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011B1 -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011B1
KR100920011B1 KR1020070126527A KR20070126527A KR100920011B1 KR 100920011 B1 KR100920011 B1 KR 100920011B1 KR 1020070126527 A KR1020070126527 A KR 1020070126527A KR 20070126527 A KR20070126527 A KR 20070126527A KR 100920011 B1 KR100920011 B1 KR 10092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nufacturing facility
sensor
stat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586A (ko
Inventor
이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셀
Priority to KR102007012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0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설비에 연결된 도어에 비밀번호와 출입 인원수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도어 센서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데드 볼트를 구비하며, 그 전면에는 키패드를 구비한 열쇠부 및 열쇠부와 대응되도록 도어틀 일측단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도어 센서를 작동시키는 센서 작동부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볼트 삽입구가 형성된 걸쇠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갈 때 일회용 비밀번호와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인원수를 입력하여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제조설비 내에서 작업을 마친 후 밖으로 나올 때도 일회용 비밀번호와 내부로 들어갔던 출입인원수를 입력하여 도어가 잠금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간 이용자가 모두 밖으로 나와야만 도어가 잠금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조설비, 출입문, 비밀번호, 출입인원수

Description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Safty Door Lock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조설비에 연결된 도어에 비밀번호와 출입 인원수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LCD, PDP 등의 FPD(Flat Panal Display)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수많은 제조설비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안전 도어락(Door Lock)을 설치한다.
즉, 제조설비에는 사람 및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조설비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조설비 주변으로 펜스(Fence)를 설치하는데, 이 펜스에 출입문이 형성되며, 출입문에 안전 도어락을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도어락은 걸쇠부, 열쇠부 및 키(Key)부로 나누어졌다. 그래서, 도어(Door)를 열 때는 수동으로 키를 이용하여 도어의 락(Lock)을 해제하고 도어를 여는 방식이었다. 도어를 닫을 때도, 도어를 열 때와 마찬가지로 도어를 닫고 수동으로 키를 이용하여 언락(Unlock)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제조설비가 자동 운전 중에 도어락이 해제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때, 제조설비가 운전 중에 도어락이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되면 제조설비의 가동이 중단되는 등의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락의 키를 분실하여 제조설비를 제때 가동하지 못하는 등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제조설비 내에서 작업 또는 청소를 하던 사람이 제조설비의 이상 운전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갈 때 일회용 비밀번호와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인원수를 입력하여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제조설비 내에서 작업을 마친 후 밖으로 나올 때도 일회용 비밀번호와 내부로 들어갔던 출입인원수를 입력하여 도어가 잠금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간 이용자가 모두 밖으로 나와야만 도어가 잠금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은,
제조설비가 구비된 작업실 내부로 출입하는 도어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 센서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데드 볼트가 구비되며, 그 전면에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열쇠부; 및 상기 열쇠부와 대응되며 도어틀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도어 센서와 대응되며 상기 도어 센서를 작동시키는 센서 작동부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데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쇠부로 일회용 비밀번호 및 상기 작업실 내부로 출입하고자 원하는 출입인원수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도어 센서의 감지신호는 상기 제조설비로 전달되어, 상기 도어 센서에서 상기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제조설비는 가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도어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동박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조설비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열쇠부로 동작가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열쇠부는, 도어가 잠금 상태에서 특정 정전유지 시간이 경과하여도 정전 상태가 유지되면, 도어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어 자동으로 도어가 열릴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은, 제조설비가 구비된 작업실 내부로 출입하기 위하여 잠금 상태인 도어가 일회용 비밀번호 및 출입인원수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를 거친 도어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어 도어가 열리는 열림단계; 상기 열림단계를 거쳐 잠금 해제상태인 도어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및 상기 출입인원수를 다시 입력받는 재입력단계; 및 상기 재입력단계를 거친 도어는 잠금 상태가 되어 도어를 닫는 닫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계에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및 상기 출입인원수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제조설비는 가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락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갈 때 일회용 비밀번호와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인원수를 입력하여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제조설비 내에서 작업을 마친 후 밖으로 나올 때도 일회용 비밀번호와 내부로 들어갔던 출입인원수를 입력하여 도어가 잠금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간 이용자가 모두 밖으로 나와야만 도어가 잠금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LCD, PDP 등의 FPD(Flat Panal Display)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설비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안전 도어락(Door Lock)을 설치한다.
