력 직류 전원은 출력된다.
제5 및 제6 모드(t4∼t6)에서는 상술한 제1 및 제2 모드의 동작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류(iRCT)의 전류 모양은 제1 내지 제4 스위치(M1,M2,M1',M2')의 스위칭의 교차에 의해 연속적으로 0이 되는 구간이 없으므로, 출력 커패시터(Co)를 작게 설계할 수 있고 출력 커패시터로 입출력되는 전류 또한 작아져 열적인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즉,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의 제1 공진용 인덕터(Lr)의 전류(ILr)와 제1 직류 차단 커패시터(Cr)의 전압(Vcr)의 위상차가 정확하게 90도 차이 나므로, 제1 직류 차단 커패시터(Cr)의 전압(Vcr)을 입력 직류 전원의 전압과 비교하여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를 스위칭하는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면 제1 및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90도 위상차가 나게 동작하게 된다. 그 결과 출력 전류(iRCT)의 전류 모양이 연속적으로 되어 출력 커패시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른 일차측 전류의 파형도이다.
입력 직류 전원(Vin)을 410V, 출력전압을 12V, 출력전력을 1200W로 설정하였으며, 도 4의 (a) 내지 (d)는 출력전류가 각각 20A, 5A, 80A, 100A일 때 출력 전류별로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110)와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120)의 1차측 전류(iLr,iLr')를 측정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 전류 레벨이 변화하더라도 입력 직류 전원의 전압과 직류 차단 캐패시턴스의 전압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출력 전류간에 90도 위상차는 유지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출력 리플 파형도이다.
도 5에서는 100A 최대 출력 전압을 만족하기 위해 리플조건과 전해 커패시터의 RMS 전류 허용치를 고려하여 설계한 결과 출력 캐패시터를 330uF 4개로 설계한 실험 파형이다. 종래의 풀 브리지 LLC 컨버터의 경우, 출력 전압 리플을 ±100mV 만족과 커패시터의 RMS 전류 허용치를 고려하면 대략 출력 캐패시터가 330uF 12개가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의 효과로 출력 커패시터의 개수와 커패시턴스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LLC 공진형 풀브리지 컨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주요 부분의 파형도.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른 일차측 전류의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의 출력 리플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110...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
111...제1 스위칭부 112...제1 변압부
120...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 121...제2 스위칭부
122...제2 변압부 130...제어부
131...비교기 132...스위칭 제어기
M1,M2...제1 및 제2 스위치
M1',M2'...제3 및 제4 스위치
Lr,Lr'...제1 및 제2 공진용 인덕터
Cr,Cr'...제1 및 제2 직류 차단 캐패시터
R1~R4...분할 저항
U1...비교 유닛
In1...반전 유닛

Claims (8)

  1. 입력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1 출력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공진용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시에 발생하는 직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 캐패시터를 갖는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2 출력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출력 직류 전원단에 전달하는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 및
    상기 공진용 인덕터의 전류와 상기 직류 차단 캐패시터에 충방전되는 전압 간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과 상기 직류 차단 캐패시터에 충방전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비교 결과를 반전한 반전 비교 결과를 전달하는 비교기; 및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와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반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회로는
    상기 스위칭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을 상보적으로 스위칭하는 적어도 둘의 스위치를 갖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1 스위칭부로부터의 스위칭된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입력 직류 전원단에 병렬 연결되고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를 갖는 하프 브리지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용 인덕터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간의 연결점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공진용 인덕터의 인덕턴스와 상기 제1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와 상기 직류 차단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에 따라 공진하는 LLC 공진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회로는
    상기 스위칭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직류 전원을 상보적으로 스위칭하는 적어도 둘의 스위치를 갖는 제2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의 스위칭된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상기 제2 출력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입력 직류 전원단에 병렬 연결되고 서로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스위치를 갖는 하프 브리지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간의 연결점에 직렬 연결된 공진용 인덕터와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의 스위칭시에 발생되는 직류를 차단하는 다른 하나의 직류 차단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직류/직류 변환 회로는 상기 공진용 인덕터의 인덕턴스와 상기 제2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와 상기 다른 하나의 직류 차단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에 따라 공진하는 LLC 공진 방식 직류/직류 변환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KR1020070140714A 2007-12-28 2007-12-28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KR10092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714A KR100920586B1 (ko) 2007-12-28 2007-12-28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714A KR100920586B1 (ko) 2007-12-28 2007-12-28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561A KR20090072561A (ko) 2009-07-02
KR100920586B1 true KR100920586B1 (ko) 2009-10-08

