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311B1 -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 Google Patents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311B1
KR100920311B1 KR1020070141233A KR20070141233A KR100920311B1 KR 100920311 B1 KR100920311 B1 KR 100920311B1 KR 1020070141233 A KR1020070141233 A KR 1020070141233A KR 20070141233 A KR20070141233 A KR 20070141233A KR 100920311 B1 KR100920311 B1 KR 10092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cooling water
tube
lin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318A (ko
Inventor
정광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3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배연 탈질 설비의 보일러의 냉각수 벽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멀티 노즐 랜스가 제공된다. 상기 배연 탈진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는 냉각수 입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 출수라인, 상기 냉각수 출수라인이 표면에 형성된 냉각수출수튜브에 연결되며, 오토마이징 에이튜브에 연결된 오토 마이징 에어챔버와 케미컬라인을 가지며, 상기 케미컬 라인으로 공급되는 케미컬을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 챔버의 공기에 의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표면에 가지는 랜스 하우징과;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을 공급받는 케미컬튜브가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의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튜브를 상기 랜스 하우징의 냉각수입수라인과 케미컬라인에 결합하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70141233
SNCR, 배연탈질, 멀티노즐랜스, MNL, 환원제

Description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Multi nozzle lance fo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본 발명은 발전소에 사용되는 배연 탈질 설비에 사용되는 멀티 노즐 랜스(Multi Nozzle lance : 이하 "MNL"이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냉각수 벽(Water Wall tube)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MNL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료를 연소하여 얻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설비의 경우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탈황 설비 및 탈질 설비를 설치하여 환경배출기준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중 대기오염 물질인 질소산화물(NOx) 제거를 위해 SNCR(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 선택적 비촉매 환원법) 설비를 설치 가동하고 있다.
예들 들면, 한국동서발전(주) 호남화력에서는 SNCR 설비(배연탈질설비)를 운영 중에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연 탈질 설비의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2는 요소 사일로(Urea silo)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요소(urea)를 저장한다. 상기 요소 사일로(12)에 저장된 후 그로부터 이송되는 요소는 쇄석기(Lump crusher)(14)에 의해 응결된 덩어리를 파쇄시켜 계량설비인 스케일 호퍼(scale hopper)(16)로 이송된다.
상기 스케일 호퍼(16)로부터 이송되는 요소는 용해조(18)에 투입되며, 상기 용해조(18)에 투입된 고체 요소는 용해조(18)로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용해도어 50% 용액으로 조제되어 용액 이송펌프(20)에 의해 요소용액 저장탱크(22)로 이송 저장된다.
상기 저장탱크(22)에 저장된 요소용액은 용액주입펌프(26)에 의해 펌핑되어 계량모듈(28)로 이송되며, 희석수펌프(24)는 희석수를 가압 펌핑하여 계량모듈(28)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계량모듈(28)은 상기 용액주입펌프(26)와 희석수펌프(24)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어진 요소용액(환원제)과 희석수를 보일러(10)의 각 영역(zone)별 분배모듈(30)들로 이송시켜 직접 보일러(10)의 로의 내부로 분사시킨다.
상기 보일러(10)는 각 영역별로 설치된 분사체(Wall injector)(32a, 32b) 및 MNL(40)로부터 분사되는 요소용액(환원제)에 의해 로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을 탈질하게 된다.
상기 보일러(10)에는 요소용액을 수평방향으로 분사하는 수평형 MNL 및 수직방향으로 분사하는 수직형 MNL이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아래와 같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평형 MNL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이고,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평형 MNL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형 MNL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형 MNL 내의 하부 노즐과 케미컬 튜브간의 연결 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평형 MNL의 구조 및 그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수평형 MNL(50)은 냉각수입수튜브(Cooling Water Inlet Tube)(CWIT), 케미컬튜브(chemical Inlet Tube)(CIT), 오토마이징 에어 튜브(Atomizing Air Inlet Tube)(AAIT), 냉각수 출수튜브(Cooling Water Outlet Tube)(CWOT)가 일체로 연결되고 그 측면에 상기 케미컬튜브(CIT)로 공급되는 케미컬을 보일러(10)의 로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수평노즐(52)이 측면에 설치된 랜스 하우징(Lance Housing)(LH)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형 MNL(50)은 냉각수 출수튜브(CWOT)의 대향 하부측에 냉각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냉각수 드레인 플러그(DRPG)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케미컬은 요소용액인 환원제를 의미한다.