즉, FPD를 제조하는 작업실 내부에 구비된 제조설비에는 사람 및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조설비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조설비 주변으로 펜스(Fence)를 설치하는데, 이 펜스에 출입문이 형성되며, 출입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도어락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설비(미도시)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1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열쇠부(100)와 도어틀(20) 일측단에 열쇠부(100)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걸쇠부(200)로 구성된다.
열쇠부(100)는 상부에 열쇠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 센서(110)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도어(1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데드 볼트(Dead Bolt; 130), 데드 볼트(1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하며, 그 전면에는 키패드(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도어 센서(110)는 자력이 미치는 범위의 변화를 감지 신호로 이용하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 신호로 이용하는 동박 센서 등 그 외에 다른 도어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키패드(150)는 비밀번호 및 출입인원수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키패드(150)의 구성은 비밀번호 및 출입인원수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0 ~ 9), 숫자 입력 후 입력완료를 알려주기 위한 설정키(ENT) 및 잘못 입력한 숫자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키(DEL)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숫자키는 0 내지 9까지 배열된 10개의 키로 임의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데, 비밀번호는 2자리 내지 10자리 이내의 숫자 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쇠부(100)에서 도어 센서(110)와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열쇠부(100) 의 내부에 제어부(미도시)를 설치하여 도어 센서(110)와 구동부가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열쇠부(1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된다.
그리고, 열쇠부(100)의 전면에는 도어(10)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상태 및 키패드(150)의 입력에 따른 숫자의 표시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70)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170)는 배터리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여 배터리의 전원상태가 낮아지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울러, 열쇠부(100)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할 때 서로 다른 신호음이 발생 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도어(10)의 상태를 소리로 알 수 있도록 한다.
걸쇠부(200)는 상부에 도어 센서(110)와 대응되며 도어 센서(110)를 작동시키는 센서 작동부(210)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데드 볼트(130)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구(2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센서 작동부(210)는 마그네트(Magne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 센서(110)의 감지신호는 제조설비로 전달되며, 제조설비가 가동 중에 도어 센서(110)에서 도어(10)의 열림이 감지되면 제조설비는 에러(Error) 등이 발생하여 가동을 중지한다. 즉, 도어(10)가 잠금 상태가 되어야만 제조설비가 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제조설비 내부에서 작업을 하다가 도어(10)가 닫히더라도, 비밀번호와 이용자 출입인원수를 열쇠부(100)에 입력하여야만 도어(10)가 잠금 상태로 될 수 있으므로, 도어(10)가 잠금 상태가 되지 않아서 제조설비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에러가 발생 시에 간단하게 초기화할 수 있도록 리셋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조설비는 열쇠부(100)의 동작가능 신호를 열쇠부(100)로 전송하여 도어(10)의 작동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가능 신호는 온(ON)/오프(OFF)의 형식으로 전송이 된다.
그래서, 제조설비가 가동 중일 때는 제조설비에서 열쇠부(100)로 동작가능 오프 신호를 전송하며, 제조설비가 가동 중이지 않을 때는 제조설비에서 열쇠부(100)로 동작가능 온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하여, 이용자가 작업설비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 제조설비의 가동을 정지시키면, 제조설비에서 열쇠부(100)로 동작가능 온 신호를 전송하므로, 이용자는 열쇠부(100)를 작동시키고 도어(10)를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하지만, 제조설비의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았다면, 제조설비에서 열쇠부(100)로 동작가능 오프 신호를 전송하므로, 열쇠부(100)는 작동되지 않고, 도어(10)를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없다.
한편, 도어(10)가 가동 중에 정전이 되면, 도어(10)는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정전 전에 도어(10)가 잠금 상태였다가 다시 전기가 흐르게 되면, 정전 전의 상태인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정전 전에 도어(10)가 잠금 해제 상태였다면, 다시 전기가 흐르게 되더라도, 도어(10)는 잠금 해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아울러, 도어(10)가 잠금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다시 통전이 되면 도어(1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통전이 되지 않는다면, 도어(10)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어 자동으로 도어(10)가 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어(10)가 잠금 상태에서 5초간 정전이 되었다가 통전이 되었다면 도어(1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정전이 되었다가 5초가 지나더라도 통전이 되지 않으면, 도어(10)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어 자동으로 도어(10)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정전유지 시간인 5초의 시간은 임의로 정한 것이며, 이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정전유지 시간을 정할 수 있다.