Family

ID=413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714A KR100920586B1 (ko) 2007-12-28 2007-12-28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589B1 (ko) 2019-02-18 2020-03-20 주식회사 효원파워텍 상간 위상 제어 방식을 이용한 다상 모터 제어 시스템의 공통 모드 전압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3146B1 (en) 2014-02-03 2019-03-20 STMicroelectronics Srl Monophase or polyphase resonant converter with feedback control
KR102308809B1 (ko) * 2018-11-14 2021-10-0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단 전력 변환 장치
KR102329733B1 (ko) * 2019-11-25 2021-11-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050A (ja) 1996-10-18 1998-05-15 Denso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690589B2 (en) 2002-02-28 2004-02-10 Valere Power, Inc. Interleaved converter power factor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4064817A (ja) 2002-07-25 2004-02-26 Shibaura Mechatronics Corp 電源、スパッタ用電源及びスパッタ装置
KR20060106614A (ko) * 2005-04-08 2006-10-12 링컨 글로벌, 인크. 아크 용접기 전원용 초퍼 출력 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050A (ja) 1996-10-18 1998-05-15 Denso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690589B2 (en) 2002-02-28 2004-02-10 Valere Power, Inc. Interleaved converter power factor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4064817A (ja) 2002-07-25 2004-02-26 Shibaura Mechatronics Corp 電源、スパッタ用電源及びスパッタ装置
KR20060106614A (ko) * 2005-04-08 2006-10-12 링컨 글로벌, 인크. 아크 용접기 전원용 초퍼 출력 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589B1 (ko) 2019-02-18 2020-03-20 주식회사 효원파워텍 상간 위상 제어 방식을 이용한 다상 모터 제어 시스템의 공통 모드 전압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561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An improved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with wide-range ZVS and reduced filter requirement
CN108028605B (zh) 具有保持操作的转换器
Cho et al. A new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with maximum duty operation for server power system
US9263960B2 (en) Power converters for wide input or output voltage rang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9520792B2 (en) Staggered parallel three-level DC/DC converter and AC/DC converter
Jang et al. Light-load efficiency optimization method
Xie et al.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LLC resonant converter with a novel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JP5913336B2 (ja) 直列共振形dc/dcコンバータを制御する方法
US9065343B2 (en) Resonant converter with auxiliary resonant components and holdup time control circuitry
CN107276418B (zh) 一种宽范围软开关直流变换电路及其控制方法
US7254047B2 (en) Power converters having output capacitor resonant with autotransformer leakage inductance
Guo et al. Input-series-output-parallel phase-shift full-bridge derived DC–DC converters with auxiliary LC networks to achieve wide zero-voltage switching range
US20140036545A1 (en) Llc converter with dynamic gain transformation for wide input and output range
US20100226154A1 (en) Power converters
US20100328971A1 (en) Boundary mode coupled inductor boost power converter
Yang et al. Phase-shifted full bridge converter featuring ZVS over the full load range
Lin et al. Interleaved LLC series converter with output voltage doubler
KR100920586B1 (ko) 인터리브드 타입 컨버터
Shin et al. Analysis of LLC resonant converter with current-doubler rectification circuit
Ikeda et al. Boost full bridge DC-DC converter ensuring safe installation of PV energy in data center power management systems
Park et al. Two-transformer current-fed converter with a simple auxiliary circuit for a wide duty range
Kim et al. Parallel resonant dc-link soft switching inverter based on delta-modulation method
Thrimawithana et al. A novel buck-boost control technique for push-pull parallel-resonant converters
US9030261B2 (en) Two mode power converter for audio amplifiers
JP2011142723A (ja) Dc−dc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