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960B1 -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 Google Patents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960B1
KR100919960B1 KR1020070140060A KR20070140060A KR100919960B1 KR 100919960 B1 KR100919960 B1 KR 100919960B1 KR 1020070140060 A KR1020070140060 A KR 1020070140060A KR 20070140060 A KR20070140060 A KR 20070140060A KR 100919960 B1 KR100919960 B1 KR 10091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detector
amplifier
detection sensor
unit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074A (ko
Inventor
신웅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9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염검출기 진단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전압을 각각의 모듈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 및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소정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과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출력데이터를 비교함과 아울러 상기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초기값과 상기 화염검출기의 증폭기의 출력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고장 유무를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진단하는 진단부와, 상기 진단부에 의해 진단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상태를 표시등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에러코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진단부에 의해 진단되어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에서 화염검출기의 작동상태와 고장 유무를 신속하게 점검 및 판단함으로써 기기의 오작동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로 인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염검출기 진단장비{A diagnosing equipment for frame detector}
본 발명은 화염검출기 진단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력발전에 사용되는 화염검출기의 센서 및 증폭기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화염검출기 진단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 설비인 발전소 보일러의 화염을 검출(감지)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접촉식 화염검출기(화염감지기)가 사용된다. 여기서 화염검출기는 화력발전소 버너가 점화하면서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판독 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증폭기로 구성된다.
한편, 기존의 화력발전소 버너의 화염검출장치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왔는데, 이러한 전자적인 핵심 제어 시스템을 100% 외국 기술에 의존하게 되면 국산화가 가능한 일부 관련 설비도 수입해야됨은 물론이고 노후화 화염검출장치의 유지보수에도 많은 노력과 고 비용의 경제적인 손실이 따르게 된다. 또한, 화력발전소의 신규 건설시에도 버너 화염검출 시스템의 가격이 고가(高價)여서 적용업체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시스템 운영시 발생하는 외국 제품들의 잦은 오동작 사항도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로 인해 여로 화력발전소에서는 화염검출기의 국산화를 개발하게 되었고, 이러한 화염검출기의 국산화 개발성공으로 국내 화력발전소현장에 보급이 확대 적용되었다.
그러나, 화염검출기의 특성상 고온의 환경에서 장기간 노출되어 운용되는데, 현재 국내에서 생산된 화염검출기의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없어 상기 화염검출기의 고장 유무를 미연에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화염검출기 내부 전자 부품, 즉 감지센서와 증폭기가 손상되어 내구성이 저하되어 오작동으로 인해 발전소의 발전 시스템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염검출기의 시스템 특성상 운전 중에는 개별적인 테스트가 불가능하고 고장 진단 및 복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작동상태를 체크하여 정상 유무와 고장 유무를 판단하여 화염검출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화염검출기 진단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입력 전압을 각각의 모듈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 및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소정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과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출력데이터를 비교함과 아울러 상기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초기값과 상기 화염검출기의 증폭기의 출력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고장 유무를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진단하는 진단부와, 상기 진단부에 의해 진단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상태를 표시등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에러코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진단부에 의해 진단되어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력발전소에서 화염검출기의 작동상태와 고장 유무를 신속하게 점검 및 판단함으로써 기기의 오작동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로 인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염검출기의 고장을 감소시켜 무고장 운전으로 인한 정비품질의 향상과 고객만족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염검출기의 시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정비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기 진단장비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기 진단장비를 나타낸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염검출기 200: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210: 전원공급부 220: 제어부
221: 스타트 스위치 222: 리셋 스위치
223: 강도 조정단자 224: 주파수 조정 단자
230: 진단부 231: 제1진단부
232: 제2진단부 240: 상태표시부
241: 표시등 242: 에러코드
250: 통신부 300: 단말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염검출기 진단장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기 진단장비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기 진단장비를 나타낸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기 진단장비(200)는 전원공급부(210), 제어부(220), 진단부(230), 상태표시부(24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화염검출기(100)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델명 NB-FS14H 이며, 상기 화염검출기(100)는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에 사용되며 열을 필요한 장치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보일러 화로에 설치된 각 버너에 점화된 노내의 화염 상태를 감시하는 장치로써, 화염을 발생하기 위해 주로 석탄, 석유 및 가스 등의 연료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210)는, 입력 전압을 각각의 모듈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염검출기 진단장비(200) 후면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 및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소정의 초기값을 설정한다. 화염검출기 감지센서의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화염검출기 진단장비의 전면부 패널에 위치한 강도 조정단자(223)와 주파수 조정 단자(224)를 이용해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을 설정한다.
상기 진단부는(230),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과 상기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초기값에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고장 유무를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상기 진단부(230)는 화력발전소 버너가 점화하면서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검출기 감지센서의 고장 유무 및 작동상태를 진단하는 제1진단부(231)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판독 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고장 유무 및 작동상태를 진단하는 제2진단부(2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화염검출기 진단장비(모델명:KPS-FST100)는 상기 감지센서의 고장 유무를 알람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진단되는 상기 증폭기는 정격을 벗어나더라도 내부 전원공급부에서의 보호기능에 의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정격을 벗어난 상태로 장기 적용될 경우, 내부 전자 부품의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화염검출기 진단장비(200)의 일정한 화염 소스인 기준 광원을 조사한 후, 입력된 신호 대비 출력값을 비교하여 증폭기의 고장 여부도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240)는, 상기 진단부(230)에 의해 진단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상태를 표시등(241)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242)로 에러코드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화염검출기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과 상기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초기값을 기준으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에서 실제 출력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220)에서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오차가 20퍼센트 이상이면 상기 진단부(230)에서 고장으로 진단한다.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진단부(230)에 의해 진단되어 상기 상태표시부(240)에 표시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유에스비, 알에스 이삼이 씨,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및 무선 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화염검출기 진단장비(200)의 사용절차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화염검출기(KPS-FST100)를 작동시키기 전에, 기본 설정 값을 조정하여 기준 광원 소스를 설정하고, 화염 검출기 증폭기의 초기값을 설정한다. 그 다음, 감지센서 헤드에 테스트용 컨넥터와 화염 검출기 증폭기를 화염검출기에 결합하고, 기록 값을 전송할 단말기(300)와 통신부(25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화염검출기 진단장비(200)에 전원을 투입한다. 그리고 화염검출기 진단장비(200) 전면에 있는 스타트 스위치(221)를 누르면, 화염 검출기 감지센서 및 증폭기의 이상 유무에 대한 판독이 진행된다.