도어(10)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 이유는 도어(10)가 잠금 상태에서 정전이 되어버리면 전기가 차단되므로 도어(10)를 다시 열기가 힘들기 때문에다.
아울러, 일정 정전유지 시간이 경과 후에 도어(10)를 열리도록 하기 위해서, 열쇠부(100) 내부에 비상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상 배터리의 전력은 적어도 도어(10)를 한번 열 수 있는 만큼의 전력만 있으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의 작동 예에 대하여 설 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안전 도어락 장치가 구성되면, 제조설비 내부로 출입을 하기 위한 출입문에 설치한다.
제조설비 내부에서 작업을 해야 하거나 제조설비를 청소해야 할 일이 생겨서, 제조설비 내부로 이용자가 들어가려면, 안전 도어락 장치를 거쳐야 한다.
먼저,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제조설비의 가동을 중지시킨다(단계 S110).
이때, 열쇠부(100)의 데드 볼트(130)는 걸쇠부(230)의 볼트 삽입구(230)에 삽입된 상태이며 따라서, 도어(10)는 잠금 상태이다.
이어서, 도어(10)에 구비된 열쇠부(100)의 키패드(15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와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가고자 원하는 이용자의 출입인원수를 열쇠부(100)에 입력한다(단계 S120).
그러면, 볼트 삽입구(230)에 삽입되어 있던 데드 볼트(130)가 빠지게 되어, 도어(10)는 잠금 해제가 되고, 도어(10)가 열리게 된다(단계 S130).
여기서, 비밀번호는 제조설비 내로 출입하고자 원하는 이용자마다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1234'로 지정하고 3명의 이용자가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 갈려고 하면, 3명 중에 한 명이 키패드(150)에 비밀번호 '1234'를 입력하여 설정키를 선택하고 이어서, 출입인원수 '3'을 입력하여 설정키를 선택하면 도어(10)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고, 도어(10)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열쇠부(100)는 저장부에 키패드(15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 및 이용자 출입인원수를 저장한다.
비밀번호와 출입인원수의 입력으로 도어(10)가 열리면 이용자는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며, 작업 및 청소 등을 할 수 있다(단계 S140).
한편, 이용자가 제조설비 내에 있을 때 도어(10)가 닫히더라도, 비밀번호 및 출입인원수의 입력이 없기 때문에 도어(10)는 잠금 해제상태를 유지하므로 제조설비는 가동되지 않으며, 도어(1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내부에서 도어(10)를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설비 내부에서 작업 및 청소 등을 완료하면, 제조설비 외부로 나오게 된다(단계 S150).
이때, 마지막으로 나오게 되는 이용자는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올 때 키패드(150)에 입력하였던 비밀번호 및 이용자 출입인원수를 키패드(150)에 다시 입력한다(단계 S160).
여기서, 비밀번호 및 이용자 인원수는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열쇠부(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 입력했던 비밀번호 및 이용자 출입인원수와 같다.
따라서, 입력된 비밀번호 및 이용자 출입인원수가 도어(10)를 잠금 해제할 때 입력되어 열쇠부(100)에 저장된 비밀번호 및 이용자 출입인원수와 같으면(단계 S165), 제어부는 데드 볼트(1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데드 볼트(130)가 볼트 삽입구(230)로 삽입되면서, 도어(10)는 잠금 상태가 된다(단계 S170).
즉, 제조설비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 비밀번호 '1234' 및 이용자 출입인원수 '3'을 입력했기 때문에, 작업 및 청소를 마치고 제조설비 외부로 나와서도, 키패드(150)로 '1234'를 입력하고, 이어서 이용자의 출입인원수인 '3'을 입력하면 도어(10)는 다시 잠금 상태가 된다.
그리고, 비밀번호는 한번 이용되는 일회용이며, 열쇠부(100)에 저장된 비밀번호는 한번 이용되면 삭제된다.
따라서, 도어(10)의 잠금 해제상태(Unlock)를 시작으로 하여 도어(10)가 다시 잠금 상태(Lock)로 되면, 비밀번호 및 출입인원수는 한번 이용한 것으로 되므로 삭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이용자가 제조설비 내로 들어가기 위해서 도어(10)를 잠금 해제하려면, 다시 임의의 비밀번호를 지정하고 이용자 출입인원수를 입력하면 된다.
