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831Y1 -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831Y1
KR200465831Y1 KR2020110009173U KR20110009173U KR200465831Y1 KR 200465831 Y1 KR200465831 Y1 KR 200465831Y1 KR 2020110009173 U KR2020110009173 U KR 2020110009173U KR 20110009173 U KR20110009173 U KR 20110009173U KR 200465831 Y1 KR200465831 Y1 KR 200465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door unit
magnet sensor
magne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원
이상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8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후 그 가이드홈에 탈부착 가능한 마그네트 센서를 결합 구성하고, 도어측에는 마그네트를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손쉽게 감지하면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질 때에는 모티스락의 자동 닫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도어의 강제 열림시에는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안 기능을 강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Sensing device for open state and close state of door that use magnet sensor}
본 고안은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외측에 각각 마주보게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측 가이드홈에 마그네트 센서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도어측에는 마그네트를 부착하여,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질 때에는 모티스락의 자동 닫힘이 이루어지고, 도어의 강제 열림시에는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도어락은 도어측에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락을 내장하고, 도어의 내외부면에 상기 모티스락의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동작을 내외측에서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결합되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설치 구성하는 주키, 그리고 도어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모티스락을 포함하는 보조키로 구분된다.
이때, 종래에는 디지털 도어락이나 도어측에 도어의 열림이 강제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티스락을 보호하는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안전장치는 모티스락의 강제 해정에 따른 도어의 강제 열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는 단순히 도어의 강제 열림을 방지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으며, 강제 열림이 이루어졌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있지 않았다.
즉, 도어의 강제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아무리 견고하게 설치한다 하더라도 그 안전장치는 첨단화된 장비의 종류에 따라 해제될 수 밖에 없는 것인 바, 이는 도어의 강제 열림을 어느 정도 시간적으로 지연시키는 효과에 국한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의 강제 열림을 방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도어의 닫힘 또는 열림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면, 보안기능으로서 더욱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본 고안은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제안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후 그 가이드홈에 탈부착 가능한 마그네트 센서를 결합 구성하고, 더불어 도어측에는 마그네트를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손쉽게 감지하면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질 때에는 모티스락의 자동 닫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도어의 강제 열림시에는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는,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실내기와 모티스락을 포함하는 디지털도어락을 구성하되, 상기 도어의 문틀 또는 벽면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실내기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와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와의 근접거리에 따라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서 설치깊이가 가변되는 마그네트 센서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면에서의 실내기에 대한 설치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실내기의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센서에는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실내기의 가이드홈 내부에는 상기 접속단자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커넥터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도어의 닫힘상태 또는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는 상기 접속되는 커넥터부와 접속단자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에 전달되면서, 도어 닫힘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동작이 자동 수행되고, 도어 열림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경보음출력부에서 도어 열림을 알리는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센서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설치깊이가 결정시, 상기 도어의 내부면에 양면테이프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후 그 가이드홈에 탈부착 가능한 마그네트 센서를 결합 구성하고, 도어측에는 마그네트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손쉽게 감지하면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질 때에는 모티스락의 자동 닫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도어의 강제 열림시에는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안 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어에 모티스락 및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와 실내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와 마그네트 센서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기에 마그네트 센서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마그네트 센서의 결합위치를 설정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실내기의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홈을 형성한후 도어에서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마그네트 센서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도어의 내외측에 각각 실내기와 실외기를 설치하는 주키를 중심으로 그 설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지만, 도어의 내측에 실내기만이 설치되는 보조키에도 그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어에 모티스락 및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와 실내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와 마그네트 센서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기에 마그네트 센서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마그네트 센서의 결합위치를 설정하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는, 도어(100)에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락이 내장되고, 상기 도어(100)의 내외부면에는 상기 모티스락의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여 도어(100)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도어락의 실내기(200)와 실외기(300)를 설치 구성함에 있어, 상기 실내기(200)와 도어(100)의 문틀(101)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는 마그네트(10), 가이드홈(21), 마그네트 센서(30), 커넥터부(41), 양면테이프(50), 그리고 디지털도어락의 제어보드에 형성되는 제어부(400) 및 경보음출력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어(100)의 문틀(101) 또는 벽면에는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마그네트(10)는 상기 실내기(2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와 동일한 수평라인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홈(21)은 상기 마그네트 센서(3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실내기(2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마그네트 센서(30)는 접속단자(31)를 구성하면서 상기 실내기(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21)에서의 설치깊이가 가변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실내기(200)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0)와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면서 상기 마그네트(10)와의 근접거리에 따라 도어(100)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실내기(200)가 도어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가이드홈(21)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짧게 하여 상기 마그네트 센서(30)와 마그네트(10)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실내기(200)가 도어의 가장자리측에 가까워지면 상기 가이드홈(21)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길게 하여 상기 마그네트 센서(30)와 마그네트(10)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도어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0)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상기 마그네트 센서(30)에 의해 감지되지 않거나 또는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부(41)는 디지털도어락의 제어보드에 마련되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어보드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위치는 상기 실내기(200)의 가이드홈(21)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홈(21)으로 마그네트 센서(30)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 상기 마그네트 센서(30)의 접속단자(31)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 센서(30)와 마그네트(10)의 근접거리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 센서(30)는 상기 도어(100)의 닫힘상태 또는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접속되는 커넥터부(41)와 접속단자(31)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400)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어부(400)는 도어(100)가 닫힘상태일 때 모티스락의 잠금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하고, 도어(100)가 열림상태일때에는 경보음출력부(500)에서 도어 열림을 알리는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보음출력부(500)를 통해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는 것은 도어(100)의 열림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어(100)의 열림이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 3 자의 침입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때인 것이다.
상기 양면테이프(50)는 상기 가이드홈(21)에서 상기 마그네트 센서(30)의 설치 깊이가 결정될 때, 상기 마그네트 센서(30)를 도어(100)의 내부면에 고정시키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우선적으로 실내기(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마그네트(10)와 정확하게 대향되도록 마그네트 센서(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정한 후, 그 설정위치에서 양면테이프(50)를 통해 상기 마그네트 센서(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는 실내기(200)의 설치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규격과 다른 위치에 실내기(200)의 설치가 이루어질 때 그 위치에 대응하면서 상기 마그네트 센서(30)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마그네트 센서(30)는 상기 실내기(200)의 가이드홈(21)으로부터 탈부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상기 도어(100) 내부면에서의 실내기(200)에 대한 설치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실내기(200)의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홈(21)(22)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21)(22)내에 각각 마그네트 센서(30)의 접속단자(31)과 접속되는 커넥터부(41)(42)를 각각 형성하여 두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도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20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감안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실내기(200)의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홈(21)(22)을 형성한 후, 상기 도어(100)의 내부면에서 상기 실내기(200)의 설치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결정될 때, 상기 결정된 위치에서 문틀(101)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21 또는 22)에 마그네트 센서(30)를 결합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마그네트 21,22; 가이드홈
30; 마그네트 센서 31; 접속단자
41,42; 커넥터부 50; 양면테이프
100; 도어 101; 문틀
200; 실내기 300; 실외기
400; 제어부 500; 경보음출력부