상기 냉각수입수튜브(CWIT)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랜스 하우징(LH)의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랜스 하우징(LH)의 전단에서 그 원통의 내부 외측에 형성된 냉각수출수튜부(CWOT)로 순환되도록 내부의 튜브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튜브(AAIT)로 공급되는 공기는 랜스 하우징(LH)내에서 넓게 형성된 에어챔버(air chamber)에 채워지며 상기 케미컬튜브(CIT)로 투입되는 케미 컬은 내부의 케미컬호스를 통해 측면에 형성된 수평노즐(52)로 공급된다. 상기 수평노즐(52)로 공급되는 케미컬은 상기 에어챔버에 채워진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수평노즐(52)의 외부로 분사되어 보일러(10)의 로 내로 공급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수평평 MNL(50)은 랜스 하우징(LH)의 일측에 냉각수 출수튜브(CWOT), 오토마이징 에어 튜브(AAIT), 케미컬튜브(CIT) 및 냉각수입수튜브(CWIT) 등이 순차적으로 용접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랜스 하우징(LH)내의 각 튜브 또는 워터 재킷(jacket) 등의 정비를 할 때 그 정비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형 MNL(50)은 환원제를 분사하는 수평노즐(52)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위치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 냉각수벽(WWT: water wall tube)에 직선으로 환원제가 분사됨으로써 보일러 냉각수벽의 외면에 케미컬인 환원제가 직접 접촉되어 급격한 부식 및 열응력을 발생시켜 취약부인 멤브레인(membrane) 용접부가 파열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형 MNL(60)의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수평형 MNL(50)과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수평형 MNL(50)의 구성과 다른 점은 환원제를 분사하는 수직노즐(62)이 도 5의 평명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 것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곳에는 수평형 MNL(50)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표기하였다.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형 MNL 내의 하부 노즐과 케미컬 튜브간의 연결 상태도로서, 참조부호 62는 수직노즐, LH는 랜스 하우징, CWIT는 냉각수입수튜브, AAIT는 오토마이징 에어 튜브, CWOT는 냉각수 출수튜브이고, CIT-H는 앞서 설명한 케미컬튜브(CIT)로 공급되는 케미컬라인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hose)이다. 그리고, FH는 유연성 호스(Flexible hose)로서 상기 케미컬 호스(CIT-H)와 수직노즐(62)의 사이에 연결되어 케미컬 호스(CIT-H)로부터 공급되는 케미컬을 수직노즐(62)들에 공급한다.
도 5 내지 도 7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수직형 MNL(60)은 노즈(NOSE) 부위의 튜브 보호차 하부에 형성된 수직노즐(62)의 케미컬 라인, 즉, 하부 노즐에 연결된 유연성 호스(FH)를 차단하고 공기만이 하부 노즐(62)로 분무토록 하고 있으나, 수직노즐(62)의 오링(O-ring)의 탄화로 인하여 하부의 수직노즐(62)로 유연성 호스(FH)의 케미컬이 누설(leak)되어 에어챔버로 작용하는 도 7의 오토마이징 에어튜브(AAIT)로 케미컬이 유입되어 랜스 하우징(LH)의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화학적인 침식에 의한 랜스 하우징(LH)의 두께감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랜스 하우징(LH)의 외부에 분무용 오토마이징 에어의 상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MNL 정상 운전 시, 노즐의 오링 탄화에 의한 에어챔버로의 케미컬 유입 여부을 확인할 수 없어 MNL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냉각수 벽(Water Wall tube)의 급격한 부식 및 열응력을 저감시키도록 환원제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MNL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NCR 설비를 정상 운전 시, 노즐의 오링 탄화에 의한 에어챔버로의 케미컬 유입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MNL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노즐로 공급되는 케미컬 라인을 플러깅하여 랜스 하우징 내부로 누설되는 케미컬을 차단함으로써 랜스 하우징의 두께 감육을 일으키지 않은 구조를 갖는 수직형 MNL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랜스 하우징을 용이하게 분해 정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MNL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각수 입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 출수라인, 상기 냉각수 출수라인이 표면에 형성된 냉각수출수튜브에 연결되며, 오토마이징 에이튜브에 연결된 오토 마이징 에어챔버와 케미컬라인을 가지며, 상기 케미컬 라인으로 공급되는 케미컬을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 챔버의 공기에 의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표면에 가지는 랜스 하우징과;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을 공급받는 케미컬튜브가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의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튜브를 상기 랜스 하우징의 냉 각수입수라인과 케미컬라인에 결합하는 플랜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랜스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노즐들은 