그 다음, 감지센서의 진단이 끝나면 단말기(300)에 판단된 값이 출력되며, 리셋 스위치(222)를 눌러 전원을 차단하고, 증폭기의 진단을 위해 화염 검출기 증폭기를 교체 후, 상술한 절차와 마찬가지로 진단을 시작한다. 화염검출기 진단장비(200) 전면에 스타트 스위치(221)를 누르면 화염검출기 증폭기 및 감지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진단이 실행되는데 진행 시간은 약 15초이다. 여기서 화염 검출기 증폭기가 정상이면, 표시등(241)의 OK LED가 발광하고, 화염검출기 증폭기가 고장으로 판단되면, 표시등(241)의 FAULT LED가 발광한다. 또한, 화염검출기 증폭기 및 감지센서가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태표시부(240)의 값은 고장 상태에 따라 19가지 에러코드(242) 중 하나를 표시해 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입력 전압을 각각의 모듈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 및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소정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과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 출력데이터를 비교함과 아울러 상기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초기값과 상기 화염검출기의 증폭기의 출력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고장 유무를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진단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부에 의해 진단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상태를 표시등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에러코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상기 진단부에 의해 진단되어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화력발전소 버너가 점화하면서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검출기 감지센서의 고장 유무 및 작동상태를 진단하는 제1진단부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판독 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고장 유무 및 작동상태를 진단하는 제2진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화염검출기 감지센서 기준 광원 소스의 기준값과 상기 화염검출기 증폭기의 초기값을 기준으로 상기 화염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증폭기에서 실제 출력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오차가 20퍼센트 이상이면 상기 진단부에서 고장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에스비, 알에스 이삼이 씨,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또는 무선 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KR1020070140060A 2007-12-28 2007-12-28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KR10091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060A KR100919960B1 (ko) 2007-12-28 2007-12-28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060A KR100919960B1 (ko) 2007-12-28 2007-12-28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074A KR20090072074A (ko) 2009-07-02
KR100919960B1 true KR100919960B1 (ko) 2009-10-01

Family

ID=4132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060A KR100919960B1 (ko) 2007-12-28 2007-12-28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33Y1 (ko) 2015-06-11 2015-12-22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화염 검출 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23Y1 (ko) * 2017-08-28 2018-04-18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270A (ja) * 1994-12-27 1996-07-12 Tokyo Gas Co Ltd 燃焼制御装置
JPH10267273A (ja) * 1997-03-28 1998-10-09 Miura Co Ltd 燃焼装置における火炎検出装置の異常検出方法
KR100402726B1 (ko) * 2000-12-22 2003-10-22 한전기공주식회사 이동형 화염 감시설비 진단장비
KR100497936B1 (ko) * 2000-10-25 2005-06-29 주식회사남북이엔지 화염감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270A (ja) * 1994-12-27 1996-07-12 Tokyo Gas Co Ltd 燃焼制御装置
JPH10267273A (ja) * 1997-03-28 1998-10-09 Miura Co Ltd 燃焼装置における火炎検出装置の異常検出方法
KR100497936B1 (ko) * 2000-10-25 2005-06-29 주식회사남북이엔지 화염감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02726B1 (ko) * 2000-12-22 2003-10-22 한전기공주식회사 이동형 화염 감시설비 진단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33Y1 (ko) 2015-06-11 2015-12-22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화염 검출 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074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469B2 (ja) 火災検知器
CA2844108C (en) Self-testing combustible gas and hydrogen sulfide detection apparatus
KR101828077B1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JP3213211B2 (ja) 光電式煙感知器
KR100919960B1 (ko)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KR20210012200A (ko) 환경시험 장비의 성능이상 감지장치를 이용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27534Y1 (ko) 제어봉 코일 전류 감시 센서 진단 시스템
KR101303039B1 (ko) 리미트 스위치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2638026A (zh) 催化燃烧气体传感器超限保护电路及方法
US7609154B2 (en) Testing a fire detector sensor
CN200993778Y (zh) 一种故障检测装置
KR100675363B1 (ko) 가스터빈용 화염 검출장치
CN114060848B (zh) 诊断辅助装置以及诊断方法
KR100760404B1 (ko) 전자기기용 사전 진단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사전 진단방법
KR200481203Y1 (ko) 보일러 화염 감시시스템
KR100402726B1 (ko) 이동형 화염 감시설비 진단장비
CN202535034U (zh) 催化燃烧气体传感器超限保护电路
KR101571931B1 (ko)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KR20210150912A (ko) 전력량계 고장 점검 조치 장치 및 방법
JP2015022417A (ja) 回路部、検知器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警報システム
JP5393529B2 (ja) 火炎検出装置
US20010003171A1 (en)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 of thermal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62525B1 (ko)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지기
KR102231430B1 (ko) Cim 성능 진단장치
KR200450493Y1 (ko) 디지털 신호 논리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