도어(10)가 잠금 상태가 되고, 도어 센서(110)는 센서 작동부(210)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감지 신호는 제조설비로 전달된다. 따라서, 도어(10)가 잠금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설비를 재가동 시킬 수 있다(단계 S180).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100: 열쇠부
110: 도어 센서 130: 데드볼트
150: 키패드 200: 걸쇠부 210: 센서작동부 230: 볼트삽입구
삭제
삭제

Claims (10)

  1. 제조설비가 구비된 작업실 내부로 출입하는 도어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 센서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데드 볼트가 구비되며, 그 전면에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열쇠부; 및
    상기 열쇠부와 대응되며 도어틀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도어 센서와 대응되며 상기 도어 센서를 작동시키는 센서 작동부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데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열쇠부로 일회용 비밀번호 및 상기 작업실 내부로 출입하고자 원하는 출입인원수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도어 센서의 감지신호는 상기 제조설비로 전달되어, 상기 도어 센서에서 상기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제조설비는 가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동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설비는,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열쇠부로 동작가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부는,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에서 특정 정전유지 시간이 경과하여도 정전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도어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어 자동으로 도어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락 장치.
  5. 제조설비가 구비된 작업실 내부로 출입하기 위하여 잠금 상태인 도어가 일회용 비밀번호 및 출입인원수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를 거친 도어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어 도어가 열리는 열림단계;
    상기 열림단계를 거쳐 잠금 해제상태인 도어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및 상기 출입인원수를 다시 입력받는 재입력단계; 및
    상기 재입력단계를 거친 도어는 잠금 상태가 되어 도어를 닫는 닫힘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계에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및 상기 출입인원수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제조설비는 가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락 작동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126527A 2007-12-07 2007-12-07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092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527A KR100920011B1 (ko) 2007-12-07 2007-12-07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527A KR100920011B1 (ko) 2007-12-07 2007-12-07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586A KR20090059586A (ko) 2009-06-11
KR100920011B1 true KR100920011B1 (ko) 2009-10-05

Family

ID=4098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527A KR100920011B1 (ko) 2007-12-07 2007-12-07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968A (ko) * 2011-01-07 2012-08-16 (주) 굿피앤씨 번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락
KR200465831Y1 (ko) * 2011-10-14 2013-03-1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KR101271009B1 (ko) * 2013-02-14 2013-06-04 (주)혜강씨큐리티 출입 알림 차임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102229582B1 (ko) * 2014-10-24 2021-03-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815A (ko) * 2004-12-10 2006-06-14 주식회사 아이레보 임시 인증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그에따른 인증 방법
KR20060079703A (ko) * 2005-01-03 2006-07-06 주식회사 아이레보 임시 수동잠금 모드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815A (ko) * 2004-12-10 2006-06-14 주식회사 아이레보 임시 인증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그에따른 인증 방법
KR20060079703A (ko) * 2005-01-03 2006-07-06 주식회사 아이레보 임시 수동잠금 모드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586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892B1 (ko) 보안 강화를 위한 전자식 잠금장치의 해정방법
KR100920011B1 (ko)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07810160A (zh) 具有授权装置的解锁钥匙
KR200427721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101286886B1 (ko) 화재 대피용 금고시스템
WO2006072974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WO2002077400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ecurity of, and strategies for exiting, lockable enclosures
JP2007219987A (ja) プラントの管理装置
KR100811243B1 (ko) 실내 온도검출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
JP7198182B2 (ja) 電気錠制御装置
KR101456214B1 (ko)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996111B1 (ko) 도어록 장치의 제어시스템
JP4282287B2 (ja) 電気錠制御装置
JP2510706B2 (ja) 建屋の扉の解錠方法
KR20030019541A (ko) 전자식 도어 록 장치
KR101755275B1 (ko) 상황 알림기능을 갖는 비상문 잠금 시스템
KR101025281B1 (ko) 방범기능이 강화된 전자식 문 잠금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4447307B2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気錠の動作制限装置
JP2007226708A (ja) 防犯装置制御システム
JP2971055B2 (ja) ロックユニット
JPH0425395B2 (ko)
US20190259237A1 (en) Token operated access control system
KR20030019540A (ko) 도어 로킹장치
JPS60123680A (ja) 電気錠装置
CN115810233A (zh) 一种防火门的门禁管理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