상기 랜스 하우징의 좌우측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미컬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케미컬을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의 공기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는 수평 노즐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노즐들 중 일측에 형성된 노즐은 수평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45도의 기울어져 형성하여 보일러 냉각수벽간의 분사거리를 확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랜즈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에 채워진 에어가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구멍(air vent hole)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스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노즐들은 랜스 하우징의 상하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미컬 라인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케미컬을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의 공기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는 수직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미컬 호스들과 상기 수직 노즐들간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들 중 랜스 하우징의 하부측에 위치된 수직노즐들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를 절단하고 플러깅(막음처리)하여 하부 노즐의 오링 탄화에 의한 케미컬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L은 첫째, 프론트 커버에 형성된 냉각수입 수튜브와 케미컬튜브를 플랜지를 통하여 랭스하우징의 냉각수 입수라인과 케미컬라인에 결합함으로써 MNL 불량 시 효율적인 정비를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은 수평 노즐들 중 보일러 냉각수벽을 향하는 수평노즐의 분사각도를 시계방향 45도 함으로써 그로부터 분사되는 케미컬이 보일러 냉각수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거리가 연장되어 보일러 냉각수벽의 급격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MNL은 랜스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수직노즐과 연결된 케미컬 호스를 제거한 후 캡으로 플러깅(막음처리)함으로써 랜스 하우징 내에서의 케미컬 누설우려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수직 노즐의 오링 손상 시에도 정상운전이 가능하다. 넷째, 랜스하우징의 하단부에 랜스 하우징내부의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에 채원진 공기를 상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정상 운전 중 랜스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중의 케미컬 유입여부를 확인하여 노내 환원제의 분무 상태 검시 및 정비 시기를 결정할 수 있어 배연 탈진 설비를 최적 상태로 운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의 정면도와 일부 절개된 평면도 및 일부 절개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의 노즐분사 방향을 변경한 후의 분사거리가 연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8과 도 9에서 FW는 수평형 MNL(50)의 정면도, SA는 도 8의 A-A선단면도이고 SB는 도 8의 B-B선단면도이며, SC는 도 9의 C-C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50)의 구성 중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수평형 NNL과 그 기능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어 표기하였다.
종래의 기술구성과 상이한 것은, 프론트 커버(100)에 형성된 냉각수입수튜브(CWIT) 및 케미컬튜브(CIT)가 플랜지(110)를 통하여 랜스 하우징(LH) 내의 냉각수입수라인(CWIL) 및 케미컬라인(CITL)에 결합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50)은 랜스 하우징(LH)의 수평 양측 중 보일러 냉각수벽(WWT)을 향하는 수평노즐(52)의 분사각도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 45도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고, 랜스 하우징(LH)의 하단부에는 랜스 하우징(LH)내의 오토마이징 에어챔버(AAITC)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구(ADPG)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프론트 커버(100)의 전면에는 냉각수와 케미컬을 각각 랜스 하우징(LH)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입수튜브(CWIT)와 케미컬튜브(CIT)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랜스 하우징(LH)의 정면의 상부에는 분사공기를 입력하기 위한 오토마이징 에어튜브(AAIT)와 랜스 하우징(LH)내에서 냉각수입수라인(CWIL)으로 공급되어 내부 순환 후 냉각수출수라인(CWOL)으로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배수튜브(CWO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00)는 플랜지(110)을 통해 상기 랭스 하우징(LH)의 전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커버(100)상의 냉각수입수튜브(CWIT)와 케미컬튜브(CIT)가 상기 랜스 하우징(LH)내의 냉각수입수라인(CWIL)과 케미컬라인(CITL)에 연결된다.