Claims (5)

  1.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실내기와 모티스락을 포함하는 디지털도어락을 구성하되, 상기 도어의 문틀 또는 벽면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실내기에는 상기 마그네트와의 근접거리에 따라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마그네트 센서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 구성하되,
    상기 실내기에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측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상기 실내기의 설치 위치가 가변시, 상기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와의 근접거리가 확보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센서의 삽입 길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마그네트센서의 삽입 길이에 따른 설치가 결정시, 상기 마그네트센서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도어의 내부면에서 양면테이프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양면테이프에 의해 도어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트센서가 삽입시 상기 마그네트센서의 접속단자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커넥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부면에서의 실내기에 대한 설치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실내기의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도어의 닫힘상태 또는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는 상기 접속되는 커넥터부와 접속단자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에 전달되면서, 도어 닫힘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동작이 자동 수행되고, 도어 열림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경보음출력부에서 도어 열림을 알리는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 개폐상태 감지장치.
  5. 삭제
KR2020110009173U 2011-10-14 2011-10-14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KR200465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73U KR200465831Y1 (ko) 2011-10-14 2011-10-14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73U KR200465831Y1 (ko) 2011-10-14 2011-10-14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831Y1 true KR200465831Y1 (ko) 2013-03-12

Family

ID=5135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73U KR200465831Y1 (ko) 2011-10-14 2011-10-14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83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28A1 (ko) * 2014-10-24 2016-04-2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KR102056317B1 (ko) 2017-09-15 2019-12-16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2501050B1 (ko) 2021-10-18 2023-02-17 엠피아주식회사 도어개폐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CN116733517A (zh) * 2023-06-16 2023-09-12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与单轨吊远程自动驾驶相配合的风门自动开闭系统与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925Y1 (ko) * 2000-12-11 2001-05-15 주식회사아이레보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KR20090059586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베셀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925Y1 (ko) * 2000-12-11 2001-05-15 주식회사아이레보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KR20090059586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베셀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28A1 (ko) * 2014-10-24 2016-04-2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KR20160048556A (ko) * 2014-10-24 2016-05-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JP2016084692A (ja) * 2014-10-24 2016-05-19 サムソン エスディーエ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ドアの開閉状態検知装置
US9580933B2 (en) 2014-10-24 2017-02-28 Samsung Sds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
KR102229582B1 (ko) 2014-10-24 2021-03-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KR102056317B1 (ko) 2017-09-15 2019-12-16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2501050B1 (ko) 2021-10-18 2023-02-17 엠피아주식회사 도어개폐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CN116733517A (zh) * 2023-06-16 2023-09-12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与单轨吊远程自动驾驶相配合的风门自动开闭系统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582B1 (ko)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US20120299314A1 (en) Door lock sensor assembly
KR200465831Y1 (ko)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US20140292001A1 (en) Door lock with integrated door position sensor
SI2506548T1 (en) Control device for door entry system
JP6315372B2 (ja) 建具用開閉検知装置
WO2017008104A1 (en) A magnetic field generator for use in a locking arrangement
KR102531348B1 (ko) 도어락의 래치 조립체
JP5923748B2 (ja) 建具用施解錠検出装置
KR102547132B1 (ko) 스트라이킹 플레이트 조립체
KR200380748Y1 (ko) 도어 천공 감지 센서를 이용한 무단 해정 방지용 디지털도어락
KR101470444B1 (ko) 자동 작동방식의 창문 경보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방법
JP6238155B2 (ja) 建具用施解錠検出装置
KR101395466B1 (ko) 자기를 이용하여 방범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잠금장치
KR101400726B1 (ko) 미닫이창용 외부 침입 방지장치
KR101974013B1 (ko) 비상문 개방 경보 장치
KR200478761Y1 (ko) 화재경보기와 개폐장치가 연동되는 탈출 안전 방범창
KR101528177B1 (ko) 디지털 도어락용 간격 셋팅 장치
KR20120093660A (ko) 센서 출입 버튼
JP4952330B2 (ja) 制御盤装置
JP2009074267A (ja) こじ開け防止システム
JP2017096055A (ja) 戸装置のエントランス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方法
JP3103496U (ja) 不法侵入防止オートロック自動ドアー開閉装置
JP3160056U (ja) 網戸用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