상기 도 8 및 도 9와 같이 수평평 MNL(50)의 랭스 하우징(LH)에 프론트 커버(100)가 플랜지(11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냉각수, 케미컬 및 오토마이징 에어가 냉각수입수튜브(CWIT), 케미컬 튜브(CIT) 및 오토마이징 에어튜브(AAIT)로 공급되면, 상기 냉각수는 랜스 하우징(LH)내의 냉각수입수라인(CWIL), 냉각수출수라인(CWOL)로 순환된 후 냉각수출수튜브(CWOT)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케미컬튜브(CIT)로 공급되는 케미컬은 랜스 하우징(LH)내의 케미컬 라인(CITL)에 접속된 케미컬 호스를 통해 다수의 수평노즐(52)로 공급된다. 상기 수평노즐(52)에 공급되는 케미컬은 오토마이징 에어튜브(AAIT)를 통해 랜스 하우징(LH)내의 오토마이징 에어챔버(AAITC)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AAITC)에 채워진 공기는 랜스 하우징(LH)의 하단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ADPG)를 통하여 상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미컬 라인(CITL)과 수평노즐(52)의 사이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CIT-H) 또는 유연성 호스(FH)의 불량 또는 수평노즐(52)의 오링 탄화에 의해 케미컬이 오토마이징 에어챔버(AAITC)로 누설되면 상기 공기배출구(ADPG)로 배출됨으로써 이를 모니터하여 수평형 MNL(50)의 불량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50)의 수평측에 형성된 수평노즐(52)들 중 보일러 냉각수벽(WWT)의 방향으로 놓여진 수평노즐(52)은 도 8의 SA의 단면도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45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노즐(52)들로부터 케미컬이 분사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이 경사진 형태로 분사되어 짐으로써 수평노즐(52)과 보일러 냉각수벽(WWT)간의 분사거리(l2)가 실질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케미컬의 직접 접촉에 따른 보일러 냉각수벽(WWT)의 급격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50)은 보일러 냉각수벽(WWT)측의 수평노즐(52)의 분사방향을 수평측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45도 변경함으로써 그로부터 분사되는 케미컬이 보일러 냉각수벽(WWT)과 직접 접촉하는 거리를 연장시킴은 물론, 노내 가스 플로 방향과도 유선을 이루게하여 노즐 결함에 의한 직선분사 시에도 케미컬과 냉각수벽(WWT)의 접촉을 피하게 하여 튜브 침식 및 파열을 방지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MNL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MNL 내의 하부 노즐과 케미컬 튜브를 캡으로 끼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FW는 수직형 MNL(60)의 정면도, SD와 SE는 도 11의 D-D선단면도 및 E-E선단면도이이며 SF는 도 12의 F-F선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MNL(60)의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기술한 수평형 MNL(50)의 구성과 동일하나, 상하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수직노즐(62)의 분사방향과 수직노즐(62)과 랜스 하우징(LH)내의 케미컬 라인(CITL), 즉, 케미컬 호스(CIT-H)로부터 하부 수직노즐(62)로 연결된 유연성 호스(FH)를 제거한 후 캡(PG)로 하부 수직노즐(62)로 연결되었던 유연성 호스(FH)를 플러깅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도 11의 SD를 참조하면, 수직형 MNL(60)의 수직노즐(62)들은 상하로 대칭한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그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케미컬 라인(CITL)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CIT-H)로부터 수직형 MNL(60)의 하부 수직노즐(62)에 연결되는 유연성 호스(FH)를 절단 후, 그에 알맞게 제작된 캡(PG)으로 유연성 호스(HF)의 절단면을 플러깅하였다. 이러한 플러깅에 의하여 수직형 MNL(60)의 하부 수직노즐(62)로 공급되었던 케미컬 통로를 제거함으로써 케미컬 누설의 우려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하부 수직노즐(62)의 오링 손상시에도 정상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을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연 탈질 설비의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평형 MNL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평형 MNL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형 MNL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형 MNL 내의 하부 노즐과 케미컬 튜브간의 연결 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MNL의 노즐분사 방향을 변경한 후의 분사거리가 연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MNL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MNL 내의 하부 노즐과 케미컬 튜브를 캡으로 끼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도면.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일러, 12 : 사일로,
14 : 쇄석기(crusher), 16 : 스케일호퍼,
18 : 용해조, 20 : 용액이송펌프,
22 : 요소용액저장탱크, 24 : 희석수펌프,
26 : 용액주입펌프, 28 : 계량모듈,
30 : 분배모듈, 32 : 벽 분사체,
34 : 멀티노즐랜스, 50 : 수평 MNL,
52 : 수평 노즐, 60 : 수직 MNL
62 : 수직 노즐, AAIT : 오토마이징 에어튜브,
AITC : 오토마이징 에어챔버, CIT : 케미컬튜브,
CWIL : 냉각수입수라인, CWOL : 냉각수출수라인,
CWIT : 냉각수 입수튜브, CWOT : 냉각수 출수튜브,
DRPG : 드레인 플러그, ADPG : 공기배출구
LH : 랜스 하우징, WWT : 보일러 냉각수벽,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입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 출수라인, 상기 냉각수 출수라인이 표면에 형성된 냉각수 출수튜브에 연결되고, 오토마이징 에이튜브에 연결된 오토 마이징 에어챔버와 케미컬라인을 가지며, 상기 케미컬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케미컬을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의 공기에 의해 외부로 분사 시 보일러 냉각수벽 간의 분사거리를 확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45도 기울어져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노즐을 가지는 랜스 하우징과;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을 공급받는 케미컬튜브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튜브를 상기 랜스 하우징의 냉각수입수라인과 케미컬라인에 결합하는 플랜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배연 탈진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에 채워진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구멍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 탈진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5. 삭제
  6.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입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 출수라인과, 상기 냉각수 출수라인이 표면에 형성된 냉각수 출수튜브에 연결되고, 오토마이징 에이튜브에 연결된 오토 마이징 에어챔버와 케미컬라인을 가지며, 상기 케미컬 라인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케미컬을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의 공기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노즐이 상기 하우징의 상하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미컬 호스와 상기 수직 노즐에 연결된 케미컬 호스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된 수직노즐로 연결된 케미컬 호스를 절단하고 플러깅 한 구성을 갖는 랜스 하우징과;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을 공급받는 케미컬튜브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냉각수입수튜브와 케미컬튜브를 상기 랜스 하우징의 냉각수입수라인과 케미컬라인에 결합하는 플랜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배연 탈진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오토마이징 에어챔버에 채워진 에어가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구멍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 탈진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KR1020070141233A 2007-12-31 2007-12-31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KR10092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233A KR100920311B1 (ko) 2007-12-31 2007-12-31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233A KR100920311B1 (ko) 2007-12-31 2007-12-31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318A KR20090073318A (ko) 2009-07-03
KR100920311B1 true KR100920311B1 (ko) 2009-10-14

Family

ID=4133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233A KR100920311B1 (ko) 2007-12-31 2007-12-31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11Y1 (ko) * 2005-08-17 2006-01-10 주식회사 한산-이 무촉매 반응설비 시스템의 환원제 분사노즐
KR100763002B1 (ko) * 2006-09-14 2007-10-02 박정봉 탈질용 환원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갖춘 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11Y1 (ko) * 2005-08-17 2006-01-10 주식회사 한산-이 무촉매 반응설비 시스템의 환원제 분사노즐
KR100763002B1 (ko) * 2006-09-14 2007-10-02 박정봉 탈질용 환원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갖춘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318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727B2 (ja) 洗浄冷却装置、egrユニット、及びエンジンシステム
CN102658022A (zh) 一种sncr脱硝系统
CN103184463A (zh) 提高防酸洗液泄漏功能的核燃料棒包壳管的酸洗处理装置
KR100903778B1 (ko) 순산소석탄연소 로내고온탈황용 석회석 평면분사장치
KR100920311B1 (ko) 배연 탈질 설비의 멀티 노즐 랜스
KR100824162B1 (ko) 유해 가스 제거 장치
CN113257950B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光伏硅片的运输篮
KR100794389B1 (ko) 선택적비촉매환원법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내부관통형 3중관 환원제 분사기
CN108317521A (zh) 一种喷枪
CN208449035U (zh) 一种sncr脱硝系统
CN208627647U (zh) 一种喷枪尾端的保护套管
CN207254064U (zh) 用于脱硝脱硫的喷枪管
KR20160123578A (ko) 이코노마이저의 그을음 제거를 위한 스팀 세척 시스템
CN220328996U (zh) 气体失效保护型喷枪
KR102585185B1 (ko) 화력발전소 탈질설비의 우레아기화기 막힘 조기 감지 시스템
CN217795425U (zh) 一种湿法脱硫吸收塔入口事故喷淋装置
CN215196265U (zh) 一种船舶用大型脱硫塔进气冷却装置
CN215086026U (zh) 一种新型氯化氢泄露吸收装置
CN216274269U (zh) 一种拥有油幕发生机构的淬火油喷射装置
CN216768696U (zh) 一种气液分流装置
KR102193647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용 환원제 서플라이 유닛
CN211694922U (zh) 烟气管道以及在线清盐装置
CN213036597U (zh) 一种防止底部沉淀的防腐罐
CN217473132U (zh) 含氟废气洗涤装置
CN210215254U (zh) 一种炼油设备中的在线喷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